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963B1 -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 통화 선택회로 - Google Patents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 통화 선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963B1
KR950000963B1 KR1019890010877A KR890010877A KR950000963B1 KR 950000963 B1 KR950000963 B1 KR 950000963B1 KR 1019890010877 A KR1019890010877 A KR 1019890010877A KR 890010877 A KR890010877 A KR 890010877A KR 950000963 B1 KR950000963 B1 KR 95000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unit
mode
analog switching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975A (ko
Inventor
김정희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963B1/ko
Publication of KR91000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 통화 선택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통화 선택회로의 회로도.
제 2 도는 모드 선택시 중앙처리기의 입력단자 상태도.
제 3 도는 모드 선택상태에서 온훅시 중앙처리기의 출력단자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기 2,3 : 음성신호 입,출력단자
4 : 핸드셀 5,8 : 아날로그 스위칭부
6 : 스피커폰 처리부 7 : 마이크
9 : 스피커 10 : 톤발생기
SW1 : 모든 선택스위치 Q1 : 스위칭부
본 발명은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On Hook)시 내선통화 FMF 선택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상태 이전인 호출 받기전에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호출을 받았을 때 호출을 받은 사람은 온훅 상태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내선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통화 선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키폰 전화기에서는 온훅 상태에서 내선 통화 호출을 하였을 때 호출을 받는 사람은 핸드셋을 들어서 통화를 하거나 해당 버튼을 눌러 마이크를 통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통화 방법이 매우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중앙처리기에 모드 전환스위치, 아날로그 스위칭부, 톤발생기 및 트랜지스터 등을 연결시켜 온훅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한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통화 선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핸드 프리모드, 프라이버시 모드, 톤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 스위치(SW1)와, 상기 모드 선택스위치(SW1)의 선택 상태를 감지하여 각 모드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칭부(5)(8), 톤발생기(10), 스위칭부(Q1)의 입출력 제어를 실행하는 중앙처리기와(1)와, 상기 중앙처리기(1)의 제어를 받아 전화선로와 핸드셋(4) 또는 전화선로와 스피커폰 처리부(6)를 연결하는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에 연결되어 송수화를 실행하는 핸드셋(4)과,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와 연결되어 스피커폰 송수화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스피커폰 처리부(6)와, 상기 스피커폰 처리부(6)에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해주는 마이크(7)와, 상기 마이크(7)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중앙처리기(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피커폰 처리부(6)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Q1)와, 상기 중앙처리기(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피커폰 처리부(6)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Q1)와, 상기 중앙처리기(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피커폰 처리부(6)로부터의 입력신호 또는 톤발생기(1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스피커(9)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9)와, 상기 중앙처리기(1)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8)에 입력하는 톤발생기(10)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는 전화선로와 연결되는 출력단자이고, 3은 전화선로와 연결되는 입력단자이며, R1, R2, R3는 풀업저항, B+는 전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통화 선택회로 동작을 상기 제 1 도와 도면 제 2 도 및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드 프리모드(Hands Free Mode)일때 사용자는 모드 선택 스위치(SW1)의 가동단자(D)를 고정단자(A)에 접속시킨다.
여기서, 핸드 프리모드는 핸드셋(4)을 이용하지 않고 마이크(7)와 스피커(9)를 이용해서 통화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모드 선택 스위치(SW1)를 전환시키면, 전항(R1)은 접지되고, 저항(R2,R3)을 통해 전원(B+)이 중앙 처리기(1)의 입력단자(PA1, PA2)에 인가되어 중앙처리기(1)의 입력단자(PA0-PA2)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로우', '하이', '하이'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이때 중앙처리기(1)는 이 신호를 감지하여 핸드 프리모드 상태임을 인식하게 되고, 그 출력단자(PB0-PB5)에서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로우', '하이', '하이', 'X'(X는 하이 또는 로우),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중앙처리기(1)의 출력단자(PB0,PB1)에서 '하이', '로우'신호를 출력하면 이 신호를 제어신호로 제어단자(X, Y)에 입력받은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는 그 입력단자(Ycom)를 출력단자(Y1)에 연결하고, 그 입력단자(X1)를 출력단자(Xcom)에 연결한다.
입력단자(Ycom)는 전화선로와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자(3)에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자(Xcom)는 전화선로와 연결되어 있는 출력단자(2)와 연결되어 상대방으로부터의 신호 입력과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기(1)의 출력단자(PB2-PB4)에서 '로우', '하이', 'X'신호가 출력되면 이 신호를 제어신호로 제어단자(C0-C2)에 입력받은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는 그 입력단자(Am)를 출력단자(ax)에 연결하고, 그 입력단자(Bm)는 출력단자(by)에 연결된다.
또한 중앙처리기(1)의 출력단자(PB5)에서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이 신호를 받은 스위칭부(Q1)가 오프되어 마이크(7)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스피커폰 처리부(6)로 입력 가능한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대방이 내선 호출을 하게 되면 이를 인지한 사용자가 마이크(7)로 응답(음성)신호를 입력하게 되고, 이 마이크(7)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로 스피커폰 처리부(6)를 거쳐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의 입력단자(X1), 출력단자(Xcom), 출력단자(2)를 통해 호출한 상대방에게 전달되고, 상대방에서의 음성신호는 입력단자(3)(Ycom), 출력단자(Y1), 스피커폰 처리부(6),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의 입력단자(Am), 출력단자(ax)를 통해 스피커(9)로 출력되어 들리게 되므로 호출을 받은 사람은 키폰 전화기에서 아무런 동작을 가하지 않고도 온훅상태에서 마이크(7)와 스피커(9)를 이용해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모드 선택 스위치(SW21)의 가동단자(D)를 고정단자(B)에 접속시켜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를 선택하게 되면, 저항(R2)은 접지되고, 저항(R1,R3)을 통해 전원(B+)이 중앙처리기(1)의 입력단자(PA0,PA2)에 인가된다.
여기서 프라이버시 모드는 마이크(7)의 음성신호 입력은 차단하고,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스피커(9)로 듣고, 핸드셋(4)을 이용해서 통화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중앙처리기(1)가 프라이버시 모드를 인식하면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출력단자(PB0-PB5)에서 각각, '하이', '로우', '로우', '하이', 'X'.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는 그 입력단자(Ycom)는 출력단자(Y1)에 연결하고, 그 출력단자(Xcom)는 입력단자(X1)에 연결하며,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는 그 입력단자(Am)를 출력단자(ax)에 연결하고, 입력단자(Bm)는 출력단자(by)에 연결하며, 스위칭부(Q1)가 온되어 마이크(7)로 입력되는 신호가 접지되므로 호출한 상대방에게 마이크(7)를 통한 음성신호의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게된다.
그러므로 이때에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의 입력단자(3, Ycom)와 출력단자(Y1), 스피커폰 처리부(6),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의 입력단자(Am)와 출력단자(ax)를 통해 스피커(9)로 들리게 되고, 호출받은 사람의 음성신호는 마이크(7)를 통해 전달되지 않게되어, 호출을 받은 사람은 호출을 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들을 수만 있게되어,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자 할때는 핸드셋(4)을 들어야만 한다.
핸드셋(4)을 들게되면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의 입력단자(X0)로 된 입력된 음성신호가 출력단자(Xcom)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되고,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의 입력단자(Ycom)와 출력단자(Y0)를 통해 핸드셋(4)으로 전달되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톤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모드 선택스위치(SW1)의 가동 단자(D)를 고정단자(C)로 전환시키면, 저항(R3)은 접지되고, 저항(R1,R2)을 통해 전원(B+)이 중앙처리기(1)의 입력단자(PA0,PA1)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이때 중앙처리기(1)의 입력단자(P10-PA2)에는 각각 '하이', '하이', '로우'신호가 입력되어 중앙처리기(1)는 톤모드임을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톤모드는 상대방의 내선 호출음이 톤신호로 스피커(9)에 출력되는 모드이다.
톤모드일때 중앙처리기(1)는 그 출력단자(PB0-PB5)에서 각각, '하이', '로우', '하이', '로우', 'X',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이 제어신호를 받은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는 입력단자(Ycom)를 출력단자(Y1)에 연결하고, 그 출력단자(Xcom)를 입력단자(X1)에 연결하며,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는 그 입력단자(Am)를 출력단자(ay)에 연결하고, 그 입력단자(Bm)를 출력단자(bx)에 연결하며, 스위칭부(Q1)는 온되어 마이크(7)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접지시키게 되므로 호출을 한 상대방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가 연결됨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신호는 스피커(9)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고, 이때 중앙처리기(1)에서는 톤발생기(10)에서 톤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데이터 출력단자(D0-D6)를 통하여 톤발생기(10)에 톤데이타값을 출력하게 되며, 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톤발생기(10)에서는 해당 톤신호를 발생시키며, 톤발생기(10)에서 발생된 톤신호는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의 입력단자(Bm)와 출력단자(bx)를 통해 스피커(9)를 올리게 되므로 호출을 받은 상태라는 것을 알리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해서는 핸드셋(4)을 들어서 상기한 바와같이 통화하거나, 또는 온훅크 버튼을 눌러서 마이크(7)를 통해 통화를 행할 수 있게 되는데, 온훅크시의 마이크(7) 및 스피커(9)를 통한 통화는 상기한 프리 핸드 모드에서와 동일한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회로에 의하면 온훅상태에서 미리 원하는 통화를 모드 선택에 의해 통화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 키폰 전화기의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기능 및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핸드 프리모드, 프라시버시 모드, 톤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SW1)와, 상기 모드 선택스위치(SW1)의 선택 상태를 감지하여 각 모드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칭부(5(8), 톤발생기(10), 스위칭부(Q1)의 입출력 제어를 실행하는 중앙처리기(1)와, 상기 중앙처리기(1)의 제어를 받아 전화선로와 핸드셋(4), 또는 전화선로와 스피커폰 처리부(6)를 연결하는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와 연결되어 송수화를 실행하는 핸드셋(4)과,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칭부(5)와 연결되어 스피커폰 송수화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스피커폰 처리부(6)와, 상기 스프커폰 처리부(6)에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해주는 마이크(7)와, 상기 마이크(7)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중앙처리기(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피커폰 처리부(6)에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Q1)와, 상기 중앙처리기(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피커폰 처리부(6)로부터의 입력신호 또는 톤발생기(1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스피커(9)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와, 상기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9)와, 상기 중앙처리기(1)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 2 아날로그 스위칭부(8)에 입력하는 톤발생기(10)로 구성된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통화 선택회로.
KR1019890010877A 1989-07-31 1989-07-31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 통화 선택회로 KR95000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877A KR950000963B1 (ko) 1989-07-31 1989-07-31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 통화 선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877A KR950000963B1 (ko) 1989-07-31 1989-07-31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 통화 선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975A KR910003975A (ko) 1991-02-28
KR950000963B1 true KR950000963B1 (ko) 1995-02-06

Family

ID=1928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877A KR950000963B1 (ko) 1989-07-31 1989-07-31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 통화 선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792B1 (ko) * 1996-11-30 1999-10-01 윤종용 사설교환기에 연결되어 전용전화기 기능을 갖는 일반 전화기 및 그 구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975A (ko) 199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2957B1 (en) Low power line selection circuit for a telephone
KR950000963B1 (ko) 키폰 전화기에서 온훅시 내선 통화 선택회로
JPH01180164A (ja) 通信装置
WO2000048382A1 (en) Computer phone
KR920000998B1 (ko) 전화기의 온-훅크 다이얼링 및 대기 음악 송출 제어회로
GB1452254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tone pushbutton selection telephone subscriber set
KR100207819B1 (ko) 난청자용 전화기
JP2615967B2 (ja) 電話機
JP3902166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2654115B2 (ja) 電話装置
JP4290170B2 (ja) ボタン電話装置の回線接続方法
KR940001695B1 (ko) 다기능 전화기의 통화로 제어장치
JPH0342768Y2 (ko)
JP2888665B2 (ja) Isdn端末
JPS6291048A (ja) 電話機
JPS5689159A (en) Speaker switching telephone system
KR20040021934A (ko) 전화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JPH0479457A (ja) 電話機システム
JPH05268299A (ja) 電話機装置
KR900005737A (ko) 아날로그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보이스 서비스 패스 제어방식
KR970014073A (ko) 통화가 가능한 입력장치
KR19980020802A (ko) 무선 호출기의 호출용 음악 송출장치
JPH01129643A (ja) 電話機
KR19990016321A (ko) 핸드셋과 스피커폰 동시 통화 수행 방법
KR19990012724U (ko) 음량표시기능을 갖춘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