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502B1 - Pc이용 원격제어방법 - Google Patents

Pc이용 원격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502B1
KR940011502B1 KR1019910017747A KR910017747A KR940011502B1 KR 940011502 B1 KR940011502 B1 KR 940011502B1 KR 1019910017747 A KR1019910017747 A KR 1019910017747A KR 910017747 A KR910017747 A KR 910017747A KR 940011502 B1 KR940011502 B1 KR 940011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e
control
input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558A (ko
Inventor
권영한
한동희
임동범
한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보컴퓨터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보컴퓨터, 김종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보컴퓨터
Priority to KR101991001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1502B1/ko
Publication of KR93000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PC이용 원격제어방법
제 1 도는 종래의 PC이용 원격제어수단을 도시한 블록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PC이용 원격제어수단을 도시한 블록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PC이용 원격제어수단의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타이밍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PC이용 원격제어수단의 대상물 제어부의 블록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대상물 제어부의 동작 타이밍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의한 PC이용 원격제어수단의 자동 원격제어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제어장치 12,24 : 데이타 입력부
22 : 원격제어장치 LDC1∼LDCN: 대상물 제어부
LDO1∼LDON: 대상물 구동부 LD1∼LDN: 대상물
본 발명은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원격 제어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을 자동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며, 또한 원격제어를 위한데이타의 송수신에 있어서 AC 전원선을 사용하는 PC이용 원격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제어시스템은 원거리에 있는 제어대상물을 유선 또는 무선의 전용선을 통하여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전원의 개폐, 온도의 승강 또는 그 이외의 조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시스템에서 제어데이타를 전송하여 대상물을 제어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대상물의 고유번지에 해당되는 정보를 전용선을 통해 송신하면 대상물을 제어하는 제어부에서 해당 대상물의 고유번지와 일치하는가를 검사하여 대상물의 작동을 온/오프(on/off)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PC이용 원격제어수단이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PC이용 원격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제어데이타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부(12)와, 상기 데이타 입력부(12)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데이타를 전용선을 통해 송신하는 원격제어장치(10)와, 상기 원격제어장치(10)로부터 각각 제어데이타를 공급받아 해당 대상물(LD1∼LDN)을 제어하는 신호를 각 대상물의 입력단에 공급하는 다수의 대상물 제어부(LDC1∼LDCN)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장치(10)는 제어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도에서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N개(LD1∼LDN)인 경우, 대상물을 제어하는 대상물 제어부(LDC1∼LDCN)가 각 대상물(LD1∼LDN)의 입력단에 결합되어 있고, 원격제어장치(10)는 전용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데이타를 N개의 대상물 제어부(LDC1∼LDCN)에 각각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데이타 입력부(12)를 통해 키를 누르므로써 소정의 데이타가 원격제어장치(10)에 입력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10)는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번지와 해당 제어동작의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전용선 또는 무선으로 N개의 대상물 제어부(LDC1∼LDCN)에 각각 전송한다. 그러면, 각 대상물 제어부(LDC1∼LDCN)는 입력되는 제어데이타에 포함된 대상물의 번지데이타와 출력단에 결합된 대상물(LD1∼LDN)의 고유번지에 비교하여 2개의 번지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데이타에 포함된 제어동작코드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등의 제어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PC이용 원격제어수단은 원격제어장치(10)에서 대상물(LD1∼LDN)로 제어데이타를 송신하는 수신만이 구비되어 있으며 단순히 대상물(LD1∼LDN)을 온/오프 시키는 제어동작만이 가능하므로, 대상물(LD1∼LDN)의 상태를 검사하여 그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이 불가능하므로 대상물(LD1∼LDN) 측에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이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대상물(LD1∼LDN)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데이타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원격제어장치(10)로부터 대상물(LD1∼LDN)로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 별도의 전용선을 구비해야 하므로 설치에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상물에 제어데이타를 송신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고 대상물의 상대를 검출한 상태 데이타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므로써 대상물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부재시에도 대상물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자동으로 수행되며, 또한 제어데이타를 전송함에 있어서 AC 전원선을 사용함으로써 전용선 설치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PC이용 원격제어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C를 이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므로써 상기 대상물을 임의로 제어하고 상기 대상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PC이용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PC에 내장된 RTC로부터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읽어들이는 제 1 과정; 상기 제 1 과정이후 상기 판독된 날짜가 공휴일, 평일 또는 토요일인가를 미리 입력된 데이타에 의해 판별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이후 상기 판별된 날짜의 현재 시간이 24시인가를 검사하는 제 3 과정; 상기 제 3 과정에서 상기 판별된 날짜의 현재시간이 24시인 경우 상기 제 1 과정으로 귀환하여 RTC로부터 다음 날짜를 읽어들이는 제 4 과정; 상기 제 3 과정에서 상기 판별된 상짜의 현재시간이 24시가 아닌 경우 해당 날짜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상주/비상주 처리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제 5 과정; 상기 제 5 과정 이후 데이타 입력부로부터 데이타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는 제 6 과정; 상기 제 6 과정에서 입력데이타가 없는 경우 원격제어에 필요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제 7 과정; 상기 제 6 과정에서 입력데이타가 있는 경우 이를 판독하여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8 과정; 상기 제 8 과정에서 입력데이타가 종래인 경우 제어동작 수행을 끝내는 제 9 과정; 상기 제 8 과정에서 입력데이타가 종료가 아니면 상기 제 7 과정으로 귀환하여 원격제어에 필요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제 10 과정; 상기 제 7 과정 또는 제 10 과정 수행후 미리 입력된 데이타에 의해 현재 날짜와 시간이 사용자 상수기간인가를 판별하는 제 11 과정; 상기 제 11 과정에서 판별결과 사용자 상주기간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데이타에 따라 상주처리를 수행하는 제 12 과정; 상기 제 11 과정에서 판별결과 사용자 상주기간이 아닌 경우 미리 입력된 데이타에 따라 비상주처리를 수행하는 제 13 과정; 상기 제 12 과정 또는 제 13 과정 수행 후 다음 대상물 제어부에 해당되는 포트를 재지정하는 제 14 과정; 상기 제 14 과정에서 재지정된 포트가 마지막 포트인가를 판별하는 제 15 과정; 상기 제 15 과정에서 재지정된 포트가 마지막 포트가 아니면 상기 제 7 과정으로 귀환하는 제 16 과정; 상기 제 15 과정에서 재지정된 포트가 마지막 포트이면 상기 제 1 과정으로 귀환하는 제 17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PC이용 원격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제 3 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PC이용 원격제어수단에서 PC에 장착되는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제 4 도에는 제 3 도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의 송신부(100) 및 수신부(200)의 동작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수단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입력부(24), 원격제어장치(22), 다수의 대상물 제어부(LDC1∼LDCN), 다수의 대상물 구동부(LDO1∼LDON) 및 다수의 대상물(LD1∼LDN)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데이타 입력부(24)는 PC(20)에 제어데이타를 입력한다. 원격제어장치(22)는 PC(20)에 결합되어 데이타 입력부(24)로 입력되는 제어데이타를 공급받아 전송하기 위한 아날로그 반송파신호로 변환시켜 AC 전원선을 통해 대상물 제어부(LDC1∼LDCN)로 출력시키고, 각 대상물(LD1∼LDN)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대상물 제어부(LDC1∼LDCN)로부터 AC 전원선을 통해 전송되는 대상물 상태에 관한 데이타를 수신하여 PC(20)로 공급한다. 대상물 제어부(LDC1∼LDCN)는 원격제어장치(22)로부터 AC 전원선을 통해 전송되는 반송파신호를 수신하여 각 대상물(LD1∼LDN)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를 각 대상물 구동부(LDO1∼LDON)로 공급하고, 대상물(LD1∼LDN)의 상태를 검출하여 상태데이타를 AC 전원선을 통해 원격제어장치(22)로 전송한다. 대상물 구동부(LDO1∼LDON)는 대상물 제어부(LDC1∼LDCN)로부터 공급되는 제어데이타에 따라 대상물(LD1∼LDN)을 제어한다.
원격제어장치(22)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입력부(2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타를 전원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100)와 대상물(LD1∼LDN)로부터 전원선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대상물의 상태데이타를 수신하여 PC(20)로 전송하는 수신부(200)와, 상기 송신부(100) 및 수신부(200)와 결합되어 송신시에 송신부(100)로부터의 데이타를 D/A(Digital to Analog) 변환시킨 후 변조시켜 반송파에 실어 고주파 필터(36)측에 출력하고, 수신시에 고주파 필터(36)로부터 변조신호를 복조시켜 추출한 제어상태 신호를 A/D(Analog to Digital) 변환에 수신부(200)측에 출력하는 데이타 변환부(35)와, 상기 데이타 변환부(35)와 전원선 사이에 결합되어 있어서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주파 필터(36)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장치(22)의 송신부(100)는 데이타 입력부(24)로부터 공급되는 제어데이타가 입력되는 버퍼(31)와, 상기 버퍼(3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데이타를 공급받아 상기 데이타 변환부(35)로 출력하는 다수의 시프트레지스터로 이루어진 시프트레지스터부(SR)와 PC(20)로부터 주소 및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버퍼(31)와 시프트레지스터부(SR)의 각 시프트레지스터로 데이타 전송에 필요한 제어신호르 공급하는 디코더(32)와 상기 디코더(3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시프트레지스터부(SR)의 각 시프트레지스터와 클럭발생부(34)와 상기 데이타 변환부(35)로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래치(33)와, 상기 래치(3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레지스터부(SR)의 각 레지스터로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발생부(3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장치(22)의 수신부(200)는 상기 고주파필터(36)로부터 아날로그 반송파신호를 공급받아 이 반송파신호의 주기에 해당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반송파 검출부(37)와, 상기 데이타 변환부(35)로부터 출력되는 대상물의 상태 데이타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시프트레지스터(38)와, 상기 시프트레지스터(38)에 저장된 데이타를 전송받는 래치(40)와, 상기 반송파 검출부(37)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시프트레지스터(28)와 래치(40)로 클럭신호를 각각 공급하는 클럭발생부(39)와, 상기 송신부(100)의 디코더(32)로 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래치(40)에 저장된 상태 데이타를 전송받아 PC(20)에 공급하는 버퍼(41)를 구비하고 있다.
제 4 도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원격제어장치(22)의 버퍼(31)에 데이타 입력부(24)로부터 입력된 제어데이타에 해당되는 N개의 데이타가 입력되어 저장되며, 디코더(32)는 제 4 도의 S1과 같은 N개의 신호를 시프트레지스터(SR)의 N개의 시프트레지스터(SR1-SRN)에 각각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버퍼(31)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버퍼(31)에 저장된 제어데이타가 상기 N개의 시프트레지스터(SR1∼SRN)에 병렬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디코더(32)는 PC(20)의 입출력 번지 신호를 이용하여 N개의 시프트레지스터(SR1∼SRN)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N개의 데이타가 시프트레지스터부(SR)에 모두 저장되면 이를 알리는 신호가 디코더(32)로부터 래치(33)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래치(33)에서는 상기 시프트레지스터(SR)의 각 시프트레지스터로 데이타 출력금지를 해제시키는 신호(S2)를 공급하고, 클럭발생부(34)로 클럭발생제어신호(S2)를 공급하여 클럭발생부(34)에서 발생되는 데이타 전송을 위한 클럭신호(S4)가 각 시프트레지스터(SR1∼SRN)로 공급되도록 하며, 데이타 변환부(35)로 제어신호(S3)를 공급하여 상기 데이타 변환부(35)가 송신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시프트레지스터부(SR)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S5)는 직렬로 전송되어 상기 데이타 변환부(35)로 공급되고, 데이타 변환부(35)는 송신상태에서 데이타를 D/A 변환시킨 후 변조하여 아날로그 반송파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고주파필터(36)로 전송함으로써, 고주파필터(36)는 전원선을 통해 아날로그 반송파신호(S6)를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2)로부터 출력되는 반송파 신호는 N개의 대상물(LD1∼LDN)에 접속되어 있는 N개의 대상물 제어부(LDC1∼LDCN)로 전원선을 통해 각각 송신된다. 상기 송신된 반송파 신호가 수신되어 처리되는 과정을 제 5 도와 제 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5 도에는 전원선을 통해 전송되는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는 N개의 대상물 제어부(LDC1∼LDCN) 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대상물 제어부의 고주파 필터(51)는 전원선을 통해 전송된 반송파 신호를 필터링하여 통과시켜 반송파 검출부(53)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필터링된 반송파 신호는 데이타 변환부(52)로 전송되며, 수신상태에서 수신된 반송파 신호를 복조한 후 A/D 변환하는 동작을 하는 데이타 변환부(52)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반송파 신호를 복조하여 추출한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함으로써 재생된 N개의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한다. 반송파 검출부(53)는 입력된 반송파 신호의 반송파 주기만큼 유효값을 갖는 디지탈신호(S13)를 출력하여 클럭발생부(54)로 공급함으로써 클럭(S14)이 발생되도록 한다. 시프트레지스터(55)는 데이타 이동을 위한 클럭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데이타 변환부(52)로부터 출력되는 N개의 디지털 데이타(S15)를 공급 받는다. 시프트레지스터(55)는 저장된 데이타를 직렬로 출력하여 번지 비교부(56) 및 래치(57)로 공급한다. 번지비교부(56)에서는 미리 정해져 입력되어 있는 대상물의 고유번지와 시프트레지스터(55)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타를 비교하여 번지가 일치할 때는 전송된 데이타를 래치(57)에 저장시킨다. 래치(57)는 데이타에 포함된 특정 비트에 의해 송신상태 또는 수신상태를 판별하여 그 결과를 제어데이타 변환부(52)로 전송하며, 수신상태(S17)인 경우 저장된 데이타를 대상물 구동부(LDO1)로 전송하여 데이타 값에 따라 대상물(LD1)을 동작시키고, 송신상태(S16)인 경우 시프트레지스터(59)로 송신상태를 알리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시프트레지스터(59)는 대상물 상태 검출부(58)로부터 공급되어 저장된 대상물 상태 데이타를 출력하여 데이타 변환부(52)로 전송한다. 데이타 변환부(52)는 송신상태에서 데이타를 D/A 변환시킨 후 변조시킴으로써 시프트레지스터(59)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상태 데이타를 아날로그 반송파 신호로 변환하여 고주파필터(51)를 거쳐 전원선을 통해 상기 원격제어장치(22)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대상물 제어부(LDC1∼LDCN)로부터 전원선을 통해 전송되는 반송파 신호가 원격제어장치(22)에서 수신되어 처리되는 과정을 제 3 도 및 제 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원격제어장치(22)의 고주파필터(36)는 전원선을 통해 입력되는 반송파신호(S7)를 필터링하여 데이타 변환부(35) 및 반송파 검출부(37)로 전송한다. 반송파 검출부(37)는 입력되는 반송파 신호의 반송파 주기 만큼 유효한 값을 갖는 디지탈신호(S8)를 출력하여 클럭발생부(39)로 공급함으로써 클럭신호(S9)가 발생되도록 한다.
수신부(200)의 시프트레지스터(38)는 상기 클럭신호(S9)를 공급받으며, 상기 데이타 변환부(35)로부터 직렬로 전송되는 디지탈 데이타(S10)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시프트레지스터(38)에 저장된 데이타는 외부잡음에 의한 데이타 변환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신호(S11)에 의해 래치(4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래치(40)에 저장된 데이타는 버퍼(41)로 전송되며, 디코더(32)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S12)에 의해 버퍼(41)에 저장된 데이타는 PC(20)로 독출되므로써 대상물(LD1~LDN)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또한, 제 7 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PC 이용 원격제어수단의 자동원격제어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PC(20)는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RTC로부터 제어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읽어들인 다음 이 읽어들인 날짜가 공휴일 또는 평일 또는 토요일인지를 판별한다.
이와 같이 PC(20)는 현재 날짜를 구별하므로써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각 날짜에 따라 상주처리 또는 비상주처리 한다. PC(20)는 현재 날짜를 판별한 다음 현재 시간을 검사하여 24시인 경우 RTC에서 다음 날짜를 읽어들이고 24시가 아닌 경우 상기 판별된 날짜에 따라 상주 또는 비상주 처리가 수행되도록 상주/비상주 프로그램을 로딩한다. 그런 다음, PC(20)는 데이타 입력부(24)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타가 있는가를 검사하여 입력 데이타가 없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22)를 통해 대상물(LD1∼LDN) 제어에 필요한 데이타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데이타 입력부(24)로부터의 입력 데이타가 있는 경우 이를 판독하여 종료이면 제어 동작을 종료하고, 종료가 아니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원격제어장치(22)를 통해 제어에 필요한 데이타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그후, PC(2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상주 및 비상주 데이타에 의해 현재 날짜와 시간이 사용자 상주기간인가를 판별하여 사용자 상주기간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데이타가 우선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상주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상주기간이 아닌 경우에는 미리 입력된 제어데이타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는 비상주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PC(20)는 한 대상물 제어부(LDC1∼LDCN)에 대한 송수신 데이타를 처리하면 다음 대상물 제어부에 해당되는 포트를 재지정한다. PC(20)는 상기 재지정된 포트가 마지막인가를 판별하여 마지막이 아니면 상기 데이타 송수신 과정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포트가 마지막이면 다시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RTC로부터 읽어들이므로써 대상물의 제어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PC이용 원격제어방법은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를 사용자가 데이타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여 송신하고 대상물의 상태를 검사하여 그 결과 얻어진 상태 데이타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공휴일 및 근무의 시간 등 사용자 부재시에도 미리 입력된 비상주 프로그램에 의해 대상물의 제어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데이타 및 대상물 상태 데이타가 송수신됨에 있어서 별도의 전용선 대신 AC 전원선이 사용되므로 설치에 번거로움이 없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PC(20)를 이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LD1∼LDN)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므로써 상기 대상물(LD1∼LDN)을 임의로 제어하고 상기 대상물(LD1∼LDN)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PC이용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PC에 내장된 RTC로부터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읽어들이는 제 1 과정; 상기 제 1 과정이후 상기 판독된 날짜가 공휴일, 평일 또는 토요일인가를 미리 입력된 데이타에 의해 판별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이후 상기 판별된 날짜의 현재 시간이 24시인가를 검사하는 제 3 과정; 상기 제 3 과정에서 상기 판별된 날짜의 현재시간이 24시인 경우 상기 제 1 과정으로 귀환하여 RTC로부터 다음 날짜를 읽어들이는 제 4 과정; 상기 제 3 과정에서 상기 판별된 날짜의 현재시간이 24시가 아닌 경우 해당 날짜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상주/비상주 처리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제 5 과정; 상기 제 5 과정 이후 데이타 입력부로부터 데이타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는 제 6 과정; 상기 제 6 과정에서 입력데이타가 없는 경우 원격제어에 필요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제 7 과정; 상기 제 6 과정에서 입력데이타가 있는 경우 이를 판독하여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8 과정; 상기 제 8 과정에서 입력데이타가 종료인 경우 제어동작 수행을 끝내는 제 9 과정; 상기 제 8 과정에서 입력데이타가 종료가 아니면 상기 제 7 과정으로 귀환하여 원격제어에 필요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제 10 과정; 상기 제 7 과정 또는 제 10 과정 수행후 미리 입력된 데이타에 의해 현재 날짜와 시간이 사용자 상주기간인가를 판별하는 제 11 과정; 상기 제 11 과정에서 판별결과 사용자 상주기간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데이타에 따라 상주처리를 수행하는 제 12 과정; 상기 제 11 과정에서 판별결과 사용자 상주기간이 아닌 경우 미리 입력된 데이타에 따라 비상주처리를 수행하는 제 13 과정; 상기 제 12 과정 또는 제 13 과정 수행 후 다음 대상물 제어부에 해당되는 포트를 재지정하는 제 14 과정; 상기 제 14 과정에서 재지정된 포트가 마지막 포트인가를 판별하는 제 15 과정; 상기 제 15 과정에서 재지정된 포트가 마지막 포트가 아니면 상기 제 7 과정으로 귀환하는 제 16 과정; 상기 제 15 과정에서 재지정된 포트가 마지막 포트이면 상기 제 1 과정으로 귀환하는 제 17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이용 원격제어방법.
KR1019910017747A 1991-10-10 1991-10-10 Pc이용 원격제어방법 KR940011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747A KR940011502B1 (ko) 1991-10-10 1991-10-10 Pc이용 원격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747A KR940011502B1 (ko) 1991-10-10 1991-10-10 Pc이용 원격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558A KR930008558A (ko) 1993-05-21
KR940011502B1 true KR940011502B1 (ko) 1994-12-19

Family

ID=1932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747A KR940011502B1 (ko) 1991-10-10 1991-10-10 Pc이용 원격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15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558A (ko) 199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3335A (en) Power-saving type receiver
US5373453A (en) Centralized apparatus for displaying disordered locations of lighting fixtures and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of the disorders
KR940011502B1 (ko) Pc이용 원격제어방법
US20020036720A1 (en) Multi remote control transmitter, video apparatus, and format preset support method for same apparatus
US5778312A (en)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function to detect power voltage
US6970072B1 (en) Home automation module having externally powered communications port
KR940011500B1 (ko) Pc이용 원격제어수단 및 방법
KR100189593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데이타 송신 제어 장치
US6603387B1 (en) Programming of RF transmitter identification data by monitoring power
US4554532A (en) Automatic receiver gain control in centralized monitor system
KR940011501B1 (ko) Pc이용 원격제어 방법
JPS62107357A (ja) 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0334403B1 (ko) Dsrc 차량탑재기
KR100786306B1 (ko)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401868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packet
KR100237059B1 (ko) 원격 감시/제어 방법
KR970004898B1 (ko) 자동차 원격 시동장치를 가지는 집단주택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22905B1 (ko) 티브이(tv)의 리모콘수광부를 이용한 무선키보드 제어장치
KR0158861B1 (ko) 티브이씨알/브이티알 자동시간조정장치
KR960003032B1 (ko) 키폰시스템의 전원제어 방법 및 장치
KR980007812A (ko) 복수개의 세트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18568B1 (ko) 무인경비용무선데이터통신시스템및수신신호처리방법
KR100347897B1 (ko) 무선통신에서의에러검출방법과에러검출장치
JPS61288295A (ja) 異常状態警報装置
KR200188670Y1 (ko) 전원케이블을 이용한 냉동콘테이너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