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816B1 - 임의의 펄스폭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임의의 펄스폭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816B1
KR940009816B1 KR1019910008478A KR910008478A KR940009816B1 KR 940009816 B1 KR940009816 B1 KR 940009816B1 KR 1019910008478 A KR1019910008478 A KR 1019910008478A KR 910008478 A KR910008478 A KR 910008478A KR 940009816 B1 KR940009816 B1 KR 94000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input
pulse width
terminal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993A (ko
Inventor
박상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816B1/ko
Publication of KR92002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01R23/14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by heterodyning; by beat-frequency comparis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임의의 펄스폭 검출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 2 도는 (a) 내지 (e)는 본 발명에서의 설명을 위한 신호 파형도.
제 3 도는 (a) 내지 (f)는 본 발명에서의 설명을 위한 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게이트수단 20 : 펄스폭 검파수단
30 : 클럭 발생부 40 : 카운터부
AND1-AND4 : 앤드게이트 EXOR1,EXOR2 :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
OR1,OR2 : 오어게이트 FE1,FE2 : D플립플롭
본 발명은 임의의 펄스폭을 검출하기 위한 펄스폭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계측기로서는 주파수나 위상 등의 특정기능 부분만을 계측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계측기는 임의의 펄스폭을 측정할 수가 없기 때문에 입력 신호로부터 보다 다양한 형태의 계측정보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임의의 펄스폭을 검출해주도록 하여 입력신호로부터 보다 다양한 형태의 계측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서와 같이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입력게이트수단(10)을 측정하고자 하는 임의의 펄스폭에 해당하는 구형파를 만들어주는 펄스폭 검파수단(20)에 연결하고, 이 펄스폭 검파수단(20)은 기준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30)와 기준 클럭을 카운트하여 펄스폭의 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부(4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입력게이트수단(10)내의 앤드게이트(AND1),(AND2)의 각 일측입력단자(ⓛ)를 입력신호단자(Vi),(Vr)에, 그리고 앤드게이트(AND1),(AND2)의 타측입력단자(②)는 입력선택신호단자(C)에 연결하고, 앤드게이트(AND1),(AND2)의 출력단자는 펄스폭 검파수단(20)내의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EXOR1),(EXOR2)의 일측입력단자(ⓛ)에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EXOR1),(EXOR2)의 타측입력단자(②)는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a,b)에 각각 연결하고,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EXOR1),(EXOR2)의 출력단자(②)는 오어게이트(OR1),(OR2)의 일측입력단자(ⓛ)에, 그리고 오어게이트(OR1)의 타측입력단자(②)는 D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에 연결하며, 타측입력단자(②)가 접지된 오어게이트(OR2)의 출력단자와 오어게이트(OR1)의 출력단자는 D플립플롭(FF1),(FF2)의 클럭단자(CLK)에 연결하고, D플립플롭(FF1),(FF2)의 출력단자(Q1,Q2)는 앤드게이트(AND3)의 일측 및 타측입력단자(ⓛ,②)에 연결하고,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단자는 앤드게이트(AND4)의 일측입력단자(ⓛ)에 앤드게이트(AND4)의 타측입력단자(②)는 클럭발생부(30)에, 앤드게이트(AND4)의 출력단자는 카운터부(40)에 각각 연결하여 임의의 펄스폭을 검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입력펄스의 주기를 측정할 경우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a),(b)를 0으로 하면 D플립플롭(FF1)은 프리세트(preset)되고 D플립플롭(FF2)은 리세트(Reset)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입력선택신호단자(C)를 1로 하면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앤드게이트(AND1),(AND2)의 일측 및 타측입력단자(①,②)에는 입력신호단자(Vi),(Vr)로 입력된 제 2a, b 도의 신호파형과 입력 선택신호단자(C)의 1신호가 각각 입력되어 앤드게이트(AND1),(AND2)로부터 하이(H) 신호가 출력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임의의 펄스폭에 해당하는 구형파를 만들어 주는 펄스폭 검파수단(20)내의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EXOR1),(EXOR2)의 일측입력단자(①)에 각각 입력되므로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EXOR1),(EXOR2)에서는 하이 신호가 출력되어 오어게이트(OR1),(OR2)의 일측입력단자(①)로 각각 입력된다.
그러면 오어게이트(OR2)에서는 하이 신호가 출력되어 D플립플롭(FF2)의 클럭단자(CLK)에 인가된다.
이때 D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가 제 2c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t1 시점에서는 로우에서 하이로 되어 앤드게이트(AND3)의 타측입력단자(②)에 인가되고, 따라서 D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가 t2시점에서는 하이에서 로우로 되어 오어게이트(OR1)의 타측입력단자(②)로 입력되어 오어게이트(OR1)에서는 Vi의 입력신호를 D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LK)로 입력시킨다.
이때 D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1)가 제 2d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t3시점에서는 하이에서 로우로되어 앤드게이트(AND3)의 일측입력단자(①)로 입력되므로 앤드게이트(AND3)로부터 제 2e 도와 같은 하이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된 하이 신호를 한주기 만큼의 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a),(b)를 0으로 하면 앤드게이트(AND3)에서 출력된 하이 신호를 한주기 만큼 유지시킨다.
그러나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a),(b)를 0으로 하지 않고 다르게 하면 앤드게이트(AND3)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출력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제 3 도의 (a) 내지 (f)는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a),(b)의 선택신호에 따라 앤드게이트(AND3)로 출력되는 신호파형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a),(b)의 선택신호에 따라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신호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도시한 신호파형도이다.
즉,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b)가 0인 경우는 제 3a 도에서와 같이 Vr의 상승시간(r1)에서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신호가 하강되고,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b)가 1인 경우는 Vr의 하상시간(r2)에서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신호가 상승된다.
따라서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a)가 0인 경우는 제 3b 도에서와 같이 Vi의 상승시간(i1)에서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신호가 상승되고,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a)가 1인 경우는 Vi의 하강시간(i2)에서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신호가 하강된다.
이렇게 앤드게이트(AND3)에서 출력된 하이 신호를 한주기 만큼 유지하고 있는 동안 기준 클럭발생부(30)의 클럭신호가 앤드게이트(AND4)의 타측입력단자(②)에 인가되어 앤드게이트(AND4)로부터 하이 신호가 출력되어 카운터부(40)에 인가된다.
그러면 카운터부(40)에서는 기준클럭을 카운트하여 그 시간을 측정하게된다.
이와 같이 Vr과 Vi의 입력신호를 상호 바꾸거나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a),(b)의 신호를 바꿈으로써 입력펄스의 임의의 폭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임의의 펄스폭을 검출해 주므로써 입력신호로 부터 보다 다양한 형태의 계측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입력게이트수단(10)과, 이 입력게이트수단은 임의의 펄스폭에 해당하는 구형파를 만들어 주는 펄스폭 검파수단(20)에 연결하고, 이 펄스폭 검파수단은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30)와, 기준클럭을 카운트하여 펄스폭의 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터부(40)에 연결하여 임의의 펄스폭을 검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임의의 펄스폭 검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게이트수단(10)내의 앤드게이트(AND1),(AND2)의 각 일측입력단자(①)를 입력신호단자(Vi),(Vr)에, 그리고 앤드게이트(AND1),(AND2)의 타측입력단자(②)는 입력선택신호단자(C)에 연결하고, 앤드게이트(AND1),(AND2)의 출력단자는 펄스폭 검파수단(20)내의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EXOR1),(EXOR2)의 일측입력단자(①)에,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EXOR1)(EXOR2)의 타측입력단자(②)는 위상반전 선택신호단자(a),(b)에 각각 연결하고, 익스클루시브 오어게이트(EXOR1),(EXOR2)의 출력단자는 오어게이트(OR1),(OR2)의 일측입력단자(①)에, 오어게이트(OR1)의 타측입력단자(②)는 D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에 연결하며, 타측입력단자(②)가 접지된 오어게이트(OR2)의 출력단자와 오어게이트(OR1)의 출력단자는 D플립플롭(FF1),(FF2)의 클럭단자(CLK)에 연결하고, D플립플롭(FF1),(FF2)의 출력단자(Q1,Q2)는 앤드게이트(AND3)의 일측 및 타측입력단자(①,②)에 연결하고,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단자는 앤드게이트(AND4)의 일측입력단자(①)에 앤드게이트(AND4)의 타측입력단자(②)는 클럭발생부(30)에, 앤드게이트(AND4)의 출력단자는 카운터부(40)에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펄스폭 검출방법.
KR1019910008478A 1991-05-24 1991-05-24 임의의 펄스폭 검출방법 KR94000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478A KR940009816B1 (ko) 1991-05-24 1991-05-24 임의의 펄스폭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478A KR940009816B1 (ko) 1991-05-24 1991-05-24 임의의 펄스폭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993A KR920021993A (ko) 1992-12-19
KR940009816B1 true KR940009816B1 (ko) 1994-10-17

Family

ID=1931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478A KR940009816B1 (ko) 1991-05-24 1991-05-24 임의의 펄스폭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071B1 (ko) * 2006-10-30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드 밴드 신호의 펄스 폭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993A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2358A (en) Digital frequency measuring device
US3778794A (en) Analog to pulse rate converter
US3601707A (en) Frequency to direct current converter
KR940009816B1 (ko) 임의의 펄스폭 검출방법
US4168467A (en) Measurement of pulse duration
US4926174A (en) Digital voltmeter
US4015202A (en) Automatic measurement and display of resonance frequencies of seismic detection elements
KR950006468A (ko) 주기측정장치
JPH07280857A (ja) パルス幅測定回路
US3866126A (en) Signal measuring and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s
EP0053487B1 (en) Test apparatus for signal timing measurement
KR100234197B1 (ko) 레이저거리 측정기의 검출신호 입력회로
JPH0333013Y2 (ko)
SU817605A1 (ru) Цифровой фазометр
SU630742A1 (ru) Широкодиапазонный реверсивный фазовый дискриминатор
RU20710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напряженности статического и квазистатическ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оля
SU1190293A1 (ru) Фазометр
SU55534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скорости вращени
RU2205446C2 (ru) Цифрово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сигнала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го емкостного датчика
JPH0738013B2 (ja) スキュー検出装置
US3389336A (en) Time delay tester having feedback induced oscillation
SU1256155A1 (ru) Генератор пр моугольных импульсов
SU1495724A2 (ru) Измеритель длительности фронтов импульсов
SU543885A1 (ru) Цифровой фазометр
SU6476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динам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тригге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