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959Y1 -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959Y1
KR960005959Y1 KR2019910007583U KR910007583U KR960005959Y1 KR 960005959 Y1 KR960005959 Y1 KR 960005959Y1 KR 2019910007583 U KR2019910007583 U KR 2019910007583U KR 910007583 U KR910007583 U KR 910007583U KR 960005959 Y1 KR960005959 Y1 KR 960005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er door
switch
door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7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7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959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제l도는 본 고안의 전원공급 제어회로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원공급 제어회로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 회로도.
제3도는 마이콤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콤 20 : 전원공급 선택부
30 : 케이블 40 : 전원공급부
본 고안은 위성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아우트 도어 유니트(out door unit)의 저잡음 블록 컨버터(Low Noise Block Converter)(이하,LNB라고 약칭함)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방송 시스템은, 위성방송 신호롤 수신하는 아우트 도어 유니트와. 수신된 위성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텔레비젼 수상기 등으로 출력하는 인도어 유니트(in door unit)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 아우트 도어 유니트와 인도어 유니트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아우트 도어 유니트는 파라보라 안테나가 수신한 위성방송 신호에 혼합되어 있는 잡음신호 등을 감소시켜 인도어 유니트로 전송하는 LN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LNB에는 자체의 전원 공급원이 없고, 인도어 유니트로 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있다.
그리고 아파트 단지 등과 같이 하나의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다수의 인도어 유니트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멀티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인도어 유니트가 모두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LNB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그 다수의 인도어 유니트가 출력하는 전원이 합산되어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공급되므로 아우트 도어 유니트가 손상되게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어 각각의 인도어 유니트에는 전원선택용 2단 슬라이드 스위치를 부착하고, 그 2단 슬라이드 스위치를 조작하여 하나의 인도어 유니트는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켜도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계속 전원을 공급하고, 나머지 다른 인도어 유니트들은 전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에 관계없이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원선택용 2단 슬라이드 스위치를 사용하여 인도어 유니트에서 아우트 도어 유니트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위성방송 시스템은, 하나의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하나의 인도어 유니트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하나의 인도어 유니트가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하게 2단 슬라이드 스위치를 절환시켜 놓고 있으나, 이때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켜도 인도어 유니트가 아우트 도어 유니트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필요없이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인도어 유니트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킬 경우에 2단 슬라이드 스위치를 절환하여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고, 전원 스위치를 온할 경우에 다시 2단 슬라이드 스위치를 조작하여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하게 할 수도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온 및 오프시킬 경우마다 일일이 2단 슬라이드 스위치를 절환해야 되어 많은 번거로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인도어 유니트의 전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시 선택적으로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전원공급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전원공급 제어회로는, 예를 들면 3단 슬라이드 스위치를 사용한다. 그리고 마이콤은 이 3단 슬라이드 스위치의 절환상태를 판별하여, 전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에 관계없이 아우트 도어 유니트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거나, 전원스위치의 온 및 오프에 관계없이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전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에 따라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다수의 인도어 유니트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멀티시스템에서는 전원 스위치의 절환상태에 관계없이 인도어 유니트는 3단 슬라이드 스위치의 절환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고, 하나의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하나의 인도어 유니트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에 따라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원공급 제어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원공급 제어회로의 블록도이고, 제2도는 실시예를 보인 상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10)의 출력단자(DB1)를 다이오드(D1)를 통해 3단 슬라이드 스위치(21)의 가동접점에 접속하고,3단 슬라이드 스위치(21)의 고정접점(a1)(a2)(a3)은 접지저항(R1)(R2)(R3) 및 마이콤(10)의 입력단자(DA1)(DA2)(DA3)에 각기 접속하여 전원공급 선택부(20)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마이콤(10)의 출력단자(DB2)는 저항(R4)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를 저항(R5)을 통해 접속하여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는 전원단사(B)를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다이오드(D2)를 통해 케이블(30)에 접속하여 전원공급부(40)를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마이콤(10) 및 전원단자(B)에는 전원 스위치(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의 온 및 오프에 관계없이 계속 동작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윈공급 제어회로는, 마이콤(10)이 출력단자(DB1)로 고전위를 출력하고, 출력한 고전위는 다이오드(D1)를 통해 3단 슬라이드 스위치(21)의 가동접점에 인가된다.
이때 사용자가 3단 슬라이드 스위치(21)의 가동접점을 고정접점(a1)에 접속시키면, 마이콤(10)의 입릭단자(DA1)에 고전위가 입력된다.
그러면 마이콤(10)은 3단 슬라이드 스위치(21)의 가동접점이 고정접점(a1)에 접속되어 있음을 판단하고, 출력단자(DB2)로 저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원공급부(40)의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2)도 오프되며, 케이블(30)로 전원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3단 슬라이드 스위치(21)의 가동접점을 고정접점(a2)에 접속시키면, 마이콤(10)의 입력단자(DA2)에 고전위가 입력되므로 마이콤(10)은 3단 슬라이드 스위치(21)의 가동접점이 고정접점(a2)에 접속되어 있음을 판단하고, 출력단자(DB2)로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원공급부(40)의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트랜지스터(Q2)도 온되며, 전원단자(B+)의 전윈이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케이블(30)로 출력되이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LNB로 공급된다.
또한, 사용자가 3단 슬라이드 스위치(21)의 가동점점을 고정접점(a3)에 접속시키면, 마이콤(10)의 입력단자(DA3)에 고전위가 입력되므로 마이콤(10)온 3단 슬라이드 스위치(21)의 가동접점이 고정접점(a3)에 접속되어 있음을 판단한다.
그러면 마이콤(10)은 전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상태를 판단하고,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에는 출력단자(DB2)로 저전위를 출력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가 온되어 있을 경우에는 출력단자(DB2)로 고전위를 출력하고, 그 출력한 고전위에 의해 트랜지스터(Q1, Q2)가 온되어 아우트 도어 유니트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제3도는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마이콤(10)의 신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10)은 단계(50)에서 출력단자(DB1)로 고전위를 출력한 후 단계(51)에서 입력단자(DA1-DA3)의 신호를 입력하고, 단계(52-54)에서 입력단자(DA1-DA3)로 입력된 신호의 전위를 판별한다.
이때, 입력단자(DA1)의 전위가 고전위일 경우에는 단계(56)에서 출력단자(DB2)로 저전위릍 출력하여 아우트도어 유니트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하고, 입력단자(DA2)의 전위가 고전위일 경우에는 단계(57)에서 출력단자(DB2)로 고전위를 출력하여 아우트 도어 유니트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며, 입력단자(DA2)의 전위가 고전위일 경우에는 단계(57)에서 현재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판별하여, 전원 스위치가 온되어 있을 경우에는 단계(57)에서 출력단자(DB2)로 고전위를 출력하여 아우트 도어 유니트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며,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에는 단계(57)에서 출력단자(DB2)로 저전위를 출력하여 아우트 도어 유니트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3단 슬라이드 스위치(21)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3단으로 절환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음은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원공급 제어회로는, 하나의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다수의 인도어 유니트릍 연결하여 사용하는 멀티시스템에서는 전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에 관계없이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계속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게 할 수 있고, 하나의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하나의 인도어 유니트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에 따라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게 할수 있으므로 하나의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하나의 인도어 유니트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 필요없이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위성방송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있다.

Claims (1)

  1. 전원의 공급상태를 3단으로 선택하는 스위치(21)와, 상기 스위치(2l)의 3단 절환상태에 따라 전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에 관계없이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게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전원 스위치의 온 및 오프에 따라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10)과, 상기 마이콤(10)이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아우트 도어 유니트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전원공급부(4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KR2019910007583U 1991-05-27 1991-05-27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KR960005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583U KR960005959Y1 (ko) 1991-05-27 1991-05-27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583U KR960005959Y1 (ko) 1991-05-27 1991-05-27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959Y1 true KR960005959Y1 (ko) 1996-07-18

Family

ID=1931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7583U KR960005959Y1 (ko) 1991-05-27 1991-05-27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9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959Y1 (ko) 아우트 도어 유니트의 전원공급 제어회로
WO1999048206A3 (en) Bicmos switch circuit
KR920009208B1 (ko) 디지탈 제어기용 온-오프 장치
US3339140A (en) Solid-state two-way radio switching system application
KR910001517B1 (ko) Tv 수상기용 음성다중 신호 선택 장치
US5561478A (en) Tri-state controlled video switch
KR900004877Y1 (ko) 음성 다중 모우드의 자동 전환회로
KR960016382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전원 스위칭 장치
KR970072995A (ko) A/v기기 통합제어장치
KR930006291Y1 (ko) 2입력 스위칭 회로
KR930007786Y1 (ko) 주파수 변환장치(lnb)용 가변 전원공급회로
KR890006230Y1 (ko) 모니터겸용 tv수상기의 모우드 절환회로
KR930007544Y1 (ko) 전원의 선택 공급 회로
KR900009974Y1 (ko) A/v 시스템의 모드 제어회로
KR870003021Y1 (ko) 모니터 겸용 텔레비젼의 음량 조절회로
KR880000915Y1 (ko) 음성다중 방송시의 음성신호 자동 절환회로
KR910000650Y1 (ko) 스위칭 회로
KR930006694Y1 (ko) Bs 튜너입력절환회로
KR970003440B1 (ko) 유선방송용 컨버터의 전원제어장치
KR950004264Y1 (ko) Vcr 재생 우선 선택 회로
KR100314711B1 (ko) 전원 스위칭 회로
JPS6234173B2 (ko)
KR940008595Y1 (ko) 위성방송 수신기의 lnb 전원 제어회로
EP0033434A1 (en) An arrangement for remotely switching over two or more antenna taps of a television set
KR910005012Y1 (ko) 비데오 카메라의 전원 자동 선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