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464Y1 - 높이 조정 가능한 비계용 안전난간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정 가능한 비계용 안전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464Y1
KR940008464Y1 KR2019910017252U KR910017252U KR940008464Y1 KR 940008464 Y1 KR940008464 Y1 KR 940008464Y1 KR 2019910017252 U KR2019910017252 U KR 2019910017252U KR 910017252 U KR910017252 U KR 910017252U KR 940008464 Y1 KR940008464 Y1 KR 940008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scaffolding
railing
pill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961U (ko
Inventor
김양수
황보호
Original Assignee
럭키개발 주식회사
구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럭키개발 주식회사, 구자원 filed Critical 럭키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7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464Y1/ko
Publication of KR930008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9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4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높이 조정 가능한 비계용 안전난간대
제1도는 기존의 비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정식 안전난간대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난간대 역할을 하는 승강사다리겸 난간대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승강사다리겸 난간대 맞은편의 난간기둥을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측방난간대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방난간대중 중간난간의 양단에 달린 고정테를 보여주는 제5도의 A-A'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정용 연결봉의 정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가새난간의 전개도.
제9도는 제8도의 가새난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제8도의 A-A'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난간대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조립순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안전난간대의 연결봉이 난간기둥과 기존 비계의 버팀기둥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투상도.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난간대를 2개 잇대어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실명
1 : 버팀기둥 2 : 발판 지지봉
3 : 승강사다리 4 : 작업용 발판
5 : 교차가새 6 : 난간기둥
7 : 측방난간대 8 : 가새난간
9 : 보강재 10 : 승강사다리겸 난간대
11 : 연결봉 12 : 연결핀
13 : 난간지지봉 14 : 상단난간
15 : 중간난간 16 : 끼움쇠
17 : 고정테 18,22 : 구멍
19 : 받침턱 20 : 강선
21 : 조인트 핀
본 고안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용 가설재들중 비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의 안전을 보장하고 여러 단계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안전 난간대 및 높이 조절용 조인트 핀을 이용한 다용도 틀비계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것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어 온 종래의 비계의 구조적 단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런 종래의 비계는 파이프형의 4개의 버팀기둥(1), 2개의 바닥 지지봉(2), 각각의 버팀기둥(1)에 일체로 부착된 승강사다리(3), 바닥지지봉(2)위에 얹혀지는 작업용 발판(4), 및 버팀기둥(1)사이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도록 교차 결합된 2쌍의 가새(5)로 구성되어 제1도에 도시된 것 같은 비계단위를 이루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비계는 버팀기둥(1)이 동일한 모양의 다른 단위 비계의 버팀기둥에 끼워맞춤되게 되어있어, 도시된 바와 같은 단위 비계를 상하로 여러개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좌우로도 동일한 단위 비계를 여러개 연결할 수 있도록되어 있다. 고층빌딩의 작업시, 이런 단위 비계를 여러개 쌓아 최상단의 작업바닥위에서 인부들이 작업을 할수 있는바, 이와 같은 종래의 비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우선 기존의 비계에는 최상단의 작업대에 표준화된 난간대가 없어 고층 작업시 작업자가 언제라도 추락될 위험을 안고 있다. 또한 표준화된 난간대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 현장에서 조잡하게 난간대를 설치하게 되므로 안전성이 없으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효율성이 없게된다. 게다가 고가 작업을 할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단위 비계를 여러개 치쌓아 작업을 하는바, 이런 단위 비계의 높이만큼씩 작업 높이를 조정할 수 있지만 이런 기존의 비계로는 그 작업 높이를 세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 높이를 조정할 경우 작업의 안전을 위해 난간대를 다시 설치해야 하고 단위 비계 이하의 높이, 즉 천정이나 조적같은 비교적 낮은 곳을 내장작업은 곤란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단위비계를 여러개 좌우로 연결하여 기다란 작업용 비계틀을 만들어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경우 따로 안전난간대를 조잡하게 설치하거나, 기존의 작업용 발판을 최상단 아래로 내려달아야 하는바, 이때는 단위비계마다 승강사다리(3)와 발판지지봉(2)이 삐죽 튀어나와 있어 작업자가 돌아다니기에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기존의 비계의 여러 단점들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을 갖는다.
본 고안의 제1목적은 작업용 가설재 비계에 표준화된 추락 방지용 난간대를 마련하여 추락의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상기 안전난간대를 비계 자체에 손쉽게 분해조립할 수 있도록하여, 종래의 비계처럼 나무각재나 철재를 비계에 묶어서 난간대를 만드는 수고를 덜어줌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는등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3목적은 기존의 단위 비계의 중간 높이에서도 작업을 가능하게 하도록 높이 조정을 세분화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4목적은 단위비계를 좌우로 길게 연결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발판위를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도면에서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간략화하기로 한다.
제1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위 비계를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도에서 보다시피, 본 고안에 따른 안전난간대는 기존의 단위 비계에 조립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종래의 단위 비계의 4개의 버팀기둥(1)과 일치하는 위치의 4개의 파이프형난간기둥(6), 조립식 측방 난간대(7), 2개의 난간기둥(6)의 하단을 연결하는 1쌍의 보강재(9), 1쌍의 가새난간(8), 승강사다리겸 난간대(10), 및 4개의 연결봉(11)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각 부품의 구성 및 조립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3도에는 본 고안의 승강 사다리겸 난간대(10)와 그 난간대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난간기둥(6)의 정면도가, 제4도에는 보강재(9)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난간기둥(6)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다시피, 난간 기둥들(6)의 길이는 120㎝ 정도이고 상단에서 약 10㎝아래와 하단에서 약 30㎝ 위에 각각 1개씩 연결핀(12)이 달려 있어 가새난간(8)의 상하단 구멍에 끼워맞춤되도록 되어 있으며 난간기둥(6) 각각에는 후술할 연결봉의 구멍에 상응하는 구멍들(18)이 약 10㎝ 간격으로 여러개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난간기둥들(6)을 연결하는 길이 120㎝정도의 상부 보강재(9)에는 작업자용 발판이 얹혀진다.
제5도에는 측방난간대(7)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약 1m길이의 2개의 지지봉(13)을 상단난간(14)과 중간난간(15)으로 연결하고 있고, 상단난간(14)의 좌우단은 지지봉(13) 너머로 돌출하여 길이가 약 120㎝이며 난간기둥(6)까지 뻗어있다. 상단난간의 좌우단에는 각각 소정길이의 끼움쇠(16)가 달려있고, 그 끼움쇠(16)의 직경은 난간기둥(6)에 헐거운 끼워맞춤될 정도이며, 중간난간(15)은 길이가 약 100㎝이고 그 좌우단에는 고정테(17)가 달려있는바, 그 고정테의 직경은 측방난간대(7)를 난간기둥(6)에 조립할때 고정테가 난간기둥(6)에 끼워져 끼움쇠(16)와 협력해 측방난간대가 안정될 정도로 되어있다. 제6도에는 제5도의 A-A'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고정테(17)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제6도에는 고정테가 타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난간기둥(6)에 고정될 수만 있으면 원형등을 포함해 어떤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7도에는 연결봉(1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봉(11)의 직경은 난간기둥(6)은 물론 기존 비계의 버팀기둥(1)에 중간 끼워맞춤될 정도이고 그 길이는 작업에 필요한 높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만들 수 있다. 본 고안의 연결봉(11)에도 소정 간격(약10㎝)으로 구멍들(18)이 뚫려있어, 조립상태에서 난간기둥(6)의 구멍들(18)과 서로 일치되게 되어있다.
연결봉(11)의 하단에서 약17㎝ 위쪽에는 받침턱(19)이 형성되어 있는바, 그 역할은 기존의 비계의 버팀기둥(1)에 연결봉(11)을 끼운 조립상태에서 본 고안의 안전난간대를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받침턱(19)에는 유연한 강선(20)등에 의해 조인트 핀(21)이 달려있어, 조립시 그 조인트 핀(21)을 난간기둥(6)과 연결봉(11)의 구멍들(18)에 끼워 본 고안의 안전잔간대를 고정하게 되어있다.
제8도에는 3개의 기다란 원통형 봉(8a-8c)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가새난간(8)이 도시되어 있는바, 그 양단에는 난간기둥들(6)의 연결핀(12)에 끼워지는 구멍들(22)이 뚫려있고, 봉(8a)은 일단에서 봉(8b)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봉들(8b,8c)의 중간은 리벳에 의해 연결되어 분해시 교차가새를 접을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9도에는 가새난간(8)의 중앙의 연결관계를 명료하게 보여주도록 제8도의 A-A'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2개의 파이프형 봉들이(8b-8c)리벳과 와셔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본 고안의 가새난간(8)을 구성하며, 조립시에 상기 가새난간은 연결핀(12)에 결합되고, 따라서 연결핀(12)의 길이는 상기 봉들(8a,8b,8c)의 총 직경의 합에 해당한다.
이상의 본 고안에 따른 안전난간대의 조립순서를 이제 제10a-10d도를 참조해 설명한다. 우선 제10a도에서처럼 연결봉(11)을 수직으로 세운다음, 제10b도에서와 같이 승강사다리겸 난간대(10)의 난간기둥(6)과 그 맞은편의 난간기둥(6)에 상기 연결봉(11)을 끼워맞춤하고 원하는 높이에서 조인트 핀(21)을 상기 연결봉(11)과 난간기둥(6)의 구멍(18)에 끼워 난간기둥과 연결봉을 고정시킨다. 이어서, 제 10c도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사다리겸 난간대(10)의 반대쪽 난간기둥(6)이 측방난간대(7)의 고정테(17)에 걸리도록 윗쪽으로부터 측방난간대(7)를 삽입한다음 상단난간(14)의 끼움쇠(16)를 파이프형 난간기둥(6)의 상단 내경안으로 삽입함으로써 측방난간대(7)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좌우난간대들에 이어서 2쌍의 가새난간(8)을 제10d도처럼 조립한뒤 발판을 설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난간대가 완성된다. 이러한 완성된 안전난간대는 기존의 어떤 비계에도 조립이 가능하여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제11도는 본 고안의 안전난간대를 기존의 비계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인바, 본 고안의 연결봉(11)의 받침턱(19)이 비계의 버팀기둥(1)의 상단에 걸릴때까지 연결봉(11)을 버팀기둥(1)에 삽입하면 간단하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2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난간대를 잇달아 2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본 고안의 측방난간대(7)를 장착하지 않고 각 난간대의 좌단과 우단에 승강사다리겸 난간대(10)를 각각 장착하고 안전난간대의 연결부분을 개통시킴으로써 기존의 비계와는 달리 작업자가 기다란 작업대를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안전난간대를 작업에 필요한 적정한 갯수만큼 좌우로 연결하면 원하는 길이의 안전난간대를 임의로 마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것처럼, 본 고안의 안전난간대는 연결봉(11)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기존의 단위비계의 1단과 2단 사이, 2단과 3단 사이등의 위치에서, 즉, 단위비계사이의 간격에서도 세분되어 작업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비계보다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장치로서의 난간대가 표준화되어있어 난간대를 설치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계의 높이 조정을 할때에도 안전난간대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안전난간대는 내부작업대의 기능동 가진다. 즉, 미장, 조적, 천정등의 작업에는 주로 기존의 단위 비계 이하의 높이인 1단 이하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바, 이런 내부작업등에도 안전난간대 자체만을 이용해 1단이하의 작업을 높이를 조정하면서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의 안전난간대는 2개이상 좌우로 연결하되, 중간중간에 측방난간대(7)를 제거함으로써 작업자가 자유롭게 이동할수 있도록 하며 넓은 영역에서의 작업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비계의 버팀기둥에 끼워맞춤 가능하고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들(18)이 뚫려있는 파이프형 난간기둥(6)들, 상기 난간기둥들(6)중 측방 난간기둥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소정 길이의 상단난간(14)의 약간 안쪽과 중간난간(15)의 양단에 수직하방으로 소정길이의 지지봉(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난간의 양단에는 조립상태에서 상기 난간기둥의 내경에 헐거운 끼워맞춤될 정도의 외경을 갖는 소정길이의 수직 끼움쇠(16)가 달려있으며, 상기 중간난간의 양단에도 조립상태에서 상기 난간기둥(6)의 외주변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테(17)가 달려있어, 상기 난간기둥(6)에 분해결합될 수 있는 측방난간대(7) ; 난간기둥들(6) 각각의 상하단 근처의 연결핀(12)에 분해결합 가능한 2쌍의 가새난간(8) ; 및 상기 난간기둥(6) 및 기존 비계의 버팀기둥(1)의 내경에 자유롭게 끼워맞출될 정도의 외경을 갖고, 상기 난간기둥의 구멍(18)과 상응하는 구멍(18)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으로부터 소정길이 윗부분의 외주변에 기존 비계의 버팀기둥(1)에 걸리는 받침턱(1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난간기둥의 구멍들에 끼워맞춤되어 높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조인트 핀(21)을 갖는 원형의 연결봉(11) ;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정 가능한 비계용 안전난간대.
KR2019910017252U 1991-10-16 1991-10-16 높이 조정 가능한 비계용 안전난간대 KR940008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252U KR940008464Y1 (ko) 1991-10-16 1991-10-16 높이 조정 가능한 비계용 안전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252U KR940008464Y1 (ko) 1991-10-16 1991-10-16 높이 조정 가능한 비계용 안전난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961U KR930008961U (ko) 1993-05-25
KR940008464Y1 true KR940008464Y1 (ko) 1994-12-21

Family

ID=1932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252U KR940008464Y1 (ko) 1991-10-16 1991-10-16 높이 조정 가능한 비계용 안전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4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961U (ko) 199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US20070045048A1 (en) Scaffold frame section with integral guard rail post
KR100841240B1 (ko) 건축용 조립식 비계
JP2009541612A (ja) 建設現場用階段
EP2411597A1 (en) Movable modular scaffold system for building works and method to form it
EP0606948A1 (en) Universal supporting construction
KR940008464Y1 (ko) 높이 조정 가능한 비계용 안전난간대
KR20060071595A (ko)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US3684057A (en) Portable stairway
KR200394640Y1 (ko)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KR200400391Y1 (ko) 추락방지대가 설치되는 비계틀 설치구조
JPS6350342Y2 (ko)
RU23899U1 (ru) Строительные леса и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диагональных и горизонтальных связей несущих рам строительных лесов
JP2878589B2 (ja) 仮設構造物
JP3865433B2 (ja) L型作業台
US5012894A (en) Scaffold erection structure
JPH047317Y2 (ko)
CN217999075U (zh) 一种钢构钢梯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JPH0458866B2 (ko)
JPH0318580Y2 (ko)
JPH06248794A (ja) 大型組立式移動足場
JPS641395Y2 (ko)
JP2587033B2 (ja) ユニット足場組立用ガイド金具
SU1242594A1 (ru) Подъемные подмости дл возведен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оболочек сооруж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