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595Y1 -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595Y1
KR940008595Y1 KR2019910022050U KR910022050U KR940008595Y1 KR 940008595 Y1 KR940008595 Y1 KR 940008595Y1 KR 2019910022050 U KR2019910022050 U KR 2019910022050U KR 910022050 U KR910022050 U KR 910022050U KR 940008595 Y1 KR940008595 Y1 KR 940008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b
switching
power supply
regula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2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806U (ko
Inventor
정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22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595Y1/ko
Publication of KR930016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8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LNB 전원 제어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LNB 전원 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형트랜스 2 : 20V정류기
3 : 10V정류기 4 : 15V스위칭 레귤레이터
5 : 12V스위칭 레귤레이터 6 : 5V레귤레이터
7 : 5V스위칭 레귤레이터 8 : 튜너부
9 : 마이콤 11 : 반전부
12 : 절환스위치 13 : 입력/연동제어부
14 : 과전압 검출부 15 : 과전류 검출부
16 : 전원차단 및 표시제어부 R11 : 과전류 검출용 저항
AC : 교류전원
본 고안은 위상방송 수신기에서 실외측의 위성방송 안테나에 설치되는 LNB(Low Noise Block-down Converter)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공급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튜너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LNB로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동작, 튜너부의 전원공급과 함께 LNB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동동작 및 튜너부의 전원공급에 관계없이 LNB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절연동작으로 LNB의 전원공급을 스위치의 절환에 따라 스위칭함과 아울러 LNB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LNB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공급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LNB 전원 제어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류전원(AC)을 강압하는 선형트랜스(1)와, 상기선형트랜스(1)의 강압전원을 정류하여 각기 20V 및 10V의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20V정류기(2) 및 10V정류기(3)와, 상기 20V정류기(2)의 출력전압을 15V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LNB로 공급하는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와, 상기 20V정류기(2)의 출력전원을 12V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12V스위칭 레귤레이터(5)와, 상기10V정류기(3)의 출력전원을 5V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5V레귤레이터(6)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7)와, 상기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의 출력전원을 동작전원으로 동작하는 튜너부(8)와, 상기 5V레귤레이터(6)의 출럭전원을 동작전원으로 하여 위성방송 수신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15V,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4) (5) (7)의 동작을 제어하는 만큼(9)으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LNB 전원 제어회로는 교류전원(AC)이 인가되면, 인가된 교류전원(AC)은 선형트랜스(1)에서 강압되고, 20V 및 10V 정류기(2) (3)에서 정류되어 각기 20V 및 1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 및 출력된다.
그리고 10V정류기(3)에서 출력된 10V직류전원은 5V레귤레이터(6)에서 5V정전압으로 변환되어 마이콤(9)에 입력된다.
그러면, 마이콤(9)은 정상동작을 하여 위성방송 수신기의 진채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마이콤(9)은 교류전원(AC)이 인가되면 바로 정상동작을 수행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마이콤(9)은 고전위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15V, 12V 및 5V 스위칭 레귤레이터(4) (5) (7)의 제어단자가 고전위로 되어 정상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는 15V정전압을 출력하여 LNB에 공급하고, 12V 및 5V 스위칭 레귤레이터(5) (7)는 각기 12V 및 5V 정전압을 출력하여 튜너부(8)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콤(9)이 저전위를 출력하면, 상기와는 반대로 15V, 12V 및 5V 스위칭 레귤레이터(4) (5) (7)가 동작을 하지 않고, LNB 및 튜너부(8)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LNB 전원 공급회로는 LNB와 튜너부(8)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연동동작으로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할 뿐이고, LNB와 튜너부(8)를 분리하여 각기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입력동작 및 절연동작으로 스위칭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므로 하나의 위성방송 안테나에 다수의 위성방송 수신기를 연결하여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공동수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위성방송 수신기만이 LNB에 동작 전원을 공급해야 되나, 위성방송 수신기의 튜너부의 동작과 함께 모두 LNB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NB의 전원 공급선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우천시나 부식등으로 단락 또는 단선되고, 이로 인하여 과전류 및 과전압이 공급될 경우에 LNB의 전원공급을 차단시켜야 되나 종래의 LNB 전원 공급회로는 과전류 및 과전압시 전원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 20V정류기(2) 및 선형트랜스(1)의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절환스위치의 절환에 따라 입력, 연동 및 절환동작으로 LNB의 전원을 스위칭함과 아울러 과전류 및 과전압이 공급될 경우에 LNB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LNB 전원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2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원 제어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류전원(AC)을 강압하는 선형트랜스(1)와. 상기 선형트랜스(1)의 강압전원을 정류하여 각기 2DV 및 10V의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20V정류기(2) 및 10V정류기(3)와, 상기 20V정류기(2)의 출력전압을 15V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LNB로 공급하는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와, 상기 20V정류기(2)의 출력전원을 12V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12V스위칭 레귤레이터(5)와, 상기 10V정류기(3)의 출력전원을 5V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5V레귤레이터(6)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7)와, 상기 12V 및 5V 스위칭 레귤레이터(5) (7)의 출력전원을 동작전원으로 동작하는 튜너부(8)와, 상기 5V레귤레이터(6)의 출력전원을 동작전원으로 하여 위성방송 수신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15V,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4) (5) (7)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9)을 구비한 LNB 전원 제어회로에 있어서,상기 마이콤(9)의 출력단자를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는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의 제어단자에 접속하여 반전부(11)를 구성하고,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의 출력단자를 과전류 검출용저항(R11)을 통한 후 입력, 연동 및 절연동작에 따라 절환하는 2련 슬라이드형 절환스위치(12)의 고정단자(a2)에 접속하여 절환스위치(12)의 고정단자(a1, a3)는 LNB에 접속하고, 고정단자(b1)는 접지시키며, 고정단자(b2)는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저항(R12)을 통해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의 제어단자 및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2)의 에미터는 상기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의 제어단자와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 접속점에 접속하여 입력/연동제어부(13) 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의 출력단자에 저항(R13) 및 정전압다이오드(ZD)를 직렬로 접속하여 과전압 검출부(14)를 구성하고, 상기 과전류 검출용 저항(R11)의 양단자의 전압으로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부(15)의 출력단자와 정전압다이오드(ZD)의 애노드를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는 역방향 발광다이오드(LD)를 통해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의 제어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저항(R14), 접지저항(R15) 및 저항(R16)을 순차적으로 통해 5V레귤레이터(6)의 출력단자에 접속하여 전원차단 및 표시제어부(16)를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절환스위치(12)는 입력동작시 고정단자(a1, a2) (b1, b2)가 접속되고, 연동동작시 고정단자(a2, a3) (b2,b3)가 접속되며, 절연동작시 고정단자(a3, a4) (b3, b4)가 접속되게 절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LNB 전원 제어회로는 교류전원(AC)이 인가되면, 인가된 교류전원(AC)을 선형트랜스(1)에 강압되고, 20V 및 10V정류기(2) (3)에서 각기 정류되어 출력되며, 10V정류기(3)에서 출력되는10V의 직류전압은 5V레귤레이터(6)에서 5V정전압으로 변환된후 마이콤(9)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되므로 마이콤(9)은 정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마이콤(9)이 출력단자로 고전위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반전부(11)의 트랜지스터(Q11)가 온되고,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의 제어단자는 저전위로 되므로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는 동작하지 않아 튜너부(8)에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마이콤(9)이 출력단자로 저전위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와는 반대로 반전부(11)의 트랜지스터(Q11)가 오프되고,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의 제어단자는 고전위를 유지하므로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는 정상동작을 하여 각기 12V 및 5V의 정전압을 출력하고, 출력한 정전압은 튜너부(8)에 공급되어 튜너부(8)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입력동작을 선택하여 절환스위치(a1, a2) (b1, b2)를 접속시키면, 입력/연동제어부(13)의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그가 오프되므로 15V레귤레이터(4)의 제어단자의 전위가 고전위를 유지하여 정상 동작하고, 15V 정전압을 출력하여 저항(R11) 및 절환스위치(12)의 고정접점(a2, a1)을 통해 LNB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연동동작을 선택하여 절환스위치(12)의 고정첩점(a2, a3) (b2, b3)을 접속하면, 5V레귤레이터(6)의 출력전원이 저항(R16, R14)을 통하고, 15V레귤레이터(13)의 제어단자의 전위와 함께 저항(R12)을 다시 통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가 온되고, 15V스위치 레귤레이터(4)의 제어단자와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의 제어단자가 트랜지스터(Q12)를 통해 등가적으로 접속되므로 마이콤(9)이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도 동작하지 않고,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가 동작할 경우에는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가 동작하여 15V정전압을 출력하고, 출력한 15V 정전압은 저항(R11) 및 절환스위치(12)의 고정접점(a2, a3)을 순차적으로 통해 LNB에 동작전원으로 공급된다.
또한 절연동작을 선택한 경우에는 절환스위치(12)의 고정접점(a3, a4)이 접속되므로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의 동작에 관계없이 LNB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입력 또는 연동동작을 선택하여 LNB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LNB에 단락등의 이상이 발생하여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저항(R11)에도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그의 양단간의 전압이 상승하고, 저항(R11)의 양단간의 전압으로 과전류 검출부(15)가 과전류를 검출하여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전원차단 및 표시제어부(16)의 트랜지스터(Q13)가 온되고, 5V레귤레이터(6)의 출력전원이 저항(R16, R15, R14) 및 발광다이오드(LD)릍 통해 트랜지스터(Q13)로 흐르게 되어 발광다이오드(LD)가 점등됨과 아울러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의 제어단자에는 발광다이오드(LD)의 순방향 전압 및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와 에미터간의 전압을 가산한 약 0.8V의 낮은 전압이 인가되어 동작하지 않고, LNB에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LNB에 과전압이 공급될 경우에는 과전압 검출부(14)의 정전압 다이오드(ZD)가 온되고, 트랜지스터(Q13)가 온되므로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드(LD)가 점등되고,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는 동작하지 않아 LNB에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입력, 연동 및 절연동작으로 LNB의 전원공급을 스위칭함으로써 공동수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위성방송 수신기만 LNB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어 LN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LNB에 과전압 및 과전류가 공급될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여 15V레귤레이터를 비롯한 전원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마이콤(9)과, 상기 마이콤(9)의 제어에 따라 LNB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와, 상기 마이콤(9)의 제어에 따라 튜너부(8)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와, 상기 마이콤(9)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5V레귤레이터(6)를 구비한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9)이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의 동작을 제어하는 반전부(11)와, LNB의 전원공급을 입력, 연동 및 절연 동작으로 절환하는 절환스위치(12)와, 상기 절환스위치(12)가 입력 동작으로 절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의 제어단자를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5) (7)의 제어단자와 분리시켜 계속 동작되게 하고 연동 동작으로 절환되었을 경우에 등가적으로 접속시켜 반전부(11)의 제어에 따라 15V, 12V 및 5V스위칭 레귤레이터(4) (5) (7)의 동작이 함께 제어되게 하는입력/연동제어부(13)와,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와 LNB의 전원 공급라인에 연결되는 저항(R11)와, 상기 저항(R11)의 양단간의 전압으로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부(15)와, LNB에 과전압이 공급되는지를 검출하는 과전압 검출부(14)와, 상기 과전압 검출부(14) 및 과전류 검출부(15)의 출력전압에 따라 상기 15V스위칭 레귤레이터(4)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이를 표시하는 전원차단 제어부(1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절환스위치(12)는 2련 슬라이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제어회로.
KR2019910022050U 1991-12-12 1991-12-12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 KR940008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050U KR940008595Y1 (ko) 1991-12-12 1991-12-12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050U KR940008595Y1 (ko) 1991-12-12 1991-12-12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806U KR930016806U (ko) 1993-07-29
KR940008595Y1 true KR940008595Y1 (ko) 1994-12-23

Family

ID=1932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2050U KR940008595Y1 (ko) 1991-12-12 1991-12-12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5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806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7731A (en) Power supply with automatic input voltage doubling
US6023603A (en) Satellite signal splitter
US4608500A (en) Electric power unit
CA2073700C (en) Source voltage control switching circuit
KR940008595Y1 (ko)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
KR0146037B1 (ko) 위성방송수신장치의 전원제어장치
KR950006242B1 (ko) 전원 공급 장치
US3720868A (en) Multiple input voltage source power supply
JPH11155135A (ja) Catv用電源供給装置
US3882401A (en) Illuminating arrangement for channel or station selection indicator of a receiver of the standby type
US434292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interruption-free voltage switching
KR920009208B1 (ko) 디지탈 제어기용 온-오프 장치
KR960016382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전원 스위칭 장치
KR960007103Y1 (ko) 저잡음 블록 컨버터의 전원 자동 차단회로
KR960007564Y1 (ko) 과대 abl 전류 감지 회로
KR0141327B1 (ko) Ac/dc 겸용 텔레비젼의 ac/dc 자동절환회로
CA2313138A1 (en) Power circuit
KR200146245Y1 (ko) 부분 부하 모드시 튜닝전압 안정화 회로
KR930007786Y1 (ko) 주파수 변환장치(lnb)용 가변 전원공급회로
KR960005959Y1 (ko)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KR970000787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 엘.엔.비.용 전원 보호회로
KR960008003Y1 (ko) 엘앤비(lnb) 전원 단락시의 경보 회로
JPS626752Y2 (ko)
KR930004370Y1 (ko) 저잡음 블록 컨버터의 전원 자동 차단회로
WO2003085850A1 (en) Power supply for a satellite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