KR950003010Y1 - 온수보일러 - Google Patents

온수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010Y1
KR950003010Y1 KR92019454U KR920019454U KR950003010Y1 KR 950003010 Y1 KR950003010 Y1 KR 950003010Y1 KR 92019454 U KR92019454 U KR 92019454U KR 920019454 U KR920019454 U KR 920019454U KR 950003010 Y1 KR950003010 Y1 KR 950003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door
case
hot wate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9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591U (ko
Inventor
최진민
Original Assignee
최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민 filed Critical 최진민
Priority to KR92019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010Y1/ko
Publication of KR940010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5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0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보일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문짝을 연 상태의 보일러 형상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보일러 케이스내에 설치되는 조명등(램프) 설치 구성도.
제3도는 제1도의 상태에서 전면문짝을 닫은 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일러케이스 2 : 문짝
3 : 조명등 4 : 누름스위치
5 : 광고판넬 6 : 3구소켓
본 고안은 보일러 케이스 내부에 조명장치를 구비한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 보일러는 케이스 내부를 밝혀줄 수 있는 조명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실사용상의 적지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기름보일러의 경우에 있어서는 별도 마련된 보일러실에 설치되거나 외부 후미진 곳에 설치되는 것이 상례인 바, 밤에는 물론 낮에도 보일러 문짝을 열고 보일러 케이스 내부를 들여다 보려면 그 내부가 잘 보이질 않아 필히 손전등을 구비하거나 전원을 밝혀야 하는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일러가 갖는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일러 케이스 내부에 문짝을 열게되면 자동으로 조명이 밝혀지도록 하여 보일러 케이스내에 장치된 버어너, 팽창탱크, 순환펌퍼, 콘트롤박스등의 각종 장치 및 배선상태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이성을 도모토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보일러는 보일러 케이스(1) 내부에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전면에 문짝(2)을 구비한 가정용 온수보일러에 관계한다.
본 고안에 보일러를 구성하는 보일러 케이스(1)내에는 공간부(7)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7)에는 버어너(8), 팽창탱크(12), 순환펌프(13), 콘트롤박스(14) 및 각종 배선이 내장설치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장치들을 밝혀주기 위한 조명장치가 상기 공간부(7)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조명등(3)은 제2도의 예시와 같이 문짝 설치용 상부 브라케트(10)에 설치된 광고판넬(5)의 후면에 설치되며 이 조명등(3)은 전선(9)을 통하여 누름스위치(4)와 연결되며, 이 누름스위치(4)는 상기 상부 브라켓트(10)에 외부로 돌출되게 탄력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 11은 전압조정기, 8a는 댐퍼, 15는 연도소켓, 16은 급탕관 소켓, 17은 난방관 소켓, 6은 보일러 케이스에 매설된 3구소켓으로써 여기에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써 전기 안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사용효과를 설명하면, 제3도와 같이 문짝(2)이 닫힌상태에서 보일러를 점검하거나 보일러 내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짝(2)을 열게되면 문짝(2)이 열림과 동시에 문짝(2)에 의해 눌려져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누름스위치(3)가 ‘온’이 되면서 조명등(3)에 전운이 인가되어 조명등(3)이 점등되므로써 보일러 케이스(1)내 공간부(7)를 밝게 비추어 주게 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조명기구가 없이도 보일러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 장치 및 보조부품들의 취부 및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운전조작 및 수리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공간부(7)내에 조명등(3)을 설치하되 문짝 취부용 상부 브라케트(10)상에 설치된 광고판넬(5)의 이면에 조명등(3)을 설치하여 조명등의 점등과 동시에 광고판넬(5)에 새겨진 광고문구가 표출되도록 하여 색다른 광고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열었던 문짝(2)을 닫게되면 문짝(2)에 의해 누름스위치(4)가 눌려 그의 접점이‘오프’되어 조명등(3)은 자동 소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보일러의 각종장치가 설치되는 보일러내 공간부에 문짝의 개폐동작에 의해 점소등되는 조명등을 설치하여 별도의 조명기구를 준비하지 않고서도 어두운 조건에서도 보일러의 수리점검 및 운전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편이성 및 실용성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보일러 케이스(1) 내부에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전면에 문짝(2)을 설치한 온수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문짝(2)을 열면 점등되고 문짝(2)을 닫으면 소등되는 조명등(3)과, 상기 조명등과 전선(9)을 통해 연결되며 문짝 취부용 상부 브라케트(10)에 탄력 설치되어 문짝(9)에 의해 온/오프 되는 누름스위치(4)로 구성되는 조명장치를 구비한 온수보일러.
KR92019454U 1992-10-10 1992-10-10 온수보일러 KR950003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9454U KR950003010Y1 (ko) 1992-10-10 1992-10-10 온수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9454U KR950003010Y1 (ko) 1992-10-10 1992-10-10 온수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591U KR940010591U (ko) 1994-05-23
KR950003010Y1 true KR950003010Y1 (ko) 1995-04-19

Family

ID=1934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9454U KR950003010Y1 (ko) 1992-10-10 1992-10-10 온수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0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591U (ko) 199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010Y1 (ko) 온수보일러
JP4257614B2 (ja) 屋外灯
US20040080932A1 (en) Door sensing illumination device
US2023819A (en) Sick room light
JP4316099B2 (ja) 照明器具
KR100964925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벤치
KR200367325Y1 (ko) 안전점검용 터널조명 등기구
KR200400245Y1 (ko) 조명기구
KR100955030B1 (ko) 감광 센서를 이용한 조명 기구의 자동 반전 제어 장치
KR960015670B1 (ko) 냉장고의 고내등 제어장치
CN2281470Y (zh) 全自动夜明灯
JP2006216497A (ja) 照明器具
CN205447485U (zh) 一种开关灯
CN201062745Y (zh) Led发光管直流电控人体感应夜灯
CN105387409A (zh) 汽车led照地灯
JP3362376B2 (ja) 照明柱
KR20170133648A (ko) Led 조명을 포함한 외벽 판넬 몰딩 부재
JPH02123610A (ja) 照明装置
KR200203049Y1 (ko) 전구 내장형 국기봉
CN205090299U (zh) 汽车照地灯
JP3006668U (ja) ダウンライト付き蛍光灯照明器具
KR200161690Y1 (ko) 조명등
KR200281916Y1 (ko) 간접조명을 이용한 조명등
KR950008074Y1 (ko) 장식등
KR0123340Y1 (ko)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