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641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641B1
KR950001641B1 KR1019910014391A KR910014391A KR950001641B1 KR 950001641 B1 KR950001641 B1 KR 950001641B1 KR 1019910014391 A KR1019910014391 A KR 1019910014391A KR 910014391 A KR910014391 A KR 910014391A KR 950001641 B1 KR950001641 B1 KR 95000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butadiene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393A (ko
Inventor
송수석
길현수
방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양사
김상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양사, 김상응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양사
Priority to KR101991001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641B1/ko
Publication of KR93000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수지와 MBS(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타이렌) 고무를 첨가하여 종래의 수지에 비하여 충격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킨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는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하여 광학용, 전기전자부품용, 자동차 부품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그 자체의 가공성과 내약품성이 좋지 않아서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이와는 달리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각오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전기, 전자부품, 자동차부품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내충격성이 약하여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또한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불렌딩한 내충격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재료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257,037호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를 첨가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 경우 상온에서의 충격강도는 향상되었으나, 저온에서의 충격강도는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고,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와 같은 충격보강제는 높은 각겨을 나타내므로 가격면에서 보다 저렴한 충격보강제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폴리에스테르수지에다 가공성과 충격특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저렴한 ABS 수지와 저온충격 특성이 우수한 MBS 고무를 충격보강제로 첨가하여 열가소성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PC)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70중량%, 폴리에스테르수지 10∼50중량%, ABS 수지 10∼50중량%, MBS 고무 5∼30중량%, 열안정제 0.1∼1.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PC는 전체 수지조성물의 10∼70중량%로 사용하는바,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일때는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향상되지 않고, 70중량%를 초과할때는 가공성이 좋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PC는 점도분자량(점도분자량이란 점도계를 이용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용매로 하는 극한점도[η]를 구하여 H.Schell의 점도식[η]=1.23×10-5M0.83에 의해 얻어짐)이 20,000∼30,000범위의 것을 사용하는바, 그 점도분자량이 20,000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물성이 극히 낮으며, 30,000을 초과할 경우에는 수지의 용융점도가 높아 가공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폴링에스테르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부틸린테레프탈레이트(PBT)로서 전체 수지조성물에 10∼50중량%를 사용하는 바,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일때는 내약품성과 가공성이 좋지 않게 되고, 50중량%를 초과할때는 내열성이 좋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PET는 고유점도가 0.6∼0.8인 것으로, 만일 고유 점도가 0.6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물성이 저하되며, 0.8이상인 경우에는 가공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PBT의 경우는 고유점도가 0.7∼1.2인 것을 사용하며, 만일 고유점도가 0.7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물성이 저하되며, 1.2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지의 유동성이 좋지 않아 혼련압출시 문제가 된다.
또한 내충격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ABS 수지는 전체 수지조성물의 10∼50중량%를 사용한다. ABS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는 가공성의 향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는 기계적물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ABS 수지는 디엔계고무 5∼15중량%, 방향족비닐 화합물 30∼80중량%, 시안화비닐화합물 5∼55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만일, ABS 수지의 조성중에서 상기 범위를 벗어난 조성을 이룰때에는 가공성이나 기게적물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사용되는 디엔계 고무로는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타이렌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공중합체 등을 사용하고, 방향족비닐화합물로는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디메틸스타이렌, 비닐톨루엔 등을 사용하며, 시안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한다.
저온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충격보강제는 전체 수지조성물의 5∼30중량%를 사용한다. 만약 충격보강제를 5중양% 미만 첨가한 경우는 저온 충격특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는 고무입자의 분산성이 좋지않아 가공성과 내열성이 저하된다. 사용된 충격보강제는 MBS 고무로 부타디엔 60∼7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20중량%, 스타이렌 10∼20중량%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이때 MBS 고무의 조성중에서 상기의 범위를 벗어난 조성을 이룰때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안정제는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또는 디스테아릴-펜타에리쓰리톨-디포스파이트를 사용하되 전체 수지조성물에 대해 0.1∼1.0중량% 첨가하는바, 그 사용량이 0.1중량% 미만일때는 열안정성이 불량해지고, 1.0중량%를 초과할 때는 첨가효과가 향상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조성의 성분들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이들 조성을 220∼250℃의 온도에서 용융혼련용 압출기로 혼련압출하여 성형용 펠렛을 제조한다음, 제조된 펠렛을 열풍건조한후 사출기로 물성측정용 시편을 약 260℃에서 사출 성형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새로운 조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종래의 수지조성물에 비해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향상되었을 뿐아니라 내약품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자동차, 전기, 전자제품의 외장재 용도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다음 표 1에 나타난 조성물과 함량에 의하여 220∼250℃의 온도에서 용융혼련용 압출기로 혼련압출하여 성형용 펠렛을 제조한 다음, 제조된 펠렛을 120℃에서 5시간 열풍 건조하여 260℃의 온도에서 사출기로 시편을 성형하여,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6]
다음 표 1에 나타난 조성물과 함량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한 조건으로 성형용 펠렛을 제조한 후 동일한 조건으로 시편을 성형하였다.
각각의 물성은 ASTM 규격에 의거하여, 충격강도는 ASTM D256으로, 인장강도는 ASTM D638로, 또한 열변형온도는 ASTM D648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내약품성 시험은 인장시편을 가솔린과 브레이크 오일에 각각 2주일간 침지시킨후,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강도의 변화율이 10% 이하인 것을 양호, 10∼20%인 것은 보통, 20% 이상인 것은 불량으로 등급을 결정하였다.
상기 표 1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종래의 수지조성물에 비해 상온에서의 충격강도는 10∼20kgfcm/cm정도 향상되었고, 저온에서의 충격강도는 10kgfcm/cm정도가 향상되었으며 내열성을 나타내는 열변형온도는 5∼10℃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6)

  1.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70중량%,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를 10∼50중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수지 10∼5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타이렌고무 5∼30중량%, 열안정제 0.1∼1.0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점도분자량이 20,000∼30,00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고유점도가 0.6∼0.8이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고유점도가 0.7∼1.2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수지는 디엔계고무 5∼15중량%, 방향족비닐화합물 30∼80중량%, 시안화비닐화합물 5∼55중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BS(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타이렌) 고무는 부타디엔 60∼70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20중량%, 스타이렌 10∼20중량%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안정제는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또는 디스테아릴-페ㅌ나에리쓰리톨-디포스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9910014391A 1991-08-21 1991-08-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5000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391A KR950001641B1 (ko) 1991-08-21 1991-08-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391A KR950001641B1 (ko) 1991-08-21 1991-08-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393A KR930004393A (ko) 1993-03-22
KR950001641B1 true KR950001641B1 (ko) 1995-02-27

Family

ID=1931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391A KR950001641B1 (ko) 1991-08-21 1991-08-2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6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173A (ko) * 2016-12-30 2018-07-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0227489B2 (en) 2016-12-30 2019-03-12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20190082006A (ko) * 2017-12-29 2019-07-0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0111778A1 (ko) * 2018-11-29 2020-06-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14072464A (zh) * 2019-06-28 2022-02-18 乐天化学株式会社 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该热塑性树脂组合物的模制品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173A (ko) * 2016-12-30 2018-07-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0227489B2 (en) 2016-12-30 2019-03-12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20190082006A (ko) * 2017-12-29 2019-07-0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0822494B2 (en) 2017-12-29 2020-11-03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WO2020111778A1 (ko) * 2018-11-29 2020-06-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14072464A (zh) * 2019-06-28 2022-02-18 乐天化学株式会社 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该热塑性树脂组合物的模制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393A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335B1 (ko) 내후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A2153328A1 (en) Toughened polyphenylene sulfid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739001A (en) Rubber-modified styrene resin composition
US4661546A (en) High impac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lends
KR95000164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8325443A (ja) 強靱化ブレンド
CN113980447B (zh) 一种阻燃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98990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950001319B1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078837B1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140092471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US5539055A (en) Antistatic nonflammable resin composition
CN102070886A (zh) 一种具有高cti值、高阻燃性的pbt/pc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56185B1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95000890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40312B1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5651385B (zh) 一种具有稳定收缩率的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484721A (zh) 一种耐低温冲击pc/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292510B (zh) Pc-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JP2866535B2 (ja) 導電性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EP0439271A2 (en) Acetal resin composition
KR012304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322028B1 (ko) 스티렌계 블렌드 수지 조성물
KR100440917B1 (ko) 저광택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1284654B1 (ko) 친환경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3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