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572B1 -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 - Google Patents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572B1
KR950000572B1 KR1019920017286A KR920017286A KR950000572B1 KR 950000572 B1 KR950000572 B1 KR 950000572B1 KR 1019920017286 A KR1019920017286 A KR 1019920017286A KR 920017286 A KR920017286 A KR 920017286A KR 950000572 B1 KR950000572 B1 KR 950000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ngement data
new song
microprocessor
data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859A (ko
Inventor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인
변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인, 변대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인
Priority to KR101992001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572B1/ko
Publication of KR94000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
제 1 도는 종래 가요반주기의 블록도.
제 2 도는 종래 영상가요반주기의 블록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회선망을 이용한 신곡갱신 가요반주기의 블록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회선망을 이용한 신곡갱신 영상가요반주기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02,104 : 시스템 램, 롬
106 : 키, 리모콘 인터페이스부 108 : 편곡데이타 롬
109 : 음원부 114 : 오디오믹서
110 : 가사슈퍼임포즈회로 301 : 편곡데이타 메모리
302 : 모뎀
본 발명은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뎀을 통해 공중회선망을 이용하여 신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전송받아 갱신할 수 있게 한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용반주기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스템 롬(104) 및 시스템 램(102)을 이용하여 가요반주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0)를 구비하고, 편곡데이타 롬(108)에 반주곡별로 반주데이타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미리 저장시켜두고, 키, 리모콘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선곡키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0)가 편곡데이타 롬(108)으로부터 해당되는 곡을 선곡하여 편곡데이타에 따른 반주데이타를 에프엠(FM) 또는 피씨엠(PCM)방식 음원부(109)에 전송하고, 그 음원부(109)에서 반주데이타에 따른 반주신호가 발생되어 마이크단(116)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마이크 음성신호와 오디오믹서(114)에서 믹싱되어 오디오 출력단(117)에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즉, 가요반주기는 사용자가 키를 이용하여 선곡하면 해당곡의 가요반주가 이루어지고, 이에 맞추어서 마이크를 통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영상가요반주기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요반주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가사자막 표시데이타와 비디오 입력단자(118)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비디오신호를 오버레이시켜 비디오 출력단자(119)에 출력하는 가사슈퍼임포즈회로(1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램(102) 및 시스템 롬(104)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가 수행해야 할 영상가요 반주제어용 프로그램과, 기억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주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편곡데이타 롬(108)에는, 반주데이타와 가사자막 데이타 및 배경화면용 그래픽데이타로 구성된 편곡데이타가 저장된다.
또한, 그 가사자막 데이타에 따른 문자를 모니터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자막문자에 대한 폰트데이타가 필요하게 되며, 그 폰트데이타는 별도의 메모리칩에 저장할 수도 있으나, 통상 상기 시스템 롬(102) 또는 상기 편곡데이타 롬(108)의 일부를 이용하여 자막문자에 대한 폰트데이타를 저장하여 그 영역을 폰트메모리영역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영상가요반주기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가 선곡된 곡의 편곡데이타를 편곡데이타 롬(108)으로부터 읽어들여 이를 시스템 램(104)에 일시 저장하고, 그 시스템 램(104)에 저장된 편곡데이타중 반주곡데이타는 상기 음원부(109)에 전송하여 오디오 처리를 하게 하며, 상기 편곡데이타중 가사자막 데이타 즉, 자막폰트코드에 의거하여 폰트메모리영역으로부터 자막폰트데이타를 읽어서 상기 가사슈터임포즈회로(110)에 전송하게 된다.
즉, 영상가요반주기에서의 반주곡에 대한 오디오 처리와 더불어 가사자막에 대한 폰트데이타를 읽어서 가사슈퍼임포즈회로(110)에 전송하게 되며, 그 가사슈퍼임포즈회로(110)를 통해 외부 비디오신호에 오버레이되어 비디오 출력단자(119)를 통해 모니터에 영상출력된다.
이때, 가사슈퍼임포즈회로(110)는, 외부 비디오신호의 입력이 없을 때에는 배경화면용 그래픽데이타에 의거하여 배경화면을 발생시키고, 그 배경화면에 가사자막을 오버레이시켜 비디오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는, 편곡데이타 롬(108)에 저장되어 있는 반주곡의 곡수가 한정되어 있는데 반해, 사용자는 연령이나 직업 또는 종교등이 아주 다양하여 좋아하는 노래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각각의 취향에 맞출 수 있는 모든 노래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저장시킬 수는 없었다. 이에따라 편곡데이타롬(108)에 저장되어 있는 반주곡 이외의 곡(이하 신곡이라 칭함)에 대한 서비스를 하지 못하므로, 신곡의 추가욕구가 많게 된다.
그러므로, 신곡추가를 위해서 종래에는 상기한 편곡데이타 롬(108)을 신곡이 추가된 새로운 편곡데이타 롬(108)으로 교환해주어야만 신곡에 대한 반주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편곡데이타 롬(108)을 저장되어 있는 반주곡 이외에 신곡들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편곡 데이타 롬(108)을 교환하지 않고, 신곡들의 편곡데이타를 롬팩에 저장하여 그 롬팩을 확장슬롯에 장착시켜 신곡을 갱신할 수 있다.
그렇지만 롬팩을 추가시키는 경우에 롬팩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그 롬팩에 적어도 수십 내지 수백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저장하여 신곡으로 갱신하게 되므로, 롬팩을 수시로 교환할 수 없어서 최신 유행곡에 대한 서비스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같은 종래 가요반주기의 신곡갱신방식에 의하면, 편곡데이타 롬을 교환하거나, 신곡이 추가된 롬팩을 추가 또는 교환해주어야 하므로, 전문적인 지식 또는 숙련된 경험이 있는자가 아니면 쉽게 칩을 교환할 수 없어서 신곡추가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행에 따라 새로운 신곡의 추가가 필요하게 되나, 신고추가가 잦아질수록 번거로움과 비용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인해 유행에 맞추어서 제때에 신곡을 갱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신곡추가에 따른 번거로움 및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시마다 간편하게 신곡을 추가갱신할 수 있게한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에 있어서, 공중회선망을 통하여 신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전송받을 수 있는 모뎀과, 상기 모뎀을 통해 받아들인 신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추가 또는 갱신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편곡데이타 메모리를 포함시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편곡메모리를 모뎀을 통해 수신된 편곡데이타를 자유자재로 쓰고 지울 수 있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용량한계를 극복하고, 수시로 신곡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모뎀을 통해 받아들인 편곡데이타를 시스템 램에 일시 저장한 후 편곡데이타 메모리의 남아있는 영역에 쓰거나 편곡메모리에 기 저장된 일부 편곡데이타를 지우고 그 위에 새로 갱신된 편곡데이타를 쓰도록 제어함으로써, 좀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편곡데이타 메모리를 사용하여 신곡갱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회선망을 이용한 신곡갱신 가요반주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요반주기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와,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100)가 수행해야할 가요반주 제어용 프로그램과, 기억영역을 제공하는 시스템 롬(104) 및 시스템 램(102)과, 반주될 곡을 지정하기 위한 키신호 및 각 제어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에 전달시키는 키인터페이스부(106)와, 소정수의 반주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편곡데이타 롬(108)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편곡데이타 롬(108)으로부터 읽혀진 편곡데이타에 의거하여 반주신호를 발생하는 에프엠(FM) 또는 피씨엠(PCM)방식 음원부(109)와, 그 음원부(109)의 반주신호와 마이크(116)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오디오 출력단(117)에 출력하는 오디오믹서(117)로 구성된 가요반주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를 받아 공중회선망의 연결라인(303)(예 ; 전화라인)을 통하여 신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전송받을 수 있는 모뎀(302)과, 상기 모뎀(302)을 통해 받아들인 신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저장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가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편곡데이타메모리(301)를 포함시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가요반주기는, 선곡키를 입력시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편곡데이타 롬(108)으로부터 해당곡에 대한 반주데이타가 읽혀져서 음원부(109)를 통해 반주음신호가 발생되고, 그 반주음신호와 마이크 입력신호가 오디오믹서(117)에서 믹싱되어 출력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반주음을 들으면서 노래를 부르면서 즐길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선곡 및 반주제어는 앞에서 설명한 기존의 가요반주기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신곡을 추가갱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거하여 모뎀(302)을 신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전송해주는 서비스처의 통신시스템과 접속시킨다.
이어서, 그 편곡데이타 서비스처로부터 공중회선망을 통하여 모뎀(302)에 전송되어온 아날로그 편곡데이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그 모뎀(302)에서 디지탈 편곡데이타로 복조되고, 그 디지탈신호로 복조된 편곡데이타는 시스템 램(102)에 일시 저장된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편곡데이타 메모리(301)의 기록되지 않은 남은 영역에 기록되거나, 그 편곡데이타 메모리(301)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편곡데이타중 필요하지 않는 편곡데이타를 지운후, 남은 영역에 기록된다.
이와같이 편곡데이타 메모리(301)에 공중회선망을 통해 모뎀(302)에서 수신받은 편곡데이타의 기록이 완료되면, 선곡키 입력이 있을때, 그 선곡번호에 따른 편곡데이타를 편곡데이타 롬(108) 및 편곡데이타 메모리(301)에서 찾게 된다. 이어서, 그 찾아진 편곡데이타에 의거하여 반주데이타를 음원부에 전송시켜 반주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반주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마이크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회선망을 이용한 신곡갱신 영상가요반주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가사자막 표시데이타와 비디오 입력단자(118)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비디오신호를 오버레이시켜 비디오출력단자(119)에 출력하는 가사슈퍼임포즈회로(110)가 포함되어 모니터에 배경화면 및 가사자막을 표시케 한 영상가요반주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를 받아 공중회선망의 연결라인(303)(예 ; 전화라인)을 통하여 신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전송받을 수 있는 모뎀(302)과, 상기 모뎀(302)을 통해 받아들인 신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저장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가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편곡데이타 메모리(301)를 포함시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영상가요반주기는, 가요반주기에서와 같이 반주곡에 대한 오디오처리를 함과 아울러 외부 비디오신호 도는 자체 발생시킨 배경화면 그래픽에 가사자막을 오버레이시켜 가사변화를 눈으로 보면서 반주곡에 맞추어서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영상가요반주기에서는 서비스처에서 제공하는 편곡데이타에는 반주데이타에 배경화면 그래픽 및 가사자막 데이타가 더 포함되어 있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00)는 가요반주기의 신곡갱신에서와 마찬가지로 모뎀(302)을 통해 수신받은 편곡데이타를 시스템 램(102)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편곡데이타 메모리(301)에 기록하여 신곡갱신을 하고, 이후, 그 편곡데이타 메모리(301) 및 편곡데이타 롬(108)으로부터 선곡된 곡의 편곡데이타를 찾아서 반주데이타에 따른 오디오 처리를 제어함과 아울러 가사자막 및 배경화면 그래픽에 대한 비디오 처리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에 있어서, 모뎀(302) 및 편곡데이타를 쓰고 지울 수 있는 편곡데이타 메모리(301)를 구비하고, 이에따른 프로그램을 구비함으로써, 신곡을 수시로 제공받아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편곡데이타 메모리(301)로 쓰고 지울 수 있는 메모리를 사용하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기록된 데이타가 손실되지 않는 메모리, 예를들어 이이피롬(EEPROM)이나 플레시 메모리등을 사용하거나, 일반 램등을 사용하고 밧데리 및 밧데리 백-업회로등 이용하여 그 편곡데이타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타가 지워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메모리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에 있어서, 모뎀을 이용하여 유행되는 신곡을 수시로 전송받아 신곡을 갱신할 수 있기 때문에, 유행하는 곡들을 언제든지 쉽게 갱신할 수 있으며, 메모리칩을 교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쉽게 신곡을 갱신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가요반주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가 수행해야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시스템 롬(104)에 공중회선망을 통해 신곡을 전송받아 갱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저장하고, 그 신곡갱신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하여 공중회선망의 연결라인을 통하여 신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전송받을 수 있는 모뎀(302)과, 상기 모뎀(302)을 통해 받아들인 신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저장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가 억세스할 수 잇도록 하는 편곡데이타 메모리(301)를 포함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곡데이타 메모리(30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모뎀을 통해 전송받은 반주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쓰고, 지울 수 있되, 메인전원이 오프되어도 기록된 데이타가 지워지지 않도록 하는 백-업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3. 영상가요반주기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0)가 수행해야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시스템 롬(104)에 공중회선망을 통해 신곡을 전송받아 갱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저장하고, 그 신곡갱신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하여 공중회선망의 연결라인을 통하여 신곡에 대한 반주데이타, 가사자막 및 배경영상용 그래픽 데이타가 포함된 영상가요 편곡데이타를 전송받을 수 있는 모뎀(302)과, 상기 모뎀(302)을 통해 받아들인 신곡에 대한 영상가요 편곡데이타를 저장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0)가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편곡데이타 메모리(301)를 포함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영상가요반주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곡데이타 메모리(30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의 제어에 의해 모뎀을 통해 전송받은 반주곡에 대한 편곡데이타를 쓰고, 지울 수 있되, 메인전원이 오프되어도 기록된 데이타가 지워지지 않도록 하는 백-업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영상가요반주기.
KR1019920017286A 1992-09-22 1992-09-22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 KR950000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286A KR950000572B1 (ko) 1992-09-22 1992-09-22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286A KR950000572B1 (ko) 1992-09-22 1992-09-22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859A KR940007859A (ko) 1994-04-28
KR950000572B1 true KR950000572B1 (ko) 1995-01-24

Family

ID=1933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286A KR950000572B1 (ko) 1992-09-22 1992-09-22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28522A1 (fr) * 1998-11-11 2000-05-18 Video System Co., Ltd. Ensemble microphone portable pour karaoke, et machine a chanter associ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859A (ko) 199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6941A (en) Combined television receiver/tape recorder/calculator
EP22420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text display function, and data acquisition method
MY117800A (en) Video editing scheme using icons directly obtained from coded video data.
DK0786126T3 (da) Metode og system til distribution og valg af audio- eller video-informationer
JPH0937218A (ja) セレクタ
KR950000572B1 (ko) 공중회선망을 통한 신곡갱신이 가능한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
KR950004552B1 (ko) 가요반주기 및 영상가요반주기의 신곡갱신장치
JP2002116774A (ja) カラオケ装置
US6278900B1 (en) Audio stor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4219228B2 (ja) 電子楽器
KR970004288B1 (ko) 영상가요반주기의 중국어 폰트 처리방식
US20090178545A1 (en) Overdubbing device
JP2002245033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同装置の文字列表示方法
JP2003288090A (ja) 選曲装置及び選曲システム
JP3327720B2 (ja) カラオケ端末装置およびカラオケ通信システム
JPH0389639A (ja) 表示機能付き選択呼出受信装置
KR960007956B1 (ko) 디지탈 녹음장치에 있어서 예약방법 및 시스템
KR100914834B1 (ko) 시청자 주요 일정 또는 이벤트의 자동 안내 장치
KR0156192B1 (ko)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녹화재생장치 및 방법
KR950006418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영상가요반주 시스템
JPH05188980A (ja) 電子音楽再生装置
KR950008119B1 (ko)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영상가요 반주데이타 수신방법 및 회로
KR930012201B1 (ko) 복합오디오/비디오시스템의 전화번호입력 및 표시장치
JPH09244842A (ja) 楽音再生装置
KR970068534A (ko) 바이오리듬에 따른 화질/음질변경장치(apparatus for alteration of sound/video signal level according to bio-rhythm in tele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