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23419A - 모듈화된 안락의자 및 그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안락의자 및 그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23419A
KR940023419A KR1019940007388A KR19940007388A KR940023419A KR 940023419 A KR940023419 A KR 940023419A KR 1019940007388 A KR1019940007388 A KR 1019940007388A KR 19940007388 A KR19940007388 A KR 19940007388A KR 940023419 A KR940023419 A KR 94002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drive rod
armchair
sheet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릭 라포인트 래리
아아르 소울 조나단
조오지프 코모토우스키 카알
Original Assignee
차알즈 티이 크내부쉬
레이-지-보이 체어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알즈 티이 크내부쉬, 레이-지-보이 체어 캄파니 filed Critical 차알즈 티이 크내부쉬
Publication of KR94002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 A47C1/034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characterised by foot-rests actuated by lazy-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47C1/03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actuated by linkages, e.g. lazy-tongs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47C1/035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7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urved rocking members between seat and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Abstract

본 발명은 안락의자 및 그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모화된 안락의자는 시스템의 복잡성과 중량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착석자에게 개선된 안락감을 제공하는 단순화된 작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는 미리 조립된 작동기구가 모화된 프레임요소들로 부터 일체로 서스팬드되게 되고 그와 연동하게끔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모듈화된 안락의자 및 그의 조립방법(Modular reclining chair and method)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A도 내지 제1D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되고 조립된 모듈화된 요소들을 포함하는 안락의자를 여러작동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개량된 작동기구와의 일체화된 관계 및 상호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프레임요소들로 부터 외장,스프링 및 기타부품들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된 제1도에 도시된 형식의 안락의자의 분해사시도.

Claims (72)

  1. 안락의자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교차레일부재들과 서로 연결가능한 측프레임부재들을 갖는 의자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작동기구로 부터 서스팬드시키는 단계와, 상기 작동기구를 상기 측프레임주재들사이에서 서스팬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교차레일부재들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들과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시이트와 시이트등받이를 서로 피벗연결시키는 단계와, 서로 연결된 상기 시이트와 시이트등받이를 경사위치이동을 위해 상기 의자프레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위치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시이트의 길이방향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시이트를 상기 작동기구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서스팬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작동기구와 연동하는 지지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수단에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는 세트로된 정렬가능한 제1안내구멍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수단은 제1샤프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제1샤프트의 양단을 상기 제1안내구멍들내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서스팬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작동기구를 서스팬드시키는 단계에 앞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를 서스팬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작동기구를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측프레임부재들과 연동하는 정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기구를 상기 정렬수단과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는 제1 및 제2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측프레임부재에 세트로 형성된 제1 보어들 및 제2보어들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기구를 정렬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양단을 상기 제1보어들내에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샤프트의 양단을 상기 제2보어들내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는 세트로된 안내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서스팬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샤프트의 양단을 상기 안내구멍들내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서스팬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형성된 제1보어들내에 제1샤프트의 양단을 삽입시키기에 앞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는 하측교차편, 그 하측교차편으로 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부편을 가지는 비목재의 전방프레임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단부편들은 그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브라켓편, 상기 안내구멍들, 그리고 장착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는 체결구를 상기 장착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측프레임부재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가 상기 의자프레임의 전방부에서 상측교차편으로서 작용할 수 있게 상기 전방프레임레일을 상기 제1 샤프트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조립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외장처리된 트림패널을 상기 전방프레임레일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차레일부재는 교차편과, 양단에 형성되고 장착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한쌍의 각진 브라켓들을 구비하는 비목재의 후방프레임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교차레일부재를 연결시키는 단계는 체결구를 상기 장착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측프레임부재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외장처리된 트림패널을 상기 후방프레임레일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를 상기 시이트등받이에 피벗연결시키기 위한 수윙링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를 상기 측프레이부재들사이에서 서스팬드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스윙링크수단이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이동을 직립위치와 경사위치사이에서 상기 의자프레임에 대해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상기 측프레임 부재들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를 연결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프레임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정렬시킬 수 있게 상기 측프레임부재들과 연동하는 제2정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상기 제2정렬수단에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렬수단은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제3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정렬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상기 제3보어들에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위치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1샤프트에 대한 상기 시이트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제한하기 위한 안내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의 프레임부를 상기 안내수단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들 중 하나는 구동로드이고, 다른 하는 지지샤프트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구동로드의 선택된 회전에 응답하여 다리안착조립체를 수축위치와 신장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지지샤프트와 구동로드에 작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안착조립체는 상기 구동로드가 제1위치로 회전하게 될 때 상기 다리안착조립체를 상기 수축위치에 보유시키고 상기 구동로드가 제2위치로 회전하게 될 때 상기 다리안착조립체를 상기 신장위치에 보유시키기 위한 링크수단과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링크수단과 가압수단을 구동로드와 지지샤프트가의자 프레임내에 설치되기에 앞서 그 구동로드와 지지샤프트에 조립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고정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베이스에 대한 상기 의자프레임의 흔들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의자프레임을 상기 고정베이스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프레임을 경사위치에 해제가능하게 록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의자프레임사이에 록킹수단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을 상기 의자프레임에 연결시키기에 앞서 외장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의자프레임에 대한 연결에 이어 외장처리된 트림패널들을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재들에 장착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를 상기 시이트등받이에 피벗연결시키기 위한 스윙링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를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사이에서 서스팬드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스윙링크수단이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이동을 직립위치와 경사위치사이에서 상기 의자프레임에 대해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24. 안락의자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동기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기구로 부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서스팬드시키는 단계와, 상기 작동기구를 한쌍의 측프레임부재들사이에 서스팬드시키는 단계와, 내부에 상기 작동기구와 작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의자프레임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교차레일부재들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들과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시이트, 시이트등받이, 그리고 그 시이트와 시이트등받이를 피벗연결시키기 위한 스윙링크수단을 구비하는 시이트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를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사이에서 서스팬드시킬 수 있도록 그리고 착석자가 상기 시이트등받이에 가하는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윙링크수단이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이동을 직립위치와 경사위치사이에서 상기 의자프레임에 대해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위치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시이트의 길이방향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시이트를 작동기구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서스팬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작동기구와 연동하는 지지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수단에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는 세트로된 정렬가능한 제1안내구멍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제1샤프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샤프트의 양단을 상기 제1안내구멍들내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각의자의 조립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는 서스팬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작동기구를 서스팬드시키는 단계에 앞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는 제2샤프트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구를 서스팬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사이에 상기 제1샤프트를 지지시키도록 상기 측프레임부재내에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제1보어들내에 상기 제1샤프트의 양단을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사이에 상기 제2샤프트를 지지시키도록 상기 측프레임부재내에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제2보어들내에 상기 제2샤프트의 양단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링크수단과 상기 시이트를 연결시키는 단게는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제3보어들에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위치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1샤프트에 대한 상기 시이트의 전,후이동을 안내하고 제한하기 위한 안내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의 프레임부를 상기 안내수단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의 제1샤프트는 전방지지샤프트이고, 상기 제2샤프트는 구동로드이며, 상기 구동로드 및 상기 지지샤프트는 그의 양단이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상기 제1 및 제2보어들내로 미끄럼삽입될 수 있게 예정된 공간배열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구동로드는 정렬가능한 상기 제2보어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구동로드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제1보어들내에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부재를 상기 지지샤프트에 회전할 수 없게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다리안착조립체를 상기 구동로드의 선택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수축위치와 연장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위치이동과 무관하게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작동기구의 전방지지샤프트와 구동로드에 작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안착조립체는 다리안착용 프레임판과, 상기 구동로드의 선택적인 회전시상기 다리안착용 프레임판을 상기 수축위치와 신장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지지샤프트로부터 저어널 방식으로 서스팬드되어 있고 상기 구동로드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신축자재 링크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는 상기 구동로드에 결합된 오버센터링크와, 상기 구동로드가 제1위취로 회전하게 될 때 상기 다리안착조립체를 상기 수축위치에 가압보유시키고 상기 구동로드가 제2위치로 회전하게 될 때 상기 다리안착조립체를 상기 신장위치에 가압보유시키도록 상기 오버센터 링크와 상호작용하는 스프링수단과, 착석자가 상기 구동로드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고정베이스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상기 경사위치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대한 상기 강성 의자프레임의 흔들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의자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의자프레임을 후방경사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록킹시키록 구동로드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흔들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작동하는 록킹수단을 상기 베이스조립체와 상기 의자프레임사이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을 상기 강성 의자프레임에 연결시키기에 앞서 외장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의자프레임에 대한 연결에 이어 외장처리된 트림패널들을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재들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1교차레일부재들은 비목재로 된 프레임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39. 제24항에 있어서, 고정베이스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상기 경사위치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대한 상기 의자프레임의 흔들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의자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 착석자가 상기 의자프레임을 후방 경사위치에 해제가능하게 록킹시킬 수 있게하고 구동로드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때 상기 흔들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작동하는 록킹수단을 상기 베이스조립체와 상기 의자프레임사이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41. 안락의자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샤프트를 갖는 작동기구를 제공하는 단계와, 전방 및 후방 교차프레임부재들에 연결가능한 측프레임부재들을 갖는 의자프레임을 구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전방교차레일부재를 상기 제1샤프트로 부터 서스팬드시키도록 상기 전방교차레일부재에 세트로 형성된 안내구멍들내에 상기 제1 샤프트의 양단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사이에서 상기 제1 샤프트를 서스팬드시키도록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제1보어들내에 상기 제1샤프트의 양단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사이에서 상기 제2샤프트를 서스팬드시키도록 상기 측프레임들에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제2보어들내에 상기 제2샤프트의 양단을 삽입하는 단게와, 내부에 상기 작동기구가 서스팬드되게 되어 있는 의자프레임을 구성하도록 상기 전방 및 후방 교차프레임부재들을 상기 측프레임들사이에서 연결시키는 단계와, 시이트등받이와, 시이트부재와, 착석자가 상기 시이트등받이에 가하는 압력에 응답하여 시이트부재와 시이트등받이간의 경사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시이트부재와 시이트등받이간을 피벗연결시키는 스윙링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제 3 보어들에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의자프레임에 대한 상기 시이트부재의 길이방향 전,후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시이트부재에 전후이동의 한계를 정할 수 있게 상기 제1샤프트와 연동하는 안내수단에 상기 시이트부재를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등받이와 시이트부재가 직립위치와 경사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게 상기 시이트등받이를 상기 스윙링크수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의 제1샤프트는 전방지지샤프트이고, 상기 제2샤프트는 구동로드이며, 상기 구동로드 및 상기 지지샤프트는 그이 양단이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상기 제1 및 제2보어들내로 미끄럼삽입될 수 있게 예정된 공간배열을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구동로드는 정렬 가능한 상기 제2보어들내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구동로드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제1보어들내에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샤프트의 회전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지지샤프트를 상기 전방교차레일부재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의 선택된 회전에 응답하여 수축위치와 신장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다리안착조립체를 상기 지지샤프트와 구동로드사이에 작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안착조립체는 다리안착용 프레임판과, 상기 구동로드의 선택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다리안착용 프레임판을 상기 수축위치와 신장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전방지지 샤프트로 부터 저어널방식으로 서스팬드되어 있고 상기 구동로드에 구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신축자재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46. 제42항에 있어서, 고정베이스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상기 경사위치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대한 상기 의자프레임의 흔들운동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의자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의자프레임을 후방경사위치에 해제가능하게 록킹시키기 위한 제1모드와 상기 흔들운동을 가능하게 제2모드사이에서 이동하면서 그 모드로 작동가능한 록킹기구를 상기 베이스조립체와 의자프레이사이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48. 안락의자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동로드와, 지지샤프트와, 상기 구동로드와 지지샤프트를 예정된 배열로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수단과, 상기 구동로드의 선택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수축위치와 신장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지지샤프트에 저어널방식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구동로드에 구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신축자재 링크와, 상기 지지샤프트의 양단이 연장되어 있는 슬롯수단을 가지는 한쌍의 슬라이드브라켓을 포함할수 있게 기계적인 작동기구를 조립하는 단계와, 내부에 최소한 3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보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측패널을 가지고 있는 한쌍의 측프레임부재들을 제어하는 단계와,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안내슬롯들을 가지고 있는 전방교차프레임부재와 후방교차프레임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전방교차프레임부재를 상기 지지샤프트로 부터 서스팬드시키도록 상기 지지샤프트의 양단을 상기 안내슬롯내에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구동로드를 상기 측프레임부재사이에 저어널방식으로 서스팬드시키도록 상기 구동로드의 양단을 상기 제1보어들내에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작동기구가 일체로 서스팬드되어 있는 강성의 의자본체를 구성하도록 상기 교차프레임부재들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의 전, 후방부사이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시이트와, 시이트등받이와, 착석자가 상기 시이트등받이에 가하는 압력에 응답하여 시이트와 시이트등받이를 상기 의자본체에 대해 직립위치와 경사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서로 피벗연결시키기 위한 스윙링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를 상기 측프레임부재들로부터 서스팬드시키도록 상기 스윙링수단을 측프레임수단부재들에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위치이동중에 상기 시이트의 길이방향을 안내하고 제한하도록 상기 슬롯수단이 상기 지지샤프트와 접촉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드브라켓들을 상기 시이트에 연결시키는 단계와, 다리안착용 프레임부재를 상기 수축위치 및 신장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한쌍의 신축자재 링크들에 정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신축자재 링크들을 수측위치 및 신장위치사이에서 구동시킬수 있게 착석자가 상기 구동로드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있게 하도록 수동조작가능한 수단을 상기 구동로드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제조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자재 링크들을 상기 구동로드의 회전시 수축위치와 신장위치사이에서 가압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로드와 의자본체사이에서 스프링식 오버센서 링크기구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50. 제48항에 있어서, 사익 고정베이스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상기 경사위치이동과 무관하게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대한 상기 의자본체의 흔들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강성의 의자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착석자가 다수의 후방경사위치들중 하나에 상기 의자본체를 해제가능하게 록킹시킬수 있게 록킹기구를 상기 베이스조립체와 의자본체사이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교차프레임들에 외장처리된 트램패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교차프레임들은 압형된 금속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의 조립방법.
  54. 안락의자에 있어서, 한쌍의 측프레임부재들사이에 서스팬드되어 있는 작동기구와, 상기 작동기구로 부터 서스팬드되어 있고 상기 측프레임부재의 전방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방교차레이부재와, 내부에 상기 작동기구가 작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의자프레임을 구성하도록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의 후방부에 연결된 후방 교차레일부재와, 시이트, 시이트등받이, 그리고 그 시이트등받이와 시이트를 피벗연결시키기 위한 스윙링크수단을 갖는 시이트조립체와, 착석자가 상기 시이트등받이에 가하는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시이트조립체를 상기 의자프레임에 대해 직립위치와 경사위치사이에서 경사위치이동시킬 수 있게 작동 가능한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연결시키는 수단과,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위치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시이트의 길이방향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시이트를 상기 작동기구에 연결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교차레일부재들은 비목재로 된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는 지지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교차레일부재는 상기 지지샤프트의 양단을 수용할 수 있게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안내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교차레일부재는 하측교차편과, 그 하측교차편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부편들을 갖는 금속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부편은 상기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횡브라켓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브라켓편은 각각 전방교차레일부재를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기구들을 삽입할 수 있는 세트로된 장착구멍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레일부재는 상기 하측교차편으로 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샤프트의 중앙부에 고정될 수 있게 세트로 된 제2장착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중앙편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교차레일부재는 외장처리된 트림패널을 고정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60.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교차레일부재는 채널형교차편과, 그 채널교차편의 양단에 형성된 횡브라켓편들을 가지는 금속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편은 각각 상기 후방교차레일부재를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들을 삽일할 수 있는 세트로 된 장착구멍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교차레이부재는 외장처리된 트림패널을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안락의자.
  62.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는 구동로드이며, 상기 구동로드 및 상기 지지샤프트는 그의 양단이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제1 및 제2보어들내로 미끄럼삽입될 수 있게 예정된 공간배열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구동로드는 정렬가능한 상기 제2보어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구동회로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제1보어들내에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의 선택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수축위치와 연장위치사이에서 상기 시이트조립체에 경사위치이동과 무관하게 이동할 있게 상기 작동기구의 전방지지샤프트와 구동로드에 지지되는 다리안착조립체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다리안착조립체는 다리안착용 프레임판과, 상기 구동로드의 선택적인 회전시 상기 라이안착용 프레임판을 상기 수축위치와 신장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지지샤프트로부터 저어널 방식으로 서스팬드되어 있고 상기 구동로드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신축자재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는 상기 구동로드에 결합된 오버센터링크와, 상기 구동로드가 제1위치로 회전하게 될 때 상기 다리안착조립체를 상기 수축위치에 가압보유시키고 상기 구동로드가 제2위치로 회전하게 될때 다리안착조립체를 상기 신장위치에 가압보유시키도록 상기 오버센터 링크와 상호작용하는 스프링수단과, 착석자가 상기 구동로드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조립체의 경사위치이동과 무관하게 강성의 의자프레임의 상대적인 흔들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의자프레임에 연결된 고정베이스조립체와, 상기 구동로드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때 상기 의자프레임을 후방경사위치에 해제가능하게 록킹시키고 구동로드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 상기 흔들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베이스조립체와 상기 의자프레임사이에 제공된 록킹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66. 안락의자에 있어서, 제1 및 제2샤프트들을 가지고 있는 작동기구와, 압형된 금속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 전방 및 후방교차프레임부재들에 연결가능한 측프레임부재들을 가지고 있는 의자프레임과, 시이트등받이, 시이트부재, 그리고 그 시이트부재와 시이트등받이를 착석자가 상기 시이트등받이에 가하는 압력에 응답하여 경사위치이동할 수 있게 피벗연결시키기 위한 스윙링크수단을 가지고 있는 시이트조립체와, 상기 스윙링크수단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연결시키는 수단과, 상기 의자프레임에 대한 상기 시이트부재의 길이 방향 전,후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그 시이트부재의 전,후이동의 한계를 정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와 연동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시이트등받이와 시이트부재를 직립위치와 경사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시이트등받이를 상기 스윙링크수단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차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샤프트의 양단을 수용하도록 세트로 형성된 정렬가능한 안내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교차레일부재는 하측교차편과, 그 하측교차편으로 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부편들을 갖는 금속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부편은 상기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횡브라켓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브라켓편은 각각 상기 전방교차레일부재들을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들을 삽입 할 수 있는 세트로 된 장착구멍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교차레일부재는 상기 하측교차편으로 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샤프트의 중앙부에 고정될 수 있게 세트로 된 제2장착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중앙편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교차레일부재는 외장처리된 트림패널을 고정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71.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교차레일부재는 채널형교차편과, 그 채널형교차편의 양단에 형성된 횡브라켓편들을 가지는 금속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편은 각각 상기 후방교차레일부재를 상기 측프레임부재들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들을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교차레일부재는 외장처리된 트림패널을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07388A 1993-04-09 1994-04-08 모듈화된 안락의자 및 그의 조립방법 KR9400234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40,004 US5292170A (en) 1991-08-06 1993-04-09 Recliner assist apparatus
US8/040,005 1993-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419A true KR940023419A (ko) 1994-11-17

Family

ID=2190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388A KR940023419A (ko) 1993-04-09 1994-04-08 모듈화된 안락의자 및 그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292170A (ko)
EP (1) EP0619966B1 (ko)
JP (1) JP2620038B2 (ko)
KR (1) KR940023419A (ko)
AT (1) ATE142858T1 (ko)
CA (1) CA2109735A1 (ko)
DE (1) DE69304890T2 (ko)
NZ (1) NZ250323A (ko)
TW (1) TW2977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8276A1 (en) * 2007-03-23 2008-10-02 La-Z-Boy Incorporarted Furniture frame with interlocking joints for use with multiple furniture members and mechanis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0927A (en) * 1991-10-11 1996-11-05 La-Z-Boy Chair Company Modular wall proximity reclining chair
AU3569997A (en) * 1996-06-14 1998-01-07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hree-way reclining furniture item
US5992930A (en) * 1997-05-13 1999-11-30 La-Z-Boy Incorporated Wall proximity reclining chair
US6409262B1 (en) 1997-05-13 2002-06-25 La-Z-Boy Incorporated All-linkage reclining chair with improved tensioning mechanism
US6367873B1 (en) 1999-06-04 2002-04-09 Nemschoff Chairs, Inc. Extensible seating article and mechanism
US6733071B2 (en) 2002-06-26 2004-05-11 Hickory Springs Manufacturing Company Self-locking rocker recliner chair
US6988769B2 (en) * 2004-05-20 2006-01-24 La-Z-Boy Incorporated Spring toggle furniture mechanism
US7357450B2 (en) * 2005-04-27 2008-04-15 M & M Frame Co., Inc. Wall-avoiding high leg recliner chair
US7445279B2 (en) * 2006-11-13 2008-11-04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Pivot-over-arm reclining mechanism for a seating unit
US7850232B2 (en) * 2007-03-09 2010-12-14 Ashley Furniture Industries, Inc. Zero clearance recliner mechanism
US7874620B2 (en) * 2008-04-04 2011-01-25 Herman Miller, Inc. Health care chair
US8152232B2 (en) * 2008-09-05 2012-04-10 P.I. Inc. Handle for motion activated furniture
US9044095B2 (en) * 2008-09-05 2015-06-02 P.I., Inc. Activation device for motion activated furniture
US20100078981A1 (en) * 2008-09-30 2010-04-01 Cook Dennis L Chair with lift assist apparatus
TW201040433A (en) 2009-05-14 2010-11-16 Young Lighting Technology Corp Illumination apparatus
KR200458121Y1 (ko) * 2010-02-01 2012-01-20 (주) 엑토 안락의자
US20120256468A1 (en) * 2011-04-11 2012-10-11 Benny Mack Owens Flexible Pull Strap Recliner Mechanism Release System
US8608240B2 (en) 2011-09-09 2013-12-17 La-Z-Boy Incorporated Mechanism and chair for powered combined and independent seat back and leg rest motion
JP5998883B2 (ja) * 2012-05-28 2016-09-2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9113712B2 (en) 2012-09-12 2015-08-25 Klaussner Furniture Indust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a recliner from manual actuation to powered actuation
US11304528B2 (en) 2012-09-20 2022-04-19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D697726S1 (en) 2012-09-20 2014-01-21 Steelcase Inc. Chair
GB2515545B (en) * 2013-06-27 2016-01-13 Wan Yu Li A chair having a foldable leg rest
US9173492B1 (en) * 2014-06-06 2015-11-03 Jacques Fortin Self-reclining chair
USD846326S1 (en) 2017-08-07 2019-04-23 Shanghai Industries Group, Ltd. Pull strap for a reclining seat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706A (en) * 1903-02-24 1903-12-01 August Kern Barber Supply Company Barber-chair.
US1048306A (en) * 1912-06-25 1912-12-24 Traverse City Chair Company Morris chair.
US2588574A (en) * 1945-11-23 1952-03-11 Donato R Rizzolo Chair convertible to a table
US2677412A (en) * 1947-12-03 1954-05-04 Joseph R Thomas Reclining chair
US2919745A (en) * 1957-03-20 1960-01-05 Anton Lorenz Reclining chairs
US2918110A (en) * 1957-03-27 1959-12-22 Anton Lorenz Reclining chairs
US2918111A (en) * 1957-05-03 1959-12-22 Anton Lorenz Reclining chairs
US3014758A (en) * 1958-06-06 1961-12-26 Anton Lorenz Leg-rest control for multiple-position reclining chair
US3033611A (en) * 1959-08-11 1962-05-08 Anton Lorenz Leg-rest actuating means for multipleposition reclining chairs
US3096121A (en) * 1961-07-21 1963-07-02 La Z Boy Chair Co Reclining platform rocking chair
US3099487A (en) * 1962-05-21 1963-07-30 La Z Boy Chair Co Leg rest fixture and supplemental holding mechanism
US3400975A (en) * 1967-02-01 1968-09-10 Royal Dev Co Footrest and associated linkage for chair
US3537747A (en) * 1968-07-31 1970-11-03 Mohasco Ind Inc Rocking and reclining chair
US3567280A (en) * 1968-10-16 1971-03-02 Jamestown Lounge Co Recliner chair or similar article of furniture
US3758151A (en) * 1972-02-01 1973-09-11 Dual Manuf And Eng Inc Reclining chair
US3869169A (en) * 1973-06-28 1975-03-04 Pontiac Furniture Ind Retractable footrest mechanism
US3869170A (en) * 1973-06-28 1975-03-04 Pontiac Furniture Ind Locking mechanism for reclining chairs
US3869172A (en) * 1973-06-28 1975-03-04 Pontiac Furniture Ind Chair reclining mechanism
US4071275A (en) * 1976-03-22 1978-01-31 Royal Development Company, Inc. Recliner chair with wall avoiding action
US4072342A (en) * 1976-04-20 1978-02-07 Pontiac Furniture Industries, Inc. Recliner chair
US4179157A (en) * 1978-05-08 1979-12-18 La-Z-Boy Chair Company Wall reclining rocking chair
US4226469A (en) * 1979-01-23 1980-10-07 Royal Development Company, Inc. Recliner chair with wall-avoiding action
US4291913A (en) * 1979-10-09 1981-09-29 Mohasco, Corp. Manually-operated reclining chairs
US4364603A (en) * 1979-11-02 1982-12-21 Pontiac Furniture, Inc. Reclining chair
US4332417A (en) * 1979-12-06 1982-06-01 Hoover Universal, Inc. Reclining actuator for a recliner chair
US4346933A (en) * 1980-05-06 1982-08-31 Hoover Universal, Inc. Reclining actuator for a recliner chair
US4367895A (en) * 1980-05-29 1983-01-11 La-Z-Boy Chair Company Reclinable chair
US4350387A (en) * 1980-10-22 1982-09-21 Parma Corporation Reclining chair with improved actuation
US4423903A (en) * 1981-04-30 1984-01-03 Gerth William V Handle operated incliner chair
US4494793A (en) * 1982-09-17 1985-01-22 Parma Corporation Trigger release mechanism for reclining chair
US4506926A (en) * 1983-04-04 1985-03-26 Peoploungers, Inc. Reclining chair with push-button actuator mechanism
US4690454A (en) * 1985-06-27 1987-09-01 Mizelle Ned W Recliner unit with novel locking and actuating mechanism
US4668009A (en) * 1985-10-15 1987-05-26 Schnadig Corporation Incliner seat with push button release
US4740031A (en) * 1986-09-05 1988-04-26 Parma Corporation Mechanism for a reclining chair or sofa module
US4844536A (en) * 1986-10-10 1989-07-04 Mizelle Ned W Extensible legrest mechanism for furniture seating units
GB2220849B (en) * 1988-07-18 1992-06-17 La Z Boy Chair Co Chair mechanism
US5056862A (en) * 1990-07-03 1991-10-15 Action Industries, Inc. Recessed lever actuator for recliner mechanism
US5271660A (en) * 1990-10-18 1993-12-21 La-Z-Boy Chair Co. Reclining sofa
US5064244A (en) * 1991-01-03 1991-11-12 The Gentry Gallery, Inc. Reclining sof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8276A1 (en) * 2007-03-23 2008-10-02 La-Z-Boy Incorporarted Furniture frame with interlocking joints for use with multiple furniture members and mech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09735A1 (en) 1994-10-10
AU664525B2 (en) 1995-11-16
NZ250323A (en) 1995-07-26
DE69304890T2 (de) 1997-02-06
AU5182693A (en) 1994-10-13
JPH06304033A (ja) 1994-11-01
US5292170A (en) 1994-03-08
DE69304890D1 (de) 1996-10-24
EP0619966A1 (en) 1994-10-19
EP0619966B1 (en) 1996-09-18
JP2620038B2 (ja) 1997-06-11
ATE142858T1 (de) 1996-10-15
TW297757B (ko) 1997-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23419A (ko) 모듈화된 안락의자 및 그의 조립방법
KR930007402A (ko) 안락 의자 유닛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0259130B1 (ko) 경사가능한 안락의자 및 그 제작방법
CA2086971C (en) Modular reclining/tilt chair and method
EP0509823B1 (en) Chaise longue reclining chair
US5765913A (en) Glider chair
WO1996011608B1 (en) Recliner chair seat assembly and method of upholstering
US5782535A (en) Armchair
JP2009509592A (ja) 椅子
NZ264195A (en) Assembly method for modular reclining chair, actuating mechanism and cross rails suspended between side frames
CA2498395A1 (en) Control mechanism for seating unit
US10258159B2 (en) Tilt mechanism for a seating furniture and seating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CA2740958A1 (en) Lumbar support system for furniture member
US5503453A (en) Two-way high-leg recliner
CA1316807C (en) Shiftable carriage mechanism for incliner chair
KR20230020154A (ko) 자동차용 시트
US5054850A (en) Shiftable carriage mechanism for incliner chair
US5192113A (en) Upholstery tension adjustment linkage mechanism
JPS5836732A (ja) 乗物用シ−ト
US20070126267A1 (en) Reclining seating unit with backrest support frame and cloth backrest support deck
JP3300166B2 (ja) パワーコンフォートシート構造
JP3385118B2 (ja) 乳母車の座席
EP3972454B1 (en) Vehicle seat
AU676248B2 (en) Three-way frame incliner
JP2898497B2 (ja) 背ずり転換シートの袖体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