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7888A -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7888A
KR940017888A KR1019920025240A KR920025240A KR940017888A KR 940017888 A KR940017888 A KR 940017888A KR 1019920025240 A KR1019920025240 A KR 1019920025240A KR 920025240 A KR920025240 A KR 920025240A KR 940017888 A KR940017888 A KR 940017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global
signal
previou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503B1 (ko
Inventor
천상훈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20025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503B1/ko
Publication of KR94001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motion estimation or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27Global motion vector esti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부 이동(구획 단위 이동)과 전역 이동(물체 단위 이동)에 적응된 이동 보상형 영상압축 기법을 이용한 영상 전화기의 영상 부호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역 및 국부 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는 다수의 구획을 가진 프레임 단위로 현재영상신호와 이전 영상신호에 의한 예측 신호간의 차이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현재 영상신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소정의 이동추정 알고리즘으로써 프레임내의 모든 구획의 이동 벡터를 추정하여 이동 벡터군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현재영상신호, 상기 이전영상신호 및 상기 이동벡터군을 입력으로 하여 소정의 이동영역판별기법으로 상기 프레임내의 이동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영역의 구획수를 기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하여 상기 프레임에서 발생한 이동이 물체단위의 이동인 전역이동인지 아니면 전역이동이 아닌 국부이동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전역이동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전영상과 상기 이동벡터군을 입력으로 하여 물체단위의 이동정보인 전역이동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전영상을 상기 전역이동정보만큼 이동시켜 상기 예측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국부이동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전영상과 상기 이동벡터군을 입력으로 하여 이전영상의 각 구획을 상기 각 구획의 이동벡터만큼 이동시켜 상기 예측신호를 발생시켜 이 예측신호를 부호화한다.

Description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이동 보상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이동 보상/비이동 보상 규칙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인물 영상의 영역 분할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10)

  1. 다수의 구획을 가진 프레임 단위로 현재영상신호와 이전영상신호에 의한 예측 신호간의 차이신호를 부호화하는 것으로서, 상기 현재영상신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소정의 이동추정알고리즘으로써 프레임 내의 모든 구획의 이동벡터를 추정하여 이동벡터군을 추출하는 수단(32)과; 상기 현재영상신호, 상기 이전영상신호 및 상기 이동벡터군을 입력으로 하여 소정의 이동영역판별 기법으로 상기 프레임내의 이동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영역의 구획수를 기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하여 상기 프레임에서 발생한 이동이 물체단위의 이동인 전역 이동인지 아니면 전역이동이 아닌 국부이동인지를 판단하는 전역/국부 이동 판단 수단(30)과; 상기 전역이동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전영상과 상기 이동벡터군을 입력으로 하여 물체단위의 이동정보인 전역이동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이전영상을 상기 전역이동정보만큼 이동시켜 상기 예측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역이동 이동보상예측 수단(28)과; 상기 국부이동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전영상과 상기 이동벡터군을 입력으로 하여 이전영상의 각 구획을 상기 각 구획의 이동벡터만큼 이동시켜 상기 예측신호를 발생시키는 국부이동 이동보상 예측 수단(26)을 포함하는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추정알고리즘이 상기 이전 프레임의 구획들을 한 화소색 이동하면서 상기 현재프레임의 지정된 구획과 가장 비슷한 구획을 갖는 구획정합알고리즘인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영역이 상기 현재 영상신호의 각 구획과 상기 이전 영상신호의 각 구획과의 절대차의 합에 의해 판별되는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부호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역/국부 이동 판단수단(30)에 의해 상기 전역이동 이동보상 예측수단(28)의 출력과 상기 국부이동 이동보상예측 수단(26)의 출력 중 하나가 예측신호가 되도록 스위칭 되는 스위칭 수단(40)을 더 포함하는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역이동정보는 상기 프레임에 나타난 물체의 분할된 영역에 대해 각각 별도로 계산되는 전역 및 국부 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역 이동 정보를 고정길이 부호화하는 고정 길이 부호기(36)를 더 포함하는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7. 다수의 구획을 가진 프레임 단위로 현재영상신호와 이전영상신호에 의한 예측 신호간의 차이신호를 부호화하는 것으로서, 상기 현재영상신호와 상기 이전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소정의 이동추정알고리즘으로써 프레임내의 모든 구획의 이동 벡터를 추정하여 이동벡터군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영상신호, 상기 이전영상신호 및 상기 이동벡터군을 입력으로 하여 소정의 이동영역판별 기법으로 상기 프레임내의 이동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영역의 구획수를 기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하여 상기 프레임에서 발생한 이동이 물체단위의 이동인 전역 이동인지 아니면 전역이동이 아닌 국부이동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역이동이 판단되면, 상기 이전 영상과 상기 이동벡터군을 입력으로 하여 물체단위의 이동정보인 전역이동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전영상을 상기 전역이동정보만큼 이동시켜 상기 예측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국부이동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전영상과 상기 이동벡터군을 입력으로 하여 이전영상의 각 구획을 상기 각 구획의 이동벡터만큼 이동시켜 상기 예측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추정알고리즘이 상기 이전 프레임의 구획들을 한 화소색 이동하면서 상기 현재프레임의 지정된 구획과 가장 비슷한 구획을 갖춘 구획정합알고리즘인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영역이 상기 현재신호의 각 구획과 상기 이전신호의 각 구획과의 절대차의 합으로 결정되는 전역 및 국부 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역이동정보가 상기 프레임에 나타난 물체의 분할된 영역에 따라서 각각 별도로 계산되는 전역 및 국부 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25240A 1992-12-23 1992-12-23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96001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240A KR960012503B1 (ko) 1992-12-23 1992-12-23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240A KR960012503B1 (ko) 1992-12-23 1992-12-23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888A true KR940017888A (ko) 1994-07-27
KR960012503B1 KR960012503B1 (ko) 1996-09-20

Family

ID=1934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240A KR960012503B1 (ko) 1992-12-23 1992-12-23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5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503B1 (ko) 199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154B1 (ko) 움직임크기에 따른 동영상데이타의 부호화방법 및 장치
EP3342167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coder side motion derivation for video coding
KR100275694B1 (ko) 실시간 동영상 부호화를 위한 초고속 움직임 벡터 추정방법
KR960036707A (ko)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970002967B1 (ko) 영역 분류패턴을 이용한 움직임벡터 검출장치
KR960039997A (ko)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466193A (zh) 视频编码的样式基础的运动向量推导之方法及装置
KR101383612B1 (ko) 비디오 시퀀스에서 데이터 압축 방법
US2011009096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choosing a search range for motion estimation
US201202943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w complexity motion vector derivation
KR970025185A (ko) 특징적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장치
KR960040020A (ko)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부호화에서의 움직임 영역 설정방법 및 장치
KR20010082934A (ko)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KR940017888A (ko) 전역 및 국부이동 적응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JP2001224036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KR970003107B1 (ko) 단계적인 영역분할을 통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및 장치
JPH06165164A (ja) 動画像処理装置
KR0170866B1 (ko) 움직임 영역 추출 장치
JP3941900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JP2596352B2 (ja) 小数精度動きベクトル探索装置
JP2765528B2 (ja) 半画素精度動きベクトル探索装置
KR100233123B1 (ko) 프렉탈 동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196873B1 (ko) 영상부호기의 움직임변위정보 탐색방법
KR100196828B1 (ko) 영상부호기의 움직임 벡터 선택방법
KR970025187A (ko)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서의 개선된 움직임 예측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