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281B1 - 연료 분사펌프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281B1
KR940008281B1 KR1019910022295A KR910022295A KR940008281B1 KR 940008281 B1 KR940008281 B1 KR 940008281B1 KR 1019910022295 A KR1019910022295 A KR 1019910022295A KR 910022295 A KR910022295 A KR 910022295A KR 940008281 B1 KR940008281 B1 KR 940008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lunger
hole
valv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466A (ko
Inventor
히사시 나까무라
아끼나와 미네기시
사도루 이도오
야스히로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젝셀
이다가끼 유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젝셀, 이다가끼 유끼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젝셀
Publication of KR93001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료 분사펌프
제1도는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캠디스크의 리프트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 있어서의 전자 개폐밸브의 분사개시 때와 분사 폐쇄때의 각각의 분사률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스테이지캠의 리프트 특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펌프실(연료의 저압측) 3a : 실린더구멍
3e : 오리피스(격막부) 5 : 플런저
5f : 누출구 6 : 연료가압실
10 : 전자개폐벨브(개폐밸브) 11 : 누출통로
20 : 전자개폐밸브(개폐벨브) 20h :오리피스(격막부)
21 : 누출통로 30 : 전자개폐밸브(개폐밸브)
31 : 연통로 32 : 연료도입실.
본 발명은 분사률 가변식의 연료분사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연료분사 펌프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63-26326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연료분사펌프는 플런저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캠의 리프트 속도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단계로 변화하는 이른바 2스테이지 캠을 사용함과 동시에 송출밸브로서 연료분사압이 고압일 경우에는 연료의 리트랙션(retiaction)량이 적은 이른바 적응기 부착 송출밸브를 사용한 것이다.
이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송출밸브의 리트랙션 작용에 따라 무부하 완속운전시와 같은 저속회전시에 1단째의 스테이지에 의한 플런저의 전진에 의하여 연료분사를 하게 되고 고속회전시에는 2단째의 스테이지에 의한 플런저의 전진에 따라서 연료분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1단째의 스테이지에 의한 플런저의 전진속도가 저속이기 때문에 저속회전시의 연료분사률은 저률로 된다. 한편 고속회전시에는 2단째의 스테이지에 의한 플런저의 전진속도가 고속이기 때문에 분사률이 고률로 된다.
상기한 종래의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저속회전시와 고속회전시에 분사률을 바꿀 수 있다고 하지만 분사률의 변화는 2스테이지캠과 송출밸브의 조합에 따라서 일의적으로 결정되어 버려서 분사률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 예컨대 고속 회전시에 있어서의 분사률을 통상의 고속분사률과 그보다 낮은 분사률로 바꾸려하여도 바꿀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취한 것으로 고분사률과 저분사률중의 어느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는 연료분사펌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권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은 실린더구멍에 플런저가 왕복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었고, 이 플런저의 전진시에 실린더구멍에 연설된 연료가압실의 연료를 가압하고 플런저의 후퇴시에 연료의 저압측으로 부터 연료가압실에 연료를 도입하도록 한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 전술한 플런저에 일단이 플런저의 외주면에 개구하였으며, 타단이 연료가압실에 연통한 누출구를 형성하여 실린더구멍의 내주면과 저압측과의 사이에 격막부를 지니고 또한 일단이 실린더의 내주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타단이 저압측으로 접속된 누출통로를 형성하여 이 누출통로에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누출구의 플런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누출통로의 실린더구멍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개구부등을 그것들의 플런저와 전진도중에서 연통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은 실린더구멍으로 플런저가 왕복 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이 플런저의 전진시에 실린더구멍으로 연설된 연료가압실의 연료를 가압하고 플런저의 후퇴시에 연료의 저압측으로 부터 연료가압실로 연료를 도입하도록 한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 내부에 연료가 충만한 밀폐된 연료도입실을 설치하여 플런저에 일단이 플런저의 외주면에 개구하였고 타단이 연료가압실에 연통한 누출구를 형성하여, 실린더구멍의 내주면과 연료도입실과의 사이에 일단이 실린더구멍의 내주면에 개구하였고 타단이 연료도입실에 접속된 연통로를 설치한 다음, 이 연통로에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누출구의 플런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연통로의 실린더구멍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개구부등을 그것들이 플런저의 전진도중에서 연통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범위는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개폐밸브를 개방하였을 경우에는 플런저의 전진 도중에 누출구와 누출통로가 연통하면 연료가압실내에서 가압된 연료의 일부는 격막부를 개재하여 저압측으로 유출한다. 그 결과 연료가압실내의 압력이 비교적 저압으로 되어 이에 대응하여 분사률이 낮아진다.
한편, 개폐밸브를 폐쇄하였을 경우에는 연료가압실내의 연료가 저압측으로 유출하지 않기 때문에 연료가 고압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분사률은 높아지게 된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개폐밸브를 개방하였을 경우에는 플런저의 전진도중에 누출구와 연통로가 연통하면 연료가압실과 연료도입실이 누출구 및 연통로를 개재하여 연통하고, 마치 연료가압실의 용적이 연료도입실 몫만큼 중대한 것 같이 된다.
그 결과, 플런저의 전진거리에 대한 연료가압실의 연료의 압력상승률이 저하하여 연료가압실의 압력이 비교적 낮아진다.
이에 대응하여 분사률이 낮아지게 된다. 한편, 개폐밸브를 폐쇄하였을 경우에는 연료가압실의 용적이 증대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연료가압실내의 연료는 고압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분사률은 고률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의 발명에 관한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이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의 펌프하우징(도면에 없음)에는 부착블록(1)이 고정되어 있다. 이 부착블록(1)으로 부터 도면중 좌측의 부분이 펌프하우징내부의 펌프실(저압측) (2)로 되어 있다. 물론 펌프실(2)은 연료가 충만하고 있다. 부착블록(1)의 중앙부에는 펌프실(2)로 향한 내면으로 부터 바깥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구멍(l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la)에는 펌프실(2)측으로 배럴(3)이 삽입고정되었고 바깥면측으로 뚜껑(4)이 배럴(3)에 맞부딪히는 상태에서 나사 맞춤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배럴(3)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la)과 동심의 실린더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린더구멍(3a)에는 플런저(5)가 왕복운동이 자유롭도록 또한 회전이 자유롭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플런저(5)와 뚜껑(4)에 의하여 구획되는 실린더구멍(3a)의 내부가 연료가압실(6)로 되어 있다.
더욱이 뚜껑(4)에는 연료가압실(6)에 면하는 단면에 개구하는 나사구멍(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구멍(4a)에 나사 맞춤된 조절보울트(7)를 진퇴조절함에 따라서 연료가압실(6)의 내부용적을 적당히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플런저(5)의 좌단부에는 캠디스크(도면에 없음)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캠디스크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로울러호울더(도면에 없음)에 가압 접촉하게 함과 동시에 엔진에 연결된 구동축(도면에 없음)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캠디스크는 회전구동되면 왕복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플런저(5)가 회전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캠디스크로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5)의 리프트속도가 캠앵글의 증대에 따라서 상승하여 최고속도로 도달한 다음 저하한다. 이른바 표준형의 캠디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또, 플런저(5)의 우단부 외주면에는 엔진의 기통수와 동수개의 흡입구멍(5a)은 둘레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흡입구멍(5a)은 배럴(3)에 형성된 흡입구(3b)에 대하여 플런저(5)의 후진시(왼쪽으로 이동할때)에 그 회전에 따라서 순차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흡입구(3b)는 부착블록(1)에 형성된 흡입통로(1b)를 개재하여 펌프실(2)에 접속되어 있고 흡입통로(1b)는 마그네트밸브(8)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5)의 중간부 외주면에는 배출구멍(5b)이 하나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멍(5b)은 가로구멍(5c) 및 세로구멍(5d)를 개재하여 연료가압실(6)에 연통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배럴(3)에는 엔진의 기통수와 동수의 배출구(3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배출구(3c)의 일단부는 실린더구멍(3a)의 내주면에 개구되어 있다. 각 개구부는 실린더구멍(3a)의 둘레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더욱이 플런저(5)의 전진시에는 어느것인가의 배출구(3c)가 배출구멍(5b)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배출구(3c)의 타단부는 배수밸브(도면에 없음)을 개재하여 연료분사노즐(도면에 없음)에 접속되어 있다.
플런저(5)의 펌프실(2)에 돌출한 단부에는 커트 오프 포오트(cot off port) (5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트오프포오트(5e)는 그 일단부가 플런저(5)의 외주면에 개구하였고 타단이 세로구멍(5d)을 개재하여 연료가압실(6)에 연통되어 있다. 커트오프포오트(5e)가 개구하는 플런저(5)의 외주면에는 컨트롤 슬리이브(9)가 상대회전이 자유롭도록 또한 상대왕복운동이 자유롭도록 장착되어 있어 이 컨트롤 슬리이브(9)에 의하여 커트오프포오트(5e)가 가려 덮여져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플런저(5)가 전진(제1도에서 우측으로의 이동)하면 연료가압실(6)내의 연료가 가압된다. 가압된 연료는 세로구멍(5d), 가로구멍(5c) 및 배출구멍(5b)을 개재하여 어느것인가의 배출구(3c)에 압송(壓送)되고 또한 그로부터 연료분사노즐에 압송된다. 그리고 엔진의 연소실에 분사된다. 플런저(5)의 전진도중에 커트오프포오트(5e)가 컨트롤 슬리이브(9)에서 빠져나와 펌프실(2) 노출하면 가압된 연료는 커트오프포오트(5e)으로부터 펌프실(2)로 유출하도록 되어 이에 따라서 연료분사가 종료한다.
더욱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연료분사량은 컨트롤 슬리이브(9)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연료분사량이 증대하고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감소한다.
컨트롤 슬리이브(9)의 위치는 조속기(governor)(도면에 없음)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서 적당히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플런저(5)가 후진하면 펌프실(2)내의 연료가 흡입통로(1b), 흡입구(3b) 및 어느 한 흡입구멍(5a)을 개재하여 연료가압실(6)내에 흡입도입된다.
이상의 구성은 종래의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와 마찬가지이지만 이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또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플런저(5)의 중간부에서 흡입구(5a)와 배출구멍(b)과 사이의 부분에는 누출구(5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누출구(5f)의 일단부는 세로구멍(5d)을 개재하여 연료가압실(6)에 연통되어 있다.
누출구(5f)의 타단부는 플런저(5)의 외주면에 개구되어 있다. 누출구(5f)가 개구하는 플런저(5)의 외주면에는 누출구(5f)의 직경보다 약간 큰 폭을 지닌 환형홈(5g)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기 누출구(5f)에 대하여는 실린더구멍(3a)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플런저(5)의 외주면에 개구시키는 한 이 실시예의 다른 부분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 배럴(3)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실린더구멍(3a)의 내주면까지 관통하는 누출구멍(3d)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누출구멍(3d)의 안쪽의 단부에는 오리피스(격막부) (3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리피스(3e)의 실린더구멍(3a)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개구부는 플런저(5)의 전진도중에서 환형홈(5g)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는 플런저(5)가 전진을 하고나서 오리피스(3e)와 환형홈(5g)이 대향하기 시작하기까지의 플런저(5)의 전진거리를 L1이라 하고, 커트오프포오트(5e)가 컨트롤 슬리이브(9)에서 노출하기까지의 플런저(5)의 전진거리, 바꾸어 말하면 분사률이 최고점에 도달하였을때의 전진거리를 L2이라 할 때, O<L1<L2으로 정할 수 있다. 통상, 전진거리(L1)는 분사률이 최대일때의 분사률의 절반으로 될때의 전진거리로 된다.
제4도에 나타난 표준형의 캠디스크를 사용한 이 실시예에서는 분사률이 최대일때의 분사률의 절반으로 되는 것이 플런저(5)가 거리(L2/2)만큼 전진하였을 때이다. 그러므로 L1≒L2/2으로 설정된다.
더욱이 분사률이 최고로 도달하기까지에 플런저(5)가 전진하는 거리(L2)는 컨트롤 슬리이브(9)의 위치, 바꾸어 말하면 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서 변화한다. 따라서 거리(L1)는 어느것의 회전수 또는 부하를 대상으로 하는가에 따라서 적당히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속회전시를 대상으로 하여 분사률이 최고분사률의 절반으로 도달하기까지에 플런저(5)가 이동하는 거리를 L1이라 한다. 물론 보다 적절한 거리L1은 이 발명의 적용되는 연료분사펌프 및 그 연료분사펌프가 사용되는 엔진에 대하여 연소상태등에 따라서 실험으로 결정된다.
또, 부착블록(1)의 제1도에 있어서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뻗은 밸브부착구멍(1c)이 형성됨과 동시에 밸브부착 구멍(1c)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부착구멍(1c)에는 항상 열린 전자개폐밸브(개폐밸브) (1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전자개폐밸브(10)는 밸브부착구멍(1c)에 나사 맞춤 고정된 밸브블록(10a)와 밸브블록(10a)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스푸을 밸브(10b)등을 구비하고 있다.
스푸울밸브(10b)는 그 하단부가 밸브블록(10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스프울구멍(1d)으로 삽입되어 있고, 스프링(10c)에 의하여 배럴(3)의 외주면에 맞부딪혀져 있다. 그러는 한편, 스푸울밸브(10b)는 솔레노이드(10d)에 통전하면 솔레노이드(10d)의 자력에 따라 스프링(10c)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리프트하여 스토퍼(10c)에 맞부딪히기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스푸울밸브(10b)의 밸브블록(10a)에서 돌출한 하단부의 중간부 외주부에는 환형요부(10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푸울구멍(1d)은 그 하단부가 구멍(1e)을 개재하여 누출구멍(3d)에 연통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구멍(1f)을 개재하여 펌프실(2)에 연통되어 있다. 또 스푸울구멍(1d)의 중간부 내주면에는 스푸울밸브(10b)의 바깥지름과 같은 안지름을 지닌 랜드부(1g)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랜드부(1g)는 스푸울밸브(10b)가 배럴(3)에 마주친 상태에 있어서는 스푸울밸브(10b)의 환형요부(10f)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더욱이 랜드부(1g)의 폭은 환형요부(10f)의 폭보다 좁아져 있다. 따라서 스푸울밸브(10b)가 배럴(3)에 마주친 상태, 즉 전자개폐밸브(10)가 열린 상태(off 상태)일 경우에는 누출구멍(3d) 및 구멍(1e)이 스푸울구멍(1d)을 개재하여 구멍(1f)으로 연통하고 나아가서 펌프실(2)에 연통한다. 이것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누출구멍(3d), 구멍(1e) 및 구멍(1f)으로 누출통로(11)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푸울밸브(10b)가 스토퍼(10e)에 마주친상태 즉 전자개폐밸브(10)가 닫힌 상태(ON상태)일 경우에는 스푸울밸브(10b)의 하단부가 랜드부(1g)에 끼워맞춤에 따라 스푸울구멍(1c)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누출통로(11)가 닫혀진다.
상기한 구멍의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플런저(5)가 전진을 개시하면 연료가압실(6)내의 연료가 가압되어서 분사된다.
이러한 경우, 플런저(5)의 전진당초에는 환형홈(5g)과 누출구멍(3d)이 이간하여 누출구(5f)와 누출통로(1)와의 사이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그때의 분사률은 전자개폐밸브(10)가 분사개시상태와 분사폐쇄상태에서 동일하지만 환형홈(5g)과 오리피스(3e)가 대향하여 누출구(5f)와 누출통로(11)가 연통한 다음에 있어서는 전자개폐밸브(10)의 개폐상태에서 분사률이 다르다.
즉 솔레노이드(10d)에 통전하여 전자개폐밸브(10)를 온하였을 경우에는 누출통로(11)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환형홈(5g)과 누출통로(3d)가 대향하여 누출구(5f)와 누출통로(11)가 연통한 다음에 있어서도 제4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사률은 플런저(5)의 전진에 따라서 상승한다.
따라서 높은 분사률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자개폐밸브(10)를 오프하였을 경우에는 누출구(5f)와 누출통로(11)가 연통하면 연료가압실(6)내의 연료가 펌프실(2)로 유출한다. 단, 연료의 유출량은 오리피스(3e)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으므로 그 유출에 따라서 연료분사가 종료하는 일은 없고 플런저(5)의 전진에 따라서 연료분사는 계속 이루어진다. 그러나 연료의 유출에 따라 플런저(5)의 전진에 따른 연료가압실(6)내의 압력상승이 억제된다. 그 결과 연료의 분사률은 전자개폐밸브(10)를 ON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낮아지게 된다.
여기에서 분사률의 저하는 오리피스(3e)의 연료에 대한 유통저항, 바꾸어 말하면 오리피스(3e)의 유통단면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누출구(5f)와 누출통로(11)의 연통한 다음에는 플런저(5)의 전진에 불구하고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오리피스(3e)의 유통단면적을 설정하고 있다. 물론 오리피스(3e)의 유통단면적을 적당히 변경함에 따라 누출구(5f)와 유통통로(11)의 연통후에도 분사률이 상승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분사률을 전자개폐밸브(10)의 개폐에 의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개폐밸브(10)의 분사개시시에 있어서의 분사률 저하시기(커트오프포오트(5e)의 노출시기)를 전자개폐밸브(10)의 분사폐쇄시에 있어서의 분사률 저하시기 보다 늦어지게 하고 있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때문이다.
분사률을 고률로 하였을 경우와 저률로 하였을 경우로서 커트오프포오트(5e)의 노출시기를 동일하게 하면 분사률의 상이함에 따라서 양자의 연료분사량에 차이가 발생하여 버린다.
그리하여 분사률을 저률로 하였을 경우에는 커트오프포오트(5e)의 노출시기를 늦게 하고 이에 따라서 저률일때의 연료분사량을 고률일때의 연료분사량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 전자개폐밸브(10)의 개폐에 대하여는 통상 수동으로 제어하게 되지만 엔진의 운전상태에 기초하여 마이크로 컴퓨우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전환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데 엔진의 부하를 검출하여 부하가 클 경우에는 분사률이 높아지도록 전자개폐밸브(10)를 폐쇄하고 부하가 작을 경우에는 분사률이 낮아지도록 전자개폐밸브(10)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청구범위 제 1 항에 관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더욱이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실시예의 누출구멍(3d)을 대신하여 누출구멍(3f)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누출구멍(3f)은 연료에 대한 유통저항이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지도록 비교적 큰 직경을 지닌 수직한 구멍으로 되어 있다. 또 누출구멍(3d)이 개구하는 배럴(3)의 외주면에는 요부(3g)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블록(1)에는 상기한 실시예의 밸브부착구멍(1c) 및 스푸울구멍(1d) 대신에 밸브부착구멍(1h), 수납구멍(li) 및 요부(3g)에 연통한 연통구멍(lj)이 서로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부착구멍(1h)에는 전자개폐밸브(개폐밸브)(20)의 밸브블록(20a)이 나사 맞춤 고정되어 있다. 이 밸브블록(20a)에는 밸브보디(20d)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보디(20b)는 스프링(20c)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는 한편 솔레노이드(20d)의 자력에 따라 스토퍼(20e)에 마주칠때까지 스프링(20c)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리프트하도록 되어 있다.
수납구멍(li)의 저면에는 연통구멍(lj)보다 커다란 중심구멍을 지닌 가스킷(20f)을 개재하여 좌판(座板)(20g)이 배치되어 있다. 이 좌판(20g)의 중앙부에는 오리피스(격막부) (20h)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리피스(20h)가 개구하는 좌판(20g)의 상단면 중앙부에는 돌출부(20i)가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구멍(li)에는 슬리이브(20j)가 나사 맞춤되어 있고, 이 슬리이브(20j)에 의하여 좌판(20g)이 수납구멍(li)의 저면에 가압고정 되어 있다.
또 슬리이브(20j)의 내부에는 밸브판(20k)이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밸브판(20k)은 상기한 밸브보디(20b)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어서 돌출부(20u)에 마주쳐져 있고 이에 따라서 오리피스(20h)를 차단폐쇄하고 있다.
밸브판(20k)이 돌출부(20i)에 마주친 상태에 있어서는 밸브판(20k)과 좌판(20g)과의 각 주변부의 사이에 돌출부(20i)의 높이와 같은 간격의 극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 극간과 대향하는 슬리이브(20j)의 하단부에는 노치(2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201)는 구멍(1f)과 대향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개폐밸브(20)가 분사개시한 상태에서 누출구(5f)에서 누출구멍(3f)으로 연료가 배출하면 그 연료는 요부(3g), 연통구멍(li), 오리피스(20h), 좌판(20g)과 밸브판(20k)사이의 간극, 노치(201) 및 구멍(1f)을 개재하여 펌프실(2)로 유출하게 된다. 이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누출구멍(3f)-구멍(1f)까지에 따라서 누출통로(21)가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플런저(5)가 전진을 개시하고 나서 환형홈(5g)과 누출구멍(3f)이 대향하여 누출구(5f)와 누출통로(21)가 연통하기 까지의 플런저(5)가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한 실시예의 거리(L1)와 마찬가지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도 전자개폐밸브(20)를 개방하면 연료가압실(6)내의 연료의 일부가 누출통로(21)를 개재하여 펌프실(2)로 유출하므로 분사률을 낮게 할 수 있고 전자개폐밸브(20)를 폐쇄함에 따라서 분사률을 높게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는 오리피스(20h)를 배럴(3)에 형성하는 일이 없이 좌판(20g)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배럴(3)을 용이하게 재조할 수 있고 또 오리피스(20h)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제3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혀서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실시예와 다른 것은 연료가압실(6)을 펌프실(2)과 연통시키지 않고 밀폐된 연료도입실(32)에 연통로(31)를 개재하여 연통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연통로(31)를 전자개폐밸브(개폐밸브)(30)로 개폐하도록 한 점이다.
즉, 부착블록(1)의 관통구멍(la)가 끼워 맞춘 배럴(3)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요부(3h)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3h)는 관통구멍(la)의 내주면에 의하여 차단 폐쇄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밀폐된 연료도입실(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료도입실(32)에는 연료가 충만하고 있다.
또 부착블록(1)의 제3도에 있어서의 상단부에는 밸브부착구멍(lk) 및 장착구멍(11)이 서로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구멍(11)에는 전자개폐밸브(30)의 밸브본체(30a)가 삽입되어 있다, 이 밸브본체(30a)에는 밸브수납구멍(30b), 밸브시이트(30c) 및 밸브구멍(30d)이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향하여 순차형성되어 있다. 밸브수납구멍(30b)에는 밸브보디(30f)가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밸브보디(30f)가 밸브시이트(30c)에 착좌, 이간함에 따라서 밸브구멍(30d)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밸브본체(30a)에는 밸브수납구멍(30b)에서 밸브본체(30a)의 외주면까지 관통하는 가로구멍(30e)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로구멍(30e)은 부착블록(1)에 형성된 구멍(1m)을 개재하여 연료도입실(32)에 연통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밸브보디(30f)가 밸브시이트(30c)에서 리프트하면, 가로구멍(30e)과 밸브구멍(30d)이 연통하여 밸브보디(30f)가 밸브시이트(30c)에 착좌하면 가로구멍(30e)과 밸브구멍(30d)의 사이가 차단된다.
상기한 부착구멍(1k)에는 밸브블록(30g)이 나사 맞춤 고정되어 있고, 이 밸브블록(30g)에는 전기자(30h)가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전기자(30h)는 스프링(30i)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고, 스프링(30i)의 가압력에 의하여 밸브보디(30f)를 밸브시이트(30c)에 착좌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한 한편 솔레노이드(30j)에 통전하면(전자개폐밸브(30)가 ON상태), 그 자력에 의하여 전기자(30h)가 스토퍼(30k)에 맞닿을때까지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밸브보디(30f)가 밸브시이트(30c)에 리프트할 수 있게된다.
더욱이 전기자(30h)에 대하여는 밸브보디(30f)와 일체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 배럴(3)에는 누출구멍(3i)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누출구멍(3i)의 일단부는 실린더구멍(3a)의 내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이 개구부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플런저(5)의 전진도중에 환형홈(5g)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출구멍(3i)의 타단부는 배럴(3)의 외주면에 개구하여 밸브구멍(30d)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개폐밸브(30)가 분사개시한 상태에서 환형홈(5g)과 누출구멍(3i)이 대향하면 연료가압실(6)과 연료도입실(32)이 누출구(5f), 환형홈(5g), 누출구멍(3i), 밸브구멍(30d), 가로구멍(30e) 및 구멍(1m)을 개재하여 연통한다. 이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누출구멍(3i), 밸브구멍(30d), 가로구멍(30e) 및 구멍(1m)으로 연통로(3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 전자개폐밸브(30)를 분사개시하였을 경우에는 환형홈(5g)과 누출구멍(3h)이 대향하여 연료가압실(6)과 연료도입실(32)이 연통하면 연료가압실(6)의 내부용적이 마치 연료도입실(32)의 내부용적만큼 증가한 것과 같이 된다. 그 결과 플런저(5)의 가압이동에 대한 연료가압실(6)의 압력상승률이 저하한다. 즉 연료가압실(6)내의 압력은 연료도입실(32)과 연통시키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낮아진다. 따라서 분사률이 저하하여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5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분사률로 된다.
더욱이, 분사률의 저하비률에 대하여는 연료도입실(32)의 내부용적과 연통로(31)의 유통저항과의 어느하나 또는 양자에 의하여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연통로(31)의 유통저항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것이었을 경우에는 연료도입실(32)의 내부용적을 크게 하면 분사률의 저하비률이 커지게 되어 내부용적을 작게 하면 분사률의 저하비률이 작아지게 된다. 한편, 연료도입실(32)의 내부용적을 일정하게 하였을 경우에는 연통로(31)의 유통저항을 크게 하면 분사률의 저하비률이 적어지게 되고 유통저항을 작게 하면 분사률의 저하비률이 커지게 된다.
연통로(31)의 유통저항을 크게 하려면 누출통로(31)를 구성하는 각부중의 어느것인가에 예컨대 밸브구멍(3d)에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전자개폐밸브(30)를 분사폐쇄시켰을 경우에는 연료가압실(6)과 연료도입실(32) 사이가 항시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분사률이 높아지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의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을 분배형 연료분사펌프에 적용한 것이지만, 이 발명은 직렬형 연료분사펌프등의 다른 연료분사펌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각 전자개폐밸브(10), (20), (30)에 대하여는 서로 교환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그것들에 대신하여 개폐밸브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분사펌프에 의하면 연료가압실과 저압측 또는 연료도입실과의 사이에 플런저의 전진도중에 연통하는 누출구와 누출통로등을 형성함과 동시에 누출통로에 그것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개폐밸브를 분사개시상태와 분사폐쇄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분사률을 고분사률과 저분사률과의 어느것에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실린더구멍에 플런저가 왕복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었고, 이 플런저의 전진시에 실린더구멍에 연설된 연료가압실의 연료를 가압하고, 플런저의 후진시에 연료의 저압측으로 부터 연료가압실의 연료를 도입하도록 한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 플런저에 일단이 플런저의 외주면에 개구하였고 타단이 연료가압실에 연통한 누출구를 형성하였고, 실린더구멍의 내주면과 저압측과의 사이에 오리피스를 구비하였고, 또한 일단이 실린더의 내주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타단이 저압측에 접속된 누출통로를 형성하였고 이 누출통로에 개페밸브를 설치하여 누출구의 플런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누출통로의 실린더구명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개구부동을 그것들이 플런저의 전진도중에서 연통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2. 실린더구멍에 플런저가 왕복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었고, 이 플런저의 전진시에 실린더구멍으로 연설된 연료가압실의 연료를 가압하고 플런저의 후진시에 연료의 저압측으로 부터 연료가압실에 연료를 도입하도록 한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 내부에 연료가 충만한 밀폐된 연료도입실을 설치하였고 플런저에 일단이 플런저의 외주면에 개구하였으며 타단이 연료가압실로 연통한 누출구를 형성하여 실린더구멍의 내주면과 연료도입실과의 사이에 일단이 실린더구멍의 내주면에 개구하였고 타단이 연료도입실에 접속된 연통로를 설치한 다음 이 연통로에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누출구의 플런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연통로의 실린더구멍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개구부등을 그것들이 플런저의 전진도중에서 연통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
KR1019910022295A 1991-01-28 1991-12-06 연료 분사펌프 KR940008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5034 1991-01-28
JP3025034A JPH04252858A (ja) 1991-01-28 1991-01-28 燃料噴射ポ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466A KR930013466A (ko) 1993-07-21
KR940008281B1 true KR940008281B1 (ko) 1994-09-09

Family

ID=1215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295A KR940008281B1 (ko) 1991-01-28 1991-12-06 연료 분사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252858A (ko)
KR (1) KR9400082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52858A (ja) 1992-09-08
KR930013466A (ko) 199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2612A (en) Electromagnetic unit fuel injector
EP1013922B1 (en) Variable-delivery high-pressure fuel pump
US5125807A (en) Fuel injection device
US4385614A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0269289A2 (en) Diesel unit fuel injector with spill assist injection needle valve closure
CA1202848A (en) Electromagnetic unit fuel injector
CA1160523A (en) Fuel delivery control arrangement
JPS5831470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ポンプ
US4485969A (en) Electromagnetic unit fuel injector with cartridge type solenoid actuated valve
GB2307521A (en) Hydraulically actuated fuel injector with spill valve for abrupt end to injection
JPH0432226B2 (ko)
JPH03100375A (ja) 油圧ポンプ
KR940008281B1 (ko) 연료 분사펌프
JPS6113099B2 (ko)
US4721442A (en) Fuel injection pump
US4379442A (en)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fuel injection pump
US4624233A (en) Fuel pumping apparatus
US20050034709A1 (en) Fuel injector and assembly
US5333588A (en) Pump/injector
GB2294508A (en) Mechanically actuated hydraulically amplified injector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pressure relief
JPS6010182B2 (ja) 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KR940008282B1 (ko) 연료 분사펌프
US5878958A (en) Fuel pumping apparatus
JPS6146459A (ja) 内燃機関用の燃料噴射ポンプ
JPH06257533A (ja) 燃料噴射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