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311B1 -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 Google Patents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311B1
KR940009311B1 KR1019910023389A KR910023389A KR940009311B1 KR 940009311 B1 KR940009311 B1 KR 940009311B1 KR 1019910023389 A KR1019910023389 A KR 1019910023389A KR 910023389 A KR910023389 A KR 910023389A KR 940009311 B1 KR940009311 B1 KR 940009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gun
rotating
neck portion
cobulb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678A (ko
Inventor
최대옥
김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311B1/ko
Publication of KR93001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8Assembling together the component parts of electrod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제1도는 제1도를 종래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를 도시한 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가열 수단과 승강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회동수단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를 도시한 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회전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회전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프레임 110 : 벌브지지수단
120 : 전자총승강수단 130 : 가열수단
131 : 1공버너 132 : 라디안트버너
140 : 회전수단 141 : 하우징
141b : 가스유입공 142 : 회전부재
143 : 기스안내홈 144 : 도통공
160 : 승강수단 161 : 서포트
162 : 서어부모우터 163 : 볼스크류
164 : 이송부재 170 : (회전부재의)구동부
171 : 기어 172 : 구동기어
173 : 모우터 200 : 코벌브(Co Bulb)
201 : 네크부
본 발명은 전자총의 봉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용 코 벌브(Co Bulb)의 네크부에 전자총을 봉입하는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총의 봉입 장치는 음극선관용 코벌브의 네크부에 전자총을 삽입한 후 버너로서 네크부의 외주면을 가열하여 전자총의 스템과 네크부를 상호 융착시켜 진공을 위한 용기를 만드는 것으로, 종래의 봉입장치는 소정의 각도간격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상에 코벌브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가대와 각 가대에 안착된 코벌브의 네크부에 전자총을 삽입하는 전자총 지지봉이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의 주위에는 서포트에 지지되는 버너가 설치되어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총 봉입장치는 상기 가대에 전자총을 안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전자총지지봉에 전자총을 삽입한 후 상기 전자총 지지봉을 상승시켜 전자총이 네크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턴테이블 주위에 설치된 버너로서 가대에 설치된 각 코벌브의 네크부를 순차적으로 예열 및 주가열 하여 전자총의 스템과 코벌브의 네크부를 상호 융착시켜 전자총의 봉입공정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전자총 봉입장치는 설비가 거대하여 설치공간이 넓을 뿐만 아니라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가대 및 이에 설치된 코벌브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전자총과 코벌브의 봉입산포가 매우 심하며 결과적으로 많은 불량품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이 출원한 종래의 봉입장치는 한국 특허 출원번호 90-17701호에 기재되고,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프레임(2)의 상부에 설치되어 코벌브(200)를 지지하는 벌브지지수단(10)과, 이 벌브지지수단(10)에 안착된 코벌브(200)의 수직 하부에 위치되어 전자총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20)과, 상기 코벌브(200)의 네크부(201)주위에 설치되어 네크부(201)와, 전자총의 스템을 가열하는 가열수단(30)과, 상기 프레임(2)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열수단(30)을 네크부(201)에 대해 소정의 높이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40)과, 상기 전자총을 지지하는 전자총 지지봉(21)에 대해 가열수단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50)으로 대별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동수단(50)은 가열수단(30)의 버너지지봉(51)을 상기 전자총지지봉(21)에 대해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제2 및 제3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버너지지봉(51)에는 연결간(52)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봉(53)이 상기 버너지지봉(51)과 소정간격 이격된 채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 고정봉(53)은 프레임(2)의 상판에 설치된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54)의 상단부와 턴버클(55)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54)의 하단부는 기어모우터(56)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54)를 회동시킬 수 있는 캠(57)과 접속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총의 단두식 봉입장치(1)는 상기 코벌브(200)의 네크부(201)와 이에 삽입된 전자총의 스템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수단(30)의 버너(31)가 설치된 지지체(33)를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전자총 지지봉(21)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서 가열하여왔다. 즉, 상기 회동수단(50)의 기어드모우터(46)를 작동시켜 그 회전축에 설치된 캠(57)에 의해 상기 레버(57)을 회동시키고, 이 레버(54)에 의해 버너지지체(33)를 지지하는 버너지지봉(51)을 회동시켜 상기 버너(31)가 네크부(201)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네크부(201)와 스템을 가열하여 상호 융착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코벌브(200)의 네크부(201)와 전자총의 스템을 가열함에 있어서, 상기 버너(31)를 네크부(201)에 대해 회동시키면서 가열하게 되므로 네크부(201)의 가열 효율이 저하되게 되며, 나아가서는 봉입불량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네크부(201)를 가열하는 버너(31)가 네크부(201)에 대해 회동하게 되면 각 버너(31)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부위가 한정되게 되어 각 버너(31)에 의한 가열부위가 중첩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게 되므로 네크부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용융시킬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네크부(201)외주면의 용융 온도차이에 의해 용융된 유리의 점도가 달라 봉입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되고 네크부(201)가 깨끗하게 절단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전자총의 봉입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네크부와 전자총의 스템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봉입된 네크부의 두께 얇음 및 크랙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봉입제품의 신뢰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단두식 전자총 봉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게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코벌브를 지지하는 벌브지지수단과 상기 벌브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네크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을 네크부에 대해 소정높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된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가열수단의 버너를 상기 코벌브의 네크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는 제4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코벌브(200)를 지지하는 벌브지지수단(110)과, 상기 프레임(101)에 설치되며 코벌브(200)의 네크부(201) 수직 하부에 위치되어 전자총이 설치된 전자총 지지봉(121)을 승강시키는 전자총 승강수단(120)과, 상기 네크부(201)의 주위에 설치되어 네크부(201)와 전자총의 스템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30)과, 상기 가열수단(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수단(130)을 네크부(201)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40)과 상기 프레임(101)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140)과 가열수단(130)을 상기 네크부(201)에 대해 소정높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6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수단(160)은 상기 프레임에 전자총지지봉(121)과 인접되도록 서포트(161)가 설치되고 이 서포트(161)에는 프레임(101)에 설치된 서어브 모우터(162)에 의해 정역 회전되며 상기 전자총지지봉(121)과 평행하게 설치된 볼스크류(163)의 상단부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163)에는 이송부재(164)가 설치되는데, 이 이송부재(164)는 그 측면에 슬라이더(165)와 서포트(161)에 설치되어 슬라이더(165)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66)에 의해 그 위치가 한정되어 볼스크류(163) 회전시 이를 따라 승강되게 된다.
상기 회전수단(140)은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가열수단(130)을 네크부(201)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160)의 이송부재(164)에 브라켓(141a)에 의해 원통형의 하우징(141)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41)의 외주에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적어도 두개의 가스유입공(141b)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스유입공(141b)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스공급관과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에는 그 상면에 가열수단(130)인 1공버너(131)와 라디안트버너(132)가 교호적으로 설치된 회전부재(1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부재(142)의 외주면에는 가스유입공(141b)가 대응되는 위치에 이를 따라 환형의 제1, 2가스안내홈(143)과 상기 1공버너(131) 및 라디안트버너(132)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도통공(1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41a)과, 회전부재(142)에는 상기 하우징(141)에 대해 회전부재(14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70)가 설치된다. 이때에 상기 구동부(170)는 회전부재(142)의 하면은 기어(171)가 설치되고, 상기 기어(171)는 구동기어(172)와 치합되며, 이 구동기어(172)는 브라켓(141a)에 설치된 모우터(173)의 회전축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1)의 내주면과 회전부재(142)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개의 오일시일(Oil Seal)(145)이 설치되어 상기 가스유입공(141b)으로부터 제1, 2가스안내홈(143)에 유입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오일시일(145)은 V형 또는 T형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두식 봉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두식 봉입장치(100)로서 코벌브(200)의 네크부(201)에 전자총을 봉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레임(101)의 상부에 설치된 벌브지지수단(110)의 안착부에 코벌부(200)를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자총승강수단(120)의 전자총지지봉(121)에 봉입하고자 전자총을 상기 전자총 지지봉(121)과 동축으로 삽입지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자총승강수단(120)을 작동시킴으로써 전자총지지봉(121)을 상승시켜 전자총을 코벌브(200)의 네크부(201)에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네크부(201)에 전자총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수단(140)의 모우터(173)을 구동시켜 상기 하우징(141)에 대해 회전부재(142)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부재(142)가 코벌브(200)의 네크부(20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142)의 상부에 설치된 가열 수단인 라디언트버너(132)를 점화시켜 약한 불꽃으로써 상기 네크부(201)의 전자총 봉입위치를 가열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142)의 상면에 설치된 1공버너(131)를 점화시켜 그 불꽃의 강도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네크부(201)를 가열하여 전자총의 스템과 네크부(201)를 봉입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수단(140)의 하우징(141)에 형성된 각 가스유입공(141b)으로 유입된 가스는 상기 제1, 2가스안내홈(143)과, 도통공(144)를 통하여 상기 각 버너(131)(132)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2가스안내홈(143)은 상기 가스유입공(14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의 궤적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41)에 대해 회전부재(142)가 회전하여도 상기 제1, 2가스안내홈(143)으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상기 버너에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하우징(141)의 내주면과 회전부재(142)의 외주면 사이에 오일시일(145)이 설치되어 있어 하우징(141)의 내주면과 회전부재(142)의 외주면 사이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즉 라디언트버너(132) 및 1공버너(131)로서 네크부(201)를 가열하는 동안 상기 승강수단(160)에 의해 회전수단(140)과 가열수단(130)인 버너(131)(132)를 상기 네크부(201)에 대해 승강시킨다.
즉, 승강수단(160)의 서어부 모우터(162)를 작동시켜 볼스크류(16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이와 나사결합된 이송부재(164)에 브라켓(141a)에 의해 설치된 회전수단(140)이 승하강되어 상기 회전부재(142)의 상면에 설치된 버너(1)가 네크부(201)에 대해 승하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벌브(200)의 네크부(201)에 전자총의 봉입이 완료되면 상기 가열수단인 1공버너(131)를 소화하고 상기 라디안트 버너(1325)를 점화시켜 상기 봉입이 완료된 네크부(201)를 후열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후열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라디안트버너(132)를 소화시키고 회동수단의 모우터를 정지시켜 회전부재(14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네크부에 대한 가열 수단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전자총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전자총지지봉을 하강시킴으로써 음극선관용 코벌브(200)에 대한 전자총의 봉입을 완료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는 코벌브의 네크부를 가열하는 버너를 네크부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네크부가 불균일하게 가열되어 봉입부위의 크랙 및 두께 얇음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봉입불량율을 줄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코벌브를 지지하는 벌브지지수단과, 상기 벌브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코벌브의 네크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을 네크부에 대해 소정높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여된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1)에 상기 가열수단(130)의 버너를 상기 코벌브(200)의 네크부(201)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4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140)이 상기 승강수단(160)의 볼스크류(163)에 의해 승강되는 이송부재(164)와 슬라이더(165)에 의해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적어도 두개의 가스유입공(141b)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41)과, 상기 하우징(141)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가스 유입공(141b)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이를 따라 환형의 제1, 2가스안내홈(143)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설치된 각 버너(131)(132)와, 제1, 2가스안내홈(143)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도통공(144)이 형성된 회전부재(142)와, 상기 회전부재(142)를 상기 하우징(13)에 대해 회전시키는 구동부(17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70)가 상기 슬라이더(165)에 브라켓(141a)에 고정설치되며 그 회전축에 구동기어(172)가 설치된 모우터(173)와, 상기 구동기어(172)와 치합되며 회전부재(142)의 하면에 설치된 기어(171)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1)의 내주면과 회전부재(142)의 외주면 사이의 제1, 2가스안내홈(143) 상하부에 복수개의 오일시일(145)을 설치하여 상기 가스유입공(141b)으로부터 제1, 2가스안내홈(143)에 유입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KR1019910023389A 1991-12-18 1991-12-18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KR940009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389A KR940009311B1 (ko) 1991-12-18 1991-12-18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389A KR940009311B1 (ko) 1991-12-18 1991-12-18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678A KR930014678A (ko) 1993-07-23
KR940009311B1 true KR940009311B1 (ko) 1994-10-06

Family

ID=1932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389A KR940009311B1 (ko) 1991-12-18 1991-12-18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3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678A (ko) 199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49822A (en) Lamp sealing apparatus
KR940009311B1 (ko) 단두식 전자총의 봉입장치
KR900002593B1 (ko) 음극선관 제조방법 및 장치
CN201247751Y (zh) 荧光灯排气装置
US46183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 mount in a cathode ray tube
RU21060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паива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прожектора
US2639555A (en) Cathode-ray tube sealing process
US4589902A (en) Apparatus for sealing a mount in a cathode-ray tube
JPS6172659A (ja) 加熱封着法及び装置
US2686390A (en) Sealing a rectangular glass panel into a rectangular metal frame
JP2555020B2 (ja) ブラウン管の封止方法
US3129085A (en) Method for forming spiral lamp tubes
US3494756A (en) Method of mounting a pin-type electrode in a glass article
KR20110127398A (ko) 형광램프의 실링방법 및 이를 위한 실링장치
US2553135A (en) Process and machine for vacuum bottle tubulating and piercing
JP3214315B2 (ja) 受像管の封着方法及び受像管封着用バーナー装置
KR101243984B1 (ko) 방전램프의 실링방법
US4772239A (en) Sealing apparatus for picture tube
US4004337A (en) Apparatus for reed switch manufacture
KR900002594B1 (ko) 브라운관의 밀봉장치
GB67605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 discharge tubes
KR930007900B1 (ko) 음극선관의 봉입장치
KR0131925Y1 (ko) 네크 어닐링 장치
KR100269913B1 (ko) 냉음극관의 제조방법
KR100656943B1 (ko) 형광램프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