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919Y1 - 형광등 케이스 - Google Patents

형광등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919Y1
KR950000919Y1 KR92013775U KR920013775U KR950000919Y1 KR 950000919 Y1 KR950000919 Y1 KR 950000919Y1 KR 92013775 U KR92013775 U KR 92013775U KR 920013775 U KR920013775 U KR 920013775U KR 950000919 Y1 KR950000919 Y1 KR 950000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holder
extension
lamp cas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805U (ko
Inventor
김중학
Original Assignee
김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학 filed Critical 김중학
Priority to KR92013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919Y1/ko
Publication of KR9400038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8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광등 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일부 분리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책상의 책꽃이에 가설한 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형광등의 가설상태를 발췌하여 일부를 단면한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에서 형광등 가설용 홀더를 발췌한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C-C선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벽천정에 가설한 상태의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에서 형광등가설용 홀더를 발췌한 측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설치부를 발췌한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D-D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갑체 11 : 나사공
20 : 프레임 30 : 연장부
31 : 장공 32 : 조정봉
33 : 걸림홈 40 : 홀더
41 : 탄성밴드 42 : 돌기
44 : 브래킷 50 : 조정나사
본 고안은 형광등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형광등의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형광등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형광등 케이스는 일예로써 이 케이스를 책상용 책꽃이에 설치할 경우, 각 책상마다 책꽃이의 길이 및 크기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케이스의 크기를 그때마다 달리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책상의 책꽃이 가설용으로 제작된 케이스는 예컨대 실내의 천정면등에는 설치할 수 없으므로해서, 케이스의 호환성내지는 범용성이 저하되는 불리한 결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케이스는 형광등의 조명각도가 일정한데, 이는 형광등과 형광등 반사갓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형광등의 조명위치를 필요한 방향으로 바꾸어 줄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스를 형광등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하여 서로 대향하는 형광등 설치면의 길이변화에 대응토록 하고, 천정면 설치용 브래킷을 마련하며, 케이스를 회전 가능토록하여 조명각도가 변화되도록 한 형광등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광등에 전원을 인가하고 각종 회로소자 및 전원 콘센트등이 구비된 좌,우 한쌍의 갑체사이에 프레임이 형성되고 형과등이 설치된 통상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갑체의 외주연에 끼워져 이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고 단부에 조절봉이 형성된 한쌍의 연장부와, 서로 대향하는 형광등 설치면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연장부의 조절봉이 끼워져 회전가능한 홀더와를 구비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연장부와 갑체의 일측면에 장공과 나사공을 천공하고, 조절나사를 장공을 통하여 나사공에 체결함으로써 연장부를 갑체에 견고히 고정시켜 주는 다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연장부의 조절봉 외주연에 걸림홈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홀더에는 걸림홈이 끼워지는 돌기와 돌기를 탄압하는 탄성밴드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연장부와 갑체가 소정위치로 회전되어 그 회전된 위치를 고수함에 따라 조명각도가 조절되도록한 다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홀더에 실내의 천정면에 부착가능한 브래킷을 마련하여 케이스를 천정면에 가설가능토록한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중 10은 한쌍의 갑체로써, 내부에 형광등(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전기소자가 내장되고 전면에는 전원콘센트(61)와 ON,OFF스위치(60)등이 마련되며, 배면에는 후술할 연장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공(11)이 천공되어 이에 조정나사(50)가 체결된다.
20은 프레임으로써, 상기 갑체(10)를 소정의 형광등(70)의 길이만큼 좌,우로 배치시키며 상기 갑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준다.
30은 상기 좌,우 한쌍의 갑체(10)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연장부로써, 배면에 상기 갑체(10)의 나사공(11)과 대응토록 장공(31)이 길이방향으로 일정크기만큼 형성되어 있고, 단부에는 후술할 홀더에 끼워지는 조정봉(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정봉(3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홈(33)이 복수개로 연속반복 형성된다.
40은 홀더로써, 상기 연장부(30)의 조정봉(32)이 이의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끼워지고, 상기 조정봉(32)의 걸림홈(33)이 걸리는 돌기(42)와 이 돌기(42)를 조정봉(32)쪽으로 탄압하는 탄성밴드(41)가 배면쪽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40)를 서로 대향하는 형광등 설치면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공 (43)이 측면에 천공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은 상기 프레임(20)과 갑체(10) 및 연장부 (30)가 결합된 본체, 71은 형광등(70)이 반사갓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프레임(20)에 고정배치된 좌,우한쌍의 갑체(10)에 연장부(30)를 끼운다.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형광등 설치면(예컨대 제2도에서와 같이 책상(80)의 책꽃이(81)측면)에 홀더(40)를 이의 나사공(4 3)을 이용하여 나사못으로 고정시킨후, 상기 한쌍의 연장부(30)의 조정봉(32)이 상기 홀더(40)에 끼워지도록 연장부(30)를 갑체(10)로 부터 적절히 조절한 다음 조정나사 (50)를 연장부(30)의 장공(31)을 통하여 갑체(10)의 나사공(11)에 견고히 체결하면, 상기 한쌍의 연장부(30)가 이의 조정봉(32)이 책꽃이(81)에 고정된 홀더(40)에 충분히 결합가능한 상태의 본체(1)로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고정된 연장부(30)의 조정봉(32)을 홀더(40)에 하방으로 부터 밀어 끼우면 홀더(40)의 돌기(42)가 조정봉(32)의 걸림홈(33)에 걸린다음 탄성밴드(41)의 탄압으로 그 걸린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 상태로 본체(1)가 책꽃이(81)에 가설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고 가설되는 본 고안은,책상(80)의 책꽃이(81)크기가 제작회사 마다 각각 틀리기 때문에 상기 책꽃이(81)의 대향하는 측면에 본 고안의 본체(1)를 가설할때, 갑체(10)와 결합되어 있는 연장부(30)를 조정나사(50)를 풀고 적절히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각 책꽃이(81)의 길이만큼 조정한 다음 가설하게 되면, 어느 책꽂이건 호환성있게 가설하여 줄수 있다.
또한, 본체(1)를 전,후로 회전시키면 연장부(30)의 조정봉(32)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걸림홈(33)이 홀더(40)의 돌기(42)로 부터 이탈되면서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는 탄성밴드(41)로 탄압되는 돌기(42)가 걸림홈(33)에서 이탈되고 걸림홈(33)에 걸리고 하는 상태를 반복하는 것이고, 본체(1)의 회전을 멈추면 그 시점에서 돌기(42)가 걸림홈(33)에 걸린상태로 본체(1)가 고정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체(1)를 회전시키면 결과적으로 형광등(70)의 조명각도를 필요한 방향으로 조절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8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본체(1)를 실내의 천정면(9)에 가설하기 위하여 홀더(40)상에 이의 상부로 브래킷(44)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한쌍의 홀더(40)의 브래킷(44)을 천정면(90)에 부착시킨 다음 본체(1)의 조절봉(32)을 홀더(40)에 끼워주면 형광등(70)을 천정면에 가설하여 줄수 있고, 또한 본체(1)를 전,후로 회전시켜 형광등의 조명각도를 조절하여 줄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0도 내지 제11도는 상기 갑체(10)의 ON,OFF스위치(60)와 전원콘센트(6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설치부는 갑체(10)의 내,외를 관통하는 통공(12)과 통공(12)주위의 외주연쪽에 1,2층의 자리(13)(14)가 마련된다. 상기 통공(12)은 상기 ON,OFF스위치(60)나 전원콘센트(61)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고, 상기 자리(13)(14)는 상기 통공(12)을 사용치 않을때 별도의 커버나 제조회사의 마크가 새겨진 판을 부착하여 통공(12)이 가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스는 형광등을 책상의 책꽃이나 실내의 천정면등에 가설하여 줄 수 있고 특히, 책꽃이의 길이가 조금씩 다르더라도 케이스의 길이를 조절하여 줄수 있기 때문에 형광등의 가설이 가능해지고, 형광등의 조명각도가 조절되어 필요한 방향으로 조명을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제공해주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좌,우갑체 사이에 프레임이 형성되고 형광등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갑체(10)의 외주연에 끼워져 이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고 단부에 조절봉(32)이 형성된 한쌍의 연장부(30)와, 서로 대향하는 형광등 설치면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연장부(30)의 조절봉(32)이 끼워져 회전가능한 홀더(40)와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0)와 갑체(10)의 일측면에 장공(31)과 나사공(11)을 천공하고, 조절나사(50)를 장공(31)을 통하여 나사공(11)에 체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0)의 조절봉(32)외주면에 걸림홈(33)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홀더(40)에는 걸림홈(33)이 끼워지는 돌기(42)와 돌기(42)를 탄압하는 탄성밴드(41)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0)에 실내의 천정면에 부착가능한 브래킷(44)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케이스.
KR92013775U 1992-07-25 1992-07-25 형광등 케이스 KR950000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775U KR950000919Y1 (ko) 1992-07-25 1992-07-25 형광등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775U KR950000919Y1 (ko) 1992-07-25 1992-07-25 형광등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805U KR940003805U (ko) 1994-02-21
KR950000919Y1 true KR950000919Y1 (ko) 1995-02-15

Family

ID=1933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775U KR950000919Y1 (ko) 1992-07-25 1992-07-25 형광등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9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805U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343A (en) Multifunctional recessed lighting fixture
KR950000919Y1 (ko) 형광등 케이스
EP3425270A1 (en) Luminaire
JPH055612Y2 (ko)
KR200377519Y1 (ko) 조명등용 커버 고정장치
KR200302083Y1 (ko) 형광등기구의 체결구조
JPS6340207A (ja) 照明器具
KR200182886Y1 (ko) 랙의 형광등 교환 메카니즘
KR100330266B1 (ko) 절첩 및 빛의 투사방향 조절이 가능토록 된 커튼식야광그림 조명 걸이대
KR200264623Y1 (ko) 조명등 본체커버의 착탈장치
KR200211577Y1 (ko) 외곽테를 제거한 형광등 설치구조
KR0121632Y1 (ko) 연속취부형 조명기구
KR200182991Y1 (ko) 절첩 및 빛의 투사방향 조절이 가능토록 된 커튼식야광그림 조명 걸이대
KR200204743Y1 (ko) 형광등용 등기구
KR200314325Y1 (ko) 피엘등 조명기구
KR200197748Y1 (ko) 형광등용 등기구
KR930003476Y1 (ko) 오븐레인지의 고내등 취부 구조
KR200234614Y1 (ko) 조명등
JP3129603B2 (ja) コード吊下照明器具
JP2541631Y2 (ja) スポットライト
KR200308107Y1 (ko) 조명등용 전등갓 고정장치
KR920006641Y1 (ko) 형광등 소켓커버
KR960002600Y1 (ko) 벽걸이용 전등 커버
JP2000123630A (ja) 天井照明器具
CN110657370A (zh) 一种led灯的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