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107Y1 -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107Y1
KR950002107Y1 KR2019900000879U KR900000879U KR950002107Y1 KR 950002107 Y1 KR950002107 Y1 KR 950002107Y1 KR 2019900000879 U KR2019900000879 U KR 2019900000879U KR 900000879 U KR900000879 U KR 900000879U KR 950002107 Y1 KR950002107 Y1 KR 950002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telephone
circuit
bypas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0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755U (ko
Inventor
허석배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0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107Y1/ko
Publication of KR910014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31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 H04M1/312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interrupting current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by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contacts to generate trains of pulses pulses produced by electron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
제1도는 종래 전화기의 통화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기생펄스를 보인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충방전 회로부 12 : 바이패스부 구동회로부
13 : 직류바이패스부 RLL1, RLL2 : 다이얼 릴레이 스위치
RLM1 : 뮤트릴레이 스위치 TM : 매칭 트랜스
본 고안은 전화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웃펄스 방식에서 다이얼링시 마지막 펄스후에 나타나는 기생펄스를 제거함으로서 다이얼링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화기의 통화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전화기의 통화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이얼링에 의해 전화선로(T), (R)의 통화로를 제어하여 다이얼 번호에 해당하는 펄스를 출력하게 하는 다이얼 릴레이(RLL)의 다이얼 릴레이 스위치(RLL1), (RLL2)와, 전화선로(T), (R)와 상기 다이얼 릴레이 스위치(RLL1)를 통해 연결되어 입/출력 신호를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 D)와, 다이얼링시 통화로를 뮤트(Mute)시키는 뮤트릴레이(RLM)의 뮤트릴레이스위치(RLM1)와, 전화선로(T), (R)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바이패스시키는 직류바이패스 회로부(1)와, 음성신호(VS)를 통화로에 매칭시키는 매칭트랜스(TM)로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통화회로의 적용 및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화기를 들고 전화기를 걸기 위해 다이얼링을 시작하면 뮤트릴레이 스위치(RML1)가 메이크(Make)(M)측에 접속되고, 다이얼 릴레이 스위치(RLL1), (RLL2)는 다이얼 번호에 해당하는 횟수만큼 온/오프를 반복하여 즉, 메이크(M)/브레이크(break)(B)를 반복하여 다이얼 번호에 해당하는 다이얼 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다이얼링이 끝나면 뮤트릴레이 스위치(RLM1)가 브레이크(B)에 접속되며 음성 통화로가 형성된다.
그러나, 다이얼 릴레이 스위치(RLL1), (RLL2)의 온/오프에 의해 다이얼 펄스를 출력한 후, 뮤트릴레이 스위치(RLM1)를 브레이크(B)측에 복귀시켜 음성통화로를 형성시킬 때, 흐르는 전류는 바이패스 회로부(1)의 트랜지스터(Tr1)와 저항(R2)를 통해 흐르는데,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키려면 저항(R1)을 통해 콘덴서(C1)에 차지(Charge)시켜야만 된다.
이때 저항(R1) 및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시간 만큼 지연된 뒤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킨다.
그러므로 뮤트릴레이 스위치(RLM1)를 브레이크(B)측에 접속하여 음성통화로를 형성하고난 뒤 저항(R1) 및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시간 만큼 트랜지스터(Tr1)가 오프상태에 있게 되므로 다이얼 펄스후에 제2도 종래 전화기의 통화회로에서 발생되는 기생 펄스 파형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생펄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이얼 번호에 기생펄스 하나가 추가되어 맨 마지막 다이얼 번호가 원하는 다이얼 번호가 아닌 번호가 출력되는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이얼 펄스를 출력할때 마지막 다이얼 펄스후 발생되는 기생펄스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기생펄스 방지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화선로(T), (R)를 제어하여 온/오프 작용에 의해 다이얼 펄스를 발생시키는 다이얼 릴레이 스위치(RLL1), (RLL2)와, 상기 전화선로(T), (R)와 상기 다이얼 릴레이 스위치(RLL1)를 통해 연결되어 입/출력 신호를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 D)와, 그 브리지 다이오드(B, D)와 연결되어 다이얼링시 통화로를 뮤트시키는 뮤트릴레이 스위치(RLM1)와, 음성신호(VS)를 통화로에 매칭시키는 매칭트랜스(TM)로 구성된 전화기의 통화로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을 바이패스시키는 직류바이패스부(13)와, 그 직류바이패스부(13)의 트랜지스터(TR11)를 구동시키기 위한 바이패스부 구동회로부(12)와, 그 바이패스부 구동회로부(12)의 입력을 조절하여 다이얼링후 통화로가 열릴 때 즉시 고전위가 출력되도록 저항(R11), 콘덴서(C1) 및 저항(R13), 콘덴서(C12)에 의한 충방전과 역류방지 다이오드(D11)로 구성된 충방전 회로부(11)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이얼 펄스를 출력하는 동작은 종래 통화회로에서와 동일하고, 뮤트릴레이 스위치(RLM1)를 다이얼링 펄스 출력을 끝내고 브레이크(B)측에 복귀시켜 음성통화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여기서 최초 수화기를 들어 후크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다이얼 릴레이 스위치(RLL1), (RLL2)가 메이크(M)측에 접속되어 다이얼 톤을 들을 때 충방전 회로부(11)의 저항(R11)을 통해 콘덴서(C11)가 충전되고 이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은 다이오드(D11)를 통해 콘덴서(C12)를 충전시킨다.
이때 시정수(R12×C12)는 1개의 다이얼 번호를 출력시키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충분히 길게 하여 1개의 다이얼 번호를 출력시킨 다음 음성통화로를 형성할 때까지 이패스부 구동회로부(12)의 증폭기(OP1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그의 출력이 고전위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뮤트릴레이 스위치(RLM1)의 브레이크(B)측 복귀에 의해 통화로가 형성되면 바이패스부 구동회로부(12)의 출력이 고전위 상태이므로 즉시 직류 바이패스부(13)의 트랜지스터(TR11)는 턴온되어 직류전원을 바이패스시킨다.
여기서 저항(R12)는 바이패스부 구동회로부(12)의 증폭기(OP11)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저하이고, 콘덴서(C13)는 음성통화로의 음성신호에 따라서 증폭기(OP11)의 공급전원이 바뀌어서 증폭기(OP11)의 출력전류가 변화되어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 전류가 바뀌어도 트랜지스터(TR11)와 저항(R14)에 의한 전류흐름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충반전 회로부(11)의 다이오드(D11)는 다이얼 번호를 출력시키는 동안 저항(R11)을 통하여 콘덴서(C12)가 전하를 방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용이다.
또한 증폭기(OP11)는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때에 가까우므로 콘덴서(C12)의 전하를 거의 방전시키지 않으므로 저전류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TR11)을 턴온시키는데 적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다이얼 펄스를 출력할 때 발생되는 기생펄스를 방지함으로써 다이얼 번호의 에러가 생기지 않게 되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

  1. 다이얼링에 의한 다이얼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이얼 릴레이 스위치(RLL1), (RLL2)와, 전화선로(T), (R)에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 D)와, 다이얼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통화로를 뮤트시키는 뮤트릴레이 스위치(RLM1)와, 음성신호(VS)를 통화로에 매칭시키기 위한 매칭트랜스(TM)로 구성한 전화기의 통화회로에 있어서, 직류전원을 바이패스시키는 직류바이패스부(13)와, 그 직류바이패스부(13)를 통화로가 열릴 때 즉시 동작시키도록 하는 바이패스부 구동회로부(12)와, 상기 바이패스부 구동회로부(12)의 입력을 제어하기 위해 초기에 충전을 하는 충방전 회로부(11)로 구성하여 기생펄스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
KR2019900000879U 1990-01-25 1990-01-25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 KR950002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879U KR950002107Y1 (ko) 1990-01-25 1990-01-25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879U KR950002107Y1 (ko) 1990-01-25 1990-01-25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755U KR910014755U (ko) 1991-08-31
KR950002107Y1 true KR950002107Y1 (ko) 1995-03-24

Family

ID=1929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0879U KR950002107Y1 (ko) 1990-01-25 1990-01-25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1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755U (ko)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3114A (en) Variable delay ringing detector
KR950002233A (ko) 노이즈를 감소하는 출력단을 구비한 집적회로
US4056693A (en) Voltage and current controlled converter for telephone ringing
EP0102111B1 (en) Telephone circuit
US4015091A (en) Telephone ringing generators
KR950002107Y1 (ko) 전화기의 기생펄스 방지회로
US4025729A (en) Telephone ringing control circuits
CA1045215A (en) Automatic disconnect circuit for subscriber carrier telephone system
US4390753A (en) Line interruption arrangement
US4145572A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for subscriber carrier telephone system
US4071879A (en) Reversible current apparatus
FI68132B (fi) Noedanropsanlaeggning
KR960002452Y1 (ko) 키폰전화기의 다이얼펄스 발생회로
FI61978C (fi) Vaeljaranordning speciellt foer en noedtelefonanordning
US5930349A (en) Command signals generator circuit for telephonic fees indicators
US5442695A (en) Ringer circuit
US4002838A (en) Telephone ringing control circuits
EP0051446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ne interface circuits
JPH01245639A (ja) ラストナンバリダイヤルメモリ消去機能付電話機
RU2030117C1 (ru) Телефонное отве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538927Y2 (ja) 電話機装置
KR840001253B1 (ko) 전화기의 신호장치
CA1072694A (en) Electronic tone ringer control circuit for telephone set
GB2126052A (en) Telephone circuit
JP2807259B2 (ja) 電話機用直流特性可変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