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887Y1 - 가스보일러의 연소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의 연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887Y1
KR950001887Y1 KR2019890013433U KR890013433U KR950001887Y1 KR 950001887 Y1 KR950001887 Y1 KR 950001887Y1 KR 2019890013433 U KR2019890013433 U KR 2019890013433U KR 890013433 U KR890013433 U KR 890013433U KR 950001887 Y1 KR950001887 Y1 KR 950001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mbustion
nozzle
gas boiler
ceramic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107U (ko
Inventor
황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90013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887Y1/ko
Publication of KR910006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8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8Arrangements of boiler components on a frame or within a casing to build the fluid heater, e.g.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보일러의 연소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갖는 가스보일러의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종래 가스보일러의 시스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난방수관 2 : 열교환기
3 : 세라믹비너 4 : 가스관
5 : 노즐 6 : 공기홀
7 : 혼합실 8 : 노즐부
9 : 물탱크 10 : 배기닥트
본 고안은 세라믹 버너를 이용하여 연소가 하향식으로 이루어지면서 고온의 연소가스와 난방수가 직접적인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한 가스보일러의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스보일러 시스템은 첨부도면 제2도와 같은 구성으로서 가스밸브(1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는 버너(12)에서 연소가 이루어져 연소실(13)과 열교환기(2)를 지나 연소(14)로서 빠져나가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가스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열교환기(2)내를 관통하고 있는 난방수관(1)을 흐르는 저온의 물을 고온으로 바꾸어 이를 순환시킴에 따라 난방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가스보일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연소방식은 하방의 버너(12)를 통해 연소되는 가스가 상부의 연도(14)로 빠져나가면서 발생하는 연소열로서 열교환기(2)를 가열시켜 주는 상향식 연소방식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상향식 연소장치는 저온의 급수된 물이 난방수관을 지나면서 고온화 됨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가 하방의 버너에 낙하되어 화염상태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연소가스가 열교환기에서 1차 열교환을 이룬 후에는 그대로 연도를 통하여 배출되어져 기기의 효율이 극대화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난방수관에 연결되어 배관내의 팽창압을 흡수하여 주는 팽창탱크가 밀폐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팽창탱크의 부피가 커서 제품의 소형화에 제약을 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의 연소가 하방측으로 이루어지는 하향 방식으로 구성하도록 한 것인 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난방수관(1)이 지나가는 열교환기(2)의 상부로 세라믹버너(3)를 설치함과 함께 그 상부로는 가스관(4)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분사시켜 주는 노즐(5), 분사가스가 운동에너지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홀(6), 공기와 가스가 혼합되는 혼합실(7)이 일체로 형성된 노즐부(8)를 연결 설치하고, 열교환기(2) 하방으로 물탱크(9)내로 배기닥트(10)가 침투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가스관(4)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가 노즐(5)을 통해 혼합실(7)로 분사되며, 이때 분사되는 가스의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노즐(5)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홀(6)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혼합실(7)에서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혼합가스는 하방의 세라믹 버너(3)로 보내져 점화장치를 통하여 세라믹 버너(3)에서 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세라믹 버너(3)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하방의 열교환기(2)를 가열시킴에 따라 난방수관(1)을 흐르는 저온의 급수된 물을 고온으로 바꾸어 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2)에서 1차 열교환을 이루고 하방의 배기닥트(10)를 통해 배출되어 지는 연소가스는 즉시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물탱크(9)내에 충진되어 있는 물로 침투되어 2차 열교환을 이룬 후에 빠져 나가게 됨에 따라 물탱크(9)내의 덥혀진 물은 제1도의 시스템 구성도와 같이 보조열교환기로 보내져 보조적인 열교환 역할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과 같이 가스가 하향식으로 순환 배출될 수 있는 것은 상부의 노즐부(8)로 유입되는 가스압이 물탱크(9)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압력 보다 항상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며, 가스의 소화시에도 배기가스압에 의한 폐가스가 노즐부(8)측으로 작용하는 역풍에 의하여 유동을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이것은 노즐부(8)의 공기홀(6)에 연결되는 공기유입관이 실외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압의 차에 의한 유동의 문제점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가스기기의 버너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연소흐름을 상부의 노즐부의 세라믹버너를 통해 하향 연소가 가능하도록 하고, 연소가스가 물탱크내를 지나면서 폐가스의 열량을 전달하는 2차적인 열교환을 이루도록 함에 따라 기기의 전체적인 효율이 증대되며, 또한 물탱크가 개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난방수의 팽창압을 흡수하는 별도의 팽창탱크가 필요없게 되어 제품의 소형, 경량화를 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열교환기(2)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향 연소하는 세라믹버어너(3)와, 상기 세라믹버어너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라믹 버어너에 혼합가스를 공급해 주는 노즐부(8)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소 폐가스의 열을 물탱크(9)내에 물로 전달하여 주는 배기닥트(10)를 구비하여서된 가스보일러의 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노즐부(8)는 가스를 분사시켜 주는 노즐(5)과, 연소용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홀(6)과, 상기 노즐과 공기홀로부터 유입된 가스와 공기를 혼합시켜 주는 혼합실(7)로 구성된 가스보일러의 연소장치.
KR2019890013433U 1989-09-12 1989-09-12 가스보일러의 연소 장치 KR950001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433U KR950001887Y1 (ko) 1989-09-12 1989-09-12 가스보일러의 연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433U KR950001887Y1 (ko) 1989-09-12 1989-09-12 가스보일러의 연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107U KR910006107U (ko) 1991-04-24
KR950001887Y1 true KR950001887Y1 (ko) 1995-03-17

Family

ID=1928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433U KR950001887Y1 (ko) 1989-09-12 1989-09-12 가스보일러의 연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8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107U (ko) 199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107B2 (en) Cogeneration system
AR011083A1 (es) Una disposicion de turbina de combustion y metodo para operarla.
US4287857A (en) Burner-boiler combination and an improved burner construction therefor
CN101338894A (zh) 低热值燃料双预热蓄热式节能锅炉
CN107606651A (zh) 一种取暖设备及供暖系统
KR950001887Y1 (ko) 가스보일러의 연소 장치
RU21919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огрева газа в трубопроводе
CN101338906A (zh) 低热值燃料双预热蓄热式冷凝节能锅炉
CN108895444A (zh) 一种燃烧器及其点火燃烧控制方法
JP2008202902A (ja) 水素及び酸素混合ガス混焼バーナ
KR20190047193A (ko) 고체 연료 연소장치
CN207247162U (zh) 水冷预混蒸汽发生器
CN208764914U (zh) 一种燃烧器
KR101854568B1 (ko) 고체 연료 연소 시스템
CN107420869A (zh) 一种水冷预混蒸汽发生器
CN215724130U (zh) 一种采用低氮燃烧机的燃气锅炉
JPS5691121A (en) Combusting apparatus
KR200208332Y1 (ko) 열핵반응특성을 이용한 브라운가스 발열장치
KR840001029Y1 (ko) 폐열이용 온풍발생장치를 부착한 보일러
JPS5575114A (en) Combustion device
JP2002048333A (ja) 吸熱路を設けた高温ガス排出装置
RU2315233C2 (ru)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рабочего пара и паросил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способа
KR810002637Y1 (ko)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CN201377785Y (zh) 燃高炉煤气锅炉
KR890000748Y1 (ko) 기름과 물의 혼합연료용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