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565B1 -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 Google Patents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565B1
KR940011565B1 KR1019850002122A KR850002122A KR940011565B1 KR 940011565 B1 KR940011565 B1 KR 940011565B1 KR 1019850002122 A KR1019850002122 A KR 1019850002122A KR 850002122 A KR850002122 A KR 850002122A KR 940011565 B1 KR940011565 B1 KR 94001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needle
electrode
needle
tube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385A (ko
Inventor
후버 빌리
무쓰너 크라우스
Original Assignee
욧트 바그너 아게
만프레드 메츠 및 에밀 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욧트 바그너 아게, 만프레드 메츠 및 에밀 휄 filed Critical 욧트 바그너 아게
Publication of KR85000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3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gas, e.g. electrostatically assisted pneumatic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 B05B7/06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with only one liquid outlet and at least one gas outlet
    • B05B7/06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with only one liquid outlet and at least one gas outlet with an inner liquid outlet surrounded by at least one annular gas outlet
    • B05B7/067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with only one liquid outlet and at least one gas outlet with an inner liquid outlet surrounded by at least one annular gas outlet the liquid outlet being annular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기식 페인트 분무기의 분무기 튜브의 최전방 부분의 단면도이며.
제 2 도는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것으로서 제 1 도와 유사한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페인트 공급 도관 12 : 페인트 밸브
13 : 고전압 인가부 14 : 공기 공급 도관
15 : 제 1 전극침 17 : 무화노즐
19 : 페인트 통로 21 : 제 2 전극침
23 : 폐쇄몸체 A : 폐쇄부분
본 발명은 페인트를 분무노즐에 이송하며 분무노즐을 지나서 약간 돌출하고 있는 페인트통로에 동심으로 배치된 침상(針狀) 전극을 포함하며, 이 전극은 분무기 튜브내에서 지나가고 있는 고전압 인가부에 연결되어 있고, 여기서 분무노즐을 포함하는 폐쇄부분이 분무기 튜브의 입구에 분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는 다양한 형태로 오래전부터 시판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공지된 모든 분무기들은 예를 들면 페인트 통로가 막히거나 페인트 교체시에 페인트 통로가 세정되어야 할 경우와 같이 전방의 폐쇄 부분이 분무기 튜브로부터 제거되어야 할 경우 항상 일어나는 공통적인 문제를 함께 가지고 있다.
첫째로, 침상전극이 분무기 튜브에 배치되고, 이를 폐쇄부분이 덮고 있어, 상기 침상전극이 분무노즐 내지 분무기의 전면에 비하여 예를 들면 5mm의 근소한 돌출부를 갖는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의 경우에, 폐쇄 부분이 제거된다면, 분무기 튜브의 단부면에 비하여 대단히 현저한 돌출부가 분무기 튜브에 남아 있는 침상 전극에 대하여 나타나며, 이 돌출기부는 특히 극단적으로 가느다란 침상전극의 경우에는 굴곡, 손상 혹은 파손까지도 이룰 수 있다. 나아가서는 작업자를 상해할 위험이 있다.
둘째로, 상기와 같이 침상전극이 분무기튜브에 배치되지 않고 침상전극이 폐쇄부분에 자리잡고 있는 종래의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의 경우에도 폐쇄 부분이 제거되는 경우에 폐쇄부분과 함께 침상전극이 분무기 튜브로부터 제거될때에는, 분무기 튜브는 더이상 침상전극을 갖지 않으며 혹은 고전압을 가지는 구성부품의 단부점(endpoint) 즉 침상전극과 유사한 돌출단부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세정 작업 동안에 고전압이 의도적으로 접속된 채로 있거나, 또는 무의도적으로 접속될때, 혹은 분무기 튜브의 전방 영역에 있는 전도성의 구성 부품이 사소하지 않은 정전용량(capacitance)을 가질때에는 특히 작업자에 대하여서나 세정제 증기의 발화의 관점에서나 함께 위험을 내포하는 원하지 않는 스파킹이 발생하여 제어할 수 없는 전기적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가 폐쇄부분(카바)이 제거된 경우에도, 전기적인 관점에서나 기계적인 관점에서 모두 역시 완전히 안전한 방법으로 최초에 인용한 종류의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를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침상전극이 동축배열된 제 1 전극침 및 제 2 전극침으로 구성되며, 제 2 전극침은 폐쇄부분에 고정되고, 제 1 전극침은 분무기튜브내에 위치하며 통전이 되도록 고압인가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폐쇄부분이 덮여 있을때, 제 2 전극침단부는 통전상태로 제 1 전극침에 접속되고, 폐쇄부분이 제거될때는 제 1 전극침은 분무기튜브의 입구를 지나 돌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 2 전극침이 설치되어지며 이 경우에 전방의 제 2 전극침은 폐쇄 부분(혹은 카바)에 고정되어 있고 후방의 제 1 전극침은 분무기 튜브에 고정되어 있다. 분무 작업 동안에 즉 폐쇄부분(혹은 카바)이 덮혀 있을때 제 2 전극침은 종래의 분무 전극을 나타내며 여기서 제 1 전극침은 고전압 인가부와 전방의 제 2 전극침 사이의 전기적인 도선 접속부로서만의 구실을 한다. 그러나 폐쇄부분(혹은 카바)이 제거될때는(따라서 제 2 전극침도 제거됨), 남아 있는 분무기 튜브의 입구를 지나서 이제는 자유롭게 돌출하고 있는 후방의 제 1 전극침이 고전압 도선의 정확히 한정된 종점, 즉 약간 돌출하고 있는 침전극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한정되지 않고 제어할 수 없는 방전은 정전 용량의 잔여 에너지로 인하여 고전압이 접속이 안된 경우에도 그리고 고전압이 접속된 경우에도 일어날수가 없다. 폐쇄부분(혹은 카바)이 덮여 있을때 전방의 제 2 전극침의 돌출부에 비교할만하게 폐쇄부분이 제거될 때 제 1 전극침의 돌출부가 근소하게 돌출하기 때문에 역시 작업자에 대한 상해 위험이나 후방의 제 1 전극침에 대한 손상의 위험이 없다. 2개의 전극침으로의 고전압 전극을 분활한 또다른 이점은 후방의 제 1 전극침에 대하여 비교적 굵고 몽땅하게 그래서 튼튼하고 값싼 전극침이 사용되어 질수 있으며 이에 반하여 전방의 제 2 전극침에 대하여는 재료와 표면 품질의 관점에서 고 품질이며 높은 충전 효과를 가지는 가느다란 전극이 유리할 수가 있다. 이것은 비교적 작은 통과 개구(고압 페인트 분무기)를 가지는 무화 노즐의 경우에 그리고 홈이 형성된 노즐의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끝으로 원한다면 후방의 제 1 전극침은 분무 물질의 예비 충전을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2개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서 분무기의 전방의 원통체단부가 단면으로 표현되고 있는 그러한 분무기는 압축 공기 무화 노즐을 가지며 페인트 안개의 형성을 위한 추가적인 공기 젯트류를 구비하는 정전지 분무기이다.
여기서 참조부호(10)은 분무기 튜브를 나타내며 이 튜브에서는 페인트 공급도관(11)이 지나고 있으며 이 페인트 공급도관(11)은 페인트 밸브(12)에서 끝나고 있다.
고전압 도관(13)은 페인트 밸브(12)에서 역시 끝나고 있다. 추가로, 분무기 튜브(10)는 공기 공급도관(14)에 의하여 역시 관통되고 있다. 분무기의 전방 단부의 방향을 보고 있는 페인트 밸브(12)의 표면에 제 1 전극침(15)이 고정되어 있다.
갭모양의 노즐 몸체(16)가 분무기 튜브(10)위에 나사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 몸체(16)의 전방 단부에는 무화노즐(17)이 중앙에 있으며 페인트 통로(19)를 가지는 판(18)이 무화노즐 뒤에 있는 상기의 노즐몸체(16)속으로 눌려져 들어가 있으며 이 판(18)은 전극침(15)를 수용하는 스리브로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다. 나아가서는 제 2 전극침(21)이 판(18)에 땜 접합되어 있으며 이 제 2 전극침(21)은 무화노즐(17)을 관통하며 그 전방 개구를 지나서 미리 정해진 약간의 거리까지 돌출하고 있다.
끝으로 폐쇄 몸체(23)가 나사 체결된 갭(22)을 사용하여 분무기 튜브위에 씌워져 있으며 무화노즐이 이 폐쇄몸체의 중앙의 주 아아치부에 자리잡고 있다. 무화기를 위한 공기 유출 통로들(24)이 폐쇄몸체(23)에 그의 중앙 개구와 그래서 무화노즐(17)에 동심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폐쇄몸체(23)는 조절공기를 위한 구멍들(25)을 포함하는 뿔(horn) 형상의 돌출한 부분을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분무기 튜브(10), 폐쇄몸체(23) 및 나사결합된 갭(22)등은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는 프라스틱으로 형성되었으며, 페인트 밸브(12)와, 판(18) 및 슬리브(20)를 구비하는 노즐몸체(16) 뿐만 아니라 2개의 제1 및 제 2 전극침(15) 및 (21)은 전기적으로 도체인 재료 특히 금속으로 형성된다.
분무작용을 일으키기 위하여 분무기의(도시되지 않은) 방아쇠가 작동되며 이때문에 페인트 밸브(12)가 그의 페인트 통로를 연다. 상기 페인트 밸브(12)의 페인트통로는 내측통로로서 페인트 분무기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잘알려져 있으므로 제 1 도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때 페인트는 스리브(20)를 지나서 통로(19)를 통하여 무화노즐(17)에 밀려지며 그 노즐의 전방 배출구로부터 분무되어 나간다. 페인트 공급구의 개방과 함께 혹은 바로 그전에 공기 공급구가 역시 열려지며 그 결과로 무화 공기는 구멍(24)으로부터 조절공기는 구멍(25)으로부터 나온다. 분무기와 분무되어질 가공편 사이의 정전계(靜電界)는 이 경우에 전방의 제 2 전극침(21)의 단부로부터 방사되며 여기서 후자(전방의 제 2 전극침)는 판(18), 스리브(20), 후방 제 1 전극침(15) 및 페인트 밸브(12)를 거쳐서 고전압 인가브(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분무 동작과 관련하여 상기한 분무기는 압축공기 무화작용, 조절공기 및 중앙 전극침을 가지는 공지된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와 다르지가 않다. 그러나 예를 들어서 세정작업이 행하여져야 할때에는 나사 체결된 갭(22)이 먼저 나사가 돌려지면 폐쇄몸체(23)과 함께 제거 되어진다.
그래서 노즐몸체(16)가 분무기 튜브(10)로부터 나사가 풀려지며 그것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부분들, 즉 판(18), 스리브(20) 및 전방의 제 2 전극침(21)과 함께 제거된다. 이와 같이 나사체결된 갭(22), 폐쇄몸체(23), 노즐몸체(16), 및 제 2 전극침이 분무기로부터 제거되면, 분무기가 조립되었을때 전방의 제 2 전극침(21)이 무화노즐(17)의 전방 단부를 지나서 돌출하는 거리에 상응하는 바로 그 거리만큼을 이제는 후방의 제 1 전극침(15)이 분무기 튜브(10)의 전면을 지나서 자유롭게 돌출한다. 그러나 이와함께 실제의 분무 작업 동안에 존재하는 것과 똑같은 조건들이 다음의 세정 작업 동안에도 전기적으로 존재한다 : 즉 정전계에 대한 정해진 출발점, 즉, 제 1 전극침의 돌출한 단부에 의하여 약간 돌출된 침전극이 이제도 역시 제공된다.
그래서 세정 작업 동안에 작업자에게 역시 연결된 고전압에 수반하거나 연결되지 않는 고전압에 수반하는 위험(정전용량 스파크)이 없다. 나아가서는 조절할 수 없는 스파크로 인한 세정제증기의 발화의 위험도 역시 피하여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침(15)이 분무기를 지나서 다만 약간 돌출하는 것이 작업자에게 기계적인 상해나 바늘의 손상의 위험을 대체로 감소시키므로 이것은 중요한 것이다.
실제의 분무 작업을 위한 정전계(靜電界)를 형성하고 있는 제 2 전극침(21)이 대단히 가느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리고 그의 표면과 그의 단부의 원추형상에 관하여 대단히 정확하게 제조되었을때 이것은 유리할 것이다. 달리 표현하자면 제 2 전극침(21)은 고 품질의 재료로 구성되어야 하며 정확한 바늘 모양을 가져야 하며 그리고 고도로 연마되어야 한다.
이에 비하여 후방의 제 1 전극침(15)은 다만 세척작업 동안에만 전극으로서의 역활을 하며 그렇지 않으면 다만 접속핀을 나타내므로 이 후방 제 1 전극침에는 고품질의 재료일 필요로 없고 정확한 바늘모양을 할 필요도 없으며 고도로 연마될 필요가 없으므로 저렴한 제조가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면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침(15) 상당히 굵으며 이것이 그 항절력을 높인다.
제 2 도에서 보인 실시에는 다만 노즐몸체(16)의 형상과 두 전극침(15) 및 (21)의 접촉에 관해서만 상기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노즐 몸체(16)는 후방으로 향한 스리브 모양의 연장체를 가지는 단순한 나사 몸체이며 여기에 전방의 제 2 전극침(21)이 고정되어 있다. 이 제 2 전극침(21)은 분무기가 서로 나사 결합되었을때 후방의 제 1 전극침(15)이 속으로 파지되는 내부 구멍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두 전극침(15),(21) 사이의 직접적인 전기 접촉이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나사 결합된 갭(22), 폐쇄몸체(23) 및 노즐몸체(16)가 나사가 풀려지고 제거된 후에, 남아있게 되는 후방의 제 1 전극침(15)은 분무기 튜브(10)의 전면을 지나서 돌출하며 그래서 세정 작업중에 한정된 전극을 형성한다.
물론 본 발명은 압축 공기 무화기에만이 아니고 역시 추가적인 압축 공기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고 작동하는 페인트 공기 분무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첫번재 실시예에서 인용한 판(18)이 선회판으로서 형성되어질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은 특히 두전극침의 장착과 접촉의 관점에서 수많은 변화를 시킬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예를 들면 위의 예에서 2개의 각각의 몸체, 즉 폐쇄몸체(23)와 노즐몸체(16)를 포함하는 폐쇄부분(A)을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역시 가능하며 그 결과로 전체의 폐쇄부분(A)이 나사 결합된 갭(22)의 나사를 풀은 후에 한번에 제거 되어질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의 상술한 이점들은 세정 작업동안에만 적용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서 노즐몸체의 교체 목적을 위하여 전방의 폐쇄 부분이 제거될때와 같이, 폐쇄부분의 제거시에는 언제나 항상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7)

  1. 페인트를 분무 노즐에 이송하며 분무 노즐을 지나서 약간 돌출하고 있는 페인트 통로에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침상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분무기 튜브내에서 지나가고 있는 고전압 인가부에 연결되어 있고, 여기서 분무 노즐을 포함하는 폐쇄부분이 분무기 튜브의 입구에 분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동축으로 앞뒤로 배열된 2개의 제1 및 제 2 침극침(15),(21)으로 구성되며 이들 중에 제 2 전극침(21)은 폐쇄부분(A)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 1 전극침(15)는 분무기 튜브(10)에 자리잡고 있고 그리고 전기적으로 도전이 되도록 고압 인가부(13)에 접속되어 있으며, 여기서 폐쇄 부분(A)이 덮혀 있을때 후방의 제 1 전극침(15)의 단부는 전기적으로 도전이 되도록 전방의 제 2 전극침(21)에 연결되어 있으며, 폐쇄부분(A)이 제거될때는 후방 제 1 전극침(15)의 단부는 분무기 튜브(10)의 입구를 지나서 자유롭게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분무 노즐(17)을 지나는 전방의 제 2 전극침(21)의 돌출부와 분무기 튜브(10)의 입구를 지나는 후방의 제 1 전극침(15)의 돌출부는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3. 제 1 항 혹은 제 2 항에 있어서, 폐쇄 부분(A)은 2개의 분리된 구성 부품, 즉, 전방의 제 2 전극침(21)이 고정되어 있는 분무기 튜브(10)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노즐 몸체(16)와, 나사결합된 갭(22)을 사용하여 분무기 튜브(10)에 부착되어 있으며 분무 노즐(17)을 위한 중앙 통로를 가지는 폐쇄기판(2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16)는 전방의 제 2 전극침(21)을 가지며 후방의 제 1 전극침(15) 수납용 스리브(20)로서 분무기 튜브의 내부로 연속되는 페인트 통로용 판(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전방의 상기 제 2 전극침(21)에 비하여 후방의 상기 제 1 전극침(15)은 비교적 큰 직경과 비교적 무딘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전방의 상기 제 2 전극침(21)은 후방의 상기 제 1 전극침(15)의 단부를 위한 수용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의 상기 제 2 전극침(21)은 고도로 연마된 표면과 가느다랗게 뾰족한 단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KR1019850002122A 1984-04-02 1985-03-29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KR940011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412266.4 1984-04-02
DE3412266A DE3412266A1 (de) 1984-04-02 1984-04-02 Elektrostatische farbspritzpistole
DEP3412266.4-53 1984-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385A KR850007385A (ko) 1985-12-04
KR940011565B1 true KR940011565B1 (ko) 1994-12-21

Family

ID=623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122A KR940011565B1 (ko) 1984-04-02 1985-03-29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651932A (ko)
EP (1) EP0157200B1 (ko)
JP (1) JPS618155A (ko)
KR (1) KR940011565B1 (ko)
AT (1) ATE46458T1 (ko)
CA (1) CA1231522A (ko)
CS (1) CS259526B2 (ko)
DD (1) DD232207A5 (ko)
DE (2) DE3412266A1 (ko)
DK (1) DK163347C (ko)
HU (1) HU192335B (ko)
NO (1) NO165327C (ko)
YU (1) YU45250B (ko)
ZA (1) ZA8519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398B2 (ja) * 1988-09-09 1996-10-16 アロイ工器株式会社 塗装用スプレ―ノズル
DE3921213C1 (ko) * 1989-06-28 1990-11-15 Wagner International Ag, Altstaetten, Ch
DK0442019T3 (da) * 1990-02-16 1995-03-13 Wagner Gmbh J Fremgangsmåde til drift af en elektrostatisk trykluftfarvesprøjtepistol
DE4020289C1 (ko) * 1990-06-26 1991-12-12 Wagner International Ag, Altstaetten, Ch
DE4027078A1 (de) * 1990-08-27 1992-03-05 Wagner Int Elektrostatische spruehpistole
US5261610A (en) * 1990-09-18 1993-11-16 Nordson Corporation Coating dispenser with hydraulic-assisted valve closure
US5078325A (en) * 1990-09-18 1992-01-07 Nordson Corporation Coating dispenser with removable valve tip and valve seat
US5217168A (en) * 1991-07-30 1993-06-08 Wagner Spray Tech Corporation Air cap for paint spray gun
US20060292271A1 (en) * 2005-06-27 2006-12-28 Peter King Spray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3632A (en) * 1969-05-23 1971-06-08 Binks Mfg Co Electrostatic spray coating apparatus
CH579951A5 (ko) * 1975-04-11 1976-09-30 Gema Ag
CH598871A5 (ko) * 1975-07-29 1978-05-12 Air Ind
GB2020200B (en) * 1978-03-08 1982-09-15 Air Ind Electrostatic spraying
US4381081A (en) * 1978-12-20 1983-04-26 Nordson Corporation Nozzle assembly for spray coating systems
US4440349A (en) * 1979-09-17 1984-04-03 Ppg Industries, Inc. Electrostatic spray gun having increased surface area from which fluid particles can be formed
US4266721A (en) * 1979-09-17 1981-05-12 Ppg Industries, Inc. Spray application of coating compositions utilizing induction and corona charging means
US4355764A (en) * 1980-07-17 1982-10-26 Nordson Corporation Low capacitance airless spr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7200A3 (en) 1986-10-08
KR850007385A (ko) 1985-12-04
DK141285D0 (da) 1985-03-28
ZA851917B (en) 1986-10-29
EP0157200B1 (en) 1989-09-20
HU192335B (en) 1987-05-28
DD232207A5 (de) 1986-01-22
DK163347C (da) 1992-07-27
JPS618155A (ja) 1986-01-14
DE3573078D1 (en) 1989-10-26
HUT38562A (en) 1986-06-30
DK141285A (da) 1985-10-03
CA1231522A (en) 1988-01-19
EP0157200A2 (en) 1985-10-09
ATE46458T1 (de) 1989-10-15
US4651932A (en) 1987-03-24
DE3412266A1 (de) 1985-10-03
NO851224L (no) 1985-10-03
CS259526B2 (en) 1988-10-14
NO165327C (no) 1991-01-30
YU45250B (en) 1992-05-28
NO165327B (no) 1990-10-22
YU52885A (en) 1988-02-29
JPH0410382B2 (ko) 1992-02-25
DK163347B (da) 199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6041A (en) Apparatus for electrostatically applying coating material to articles and the like
US4478370A (en) Air atomizing nozzle assembly
US4572438A (en) Airless spray gun having improved nozzle assembly and electrode circuit connections
US4273293A (en) Nozzle assembly for electrostatic spray guns
US5685482A (en) Induction spray charging apparatus
US7784718B2 (en) Electrostatic paint sprayer
KR940011565B1 (ko) 정전기 페인트 분무기
US3677470A (en) Nozzle holder
US3056557A (en) Spray gun for electrostatic coating
US4842203A (en) Nozzle assembly for spray guns
EP0044676B1 (en) Low capacitance airless spray apparatus
US3591080A (en) Electrostatic spray gun
US3670961A (en) Electrostatic spray gun
US4989793A (en) Indirect charging electrode for electrostatic spray guns
US3248059A (en) Spray gun
US3672569A (en) Electrostatic spray gun nozzle and air cap
JPS6115971Y2 (ko)
GB1247695A (en) A paint spray gun
KR101009520B1 (ko) 선박도장용 정전 노즐장치
JPH0118201Y2 (ko)
JP4236158B2 (ja) 静電霧化装置
JPH0341806Y2 (ko)
SU528096A1 (ru) Электроаэрозоль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JPH0446825Y2 (ko)
JP2772589B2 (ja) 塗装用スプレー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