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977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977Y1
KR950002977Y1 KR92021640U KR920021640U KR950002977Y1 KR 950002977 Y1 KR950002977 Y1 KR 950002977Y1 KR 92021640 U KR92021640 U KR 92021640U KR 920021640 U KR920021640 U KR 920021640U KR 950002977 Y1 KR950002977 Y1 KR 950002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r
main body
connecting plates
roll housing
le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1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145U (ko
Inventor
엄광주
Original Assignee
엄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광주 filed Critical 엄광주
Priority to KR92021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977Y1/ko
Publication of KR940012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1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9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착즙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착즙기본체 2 : 롤하우징
3 : 접면부 4,5 : 연결판
4',5' : 경사면 6 : 요입홈
7,7' : 레바 8 : 지축
9,9' : 삽지홈 10 : 손잡이
11 : 삽지봉 12 : 핀
13 : 클램프
본 고안은 착즙기에 있어 감소기어 등이 내장된 착즙기 본체와 분쇄를 하우징의 조립과 분해를 매우 간단히 할 수 있게 하고 특히 결합을 튼튼하게 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유동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즙기의 기어박스 본체와 롤하우징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사절링크를 사용하거나 또는 수개의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하므로 사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물림부의 마모와 변형에 의해 헐거워지므로서 흔들리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착즙기 본체와 롤하우징의 점면부위에 경사면이 형성된 연결판을 연설하고 이를 당접시킨 상태에서 클램프로서 클램핑하여 견고하게 체결하므로서 종래의 결점을 일소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감속기어 등 구동장치가 내장된 착즙기 본체(1)와 분쇄롤(2')이 축설된 롤하우징(2)을 조립분해함에 있어서 착즙기본체(1)와 롤하우징(2)의 접면부(3)에 경사면(4')(5')을 기부에 형성한형상의 연결판(4)(5)을 접면시킨 상태의 형상과 동일한 요입(6)을 내면에 요설한 두개의 레바(7)(7')의 일측단에 지측(8)으로 축착한 단에 U자형 삽지홈(9)(9')을 각각 형성하여 일측레바(7)의 삽지홈(9)에 손잡이(10)를 부착한 삽지봉(11)을 핀(12)으로 회동되게 구착시켜서 되는 클램프(13)를 레바(7)(7')의 요입흠(6)에 연결판(4)(5)이 삽치되도록 체결하여 일측레바(7)의 삽지홈(9)에 축착된 삽지봉(11)을 회전시켜 타측레바(7')의 삽지홈(9')에 괘삽시켜서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착즙기 본체(1)와 롤하우징(2)의 접면부(3)에 경사면(4')(5')을 형성한 단면
형상의 연결판(4)(5)을 형성하여 이를 두개의 레바(7)(7')를 개폐되게 구성한 클램프(13)로서 견고하게 체결함을 특징으로 한 것인바 착즙기본체(1)와 롤하우징(2)에 형성한 연결판(4)(5)를 접면시킨후 클램프(13)의 레바(7)(7')를 회동시켜 벌린 상태에서 레바(7)(7')내면의 요입홈(6)에 연결판(4)(5)의 테두리가 끼워지게 한다음 일측단에 형성한 U자형 삽지홈(9)(9')을 일치시키고 일측레바(7)의 삽지홈(9)에 핀(12)으로 축설한 삽지홈(11)을 위로 회동시켜 이를 타측레바(7')의 삽지홈(9')에 괘삽시키면 착즙기 본체(1)와 롤하우징(2)은 클램프(13)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진다.
특히 클램프(13)의 요입홈(6)에 삽지된 연결판(4)(5)은 기부측에 경사면(4')(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램프(13)를 체결하게 되면 경사면(4')(5')에 의해 연결판(4)(5)이 당겨져 체결상태가 확실하고 또 잦은 체결로 인해 마모가 발생되어도 조임상태가 항상 일정하다.
그리고 착즙기 본체(1)와 롤 하우징(2)을 분해할 때는 체결시와는 반대로 클램프(13)의 레바(7)(7')를 결합한 삽지봉(11)을 손잡이(10)를 매개로 아래로 회동시켜 일측레바(7')의 U자형 삽지호(9')에 괘삽된 삽지봉(11)을 빼내면 레바(7)(7')가 간단히 분해되어 지축(8)을 중심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이를 연결판(4)(5)으로부터 빼내면 착즙기 본체(1)와 롤하우징(2)은 자동적으로 분리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클램프(13)의 체결로 인해 착즙기 본체(1)와 롤하우징(2)을 결함하므로 조립분해가 매우 간단하고 손쉬우며 종래와 같이 물림부의 마모로 인해 헐거워지는 폐단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감속기어 등 구동장치가 내장된 착즙기 본체(1)와 분쇄롤(2')이 축설된 롤하우징(2)을 조립분해함에 있어서 작즙기본체(1)와 롤하우징(2)의 접면부(3)에 경사면 (4')(5')을 기부에 형성한형상의 연결판(4)(5)을 각각 형성하고 연결판(4)(5)을 접면시킨 상태의 형상과 동일한 요입홈(6)을 내면에 요설한 2개의 레바(7)(7')의 일측단을 지축(8)으로 축착한 타단에 U자형 삽지홈(9)(9')을 각각 형성하여 일측레바(7)의 삽지홈(9)에 손잡이 (10)를 부착한 삽지봉(11)을 핀(12)으로 회동되게 구착시켜서 되는 클램프(13)을 레바(7)(7')의 요입홈(6)에 연결판(4)(5)이 삽치되도록 체결하여 일측레바(7)의 삽지홈(9)에 축착된 삽지봉(11)을 타측레바(7')의 삽지홈(9')에 괘삽시켜서 되는 착즙기.
KR92021640U 1992-11-03 1992-11-03 착즙기 KR950002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640U KR950002977Y1 (ko) 1992-11-03 1992-11-03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640U KR950002977Y1 (ko) 1992-11-03 1992-11-03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145U KR940012145U (ko) 1994-06-18
KR950002977Y1 true KR950002977Y1 (ko) 1995-04-19

Family

ID=1934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1640U KR950002977Y1 (ko) 1992-11-03 1992-11-03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9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61B1 (ko) * 2012-11-06 2013-02-12 이지혜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61B1 (ko) * 2012-11-06 2013-02-12 이지혜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145U (ko) 199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04360T2 (de) Fahrradgangschaltung mit einem in einem Gestängemechanismus angeordnetem Motor
EP0940179B1 (de)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benachbarter Anschlusselemente an Rohren und/oder Behältermündungen, insbesondere an Laborgeräten
FR2569145A1 (fr) Arbre de transmission pour vehicule automobile
DE602004002534T2 (de) Befestigungsvorrichtung
FR2439904A1 (fr) Perfectionnements aux joints universels coulissants, notamment pour transmissions de vehicules automobiles
EP0943823A1 (fr) Cheville d'ancrage à noyau d'expansion
FR2636734A1 (fr) Dispositif pour fixer un compteur d'eau sur une embase et procede s'y rapportant
KR950002977Y1 (ko) 착즙기
US5819386A (en) Impeller puller
FR2466542A1 (fr) Mecanisme de tirage de lame entre une machin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un metier a tisser
FR2608232A1 (fr) Bague de securite destinee a assurer l'accouplement correct de l'arbre inferieur de commande de direction au pignon du boitier de direction et a l'arbre superieur,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FR2454015A1 (fr) Perfectionnements aux joints universels coulissants notamment pour transmissions de vehicules automobiles
FR2429927A1 (fr) Accouplement rigide, en particulier pour les turbo-alternateurs
DE3330330A1 (de) Formschluessiger zusammenschluss einer welle mit einem maschinenelement
US2865493A (en) Barn cleaner mechanism
FR2593730A1 (fr) Outil de rivetage pour le rivetage unilateral d'ecrous a river
US2475415A (en) Cable connector for storage batteries and the like
DE3523599A1 (de) Pumpenaggregat
FR2528794A1 (fr) Rotor a contre-couple pour helicopteres
DE975778C (de) Kugelgelenkschnellkupplung, insbesondere fuer Rohre zur Guelle-Verregnung
DE3735089A1 (de) Kugelzapfen-zentralgelenk mit dichtungsbalg fuer dreieckslenker in kraftfahrzeugen
FR2717114A1 (fr) Dispositif pour chasser et/ou introduire des goupilles ou similaires.
DE20103658U1 (d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lösbares Verriegeln einer Sattelstütze in einem Sitzrohr eines Fahrradrahmens
KR950009571Y1 (ko) 착즙기
KR900008827Y1 (ko) 타이어용 스노우체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