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276B1 - 살충효과를 갖는 n-치환-n'-치환-n,n'-디아실히드라진 화합물 - Google Patents

살충효과를 갖는 n-치환-n'-치환-n,n'-디아실히드라진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276B1
KR940010276B1 KR1019870003273A KR870003273A KR940010276B1 KR 940010276 B1 KR940010276 B1 KR 940010276B1 KR 1019870003273 A KR1019870003273 A KR 1019870003273A KR 870003273 A KR870003273 A KR 870003273A KR 940010276 B1 KR940010276 B1 KR 94001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butyl
hydrazine
substituted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079A (ko
Inventor
어거스트 머피 레이먼드
치-퉁수 아담
Original Assignee
롬 앤드 하스 캄파니
윌리엄 이. 램버트 3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앤드 하스 캄파니, 윌리엄 이. 램버트 3세 filed Critical 롬 앤드 하스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1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43/00Compounds containing chains of nitrogen atoms singly-bound to each other, e.g. hydrazines, triazanes
    • C07C243/10Hydrazines
    • C07C243/12Hydrazines having nitrogen atoms of hydrazin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43/00Compounds containing chains of nitrogen atoms singly-bound to each other, e.g. hydrazines, triazanes
    • C07C243/24Hydrazines having nitrogen atoms of hydrazine groups acylated by carboxylic acids
    • C07C243/38Hydrazines having nitrogen atoms of hydrazine groups acylated by carboxylic acids with acylat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the group;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That Contain Two Or More Ring Oxygen At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살충효과를 갖는 N-치환-N'-치환-N,N'-디아실히드라진 화합물
본 발명은 살충제로서 유용한 신규 N-치환-N'-치환-N,N'-치아실히드라진 화합물, 그러한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큰 활성과 우수한 선택성, 낮은 해로운 환경적영향, 낮은 생산단자 및 다양한 공지살청제들에 저항적인 해충류에 대하여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류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살충활성 및 낮은 독성을 갖는 화합물류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일종의 히드라진류 및 히드라지드 유도체들 다음과 같은 문헌들에 공지되어 있다.
Aust. J. Chem. 523-529(1972)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질소원자가 알킬화 또는 페닐화된 여러 가지 N,N'-벤조일 히드라진 유도체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러한 화합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보고된 바 없다.
61 Helv. Chim. Acta, 1477-1510(1978)에는 여러 가지 N,N'-디벤조일 히드라진 및 히드라지드 유도체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그 화합물들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진 바 없다.
44 J.A.C.S., 2556-2567(1922)에는 이소프로필히드라진, (CH3)2CH-NH-NH, 대칭성 디이소프로필 히드라진, 디벤조일이소프로필히드라진 및 유도체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 화합물들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44 J.A.C.S., 1577-1564(1972)에는 이소프로필, 멘틸 및 보닐 세마카바지드류가 개시되어 있으나, 그러한 화합물들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보고된 바 없다.
48 J.A.C.S., 1030-1035(1926)에는 대칭성 디-메틸페닐메틸 히드라진, 및 1,2-비스-메틸페닐메틸-4-페닐 세미카바지드를 포함한 일종의 언관화합물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그 화합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진 바 없다.
27 Bull. Chim. Soc. Japan, 624-627(1954)에는 알파. 베타-디벤조일페닐 히드라진을 포함한 일종의 히드라진 유도체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 화합물들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J. Chem. Soc.(C), 1531-1536(1966)에는 N,N'-디벤조일페닐 히드라진 및 N-아세틸-N'-벤조일-P-니트로페닐 히드라진이 개시되어 있지만, 그들의 생물학적 활성은 보고되지 않았다.
56B Chem. Berichte, 954-962(1923)에는 대칭성 디-이소프로필 히드라진, N,N'-디이소부틸디벤조일 히드라진 등의 대칭성 디이소부틸 히드라진 유도체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들의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590 Annalem. der Chemie, 1-36(1954)에는 N'-메틸- 및 N'-(2-페닐)-이소프로필-N,N'-디 벤조일히드라진을 포함한 일종의 N,N'-디벤조일 히드라진 유도체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 화합물들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진 바 없다.
J. Chem. Soc., 4191-4198(1952)에는 N,N'-디-n-프로필 히드라진 및 비스-3,5-디니트로 벤조일 히드라진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들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보도되지 않았다.
32 Zhur. Obs. Khim., 2806-2089(1962)에는 N'-2,4-메틸-2,4-펜타디엔-N,N'-디벤조일 히드라진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17 Acta. Chim. Scand., 95-102(1963)에는 2-벤조일티오벤즈히드라지드(C6H5-CS-NHNH-CO-C6H5), 및 1,2-디벤조일-벤질 히드라진을 포함한 일종의 히드라진 화합물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들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25 Zhur. Obs. Khim, 1719-1723(1955)에는 N,N'-비스시클로헥실 히드라진과 N,N'-디벤조일시클로헥실 히드라진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들의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진 바 없다.
J. Chem. Soc., 4793-4800(1964)에는 N,N'-디벤조일 시클로헥실 히드라진과 트리벤조일 히드라진을 포함한 일종의 디벤조일 히드라진 유도체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그들에 대하여 생물학적 활성이 보고된 바는 없다.
36 J. Prakt. Chem., 197-201(1967)에는 N'-에틸-:N'-n-프로필-:N'-이소프로필-:N'-네오펜틸-:N'-n-헵틸-: 및 N'-시클로헥실메틸-N,N'-디벤조일 히드라진 화합물들을 포함한 여러 가지 디벤조일 히드라진 유도체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 화합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진 바다.
26 J.O.C., 4336-4340(1961)에는 N'-t-부틸-N,N'-디-(t-부톡시카보닐)히드라진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의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41 J.O.C., 3763-3765(1976)에는 N'-t-부틸-N-(페닐메톡시카보닐)-N'-(클로로카보닐)히드라지드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의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94 J.A.C.S., 7406-7416(1972)에는 N'-t-부틸-N,N'-디메톡시카보닐 히드라지드가 개시되어 있으나, 그의 생물학적 활성은 보고된 바 없다.
43 J.O.C., 808-815(1978)에는 N'-t-부틸-N-에톡시카보닐-N'-페닐아미노카보닐 히드라지드 및 N'-t-부틸-N-에톡시카보닐-N'-메틸아미노카보닐 히드라지드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으나, 그들 화합물들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26 J.A.C., 4336-4340(1961)에는 N'-t-부틸-N,N'-디-(t-부톡시카보닐)히드라지드가 개시되어 있으나, 그의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41 J.O.C., 3763-3765(1976)에는 N'-t-부틸-N-(페닐메톡시카보닐)N'-(클로로카보닐)히드라지드가 개시되어 있으나, 그의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있었다.
94 J.A.C.S., 7406-7416(1972)에는 N'-t-부틸-N,N'-디메톡시카보닐 히드라지드가 개시되어 있으나, 그의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나, 그의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39 J. Econ. Ent., 416-147(1946)에는 일종의 N-페닐-N'-아실히드라진류가 개시되어 있으며, 코들링 나방유충(codling moth larvae)에 대한 그들의 독성이 평가되어 있다.
본 발명의 N-치환-N'-치환-N,N'-디아실히드라진 화합물류는 그들의 N-치환체들 및 N'-치환체들에 의하여 공지의 화합물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식용경작물, 관상작물, 산림작물등에 대하여 파괴영향을 주는 해충들의 구제에 특히 적합하다.
본 화합물들은 레피도프테라(Lepidoptera) 및 클레오프테라(Coleoptera)종의 해충들에 대한 그들의 우수한 살충활성에 의하여 공지화합물들과는 대별되어야 하는 신규 화합물들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우수한 살충활성을 갖는 살충제조성물 및 그러한 조성물들의 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살충제조성물은, 살충효과적 인양의, 다음 일반식( I )의 화합물 및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매개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kpo00001
식중, X와 X'는 각각 산소(O), 황(S) 또는 NR기이고, R1은 비치환 분재쇄(C3-C10)알킬기이거나 또는 2개 이하의 서로 같거아 다른 (C3-C6)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직쇄(C1-C4)알킬기이고, R2는 (C1-C6)알킬기; 각 알킬그룹이 C1-C6인 알콕시알킬기; 각 알킬그룹이 C1-C6인 알킬티오알킬기; 알케닐기(C-C);알키닐기(C-C); 또는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2-C6)알킬기,(C2-C6)할로알킬기, (C1-C4)알콕시기, (C1-C4)할로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펜(C1-C4)알킬기이며, A와 B는 각각 비치환 나프틸기나 비치환 페닐기 ; 또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수산기, (C1-C4)알콕시기, (C1-C4)알킬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 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5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나프틸기; 또는 할로겐; 니트로조; 니트로; 시아노; 수산기; (C1-C6)알킬기; (C1-C6)시아노알킬기; (C1-C6)알콕시기; (C1-C6)할로알콕시기; 각 알킬그룹이 C1-C6인 알콕시알킬기; 각 알킬그룹이 C1-C6인 알콕시알콕시기; (C1-C6)알콕시카보닐옥시기(-OCO2R); 할로겐, 시아노,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C1-C4)할로알콕시기 또는 (C1-C4)알킬티오기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C2-C6)알케닐기; (C2-C2)케닐카보닐기; (C2-C6)알카디에닐기;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콕시기, (C1-C4)할로알콕시기 또는 (C1-C4)알킬티오기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C2-C6)알키닐기; (C2-C6)알키닐카보닐기; 카르복시기; 각 알킬그룹이 C1-C6인 카르복시알킬기(-RCO2R'); -COR; (C1-C6)할로알킬카보닐기; (C1-C6)시아노알킬카보닐기; (C1-C6)니트로알킬카보닐기; (C1-C6)알콕시카보닐기; (C1-C6)할로알콕시카보닐기; (C1-C6)알칸오일옥시기(-OCOR); 아미조기(-NRR'); 수산기, (C1-C4)알콕시기 또는 (C1-C4)알킬티오기로 치환된 아미노기; 페닐아미노기; 디페닐아미노기; 카르복스아미도기(-CONRR'); 카바모일옥시기(-OCONRR'); 아미디노기(-C(NR)NR'R"); 알킬아조기(-N=NR); 페닐아조기; 아미도기(-NRCOR'); 알콕시카보닐아미노기(-NRCO2R'); 아미도기(-N(COR)COR'); 알킬카보닐아미노카보닐옥시기(-OCONRCOR'); 술프히드릴기; 할로티오기; 티오시아나토기; (C1-C6)알킬티오기; (C1-C6)할로알킬티오기; 술피닐기(-SOR); 술포닐기(-SO2R); 페닐술포닐기; 술포네이트기(-OSO2R); (C1-C6)할로알킬술포닐옥시기; 술폰아미드기(-SO2-NRR'); 알킬술폰아미드기(-NRSOR', -NRSO2R'); 알킬티오카보닐기(-SCOR); 각 알킬그룹이 C1-C6인 트리알킬실릴기;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 페닐고리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펜옥시기; 페닐고리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벤조일기; 페닐고리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펜옥시카보닐기; 페닐고리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티오기; 및 이미노기(-CR=N-R2, 여기서 R2는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아미노기(-NRR'), 페닐아미노기, -COR,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벤조일기, 펜옥시카보닐기 또는 아미노카보닐기(-CONRR')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5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페닐고리의 인접 두위치가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5원자- 또는 6원자-디옥소라노 또는 디옥사노 페테로 고리를 형성하도록 치환된 페닐기임.
한편, 상기 설명중 미설명부호인 R,R'와 R"는 각각 수소, (C1-C6)알킬기를 의미하며, Z와 Z'는 각각 수소 또는 (C1-C4)알킬기를 의미함. 한편,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상기 화합물의 염들도 본 발명에 영역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한, "할로겐"은 염소, 불소, 브롬, 요소를 의미하고, "알킬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이소부틸, 네오펜틸등과 같은 직쇄 및 분지쇄 그룹을 포함하는 것이고 "할로알킬기"는 1-또는 2-브로모에틸, 클로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등과 같이 알킬그룹이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시아노알킬기"는 알킬그룹 하나이상의 시아노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할로알콕시기"는 디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에톡시, 2-플루오로에톡시,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등과 같이 알콕시그룹의 탄소원자들이 최소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알케닐기"와 "알키닐기"는 직쇄 및 분지쇄 화합물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그밖에 "알카디에닐기"는 1,3-부타디에닐과 같이 두 개의 C=C 결합이 교접된 것, 1,2-프로파디에닐과 같이 연접된 것 또는 1,4-펜타디에닐과 같이 분리된 것을 포함하여 직쇄 및 분지쇄그룹 모두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화합물을 예로서 열거하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었다.
N-메틸-N'-t-부틸-N,N'-비스(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4-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4-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4-아니소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3-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3-아니소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2-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4-시아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3-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4-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아니소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아니소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아니소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n-부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시아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4-t-부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시아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5-디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6-디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5-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N-메틸-N'-t-부틸-N-벤조일-N'-(2,6-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t-부틸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클로로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1-나프토일)-N'-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디나프토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3-클로로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클로로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톨루오일)-N'-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2,2-트리메틸에틸)-N,N'-디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클로로-4-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5-디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3-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클로로-5-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5-디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니트로-5-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메틸-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클로로-4-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니트로-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3-메톡시-4-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니트로-3-메톡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4-디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5-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2-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4-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2,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4-클로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2-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아니소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메탄술포닐옥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이소프로필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아세톡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에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2-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벤조일-N'-(4-히드록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2-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3-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2-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4-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2,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3,5-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4-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3-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2-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2-나프토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이소부틸벤조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브로모벤조일)-N'-(4-에테닐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톨루오일)-N'-(4-에티닐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1-히드록시-2-프로피닐)벤조일-N'-(3,4-메틸렌디옥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3-페녹시벤조일)-N'-(2-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4-디클로로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에틸조일)-N'-(2-디플루오로메톡시-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이소프로필-N'-(4-클로로-2-브로모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2,2-디메틸에틸)-N-(3-브로모메틸벤조일)-N'-(4-이소프로필옥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메틸벤조일)-N'-(2-카르복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메틸프로필)-N-(4-카르복시벤조일)-N'-(3,4,5-트리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프로판오일벤조일)-N'-4-(4-펜테닐)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2,2-트리메틸프로필)-N-2-(에톡시-2-에톡시)벤조일-N'-4-(2-에틸부탄오일)벤조일 히드라진, N-메틸-N'-t-부틸-N-(6-브로모-2-나프토일)-N'-(4-벤조일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이소프로필-N-(4-(2-펜탄오일)벤조일)-N'-(3-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브로모-2-시아노벤조일)-N'-(6-(5-옥소테트라히드로나프토일)히드라진, N-메틸-N'-(2,2-디메틸프로필)-N-(4-t-부틸옥시카보닐벤조일)-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벤질옥시카보닐벤조일)-N'-(2-메톡시-4-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카보닐)-3-메틸벤조일-N'-(2,4-디클로로-3-히드록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이소프로필-N-(3-프로판오일옥시벤조일)-N'-(2,5-디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2,2-트리메틸프로필)-N-(4-프로필벤조일)-N'-(3-에톡시카르보닐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3,5-디메틸벤조일)-N'-(4-t-부틸카보닐옥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메틸프로필)-N-(2-아미노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일)-N'-(4-메틸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디메틸아미노벤조일)-N'-(4-아세틸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메탄술포닐아미노벤조일)-N'-(2-클로로-3-(N'-페닐히드라지노포르밀)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메틸프로필)-N-(2-아미노카보닐벤조일)-N'-(2-클로로-4-에틸아미노카보닐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이소프로필-N-(4-메틸-3-디메틸아미노카보닐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2,2-트리메틸프로필)-N-(4-트리플루오로메톡시-2-클로로벤조일)-N'-(4-메톡시카보닐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카르복시메틸벤조일)-N'-(4-디메틸아미노카보닐옥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3-메틸아미노카보닐옥시벤조일)-N'-(2-클로로-4-(N-아세톡시아미노카보닐옥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이소프로필-N-(4-메톡시-3-브로모벤조일)-N'-(4-술프히드릴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메틸프로필)-N-(3-클로로-5-술프히드릴벤조일)-N'-(3-페닐아조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2,2-디메틸프로필)-N-(2-메틸티오벤조일)-N'-(2-클로로-4-(1,3-디옥솔라노-2-일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3-메탈술피닐벤조일)-N'-(3,4,5-트리메톡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2,2-트리메틸프로필)-N-(3-페닐술포닐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3-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벤조일)-N'-(2-클로로-4-트리클로로메틸티오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요오드벤조일)-N'-(4-아미노술포닐옥시)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5-디클로로벤조일)-N'-(4-트리메틸실릴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2,2-트리메틸프로필)-N-(4-아세틸티오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메틸티오카보닐옥시벤조일)-N'-(3-클로로-4-포르밀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3-메틸티오카보닐벤조일)-N'-(4-펜타플루오로에톡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펜타플루오로벤조일)-N'-(4-페닐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6-클로로페닐벤조일)-N'-(3-클로로-4-아세틸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이소프로필-N-(3-히드록시아미노벤조일)-N'-(4-트리브로모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2,2-트리메틸프로필)-N-(4-아미노카보닐아미노벤조일)-N'-(2-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1-메틸프로필)-N-(4-플루오로-3-브로모클로로메틸벤조일)-N'-(3-시아노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프로필티오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클로로메틸카보닐벤조일)-N'-(3,4-브로모노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3-트리클로로에테닐벤조일)-N'-(4-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이소프로필-N-(4-(1,3-디메틸부틸)벤조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니트로벤조일)-N'-(2,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N'-메틸포름아미디노일)벤조일)-N'-(3-클로로-4-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이소프로필-N-(2,6-디클로로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3,4-트리클로로벤조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2-클로로벤조일)-N'-(4-클로로술페닐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4-알레닐벤조일)-N'-(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N'-t-부틸-N,N'-비스(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4-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4-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4-아니소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3-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3-아니소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2-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4-시아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3-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4-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4-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4-아니소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아니소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아니소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4-t-부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4-시아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4-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4-t-부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4-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시아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5-디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6-디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5-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6-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t-부틸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클로로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1-나프토일)-N'-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디나프토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3-클로로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클로로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톨루오일)-N'-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1,2,2-트리메틸에틸)-N,N'-디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클로로-4-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5-디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3-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클로로-5-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5-디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니트로5-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메틸-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클로로-4-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니트로-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3-메톡시-4-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니트로-3-메톡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벤조일-N'-(2,4-디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5-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2-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4-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2,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4-클로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2-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아니소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벤조일)-N'-(3,5-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메틸-N'-t-부틸-N-벤조일-N'-(4-메탄술포닐옥시벤조일)히드라진, N-에메틸-N'-t-부틸-N-벤조일-N'-(4-이소프로필벤조일)히드라진, N-에메틸-N'-t-부틸-N-벤조일-N'-(2-아세톡시벤조일)히드라진, N-에메틸-N'-t-부틸-N-벤조일-N'-(4-에틸벤조일)히드라진, N-에메틸-N'-t-부틸-N-벤조일-N'-(2-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에메틸-N'-t-부틸-N-벤조일-N'-(4-히드록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2-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3-톨루오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2-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4-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2,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3,5-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4-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3-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2-플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N'-비스(2-나프토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이소부틸벤조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브로모벤조일)-N'-(4-에테닐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톨루오일)-N'-(4-에티닐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부틸-N-[4-(1-히드록시-2-프로피닐)벤조일]-N'-(3,4-메틸렌디옥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3-페녹시벤조일)-N'-(2'-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4-디클로로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에틸벤조일)-N'-(2-디플루오로메톡시-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이소프로필-N'-(4-클로로-2-브로모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2,2-디케틸에틸)-N-(3-브로모메틸벤조일)-N'-(4-이소프로필옥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메틸벤조일)-N'-(2-카르복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메틸프로필)-N-(4-카르복시벤조일)-N'-(3,4,5-트리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프로판오일벤조일)-N'-4-(4-펜테닐)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2,3-트리메틸프로필)-N-[2-(에톡시-1-에톡시)벤조일]-N'-[4-(2-에틸부탄오일)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6-브로모-2-나프토일)-N'-(4-벤조일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이소프로필-N-(4-(2-펜탄오일)벤조일)-N'-(3-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브로모-2-시아노벤조일)-N'-(6-(5-옥소테트라히드로나프토일)히드라진, N-에틸-N'-(2,2-디메틸프로필)-N-(4-t-부틸옥시카보닐벤조일)-N'-(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벤질옥시카보닐벤조일)-N'-(2-메톡시-4-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카보닐)-3-메틸벤조일]-N'-(2,4-디클로로-3-히드록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이소프로필-N-(3-프로판오일옥시벤조일)-N'-(2,5-디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2,2-트리메틸프로필)-N-(4-프로필벤조일)-N'-(3-에톡시카보닐옥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3,5-디메틸벤조일)-N'-(4-부틸카보닐옥신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메틸프로필)-N-(2-아미노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일)-N'-(4-메틸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디메틸아미노벤조일)-N'-(4-아세틸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3-포르밀벤조일)-N'-(2-클로로-4-(N-히드록시포름이미노일)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메탄술포닐아미노벤조일)-N'-(2-클로로-3-(N'-페닐히드라지노포르밀)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메틸프로필)-N-(2-아미노카보닐벤조일)-N'-(2-클로로-4-에틸아미노카보닐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이소프로필-N-(4-메틸-3-디메틸아미노카보닐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2,2-트리메틸프로필)-N-(4-트리플루오로메톡시-2-클로로벤조일)-N'-(4-메톡시카보닐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카르복시메틸벤조일)-N'-(4-디메틸아미노카보닐옥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3-메틸아미노카보닐옥시벤조일)-N'-(2-클로로-4-(N-아세톡시아미노카보닐옥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이소프로필-N-(4-메톡시-3-브로모벤조일)-N'-(4-술프히드릴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메틸프로필)-N-(3-클로로-5-술프히드릴벤조일)-N'-(3-페닐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2,2-디메틸프로필)-N-(2-메틸티오벤조일)-N'-(2-클로로-4-(1,3-디옥솔라노-2-일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3-메탄술피닐벤조일)-N'-(3,4,5-트리메톡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이소프로필-N-(3-프로판오일옥시벤조일)-N'-(2,5-디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2,2-트리메틸프로필)-N-(3-페닐술포닐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3-트리플루오로메탈술포닐옥시벤조일)-N'-(2-클로로-4-트리클로로메틸티오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요오드벤조일)-N'-(4-아미노술포닐옥시)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S-디클로로벤조일)-N'-(4-트리메틸실릴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2,2-트리메틸프로필)-N-(4-아세틸티오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메틸티오카보닐티옥시벤조일)-N'-(3-클로로-4-포르밀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3-메틸티오카보닐벤조일)-N'-(4-펜타플루오로에톡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펜타플루오로벤조일)-N'-(4-페닐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6-클로로페닐벤조일)-N'-(3-클로로-4-아세틸아미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이소프로필-N-(3-히드록시아미노벤조일)-N'-(4-트리브로모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2,2-트리메틸프로필)-n-(4-아미노카보닐아미노벤조일)-N'-(2-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1-메틸프로필)-N-(4-플루오로-3-브로모클로로메틸벤조일)-N'-(3-시아노메틸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프로필티오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클로로메틸카보닐벤조일)-N'-(2-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3-트리클로로에테닐벤조일)-N'-(4-풀루오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이소프로필-N-(4-(1,3-디메틸부틸)벤조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니트로조벤조일)-N'-(2,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N'-메틸포름아미디노일벤조일)-N'-(3-클로로-4-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이소프로필-N-(2,6-디클로로벤조일)-N'-(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3,4-트리클로로벤조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2-클로로벤조일)-N'-(4-클로로술페닐벤조일)히드라진, N-에틸-N'-t-부틸-N-(4-알레닐벤조일)-N'-(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벤질-N'-t-부틸-N-(4-클로로벤조일)-N'-(4-에틸벤조일)히드라진, N-알릴-N'-t-부틸-N-(4-에틸벤조일)-N'-(3-에틸벤조일)히드라진, N-벤질-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 N-알릴-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 N-메톡시메틸-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 N-메틸티오메틸-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 N-메틸티오메틸-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 N-메틸티오메틸-N'-t-부틸-N,N'-비스(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톡시메틸-N'-t-부틸-N-(2-클로로벤조일)-N'-(2,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펜틸티오메틸-N'-t-부틸-N-(4-톨루오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트리메틸실록시메틸-N'-2,2-디메틸프로필-N-(4-메톡시-3-클로로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이소프로필-N'-2,2-디메틸프로필-N-(4-클로로벤조일)-N'-*3-에틸벤조일)히드라진, N-프로파길-N'-2,2-디메틸프로필-N-(4-톨루오일)-N'-(2-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프로필-N'-t-부틸-N-(3-에톡기벤조일)-N'-(2-브로모벤조일)히드라진, N-헥실-N'-t-부틸-N-(3,4-디클로로벤조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3,5-디니트로벤질)-N'-t-부틸-N,N'-비스(2-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2,4-디클로로벤질)-N'-(1,2,2-트리메틸프로필)-N-(4-브로모벤조일)-N'-(3-톨루오일)히드라진, N-(4-메톡시벤질)-N'-(2,3-트리메틸프로필)-N-(4-에톡시벤조일)-N'-(3-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3-니트로벤질)-N'-이소프로필-N-(4-에틸벤조일)-N'-(3-톨루오일)히드라진, N-알릴-N'-이소프로필-N-(4-톨루오일)-N'-(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알릴-N'-(1,2,2-트리메틸프로필)-N-(3-메톡시벤조일)-N'-벤조일히드라진, N-프로필-N'-이소프로필-N-(4-메틸티오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프로파길-N'-t-부틸-N-(4-에틸벤조일)-N'-(3,5-디메틸벤조일)히드라진, N-메톡시메틸-N'-t-부틸-N-(4-프로필벤조일)-N'-(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톡시메틸-N'-t-부틸-N-(4-비닐벤조일)-N'-(3,5-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티오메틸-N'-t-부틸-N-(4-톨루오일)-N'-(2-니트로벤조일)히드라진, N-메틸니오메틸-N'-t-부틸-N-(2-클로로벤조일)-N'-(3-톨루오일)히드라진, N-메틸니오메틸-N'-이소프로필-N-아니소일-N'-벤조일히드라진, N-페닐티오메틸-N'-t-부틸-N-(4-톨루오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및 N-(트리메틸실릴옥시메틸)-N'-(4-에틸벤조일)-N'-(2-클로로-5-메틸벤조일)히드라진 등.
한편, 우수한 살충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상기 일반식( I )에서 X,X',R1,R2,A 및 B가 각각 다음과 같은 화합물류이다.
X와 X'는 각각 산소(O)또는 황(S)이고, R1은 비치환 분지쇄(C3-C8)알킬기이고, R2는 (C1-C4)알킬기, 각 알킬 그룹이 C1-C4인 알콕시알킬기, 메틸티오메틸기, (C2-C5)알케닐기, (C2-C5)알키닐기, 또는 페닐고리가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된 쪼는 치환되지 않은 벤질기이며, A와 B는 각각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비치환 나프틸기 또는 비치환 페닐기, 또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시아노알킬기, (C1-C4)알콕시기, (C1-C4)할로알콕시기, -COZ,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C2-C6)알케닐기, (C2-C6)알카디에닐기, (C2-C6)알카닐기, -NZZ', 티오시아나토기, (C1-C4)알칼티오기, 알킬티오카보닐기, 알킬카보닐티오기(-SCOZ), 각 알킬그룹이 C1-C4인 트리알킬실릴기, 할로겐, 니트로(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2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 페닐고리가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같거나 다른 2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되었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것인 페녹시기로 구성된 그룹 (상기 설명중, Z와 Z'는 각각 수소 또는 (C1-C4)알킬기임)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페닐고리의 인접 두위치가 알콕시기들로 치환되어 5원자- 또는 6원자고리의 디옥소라노 또는 디옥사노 헤테로 고리를 형성한 치환 페닐기임.
본 발명의 점도 바람직한 화합물류는 일반식( I )에서 X,X',R1,R2,A 및 B가 각각 다음과 같은 것이다.
X와 X'는 각각 산소(O) 또는 황(S)이고, R1은 분지쇄(C4-C7)알킬기이고, R2는 메틸, 메틸, 각 알킬그룹이 C1-C2인 알콕시 알킬기, (C2-C5)알케닐기, (C2-C5)알키닐기, 또는 페닐고리가 할로겐으로 치환되었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질기이며, A와 B는 각각 서로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비치환 나프틸기 또는 비치환 페닐기이거나, 또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시아노알킬기, (C1-C4)알콕시기, 각 알킬그룹이 C1-C4인 알콕시알킬기, -COZ,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티오시아나토기, 페닐고리가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사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2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 및 페닐고리가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사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2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녹시기로 구성된 그룹(상기에서 미설명부호 Z와 Z'는 각각 수소 또는 (C1-C4)알킬기임)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기임.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류는 일반식 ( I )에서 X,X',R1,R2,A 및 B가 각각 다음과 같은 것이다.
X와 X'는 각각 산소(O)이고, R1은 t-부틸, 네오펜틸, 2,2-디메틸프로필 또는 1,2,2-트리메틸프로필이고, R2는 메틸, 메톡시메틸, (C2-C4)알케닐기, (C2-C5)알키닐기, 벤질 또는 4-할로벤질기이며, A와 B는 각각 비치환 페닐기, 또는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및 (C1-C4)할로알킬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기임.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류는 일반식( I )에서 X,X',R1,R2,A 및 B가 각각 다음과 같은 것이다.
X와 X'는 각각 산소(O)이고, R1은 t-부틸이고, R2는 (C2-C5)알킬린기이며, A와 B는 각각 비치환 페닐기, 또는 클로로, 플루오로, 요오도, 브로모, 메틸, 에틸, 메톡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2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기임.
일반식 I의 N-치환-N'-치환-N,N'-디아실히드라진류는 그의 산성기 또는 염기성기가 추후 반응되어 접합한 염기나 산기를 갖는 새로운 염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염들 또는 살충 활성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염들은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금속염들, 암모늄염들 및 산부가 염들이다. 금속염들은 금속 양이온이 나트륨, 칼륨, 리튬 등과 같은 알칼리금속염, 금속양이온이 칼슘, 마그네슘, 바륨, 스트론튬 등과 같은 알카리토류금속염이거나 또는 금속양이온이 아연, 망간, 구리, 제일철, 제이철, 티탄, 알루미늄 등과 같은 중금속염이다.
암모늄염들은 암모늄 양이온이 일반식 NR5R6R7R8인 것들이다. 식중 R5,R6,R7과 R8은 각각 수소, 수산기, (C1-C4)알콕시기, (C1-C20)알킬기, (C3-C8)알케닐기, (C3-C8)알키닐기, (C2-C8)히드록시알킬기, (C2-C8)알콕시알킬기, (C2-C6)아미노알킬기, (C2-C6)할로알킬기, 아미노기, (C1-C4)알킬아미노기, (C1-C4)디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 또는 알킬그룹이 C1-C4인 치환 또는 비치환 펜알킬기임.
한편, R5,R6,R7과 R8중 어느 두 개가 질소원자와 연합하여, 페페리딘, 모르폴린, 피롤리딘, 피페라진등과 같은, 임의로 부가적인 기타의 헤테로원자(산소, 질소 또는 황)를 가질 수도 있는, 5원자- 또는 6원자-헤테로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R5,R6,R7과 R8중 세 개가 질소원자와 연합하여 피페라졸이나 피리딘 등과 같은 5원자 또는 6원자-방향족 헤테로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암모늄 그룹의 R5,R6,R7또는 R8기가 치환된 페닐기이거나 치환된 펜알킬기인 경우, 페닐고리나 펜알킬기에의 치환체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C1-C8)알킬기, (C1-C4)알콕시기, 수산기, 니트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C4)알킬티오기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치환체의 수는 2개 이하이다.
대표적인 암모늄 양이온들은 암모늄, 디메틸암모늄 2-에틸헥실 암모늄, 비스(2-히드록시에틸)암모늄,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암모늄, 디시클로헥실암모늄, t-옥틸암모늄, 2-히드록시에틸암모늄, 모르폴리늄, 피페리디늄, 2-펜에틸암모늄, 2-메틸벤질암모늄, n-헥실암모늄, 트리에틸암모늄, 트리메틸암모늄, 트리스(n-부틸)암모늄, 메톨시에틸암모늄, 디이소프로필암모늄, 피리디늄, 디알킬암모늄, 피라졸리움, 프로파길암모늄, 디메틸히드라지늄, 옥타데실암모늄, 4-디클로로페닐암모늄, 4-니트로벤질암모늄, 벤질트리메틸암모늄, 2-히드록시-에틸디메틸옥타데실암모늄, 2-히드록시에틸디에틸옥틸암모늄, 데실-트리메틸암모늄, 헥실트리에틸암모늄, 4-에틸벤질-트리메틸암모늄 등이다.
산부가 염들은 음이온이 히드로클로라이드, 술페이트, 히드로브로마이드, 니트레이트, 퍼클로레이트, 아세테이트, 옥살레이트 등과 같이 농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음이온들인 염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 선구물질은, 다음과 같은 반응에 따라, 불활성 용매 또는 용매혼합물내에서 염기의 존재하에서, 일반식 II의 적당히 치환된 히드라진류를 알킬할라이드, 알릴할라이드 또는 페닐메틸할라이드와 함께 반응시킴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 식들중, X,X',R1,R2,A 및 B는 앞서 일반식 I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Hal은 할로겐은 의미한다.
상기 반응에서 유용한 염기들로는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등과 같은 금속수소화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리튬 디이소프로필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러한 염기들의 혼합물이 상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염기는 칼륨 t-부톡시드이다. 그리고, 유용한 용매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글림 등과 같은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술폭시드(DMSO), 아세토니트릴, 및 물과 톨루엔 또는 벤젠과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러한 용매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이다.
상기 반응은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에서, 일반적으로, 대기압하에 행하여지나, 필요에 따라 좀더 높은 압력이나 낮은 압력하에서 행하여 질 수도 있다.
반응물질들은 동일 당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약간 과소량의 반응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식 III의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1당량의 염기가 사용된다.
일반식 III의 화합물은 상용 구입가능한데, 공지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특정 치환체의 반응기를 수용할 수 있도곡 상기 공정의 수정이 필요할 수도 있는데, 그러한 수정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쉽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 선구물질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X와 X'가 둘다 산소이고 A와 B가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른 일반식 II의 화합물은 다음 방법 A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방법 A]
단계 1
Figure kpo00003
단계 2
식중, R1과 A 및 B는 일반식 I 에 대하여 언급한 것과 동일하다.
한편, X와 X'가 둘다 산소인 화합물 II의 제조에는 다음 방법 B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방법 B]
단계 1
Figure kpo00005
단계 2
Figure kpo00006
단계 3
Figure kpo00007
상기식들중 A와 B는 앞서 일반식 I에 대하여 정의한 바와 같고, R3와 R4는 각각 수소,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C2-C9)알킬기, 또는 서로 같거나 다른 2개의 이하의 (C3-C6)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이되, R3와 R4가 동시에 수소는 아니며, 둘중 하나가 수소인 경우에는 나머지 하나는 분지쇄 알킬기이다. 상기 반응식들에서 알 수 있듯이, 단계 2의 중간물질(일반식 XI의 화합물)은 일반식 Ⅵ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것이고, 일반식 XII의 화합물은 일반식 II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것이다.
X와 X'가 둘다 황(S)이거나 그중 하나인 황인 일반식 II의 화합물은 다음 방법 C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방법 C]
단계 1
Figure kpo00008
단계 2
Figure kpo00009
상기 식들중, A와 B 및 R1은 앞서 일반식 I에 대하여 정의한 바와 같고, Y는 카르복시알킬티오기(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티오기, -SCH2CO2H), 알킬티오기)또는 할로겐 등과 같은 우수한 이탈기를 의미한다.
방법 A에 있어서, 일반식 Ⅳ의 화합물은, 불활성 용매 또는 불활성 용매혼합물 내에서 염기의 존재하에서, 일반식 V의 단치환 히드라진(monosubstituted hydrazine)이나 그의 상응하는 산부가염(acid addition salt)과 반응하여 일반식Ⅵ의 중간체를 형성한다. 이 중간체는 불활성 용매 또는 불활성 용매 혼합물내에서, 일반식 Ⅶ의 화합물과 반응하여 일반식 II의 목적 화합물을 생성한다. 한편, 라디칼 A와 B가 둘다 4-클로로페닐기인 것처럼 A와 B가 동일한 경우에는, 2당량의 일반식 Ⅳ 또는 Ⅶ의 화합물이 일반식 V의 단치환 히드라진과 반응하여 일반식 II의 목적화합물을 산출하게 된다. 방법 A에서 유용한 일반식 Ⅳ 및/ 또는 Ⅶ의 화합물들로는 벤조일 클로라이드,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4-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3,5-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2-브로모벤조일 클로라이드, 3-시아노벤조일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상용 구입가능하며, 공지기술에 의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일반식 V의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는 것들로는, 예를들면, 이소프로필히드라진, t-부틸히드라진, 네오 펜틴히드라진, 알파-메틸네오펜틸히드라진, 이소부틸 히드라진, 이소펜틸히드라진, 이소옥틸히드라진 등이 있는데, 이러한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상용 구입가능하며, 공지기술에 의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방법 A에서 유용한 용매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 톨루엔, 크실렌, 헥산, 헵탄등과 같은 탄화수소 용매;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하로알칸류 및 그들의 혼합 용매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용매는 물, 톨루엔,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혼합물이다. 그리고, 유용한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삼차아민류, 중탄산타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염기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칼슘 또는 트리에틸아민이다.
방법 B에 있어서, 일반식 Ⅷ의 화합물은, 불활성 용매 또는 용매혼합물내에서 임의적으로 촉매의 존재하에서, 일반식 Ⅸ의 케톤이나 알데히드와 함께 반응하여 일반식 X의 중간산물을 산출한다. 일반식 X의 중간산물은 불활성 용매 또는 용매혼합물내에서 환원제와 반응하여 일반식 XI(Ⅵ)의 이차중간산물을 생성하며, 이차 중간산물은 다시 불활성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내에서 염기의 존재하에서 일반식 Ⅶ의 화합물과 반응하여 목적산물인 일반식 II의 화합물을 산출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B에서 유용한 일반식 Ⅷ의 화합물로는 벤조일히드라진, 4-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2-메틸벤조일히드라진, 4-메틸벤조일 히드라진, 3,5-디클로로벤조일 히드라진 등이 있다. 그리고, 유용한 일반식 Ⅸ의 화합물로는 1,1,1-트리메틸아세트알데히드,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등이 있다. 이 화합물(Ⅵ, Ⅸ)들은 상용구입가능하거나 또는 공지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방법 B의 단계 1에서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촉매로는 초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옥살산 등과 같은 유기산; 염산, 황산, 질산등과 같은 무기산; 톨루엔 술폰산등과 같은 아릴 술폰산; 또는 피리디늄 톨루엔 술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촉매는 유기산 또는 아릴 술폰산이고, 가장 바람직한 촉매는 아세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다.
방법 B에서 유용한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 톨루엔, 벤젠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글림; 디메틸포름아미드등이 있다. 바람직한 용매는 알코올 및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가장 바람직한 용매는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알코올이다.
방법 B의 단계 2에서 유용한 환원제는, 예를들면, 소디움 보로하이드라이드, 소디움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및 그 유도체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바람직한 환원제는 소디움 보로하이드라이드,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및 그 유도체이고, 특히 바람직한 환원제는 소디움 시아노보로 하이드라이드이다.
방법 B의 단계 2에서도 임의적으로 촉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적당한 촉매로는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나 염산, 황산과 같은 무기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바람직한 촉매는 유기산이나 염산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아세트산이나 염산이다.
방법 B의 단계 2에서 적당한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등의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글림, 디에틸에테르등의 에테르;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나 클로로포름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용매는 알코올인데, 특히 바람직한 것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다.
방법 B의 단계 3은 공정 A의 단계 2에 상응하는 것이므로 그에 적합한 염기 및 용매는 앞서 공정 A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방법 C에 있어서 일반식 VIII의 화합물은, 불활성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내에서 염기의 존재하에서, 일반식 V이 단치환 히드라진 또는 그 염산염과 같은 상응하는 그의 산부가염과 함께 반응하여 일반식 XIV의 중간체를 생성한다. 이 중간체 화합물은, 불활성 용매서내에 염기의 존재하에서 일반식 XV의 화합물과 반응하여 일반식 II의 목적산물을 산출한다.
방법 C에 있어서, 일반식 XIII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3-메틸-케틸티오-티오벤조에이트, 4-클로로메틸티오-티오벤조에이트, 4-메틸-메틸티오-티오벤조에이트, 카르복시메틸티오-티오벤조에이트 등이며, 일반식XV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메틸티오-티오부티레이트, 메틸티오-티오펜타노에이트, 메틸티오-티오시클로펜탄카르복실레이트 및 메틸티오-알파-페닐티오아세테이트등이다. 상기 일반식 XIII 및 일반식 XV의 화합물류는 상용 구입가능하거나 또는 공지 방법들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방법 C에서 유용한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 글림,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및 피리딘등과 같은, 비등점이 높은 극성용매류인데, 바람직한 것은 피리딘이다. 그리고, 유용한 염기는 트리에티라민과 같은 3차아민이나 피리딘인데, 바람직한 것은 피리딘이다.
상기방법 A와 B는 약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에서 행하여지며, 방법 C는 약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에서 행하여진다. 모든 방법 A,B 및 C는 일반적으로 대기압하에서 행하여지나, 필요에 따라서는 약간 높거나 낮은 압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 A,B 및 C에 있이서, 모든 반응물(reactants)들은 근본적으로 동일당량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출발물질인 일반식 Ⅳ,Ⅶ,Ⅷ 및/또는 XV의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1당량의 염기가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식 V의 단치환 히드라진의 산부가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부가적인 1당량의 염기가 더 사용된다. 예를 들면, 공정 A에서 치환체 A와 B가 동일하고 단치환 히드라진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반식 Ⅳ 또는 Ⅶ의 치환 벤조일 클로라이드 2당량이 사용되기 때문에 염기도 2당량이 사용된다. 그러나, 치환체 A와 B가 서로 다르고 일반식 V의 단치환 히드라진의 산부가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계 1에서 2당량의 염기가 사용되고 단계 2에서 다시 1당량의 염기가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특정 A 및/또는 B치환체의 반응활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공정의 수정이 필요할 수도 있는데, 그러한 수정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선행기술에 의하여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식 I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들은, 하나 이상의 수산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금속 수산화물, 금속 수소화합물, 아민 또는 아민염(할라이드, 히드록시드 또는 알콕시등)과 함께 적당한 용매내에서 반응시킴에 의하여, 또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의 금속염을 4차 아민염(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니트레이트 등)과 함께 적당한 용매내에서 반응시킴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금속 수산화물이 반응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적당한 용매는 물, 글림 등과 같은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메탄올이나 에탄올이나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류 등이다. 금속 수소화합물이 반응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적당한 용매는 디옥산, 글림이나 디에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포름아미드 및 톨루엔, 크실렌, 헥산, 펜탄, 헵탄, 옥탄과 같은 탄화수소용매등이다. 그리고, 아민이 반응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적당한 용매는 메탄올이나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톨루엔, 크실렌이나 헥산과 같은 탄화수소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글림, 디옥산, 또는 물이다. 암모늄염이 반응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적당한 용매는 물, 메탄올이나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글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이다.
암모늄염이 히드록시드나 알콕시드가 아닌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칼륨이나 나트륨의 수산화물, 수소화물 또는 알콕시화물과 같은 부가적인 염기가 사용된다.
용매의 선정은 출발물질 및 목적물인 염류의 상대용해도, 반응물의 슬러리화 또는 용액화와 같은 조건에 좌후된다. 염생성 반응에 있어서, 반응물들은 일반적으로 동일 당량으로서 사용되며, 반응은 약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진행된다.
본 발명 화합물은 산부가염(acid addition salts)은 염기성 관능기를 갖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적당한 불활성 용매내에서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초산, 프로피온산, 벤조산등과 같은 적당한 산과 함께 반응시킴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로는 물, 알코올, 에테르, 에스테르, 케노 및 할로알칼 등이 있다. 용매의 선정은 출발물질 및 목적산물인 염류의 상대용해도, 반응물의 슬러리화 또는 용액화와 같은 조건에 좌우된다. 본 반응에 있어서, 반응물들은 일반적으로 동일당량씩 사용되며, 반응은 약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진행된다. 이하 실시예들과 함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표 I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여러 가지 N-치환-N'-치환-N,N'-디아실히드라진드이 예시되어 있는데, 그들의 구조는 NMR, IR 및/또는 원소분석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한편, 표 I의 실시예 1,2,3,4,5 및 8의 화합물의 제조에 관한 상세한 실시를 별도 기술하였다.
[표 I]
Figure kpo00010
[실시예 1]
N-메틸-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의 제조
디메틸포름아미드(DMF, 30ml)와 N'-t-부틸-N,N'-디벤조일 히드라진(2.5g, 0.008M)의 혼합 교반용액에, 질소 기권하실온에서, 수소화나트륨(60% 유분산액 0.4g, 약 0.01M)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첨가(분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한 후 요오드화메틸(0.1g, 0.008M)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ml)로 희석시키고 10% HCl로 중화시킨 다음 염화메틸렌(50ml)으로 추출하였다. 염화메틸렌 층(layer)을 물(5×2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진공하에서 염화메틸렌을 제거하여 오일상의 N-메틸-N'-t-부틸-N,N'-디벤조일 히드라진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2]
N-벤질-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의 제조
디메틸포름아미드(25ml)와 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2g, 0.006M)의 혼합 교반용액에, 질소기권하 실온에서 , 수소화나트륨(60% 유분산액 0.3g, 약 0.007M)을 분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분간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브롬화 벤질(1.2g, 0.007M)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60℃로 가열한 후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ml)로 희석시키고 1% HCl로 중화시킨 다음 염화메틸렌(50ml)으로 추출하였다. 염화메틸렌층을 물(5×2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진공하에서 염화메틸렌을 제거하여 오일상의 N-벤질-N'-t-부틸-N,N'-디벤조일 히드라진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3]
N-알릴-N'-t-부틸-N,N'-디벤조일 히드라진의 제조
디메틸포름아미드(30ml)와 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3g, 0.011M)의 혼합 교반용액에 질소 기권하 실온에서, 수소화나트륨(60% 수분산액 0.5g, 약 0.012M)을 분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요오드화 알릴(1.8g, 0.01M)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가열하고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ml)로 희석시키고 10% HCl로 중화시킨 다음 염화메틸렌(50ml)으로 추출하였다. 염화메틸렌층을 물(5×20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진공하에서 염화메틸렌을 제거하여 오일상의 N-알릴-N'-t-부틸-N,N'-디벤조일 히드라진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4]
N-메톡시메틸-N'-t-부틸-N,N'-디벤조일 히드라진의 제조
100mg의 상전이 촉매(테트라-n-부틸암모늄 하이드르겐 술페이트)와 톨루엔 -50% 수산화나트륨의 2상(two phase) 조성물에 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2g, 0.007M)을 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한후, 메톡시 메틸 클로라이드(1.2g, 0.015M)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2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을 중단하면 층 분리되는데, 톨루엔 층을 세촉한 물이 중성일때까지 물로 여러 번 세척하였다. 톨루엔 용액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지녹하에서 톨루엔을 증발제거하여 오일상의 N-메톡시메틸-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5]
N-메틸티오메틸-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의 제조
건성 디케틸포름아미드(20ml)와 수소화나트륨(20ml의 펜탄으로 두 번 세척한 50% 유분산액, 0.21g, 0.0043M)의 교반 현탁액에, 질소기권하 실온에서, 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고체상, 1g, 0.0034M)을 분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티오메틸클로라이드(0.34g, 0.0035M)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동안 50℃로 가열하고 냉각시킨 후 염화메틸렌으로 희석시키고 물로 여러 번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구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염화메틸렌을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오일상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시켜 목적산물인 N-메틸티오메틸-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을 산출하였다(수율 : 60%)
[실시예 8]
N-(2-프로비닐)-N'-t-부틸-N-벤조일-N'-(3,5-디메틸벤조일)히드라진의 제조
디메틸포름아미드(20ml)와 N'-t-부틸-N-벤조일-N'(3,5-대메틸벤조일)히드라진(1.5g)의 교반현탁액에 수소와 나트륨(60% 유분산액 200mg)을 분가하였다. 15분 경과후, 혼합물에 포토파길 브로마이드(0.6g)를 적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반응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ml)로 희석시키고 물(5×20ml)를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용매를 증발 제거하여 황색 비정질 고체(amorphous solid)상의 N-(2-프로비닐)-N'-t-부틸-N-벤조일-N'-(3,5-디메틸벤조일)히드라진 화합물을 산출하였다. 이 화합물을 관 크로마토그라피(실리카겔-베틸렌 클로라이드)에 의하여 정화시켜 백색고체인 N-(2-프로비닐-N'-t-부틸-N-벤조일-N'-(3,5-디메틸벤조일)히드라진을 산출하였다. (수율 : 70%)
한편 상술한 이외의 표 I에 예시된 여러 가지의 히드라진 화합물들은 앞서 언급한 공정들 및 상기 실시예 1,2,3,4,5 및 8에서 상술한 방법들에 따라서 제조된 것들인바, 그들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들은 생략하였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우수한 살충활성을 나타내며, 레피도테라(Lepidoptera)와 콜레오프메타(Coleoptera)종의 해충류에 대하여 매우 선택적이다. 일반적으로 농경, 원예 및 임업에서의 해충구제에 있어서, 헥타아르당 약 10g 내지 10Kg, 바람직하게는 100g 내지 5Kg의 활성물질이 튜여된다. 주어진 상황에 대한 정확한 투여량은 사용물질, 해충의 종류, 사용되는 조성물, 해충에 피해 받은 곡물의 상태 및 전염 기후조건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의하여 좌우되는데, 일반적인 방법들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살충"이란 어휘는 목표 해충의 생존 및 성장에 대해 역영향을 줄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러한 기능으로 는 완전 살충, 근절효과, 성장의 저지, 수의 감소등과 같은 것이 포함된다. 그리고, "구제"라는 어휘는 해충의 살충은 물론 해충피해로부터 실물의 보호 또한 의미하는 것이다. "상출에 효과적인 양"이란 어휘는 해충구제에 충분한 활성물질의 투여량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제적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류는 여러 형태의 조성물(compositions) 또는 조형물(formulations)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이나 조형물 제조에 대한 참조문헌으로는 웨이드 반 발켄부르그저 " 구충제 조형물 연구"(1969, Advance in Chemistry Series No. 86) 및 웨이드반 발켄부르그 편저 "구충제 조형물" (1973, 마르셀대커 출판사)등이 있다.
구충제, 조성물에나 조형물에 있어서, 활성물질은 고체매개물이나 액체매개물과 같은, 통상적인 조성물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또는 전개제 등과 함께 혼합된다.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매개물(매개체)은, 그 자체가 조성물의 살충교화에 손상을 주지않고 또한 토양, 장비, 작물이나 농경학적 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침이 없이, 조성물내에서 활성성분을 용해하고 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계면활성제, 안정제, 소포제, 부유압지제등과 같은 부가제들이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 및 조형물은 예를들면, 수용액, 수분산액, 유성용액, 유성분산액, 페이스트, 재습유분말, 유화농축물, 유동성 농축물, 과립, 미끼 전화에멀션, 에어로졸 조성물 및 향초(fumigation candles)등이다.
습윤분말(wettable poweders) 페이스트(pastes), 유동성 농축물 및 유화농축물은 사용전이나 사용동안 물로 희석되는 농축제조물이다.
미끼(baits)는 목적해충을 유혹하는 음식물 등 및 최소한 한가지의 치명적 또는 비치명적 독을 포함하는 조형물이다. 치명적 독은 미끼를 먹었을 때 해충이 죽도록 하는 것이고, 비치명적 독은 구제목적을 위하여 해충의 행동, 음식섭취 습관 및 생리현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전화 에멀션(invert emulsion)은 넓은 영역이 상대적으로 소량의 물질로 처리되어야 하는 경우 주로 공기적용(aerial application)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환에멀션은 스프레이 작업 바로전에 또는 작업동안 분무장치내에서 활성 성분의 유성용액이나 유성눈산약에 물을 유화시킴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조성물 및 조형물이, 활성 화합물을 통상의 불활성 액체 희석제나 분산성 고체 매개체 또는 그 혼합물 및 임의적인 매개보조제(예를 들면, 유화제, 분산제등의 계면활성제)와 함께 처리하는 것과 같은, 공지 기술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물이 희석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기용매가 부수용매로서 첨가될 수 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매개체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및 트리플루오로메탄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부탄, 프로판, 질소, 탄산가스 등과 같이 상온 및 상압에서 기체상태인 에어로졸 촉진제(aerogol propellants); 방향족 탄화수소(예 :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알킬나프탈렌등), 할로겐화 ,특히 클로로화 방향족 탄화수소(예 : 클로로벤젠등), 시클로알칸류(예 : 시클로헥산등), 파라핀류(예 : 석유 또는 미네랄 유분), 염화 지방족 탄화수소(예 :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에틸렌등), 식용유(예 : 대두유, 목화씨유, 옥수수유등), 알코올(예 :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콜 등), 에테르 및 에스테르, 아연(에탄올아민 등), 아미드(예 : 디메틸포름아미드), 술폭시드(예 : 디메틸술폭시드등), 니트릴(예 : 아세토이트릴), 케톤(예 : 아세톤, 메틸아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 이소포론등)등과 같은 유기용매, 및 물을 포함한, 분산가능한 불활성 액체희석제 ; 카올린, 점토, 탈크, 백목, 수정, 이타콜기트, 몬모릴로나이트, 규조토 등과 같은 천연 미네날의 분쇄물, 및 규산, 알루미나, 규산염 등과 같은 합성 미네랄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고체 매개체 및 방해석, 대리석, 부석, 세피얼라이드나 백운석과 같은 천연석 분쇄물, 및 톱밥, 코코낫껍질, 옥수수대, 담배줄기와 같은 유기물질의 과립등을 포함하는 과립용 고체 매개체 등.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매개 보조제들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의 유화제(예 : 지방산의 폴리에틸렌 옥시드 에스테르, 지방성 알코올의 폴리에텔렌 옥시드 에테르, 알킬 술페이트, 알킬술포네이트, 알부민 하이드로리세이트, 특히, 알킬 아일폴리글리콜에테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디움 올레이트 등), 및 리그닌, 술파이드 소모유, 메틸셀루로우즈와 같은 분산제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 분말 또는 과립형태의 천연 및 합성중합체(예 : 아랍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등)와 같은 부가제들도 조성물 및 조형물에 첨가될 수 있다.
그밖에 , 산화철, 산화 티탄 및 프루시언 블루와 같은 무기안료, 알리자린염료, 아조염료 및 메탈프탈로시 아닌 염료와 같은 유기염료 또는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의 염과 같은 미량의 영양제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나 조형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류는 단독으로, 그들끼리의 혼합물로 또는 고지의 다른 살충제, 살선충제, 살균제, 살박테리아제, 살서제, 제초제, 비료, 성장조절제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활성제, 특히 식물보호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적용 및 투여형태에 따라서 에멀션, 현탁액, 분말, 페이러기에도 스트 및 과립형 등으로 조형화 될 수 있다. 상업용 판매를 염두에 둘 때, 매개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나 조형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의 함량은 -0.1 내지 99wt%,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5wt%의 정도이다. 그러나 실제 사용에서의 직접 적용이나 필드적용에 적합한 조성물이나 조형물에서의 활성 성분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약 0.0001-5wt%, 바람직하게는 약 0.001-3wt%정도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고압스프레이, 저압스프레이, 초저부피스프레이, 에어블래스트 스프레이, 공중 스프레이등과 같은 스프레이 방법에 의하여 적용될 수 있다. 매우 낮은 부피적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주로 활성 화합물의 용액이 사용된다. 초저부피적용(ultra-volume application)에 있어서는,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조성물이 미세살포장장비(평균입자 크기가 50-100 미크론 정도임)에 의한 스프레이로서 적용된다. 스프레이 적용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헥타아르당 스리터정도의 조성물이 요구되며, 활성 성분은 15-1000g/hectare, 바람직하게는 40-600g/hectare 정도면 충분하다. 초저부피적용인 경우에는, 20-95wt%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매우 고농도의 액체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또한, 살충활성적인 양만큼의 본 발명 화합물, 화합물들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과 매개체의 혼합물(즉, 상기 조성물이나 조형물)에 해충을 접촉시켜서, 그 해충을 선택적으로 살충 내지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접촉"이란 어휘는 해충류 또는 그들의 서식지(즉, 보호되어야 할 작물의 소재지)에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나 조형물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성물등은 통상적인 방법들, 즉, 분무(spraying), 분사(atomizing), 기화(vaporizing), 산포(scattering, dusting), 워터링(watering), 분출(squirting), 주입(pouring), 건조드레싱, 습윤드레싱, 슬러리드레싱(dressing)등의 방법으로 적용된다.
매개체와 함께 혼합사용될 특정 화합물의 농도는 적용장비의 종류, 적용방법, 처리될 영역, 구체하여여할 해층의 종류등에 좌우될 것이다.
본 발명의 과립형 조형물은 활성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시켜 마련한 용액을, 경우에 따라 결합제의 존재하에서, 다공성 과립 또는 잘게 부순 담배줄기와 같은 과립형 매개체 물질에 함침시켜 제조할 수 있다. 그밖에 , 활성화합물을 윤활제 및 결합제 존재하에서 분말상 무기물질과 함께 혼합 압축한후 소망하는 과립으로 분쇄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분말형 조형물은 활성화합물을 1-50wt% 농도로서 불활성 분말상 고체 매개체와 함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적당한 고체매개체로는 탈크, 카올린, 점도, 규조토, 백운석, 석고, 백목, 벤토나이트, 실리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밖에, 잘 분쇄한 호두껍질등의 유기매개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습윤분말(wettable powders) 및 유동성 조성물은 약 10-99wt%의 불활성 분말상 고체매계체를 약 1-80wt%의 활성화합물(아세톤과 같은 휘발성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도 있음)과 1-5wt%의 분산제(예 : 리그노술포네이트, 알킬나프탈렌술포네이트 등) 및 0.5-5wt%,의 습윤제(예 : 지방성 알코올술페이트, 지방산의 알킬아릴술포네이트등)와 함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유동성 조성물의 경우에는 물과 같은 불활성 액체매개체가 부가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유화농축물(emulsifiable concentrates)은 미세하게 분쇄된 활성화합물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과 혼합되지 않는 용매에 용해시켜 마련한 용액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적당한 용매는 크실렌, 톨루엔, 나트타용매나 증류타르오일과 같은 고비등점의 방향족 석유증류물 및 그들의 혼합 용매등이다. 적당한 유화제는 알킬페녹시폴리글리콜에테르, 지방성 알코올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지방산의 포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등이다. 이러한 유화농축물에 있어서,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안정된 것은 아니고 용해도에 따라 약 2 내지 50%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유화농축물 이외의 적당한 액체조성물은 물과 쉽게 혼합될 수 있는 용매(즉, 아세톤등)와 활성 화합물의 용액인데, 경우에 따라서는 분산 및 습윤제등이 첨가될 수 있다.
에어로졸 조성물은 적당한 용매에 활성 화합물을 용해시킨 용액을 분사제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휘발성 액체(예 : 메탄이나 에탄의 염소 유도체 또는 염소 및 불소 유도체)와 함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향초(fumigating candles)는 연소될 때 살충연무(pesticidal smoke)를 방출할 수 있는 조형물로서, 연료(예 : 설탕, 나무등)와 연소유지용 물질(예 : 질산 암모늄, 염소산칼륨 등) 및 연소지연용 물질(예 : 카올린, 벤트나이트, 콜로이드상 규산)등으로 구성된 연소용 혼합물에 활성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한편, 여러 가지 조성물이나 조형물에 제조에 있어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가제들이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조형물들의 대표적인 예 및 그 제조법을 다음 실시예 A-I에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영역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A]
과립형 조형물
Figure kpo00011
(제조) 활성 화합물과 Triton
Figure kpo00012
X-30를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혼합물을 Agsorb
Figure kpo00013
에 첨가 혼합한후 염화 메틸렌을 증발시킴.
[실시예 B]
분말(dust)
Figure kpo00014
(제조) 활성화합물을 과량의 아세톤에 용해시킨 혼합물을 탈크에 합침시킨 후 아세톤을 증발시킴.
[실시예 C]
습윤분말
Figure kpo00015
(제조) 활성화합물(경우에 따라서는 활성화합물을 휘발성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바덴점토 및 HiSil
Figure kpo00016
233 매개체에 흡수시킨 다음 습윤제인 Duponal
Figure kpo00017
과 분산제인 Reax
Figure kpo00018
를 가하고 건조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 까지 완전히 혼합한후, 미세한 입자크기의 분말로서 분쇄함.
[실시예 D]
유화농축물
Figure kpo00019
(제조) 모든 성분들을 혼합하고 균일한 투명 용액이 얻어질때까지 연속적으로 교반한.
[실시예 E]
에어로졸
Figure kpo00020
(제조) 두성분을 혼합한 다음 스프레이 분사 밸브가 장치된 적당한 용기내에 가압충진시킴.
[실시예 F]
향초(또는 향분말)
Figure kpo00021
(제조) 상기 3성분을 혼합한 다음 전분을 활성화시킬 소량의 물과 함께 양초형상으로 성형함.
[실시예 G]
미끼(Bait) A
Figure kpo00022
(제조) 콘시럽과 콘오일을 밀기울에 가하고 적당히 혼합함. 활성 화합물과 kathon
Figure kpo00023
방부제를 과량의 아세톤과 혼합하여 마련한 용액을 상기 밀기울 혼합물에 연속 혼합으로서 첨가한다음 아세톤을 증발시킴.
[실시예 G']
미끼
Figure kpo00024
(제조) 상기 두성분을 잘 혼합함.
[실시예 H]
펠릿형 조형물
상기 실시예 G의 미끼 A를 적당한 다이프레스장치를 사용하여 직경이 약 1/4인치이고 길이가 3/8인치정인 펠릿으로 성형하여 제조함.
[실시예 I]
유동성 농축물
Figure kpo00025
(제조) 활성화합물 HiSil
Figure kpo00026
에 흡수시킨 다음 습윤제인 Duponal
Figure kpo00027
과 분사제인 Reax
Figure kpo00028
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완전히 건조 혼합시킴, 결과의 혼합물을 미세한 입자로서 분쇄한 후 물에 현탁시키고 농화제인 Kelzen
Figure kpo00029
을 첨가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조형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기존의 살충화합물이나 살균화합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조성물 및 조형물의 활성 영역을 넓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기존의 살충제 및 살균제들을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살충제]
2,2-비스(p-클로로페닐)-1,1,1-트리클로로에탄 및 헥사클로로에폭시옥타히르도디메타노나프탈렌 등과같은 염화탄화수소화합물 ; N-메틸-1-나프틸카르방산염등의 카르반산 유도체; 2-메틸-4,6-디니트로페놀이나 2-)2-부틸)-4,6-디니트로페닐-3,3-디메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디니트로페놀류; 디메틸-2-메톡시-3-카보닐-1-메틸비닐 포스페이트, 0,0-디에틸-O-p-니트로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및 0,0-디메틸디리오포스포릴아세트산의 N-모노메틸아미드 등과 같은 유기인화합물 ; p-클로로벤질 술파이드, p-클로로페닐 술파이드 및 2,4,4',5-테트라크로로디페닐술파이드 등과 같은 페닐술파이드류 ; p-클로로페닐벤젠 술포네이트 등의 디페닐술포네이트류 4,4-디클로로-1-트리클로로메틸벤즈히드롤과 같은 메틸카바놀류; 메틸퀴녹살린 디티오카보네이트와 같은 퀴녹살린 화합물 ; N'-(4-클로로-2-메틸페닐)-N,N-디메틸 포름아미딘과 같은 아미딘류; 알레스린(Allethrin)과 같은 피레스로이드류; 트리시클로헥실틴 히드록시드와 같은 유기 주석화합물; 및 피페로닐 부톡시드등.
[살균제]
페닐머큐리 아세티이트 및 메틸머큐리시아노구아니드와 같은 유기수은 화합물; 트리페닐된 히드록시드 및 트리페닐틴 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 주석 화합물; 아연 에틸렌 비스티오카르바메이트 및 망간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와 같은 알킬렌 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류; 2,4-디니트로-6-(2-옥틸-페닐클로토테이트), 1-비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릴-3-페닐-5-아미노-1,2,4-트리아졸, 6-메틸퀘녹살린-2,3-디티오카르바메이트, 1,4-디티오안트라퀴논-2,3-디카보니트릴, N-트리클로로메틸-티오프탈이미드, N-트리클로로메틸티오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N-(1,1,2,2-테트라클로로에틸티오)-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N-디클로로플루오로메틸티오-N-페닐-N'-디메틸술포닐디아미드, 및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등.
[생물학적 활성]
생물학적 활성 평가에 의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류가 해충의 유충 및 성충, 특히 레피도프테라 및 콜로오프테라 종의 해충들을 구제할 수 있는 활성효과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주어진 해충에 대한 주어진 화합물의 활성 및 전체적 또는 선택적 살충효과를 얻기에 필요한 투여량등을 측정하는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의 화합물류는 면화, 옥수수, 야채 등의 경작물에 대한 해충, 버치나 소나무등의 산림수목에 대한 해충 및 꽃이나 관상수등의 원예작물에 대해 해충을 구제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씨앗, 저장곡물, 과실열매, 잔디등에 대한 해충의 구제에도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 화합물류의 살충활성을 측정하는데, 다음의 시험방법들을 하용하였다.
시험화합물을 용매(아세톤: 메탄올, 1:1)에 용해시키고 5 : 5 : 90의 아세톤 : 메탄올 : 물 혼합용액이 되도록 물을 가한 다음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600ppm 농도의 시험용액을 마련하였다. 알킬아릴폴리에테르알코올(상품명: Triton
Figure kpo00030
X-155)와 변형 프탈산글리세롤 알킬수지(상품명 : Triton
Figure kpo00031
B-1956)의 1 : 1 혼합물을 계면활성제로서, 시험용액 1갤론당 1온스의 양으로서, 사용하였다.
다음 종류의 해충들에 대하여 기초 평가시험을 행하였다.
Figure kpo00032
잎적용시험(foliar application test)에 있어서, 콩잎(Phaselous limensis var. Woods' Prolific)을 각각 페트리접시내의 습윤 여과지에 올려놓고, 회전 턴테이블 장치를 이용하여 콩잎에 시험 용액을 분무한 다음 건조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페트리접시를 사우던 아미웜 또는 멕시칸 빈 비틀의 인스타 유충들로 감염시킨 후 밀봉하였다.
사우던 아미웜과 멕시칸 빈 비틀의 치사율을 처리 96시간후에 측정하였다. 평가는 0 내지 100% 척도로서 나타내는데, 0은 활성이 없음을 의미하고 100은 100%의 완전살충을 의미한다.
한편, 회전턴테이블은, 그밑의 일정위치에서 타아깃(targets)이 일정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연속작동 스프레이노즐을 갖춘 것이다. 타아깃이 페트리접시인 경우, 노즐로부터의 거리는 15인치이다. 노즐은 회전 샤프트로부터 8인치 떨어져 위치한다. 타아깃은 샤프트둘레를 20초에 1회전속도로 회전하므로 스프레이 경로내에 있게 되는 것은 매우 짧은 동안이고 그후 건조후드내로 옮겨진다.
본 시험에서는 No.2850 유체캡(fluid cap) 및 No. 7 에어캡(air cap)을 갖춘 1/4 JCO 분무장치(Wheaton, IL)의 공기분사 노즐을 사용하였다. 10psig의 공기압이 사용되었으며, 사이폰 속도 0.5GPH(gallons/hour)의 액체가 21° 스프레이각을 가진 라운드 스프레이 기구에 적용되었다. 타아깃은 시험생물을 익사시키지 않을 만큼의 균일한 박막을 형성하도록 스프레이 소적으로 처리되었다. 모든 처리들은 공기 정하된 실내에서, 형광등하에서, 75-80℉에서 행하여졌다.
본 발명 화합물류에 대한 살충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 II에 표기하였다. 특별히 언급한 바가 없는한, 잎적용 시험 결과는 처리 96시간 후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II]
생물학적 활성 평가
Figure kpo00033

Claims (25)

  1. 살충활성을 갖는 다음 일반식( I )의 화합물 및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Figure kpo00034
    식중, X와 X'는 각각 산소(O), 황(S) 또는 NR기이고, R1은 3차탄소 원자를 호합하는 분지쇄(C4-C7)알킬기이고, R2는 (C1-C6)알킬기 ; 각 알킬그룹이 C1-C6일 알콕시알킬기 ; 각 알킬그룹이 C1-C6일 알킬비오알킬기 ; 알케닐기(C2-C6) ; 알키닐기(C2-C6) ; 또는 할로겐, 시나오,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C1-C4)할로알킬기, (C1-C4)알콕시기, (C1-C4)할로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는 펜(C1-C4)알킬기이며, A와 B는 각각 비치환, 나프탈기나 페닐기 ; 또는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수산기, (C1-C4)알콕시기, (C1-C4)알킬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소로 같거나 다른 5개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나프틸기 ; 또는 할로겐 ; 니트로조 ; 니트로 ; 시아노 ; 수산기 ; (C1-C6)알킬기 ; (C1-C6)시아노알킬기 ; (C1-C6)알콕시기 ; 할로알콕시기 ; 각 알킬 그룹이 C1-C6인 알콕시알키기 ; 각 알킬그룹이 C1-C6인 알콕시알콕시기 ; (C1-C6)알콕시카보닐옥시기(-OCO2R); 할로겐, 시아노,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C1-C4)할로 알콕시기 또는 (C1-C4)알킬티오기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는 (C2-C6)알케닐기 ; (C2-C6)알케닐카보닐기 ; (C2-C6)알카디에닐기 ;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콕시기, (C1-C4)할로알콕시기 또는 (C1-C4)알킬티오기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는 (C2-C6)알키닐기 ; (C1-C6)알키닐카보닐기 ; 카르복시기 ; 각 알킬그룹이 C1-C6인 카르복시알킬기(-RCO2R') ; -COR ; (C1-C6)할로알킬카보닐기 ; (C1-C6)니트로알킬카보닐기 ; (C1-C6)알콕시카보닐기 ; (C1-C6)할로알콕시카보닐기 ; (C1-C6)알칸오일옥시기(-OCOR); 아미노기(-NRR') ; 수산기, (C1-C4)알콕시기 또는 (C1-C4) 알킬티오기로 치환된 아미노기 ; 페닐아미노기 ; 디페닐아미노기 ; 카르복스아미도기(-CONRR') ; 카보노일옥시기(-OCONRR') ; 아미디노기(-C(NR)NR'R") ; 알킬아조기(-N=NR) ; 페닐아조기 ; 아미도기(-NRCOR') ; 알콕시카보닐아미노기(-NRCO2R') ; 이미도기(-N(COR)COR') ; 알킬카보닐아미노카보닐옥시기(-OCONRCOR') ; 술프히드릴기 ; 할로티오기 ; 티오시아나토기; (C1-C6)알킬티오기 ; (C1-C6)할로알킬티오기 ; 술피닐기(-SOR) ; 술포닐기(-SO2R) ; 페닐술포닐기 ; 술포네이트기(-OSO2R) ; (C1-C6)할로알킬술포닐옥시기 ; 술폰아미드기(-SO2-NRR') ; 알킬티오카보닐기(-SCOR) ; 각 알킬그룹이 C1-C6인 트리알킬실릴기 ;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 ; 페닐고리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는 펜옥시기 ; 페닐고리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벤조일기 ; 페닐고리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펜옥시카보닐기 ; 페닐고리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수산기,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티오기 ; 및 이미노기(-CR=N=R2, 여기서 R2는 수산기, (C1-C4) 알킬기, (C1-C4)알콕시기, 아미노기(-NRR'), 페닐아미노기, -COR,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벤조일기, 펜옥시카보닐기 또는 아미노카보닐기(-CONRR')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5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페닐고리의 인접 두위치가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5원자- 또는 6원자-디옥소라노 또는 디옥사노 헤테로 고리를 형성하도록 치환된 페닐기임. 한편, 상기 설명중 미설명부호인 R, R'와 R"는 각각 수소 또는 (C1-C6)알킬기를 의미하며, Z와 Z'는 각각 수소 또는 (C1-C4)알킬기를 의미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I )에서 X,X',R1,R2,A, 및 B가 각각 다음과 같은 화합물 및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X와 X'는 각각 산호(O) 또는 황(S)이고, R1은 3차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분지쇄(C4-C7)알킬기이고, R2는 (C1-C4)알킬기 ; 각 알킬그룹이 C1-C4인 알콕시알킬기 ; 메틸티오메틸기 ; (C2-C5)알케닐기 ; (C2-C5)알킬닐기 ; 또는 페닐 고리가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또는 (C1-C4)알콕시기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벤질기이며, A와 B는 각각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비치환 나프탈기 또는 비치환 페닐기 ; 또는 할로겐 ; 니트로 ; 시아노 ; (C1-C4)알킬기 ; (C1-C4)할로알킬기 ; (C1-C4)시아노알킬기 ; (C1-C4)알콕시기 ; (C1-C4)할로알콕시기 ; -COZ; 카르복시기 ; (C1-C4)알콕시카보닐기 ; (C1-C4)알칸오일옥시기 ; (C2-C6)알케닐기 ; (C2-C6)알카디에닐기 ; (C2-C6)알키닐기 ; -NZZ'; 티오시아나토기 ; (C1-C4)알킬티오기 ; 알킬티오카보닐기 ; 알킬카보닐티오기(-SCOZ) ; 각 알킬그룹이 C1-C4인 토리알킬실릴기 ;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사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2개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는 페닐기 ; 및 페닐고리가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로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2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되었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것인 페녹시기로 구성된 그룹(상기 설명중 Z와 Z'는 각각 수소 또는 (C1-C4)알킬기임)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페닐고리의 인접 두위치가 알콕시기들로 치환되어 5원자 또는 6원자고리의 디옥소라노 또는 디옥사노 헤테로 고리를 형성한 치환 페닐기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일반식 ( I )에서 X,X',R1,R2,A 및 B가 각각 다음과 같은 화합물 및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X와 X'는 각각 산소(O) 또는 황(S)이고, R1은 3차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분지쇄(C4-C7)알킬기이고, R2는 메틸 ; 에틸 ; 각 알킬그룹이 C1-C2인 알콕시알킬기 ; (C2-C5)알케닐기 ; (C2-C5)알키닐기 ; 또는 페닐 고리가 할로겐으로 치환되었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질기이며, A와 B는 각각 서로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것으로서, 비치환 나프틸기 또는 비치환 페닐기이거나 ; 또는 할로겐 ; 니트로 ; 시아노 ; (C1-C4)알킬기 ; (C1-C4)할로알킬기 ; (C1-C4)시아노알킬기 ; (C1-C4)알콕시기 ; 각 알킬그룹이 C1-C4인 알콕시알킬기 ; -COZ ; (C1-C4)알콕시카보닐기 ; (C1-C4)알칸오일옥시기 ; 티오시아나토기 ; 페닐고리가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2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는 페닐기 ; 및 페닐고리가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카르복시기, (C1-C4)알콕시카보닐기, (C1-C4)알칸오일옥시기 및 -NZ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2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녹시기로 구성된 그룹(상기에서 미설명부호 Z와 Z'는 각각 수소 또는 (C1-C4)알킬기임)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기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일반식( I )에서 X,X',R1,R2,A 및 B가 각각 다음과 같은 화합물 및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X와 X'는 각각 산소(O)이고, R1은 t-부틸, 네오펜틸, 2,2-디메틸프로필 또는 1,1,2-트리메틸프로필이고, R2는 메틸, 메톡시메틸, (C2-C4)알케닐기, (C2-C5)알키닐기, 벤질 또는 4-할로벤질이며, A와 B는 각각 비치환 페닐기 ; 또는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기, (C1-C4)알콕시기 및 (C1-C4)할로알킬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가너 다른 3개 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기임.
  5. 제 4 항에 있어서, 일반식( I )에서 X,X',R1,R2,A 및 B가 각각 다음과 같은 화합물 및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X와 X'는 각각 산소(O)이고, R1은 t-부틸기이고, R2는 (C2-C5)알키닐기이며, A와 B는 각각 비치환페닐기 ; 또는 클로로, 플루오로, 요오도, 브로모, 메틸, 에틸, 메톡시 및 트리 플루오로메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같거나 다른 2개이하의 치환체로 치환된 페닐기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일반식( I )에서 X,X',R1,R2,A 및 B가 각각 다음과 같은 화합물 및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X와 X'는 각각 산소(O)이고, R1은 t-부틸기이고, R2는 2-프로피닐기이며, A는 페닐기이고 B는 페닐, 2,4-디클로로페닐 또는 3,4-디클로로페닐기이거나 ; 또는 A는 4-메틸페닐기이고 B는 3-메틸페닐기임.
  7. 살충효과적인 양의, 상기 제 1 항 내지 6항의 어느 한항에 기재한, 살충활성화합물 및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매개체로 구성된, 살충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살충활성 화합물의 함량이 0.0001 내지 99wt% 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살충활성 화합물의 함량이 0.001 내지 90wt% 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살충활성 화합물의 함량이 0.01 내지 75wt% 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매개체가 고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분산제로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습윤분말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액체 매개체 및 분산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유동성 농축물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건조분말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결합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과립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유인물질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미끼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17. 제 7 항에 있어서,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매개체가 액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유화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유화농축물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19. 제 7 항에 있어서, 살충활성 화합물이 N-(2-프로피닐)-N'-t-부틸-N-(4-메틸벤조일)-N'-(3-메틸벤조일히드라진, N-(2-프로피닐)-N'-t-부틸-N,N'-디벤조일히드라진, N-(2-프로피닐)-N'-t-부틸-N벤조일-N'-(2,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 및 N-(2-프로피닐)-N'-t-부틸-N-벤조일-N'-(3,4-디클로로벤조일)히드라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20. 해충을 제 7 항에 기재한 살충제 조성물에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의 구제방법.
  21. 해충을 제 19 항에 기재한 살충제 조성물에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의 구제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헥타아르당 10g 내지 10Kg의 살충활성 화합물의 수준으로 살충제 조성물을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의 구제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헥타아르당 100g 내지 5Kg의 살충활성 화합물의 수준으로 살충제 조성물을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의 구제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구제되어야 할 해충이 레피도프테라 또는 콜레오프테라종의 해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의 구제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구제되어야 할 해충이 레피도프테라 또는 콜레오프테라종의 해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의 구제방법.
KR1019870003273A 1986-05-01 1987-04-07 살충효과를 갖는 n-치환-n'-치환-n,n'-디아실히드라진 화합물 KR940010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848286A 1986-05-01 1986-05-01
US858,482 1986-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079A KR870011079A (ko) 1987-12-19
KR940010276B1 true KR940010276B1 (ko) 1994-10-22

Family

ID=2532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273A KR940010276B1 (ko) 1986-05-01 1987-04-07 살충효과를 갖는 n-치환-n'-치환-n,n'-디아실히드라진 화합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245950B1 (ko)
JP (1) JP2576865B2 (ko)
KR (1) KR940010276B1 (ko)
AR (1) AR242778A1 (ko)
AT (1) ATE77200T1 (ko)
AU (1) AU602516B2 (ko)
BR (1) BR8701825A (ko)
CA (1) CA1281716C (ko)
DE (1) DE3779814T2 (ko)
EG (1) EG18437A (ko)
ES (1) ES2042556T3 (ko)
GR (1) GR3004958T3 (ko)
IL (1) IL82242A (ko)
TR (1) TR23901A (ko)
ZA (1) ZA8725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483586A (da) * 1985-10-21 1987-04-22 Rohm & Haas Insecticide n'-substituerede-n,n'-diacylhydraziner
CA1295618C (en) * 1986-02-28 1992-02-11 Adam Chi-Tung Hsu Insecticidal n'-substituted-n-acyl -n'-alkylcarbonylhydrazines
IE59962B1 (en) * 1986-09-26 1994-05-04 Rohm & Haas Five-membered heterocyclic derivatives of n'-substituted-n, n'-diacylhydrazines
JP2767241B2 (ja) * 1987-04-15 1998-06-18 ロ−ム アンド ハ−ス コンパニ− 殺虫性のn−(場合により置換された)−n′−置換−n,n′−ジ置換ヒドラジン
MY107431A (en) * 1988-06-15 1995-12-30 Rohm & Haas Insecticidal n''''substituted-n-alkylcarbonyl-n''''-acylhydra zines and n''''substituted-n-acyl-n''''-alkylcarbonylhydrazines.
ZA894508B (en) * 1988-06-16 1990-03-28 Rohm & Haas Pharmaceutical compounds
US4857550A (en) * 1988-08-29 1989-08-15 American Cyanamid Company Novel insecticidal dibenzoyl-tert-butylcarbazonitrile compounds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0398842A1 (de) * 1989-05-16 1990-11-22 Ciba-Geigy Ag Hydrazid-derivate
NZ240155A (en) * 1990-10-29 1992-10-28 Ishihara Sangyo Kaisha Heterocyclyl acyl and (hexahydro) indanyl acyl substituted hydrazine derivatives, preparation thereof and pesticidal compositions
IL100643A (en) * 1991-01-25 1996-10-31 Nippon Kayaku Kk History of hydrazine and pesticides containing these histories as an active ingredient
WO1995007021A1 (en) * 1993-09-06 1995-03-16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Insecticidal composition
US5523325A (en) * 1993-09-09 1996-06-04 Jacobson; Richard M. Amidrazones and their use as pesticides
US7304161B2 (en) 2003-02-10 2007-12-04 Intrexon Corporation Diaclhydrazine ligands for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exogenous genes in mammalian systems via an ecdysone receptor complex
US7456315B2 (en) 2003-02-28 2008-11-25 Intrexon Corporation Bioavailable diacylhydrazine ligands for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exogenous genes via an ecdysone receptor complex
DK2970106T3 (en) 2013-03-15 2018-08-13 Intrexon Corp CONTAINING DIACYL HYDRAZINES
WO2016044390A1 (en) 2014-09-17 2016-03-24 Intrexon Corporation Boron-containing diacylhydrazine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1129A (en) * 1975-06-04 1977-11-09 Guerbet Sa Iodo-benzene derivatives and an x-ray contrast medium containing them
JPS56147066A (en) * 1980-04-17 1981-11-14 Terumo Corp Specimen for detection of latent blood
CA1295618C (en) * 1986-02-28 1992-02-11 Adam Chi-Tung Hsu Insecticidal n'-substituted-n-acyl -n'-alkylcarbonylhydraz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77200T1 (de) 1992-07-15
JPS62263150A (ja) 1987-11-16
KR870011079A (ko) 1987-12-19
GR3004958T3 (ko) 1993-04-28
ZA872519B (en) 1988-01-27
AU7147187A (en) 1987-11-05
EG18437A (en) 1992-12-30
AR242778A1 (es) 1993-05-31
DE3779814D1 (de) 1992-07-23
DE3779814T2 (de) 1993-02-04
TR23901A (tr) 1990-11-01
JP2576865B2 (ja) 1997-01-29
CA1281716C (en) 1991-03-19
EP0245950A3 (en) 1989-10-04
BR8701825A (pt) 1988-02-09
IL82242A (en) 1991-06-30
ES2042556T3 (es) 1993-12-16
IL82242A0 (en) 1987-10-30
EP0245950B1 (en) 1992-06-17
EP0245950A2 (en) 1987-11-19
AU602516B2 (en) 199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5443A (en) Insecticidal N&#39;-substituted-N&#39;-substituted N,N&#39;-diacylhydrazines
US4985461A (en) Insecticidal N&#39;-substituted-N,N&#39;-diacylhydrazines
KR940010276B1 (ko) 살충효과를 갖는 n-치환-n&#39;-치환-n,n&#39;-디아실히드라진 화합물
JP2509583B2 (ja) 殺虫性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殺虫組成物
KR940010277B1 (ko) 살충효과를 갖는 n&#39;-치환-n-아실-n&#39;-알킬카보닐 히드라진 화합물
KR910000856B1 (ko) 살충제 n&#39;-치환-n-알킬카르보닐-n-아실히드라진
EP0347216B1 (en) Insecticidal n&#39;-substituted-n-alkylcarbonyl-n&#39;-acylhydrazines and n&#39;-substituted -n-acyl-n&#39;-alkylcarbonyl hydrazines
AU595303B2 (en) Six-membered n-heterocyclic derivatives of n&#39;-substituted-n, n&#39;-diacylhydrazines
DK169321B1 (da) Insekticide N&#39;-substituerede N,N&#39;-disubstituerede hydraziner, insekticidt præparat samt fremgangsmåde til bekæmpelse af insekter
JP2767241B2 (ja) 殺虫性のn−(場合により置換された)−n′−置換−n,n′−ジ置換ヒドラジン
KR950013856B1 (ko) N&#39; - 치환 - n, n&#39; - 디아실히드라진의 5원자 헤테로고리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한 살충조성물
US5354762A (en) Six-membered heterocyclic derivatives of N&#39;-substituted N,N&#39;-diacylhydrazines
KR950008201B1 (ko) 살충 활성을 갖는 n-(임의치환)-n&#39;-치환-n,n&#39;-이치환히드라진 화합물
CA1273633A (en) Insecticidal n-(optionally substituted)-n&#39;- substituted-n,n&#39;-disubstitutedhydrazines
JPS62234055A (ja) 殺虫活性を有するn′−置換−n−アシル−n′−アルキルカルボニルヒドラジン
IE59966B1 (en) Insecticidal n-(optionally substituted)-n&#39;-substituted-n, n&#39;-disubstituted hydraz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