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427Y1 - 크롬산염(Chromate) (ZM-375)용액의 농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크롬산염(Chromate) (ZM-375)용액의 농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427Y1
KR940008427Y1 KR92015657U KR920015657U KR940008427Y1 KR 940008427 Y1 KR940008427 Y1 KR 940008427Y1 KR 92015657 U KR92015657 U KR 92015657U KR 920015657 U KR920015657 U KR 920015657U KR 940008427 Y1 KR940008427 Y1 KR 940008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omium
concentration
light
liqui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656U (ko
Inventor
오동균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92015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427Y1/ko
Publication of KR9400056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6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D21/14Controlled addition of electrolyte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04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85Spraying of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크롬산염(Chromate)(ZM-375)용액의 농도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농도제어장치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계통도.
제2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도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관 12,22,27,30,32,34 : 개폐밸브
20,25 : 제1및 제2연결도관 110 : 경크롬액 순환탱크
120 : 중크롬액 순환탱크 130 : 경크롬 원액 탱크
140 : 중크롬 원액탱크 150 : pH조정액 탱크
P1,P2,P3,P4,P5 : 보급펌프
본 고안은 전기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에 부착하는 크롬산염 용액의 농도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크롬(Cr+6)농도와 pH농도의 정확한 관리를 통하여, 보다 균일하게 크롬 부착량을 제어하고, 표면얼룩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서, 완제품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크롬산염(Chromate)(ZN-357)용액의 농도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농도제어 장치(100)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농도제어장치(100)는 경크롬액 순환 탱크(110)와 중크롬액 순환탱크(120)를 갖추고, 보급펌프(P1)(P2)를 통해 상기 경크롬액 순환탱크(110)와 중크롬액 순환탱크(120)에 크롬 원액을 공급하는 경크롬 원액 탱크(130)와 중크롬원액탱크(140)를 갖추며, 중크롬액 순환탱크(120)로 보급펌프(P3)를 통해 pH조정액을 공급하는 pH조정액 탱크(150)를 갖추는 한편, 상기 각각의 경크롬 용액과 중크롬용액의 농도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장치(160)에는 경크롬 pH계측기(162), 중크롬 pH계측기(164) 및, 중크롬 농도 계측기(166)등이 갖춰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농도제어장치(100)는 전기 아연도금 강판(S)이 크롬산액 분사장치(170)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보급펌프(P4)와 (P5)를 통해 전,후면에 크롬산액이 도포되어 크롬 부착처리를 하게 된다.
이때, 전기 아연도금강판(S)에 실행되는 경크롬 처리와 중크롬 처리는, 각각 경크롬 처리의 경우 15∼30㎎/㎡의 크롬 농도로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중크롬 처리의 경우는 50㎎/㎡의 크롬농도로서 작업이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경크롬액 순환탱크(110)와, 중크롬액 순환탱크(120)로 부터 크롬산액이 분사되어 전기 아연도금강판(S)의 전,후면에 크롬(Crome)피막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도 제어 장치(100)는 경크롬 처리작업의 경우, 경크롬액 순환 탱크(110)로부터 크롬산액분사장치(170)를 통해 전기 아연도금강판(S)에 경크롬 용액을 도포하게 되면, 상기 경크롬 원액탱크(130)로 부터 경크롬 원액이 자동적으로 보충된다. 이때, 상기 경크롬 pH계측기(162)를 통해 경크롬액 순환탱크(110)내의 pH농도가 측정되고, 이를 기준으로 경크롬 원액을 보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경크롬액 순환탱크(110)내의 pH농도값을 기준으로 경크롬 원액을 보급하는 경우, 경크롬용액의 자유 산도(Free Acid)값은 상승되고, 그에 따라서 크롬(Cr+6)의 농도도 동반상승되어 상대적으로 pH농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이는 새로운 경크롬용액이 보충되는 경우, 별도의 pH농도를 조절할수 있는 기능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크롬(Cr+6)의 농도만 상승시키기 때문이었고, 이러한 크롬(Cr+6)의 농도와 pH농도의 불균형은 전기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에 크롬부착량의 불균일을 초래하여 표면 얼룩을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만일 작업자가 이러한 pH농도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상기 경크롬액 순환탱크(110)내에 pH농도 조정액을 투입하여야만 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도 갖춘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크롬용액을 포함한 크롬산액의 크롬(Cr+6)농도와 pH농도를 정확하게 관리함로서 크롬 부착량을 균일하게 제어함으로서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하도록 된 크롬 산염 용액의 농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pH조정액 탱크로 부터 경크롬액 순환탱크로 pH조정액을 공급하는 도관과 개폐 밸브가 갖춰지고; 경크롬액 pH계측기와 중크롬액 pH계측기가 장착된 도관에는 상기 경크롬액 pH계측기와 중크롬액 pH계측기의 전, 후방에서 상기 도관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밸브와 제1및 제2연결도관이 갖춰짐으로서 크롬산염(Chromate)용액의 크롬(Cr+6)농도와 pH농도를 동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롬산염용액의 농도제어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농도제어장치(1)는 제1도에 도시되 바와 같이 경크롬 원액 탱크(130)로 부터 경크롬액 순환탱크(110)로 경크롬 원액을 보급하는 도관(132)과 병행하여 pH조정액 탱크(150)로 부터 상기 경크롬액 순환탱크(110)로 pH조정액을 공급하는 도관(10)을 연결하고, 개폐 밸브(12)를 갖춘다. 또한, 경크롬용액의 pH농도를 측정하도록 경크롬 pH계측기(162)로 순환되는 도관(163)에는 차단 밸브(14)를 설치하고, 상기 중크롬용액의 pH농도를 측정하도록 중크롬 pH계측기(164)로 순환되는 도관(165)에도 차단밸브(16)를 설치하며, 상기 차단밸브(14)(16)의 전방 및, 경크롬 pH계측기(162)와 중크롬 pH계측기(164)의 후방에서 제1연결도관(20)으로 상기 도관(163)(165)을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1연결도관(20)에는 제1개폐 밸브(22)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관(163)(165)은 경크롬 pH계측기(162)와 중크롬 pH계측기(164)의 전방에서 제2연결도관(25)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제2연결도관(25)은 제2개폐 밸브(27)를 갖추고 있다. 상기 부분을 제외한 그밖의 구성은 종래의 농도제어장치(100)와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부호(30)(32)(34)는 개폐 밸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경크롬처리 작업모드(Mode)의 경우, 도관(10)의 개폐밸브(12), 제1연결도관(20)의 개폐 밸브(22), 제2연결도관(25)의 개폐 밸브(27), 도관(163)의 개폐벨브(34)및 차단밸브(14)는 열고, 개폐밸브(30),(32)및 도관(165)의 차단밸브(16)는 닫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경크롬 pH계측기(162)를 순환하는 도관(163)이 개방되어 경크롬 용액의 pH농도가 측정되고, 중크롬액 순환탱크(120)로 부터 중크롬 pH계측기(164)를 통과하여 제1연결도관(20)을 통해 경크롬액 순환 탱크(110)로 연결되는 도관(165)이 개방되어 중크롬 용액의 pH농도기 측정되며, 이러한 경크롬 용액의 pH농도값과, 중크롬 용액의 pH농도값에 근거한 기준치로서 상기 도관(10)을 통해 pH농도 조정액이 경크롬액 순환탱크(110)로 공급되어 pH농도조절이 이루어진다. 한편, 크롬(Cr+6)농도의 조정은 종래와 같이 경크롬 원액을 공급하는 경우 과도하게 상승되므로, pH농도 조정액을 경크롬액 순환탱크(110)내로 공급하면 크롬(Cr+6)농도와 pH농도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연결도관(25)은 도관(163)과 도관(165)의 내부압력 및 유량 차이를 균등하게 조절하는 우회배관(by-pass)으로서 작동된다.
그리고, 중크롬 처리 작업모드의 경우는 상기와는 반대로 도관(10)의 개폐밸브(12), 제1연결도관(20)의 개폐 밸브(22), 제2연결도관(25)의 개폐밸브(27), 도관(163) 의 개폐밸브(34)및, 차단밸브(14) 는 닫고, 개폐밸브(30),(32)및 차단밸브(16)는 열은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된다.
즉, 중크롬액 순환탱크(120)로 부터 중크롬액 pH계측기(164)를 통과하는 도관(165)을 개방시켜 중크롬 용액의 pH농도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서 도관(169)을 통해 pH농도 조정액이 중크롬액 순환탱크(110)로 공급되어 pH농도조절이 적합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경크롬액 처리작업모드와 중크롬액 처리작업모드의 변경은 중앙운전실의 조작 판넬에서 변경할수 있으며, 각각의 개폐 밸브(12)(22)(27)(30)(32)(34)와 차단밸브(14)(16)의 개폐 작동은 경크롬 혹은, 중크롬 처리 작업 모드에 따라서 현장에서 작업자의 수작업(手作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크롬(Cr+6)농도의 상승에 따라서 pH농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크롬 산염(Chromate)용액의 농도제어가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기 아연도금강판의 표면에 부착하는 크롬(Chrome)량이 제어되어 표면품질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도관(10)을 통하여 pH조성액 탱크(150)로 부터 직접 pH농도 조정액이 투입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등의 실용상의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Claims (1)

  1. 전기 아연도금강판(S)의 전, 후면에 분사, 부착되는 크롬산염용액의 농도제어장치에 있어서, pH조정액 탱크(150)로 부터 경크롬액 순환탱크(110)로 pH조정액을 공급하는 도관(10)과 개폐 밸브(12)가 갖춰지고; 경크롬액 pH계측기(162)와 중크롬액 pH계측기(164)가 장착된 도관(163)(165)에는 상기 경크롱액 pH계측기(162)와 중크롬액 pH계측기(164)의 전, 후방에서 상기 도관(163)(165)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밸브(22)(27)(14)(16)와 제1및 제2연결도관(20)(25)이 갖춰짐으로서 크롬산염(Chromate)용액의 크롬(Cr+6)농도와 pH농도를 동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롬산염용액의 농도제어장치.
KR92015657U 1992-08-20 1992-08-20 크롬산염(Chromate) (ZM-375)용액의 농도제어장치 KR940008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657U KR940008427Y1 (ko) 1992-08-20 1992-08-20 크롬산염(Chromate) (ZM-375)용액의 농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657U KR940008427Y1 (ko) 1992-08-20 1992-08-20 크롬산염(Chromate) (ZM-375)용액의 농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656U KR940005656U (ko) 1994-03-18
KR940008427Y1 true KR940008427Y1 (ko) 1994-12-19

Family

ID=1933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657U KR940008427Y1 (ko) 1992-08-20 1992-08-20 크롬산염(Chromate) (ZM-375)용액의 농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4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77B1 (ko) * 2004-04-12 2005-01-13 고은규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사용한 버스의 노선번호 게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77B1 (ko) * 2004-04-12 2005-01-13 고은규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사용한 버스의 노선번호 게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656U (ko) 199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1027B2 (en) Truck wash automatic chemical ratio proportioning
KR940008427Y1 (ko) 크롬산염(Chromate) (ZM-375)용액의 농도제어장치
US5655713A (en) Automated vehicle washing systems using concentrated detergents
RU2191305C2 (ru) Гидростатическая передача
CA2618609A1 (en) Chemical injection for vehicle wash system and method
US6575815B1 (en) Process for calibrating throttle bores, in particular in injection valve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device for executing the process
RU21734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азации теплоносителя первого контура реактора, охлаждаемого водой под давлением
JPH0523824B2 (ko)
JPS6336862A (ja) 沈降性塗料供給装置
JPH0567349U (ja) 二液混合供給装置
JP3566112B2 (ja) 上塗塗料循環システム
JPH01164463A (ja) 塗料吐出量制御方法
KR100655122B1 (ko) 연삭용 냉각액 공급 시스템
JPH0832312B2 (ja) 塗料循環装置
CN208008885U (zh) 一种用于反应磁控溅射的恒压气氛控制系统
JPH0832314B2 (ja) 塗料循環装置
CN217474458U (zh) 一种湿平整液分级调压装置
JP2665245B2 (ja) 塗料温度調節方法
KR102057603B1 (ko) 자동차용 연료파이프 정량 도포장치
JPH07185416A (ja) 塗料配管洗浄装置
KR100426857B1 (ko) 전기도금 후처리 전해크롬 용액중 황산이온의 농도를 제어하는방법
JPS5857978B2 (ja) 塗装用塗料の循環装置
JPS5824936Y2 (ja) 電着塗装の隔膜水管理装置
JP2544463Y2 (ja) 少量塗料供給装置
JPH024700A (ja) 液体注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