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384Y1 -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 사용되는 공간유지제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 사용되는 공간유지제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384Y1
KR950001384Y1 KR2019890009340U KR890009340U KR950001384Y1 KR 950001384 Y1 KR950001384 Y1 KR 950001384Y1 KR 2019890009340 U KR2019890009340 U KR 2019890009340U KR 890009340 U KR890009340 U KR 890009340U KR 950001384 Y1 KR950001384 Y1 KR 950001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pace
glass flask
nozzle
mai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9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10U (ko
Inventor
이상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90009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384Y1/ko
Publication of KR910001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2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dispersed on the cell substrate, e.g. spherical particles, micro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 사용되는 공간유지제 분사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참고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장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유리플라스크 11a : 주둥이
12 : 메쉬 13 : 중간탱크
14 : 순환관
본 고안은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에 플리아미드를 증착한 유리기판위에 공간유지체를 분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공간 유지제의 분사장치가 복수단계의 메쉬처리 수단이 본탱크와 노즐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서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작업을 용이하게 되며, 그 품질도 고품위의 것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 공간유지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소자는 일반적으로 그 제작방법이 다음과 같이 이뤄진다.
즉 상, 하 유리기판을 프레온 세척하고, 이 세척된 유리기판에 인듐린 옥사이드(In2O3: Sn)로 증착을 행해 투명전극을 만든다.
상기 투명전극을 프레온으로 세척하고 스핀코터 방식으로 폴리이미드를 800A˚되게 증착을 행한다.
이후, 제1도예와 같이 공간유지제를 상기 폴리아미드가 증착된 유리기판에 분사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 이때의 공간유지제 분사장치는 본탱크(21) 내에 공간유지제와 증류수를 일정한 비율로 채우고, 회전자(22)에 의해 30분정도 섞은 다음 노즐탱크(23)의 노즐로 보내 분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공간유지제가 회전자(22)에 의해 섞임작용이 이루어지더라도 몇 개씩 뭉쳐서 노즐탱크(23) 측의 노즐로 분사되는 것이어서 비교적 대면적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에 그 일정한 공간 유지가 어려웠다.
또, 이러한 까다로움 때문에 작업성이 낮고 제품의 균일성을 보장하기 어려우므로 칼라(Color)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공간유지제등이 섞여 채워진 본탱크와 노즐탱크 사이에는 복수단계의 메쉬구조를 가진 유리 플라스크가 마련된 그 공간유지제 분사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간유지제 분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 내었다.
여기서는 통상의 본탱크(21)로부터 이어진 유출관(24)에는 상관하협의 유리플라스크(11)를 연결하고, 이 유리플라스크(11)의 주둥이(11a)와 연결되는 인접유리 플라스크(11) 부위에는 소정 그물눈으로 되는 메쉬(12)를 설치하며, 반복해서 복수단계 반복된 구성을 취한 후 최후단에는 역시 주둥이(11a)와 장방탱크(13) 측이 만나는 부위에 메쉬(12)를 서치시킨다.
또, 상기 장방탱크(13)의 측방에는 배출관(25)을 통하여 노즐탱크(23)가 연결되고, 이 노즐탱크(23)로부터 본탱크(21)까지 잔류 내용물의 순환관(14)이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그 작용 및 효과가 다음과 같다.
즉, 본탱크(21) 측에서 일정비율로 섞여진 내용물은 회전자(22)에 의해 완전히 섞어질 수 있더라도 이것이 상호 뭉쳐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나, 상기 본탱크(21) 측의 유출관(24)을 통해 유리플라스크(11)의 상광부에서 자연낙하 하는 내용물은 다음 하방의 유리플라스크(11)측 메쉬(12)에 의해 잘 섞여진 내용물만 하방으로 낙하하고, 또 인접의 유리플라스크(11)측 메쉬(12)에 의해 복수단계로 걸러진다.
이후 최종단의 중간탱크(13) 및 배출관(25)을 통해 노즐탱크(23)측으로 제공되어 세밀히 걸려져 중간유지제가 유리기판상에 분사되어지는 것이다.
또, 노즐탱크(23)의 사용이 잠시 중단되어지는 등의 경우에는 순환관(14)을 통햐여 노즐탱크(23) 측의 내용물을 본탱크(21)로 보내므로서 일시 정제현상에 의한 내용물의 뭉침작용을 없앨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공간유지제 분사장치가 상광하협의 복수개 유리플라스크가 메쉬수단과 함께 일렬 배치되어지는 그 분사장치로 되어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중 유리기판상에 공간유지제를 분사하는 작업의 용이화와, 고부가 가치의 대형 액정표시소자에 칼라얼룩이 생길여지가 없게 되며, 상, 하 유리기판상의 부분적인 정전용량의 일정화 및 표시흐림 현상이 제거되는 등 고품위의 액정표시소자를 제공가능케 한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유출관(24) 및 내부의 회전자(22)를 포함한 본탱크(21)와 노즐탱크(23)를 구비한 공간유지제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탱크(21) 측 유출관(24)의 하방에는 유리플라스크(11)을 복수단으로 배열 설치하고, 상기 유리 플라스크(11)의 주둥이(11a)와 만나는 인접된 유리플라스크(11)의 부위에는 소정그물눈 크기의 메쉬(12)를 각기 설치한 다음 중간탱크(13) 및 배출관(25)을 거쳐 본탱크(21)로 순환관(14)이 설치된 노즐탱크(23)로 연결시킨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 사용되는 공간유지제 분사장치.
KR2019890009340U 1989-06-30 1989-06-30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 사용되는 공간유지제 분사장치 KR950001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340U KR950001384Y1 (ko) 1989-06-30 1989-06-30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 사용되는 공간유지제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340U KR950001384Y1 (ko) 1989-06-30 1989-06-30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 사용되는 공간유지제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10U KR910001210U (ko) 1991-01-24
KR950001384Y1 true KR950001384Y1 (ko) 1995-03-03

Family

ID=1928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9340U KR950001384Y1 (ko) 1989-06-30 1989-06-30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 사용되는 공간유지제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3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10U (ko) 199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530118T2 (de) Reinigung von halbleitern unter ultraniedrigen partikelgehaltsbedingungen
CN106024808A (zh)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器件
KR950001384Y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시 사용되는 공간유지제 분사장치
CN104252065A (zh) 一种显示基板及制作方法、显示装置
US2006006172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ripping apparatus
EP000327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Durchbrüchen (Löchern) in Glasplatten, vorzugsweise mit feinsten Strukturen
CN110459690A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喷墨打印的方法
DE3047611C2 (de) Verfahren zur Beschichtung einer eine Umfangsseitenwandung aufweisenden Frontplattenscheibe mit einer Aufschlämmung
KR100551736B1 (ko) 절연성글라스기판의 습식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식각방법
CN106110715A (zh) 一种新型分水罐
JP3558471B2 (ja) 基板塗布装置の薬液供給ノズル待機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5613051A (en) Washing method of sea sand
CN103744232A (zh) 一种液晶滴注装置
CN209998006U (zh) 单层电容器加工过程的清洗装置
JPH02268879A (ja) 洗浄方法
JP2984963B2 (ja) 半導体ウエハ現像方法
KR0136646Y1 (ko) 액정표시소자의 스페이서 산포장치
CN100376986C (zh) 液晶面板及其制造方法
CN218827004U (zh) 槽式湿法刻蚀设备
JPH0794459A (ja) 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50016680A1 (en) Device for etching rinsing and drying substrates in an ultra-clean atmosphere
KR20010017387A (ko) 웨이퍼 세정 장치
JPH01232636A (ja) 蛍光膜形成方法
KR0120285Y1 (ko) 반도체 제조장치
JPS5498631A (en) Substrate orientation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