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213Y1 - 목공톱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목공톱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213Y1
KR940008213Y1 KR92013318U KR920013318U KR940008213Y1 KR 940008213 Y1 KR940008213 Y1 KR 940008213Y1 KR 92013318 U KR92013318 U KR 92013318U KR 920013318 U KR920013318 U KR 920013318U KR 940008213 Y1 KR940008213 Y1 KR 940008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saw
saw blade
outsid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948U (ko
Inventor
박후곤
Original Assignee
박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후곤 filed Critical 박후곤
Priority to KR92013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213Y1/ko
Publication of KR940002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9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3/00Sawing tools for saw mills,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7B33/02Structural design of saw blades or saw teeth
    • B27B33/12Saw blades having inserted or exchangeably arranged bits or toothed 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Kn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목공톱의 결합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단면도로서 압착되기전 상태.
제3도는 본고안의 단면도로서 압착된 상태.
제4도는 본고안의 결합상태 후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톱자루 2 : 고정관
3, 4 : 결합편 3a : 걸림돌기
3b : 지지돌기 3", 4" : 외향융출부
3', 4' : 통공부 5, 6 : 와셔
7 : 연결봉 7a : 걸림턱
7b : 연결봉 8 : 작동레버
8a : 낮은접촉부 8b : 높은접촉부
8c, 8d : 고정부 9 : 연결편
10 : 톱날 10a : 결합부
11 : 결합공 12 : 걸림턱
13 : 삽입홈
본고안은 목공톱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톱날과 톱자루를 분해결합할수 있도록 하되 결합장치를 새롭게 하므로써 사용하기도 좋고 사용중에 분리될 염려도 없는 안전한 결합장치가 되게한 것이다.
종래의 목공톱 결합장치는 톱자루끝에 결합부를 만들어 결합부에 톱날의 결합부를 끼운후 보울트와 너트를 채결하거나 걸고리로 걸어서 걸고 벗기는 방법으로 결합장치를 만들었기 때문에 전자의 경우는 보울트 너트의 분실이 잦아 사용이 불편하였고 후자의 경우는 걸고리의 부피가 커서 결합장치가 복잡하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톱자루(1)의 선단부에 금속제 고정관(2)을 끼워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쌍의 금속제 결합편(3)(4)을 돌출시켜 사이에 삽입간격(가)이 형성되게하고 상하결합편에 각각 통공부(3')(4')를 관통시켜 통공부 둘레에 외향융출부(3")(4")를 형성시키고 하측결합편의 통공부(3') 내측으로 톱날 두께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a)와 지지돌기(3b)를 "T"형으로 배치시켜 형성시키며 하측통공부(3')에서 상측통공부(4')로 향해 밑에 걸림턱(7a)이 있는 연결봉(7)을 끼워 상단연결공(7b)을 작동레버(8)에 횡삽된 연결핀(9)이 설치된 작동편에 연결하고 작동편의 축공둘레에는 일정높이의 낮은접촉부(8a)와 높은접촉부(8b)를 형성하여 높은접촉부 외측으로 고정부(8c)를 만들고 낮은접촉부 외측으로 고정부(8d)를 형성하며 톱날(10)의 결합부(10a)에는 결합공(11) 외측으로 걸림턱(12)과 삽입홈(13)을 "T"형으로 형성시켜서 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톱자루(1)의 고정관(2)에 설치되는 결합편(3)(4)이 탄성 금속제로 되어 있고 작동레버(8)를 기립시키 간격부(가)가 벌어져서 톱날 두께보다 약간 넓게 형성이 되므로 톱날(10)의 결합부(10a)를 삽입간격(가)으로 투입하여 삽입홈(13)은 지지돌기(3b)에 걸림턱(12)은 걸림돌기(3b)에 결합되도록 확인한후 작동레버(8)를 젖혀 높은접촉부(8b)의 외측 고정부(8c)가 결합편(4) 표면에 접촉되게하면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상하결합편(3)(4) 사이가 연결봉(7)과 작동레버(8)의 작동으로 좁혀져서 톱날 결합부(10a)를 협지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게되어 톱날과 톱자루를 결합시켜 사용할수 있도록되며 사용중에 외부인장력등이 톱날에 작용하여도 톱날이 결합편(3) (4) 사이에서 빠져나갈수가 없게되고 흔들리는 일도 없게되는 안전한 결합이되며 톱날을 분리할때는 작동레버(8)를 손으로 기립시켜 낮은접촉부(8a)가 상측결합편(4) 표면과 접하도록하면 결합편(3)(4) 사이가 넓어지면서 삽입간격(가)이 없어지므로 톱날결합부(10a)의 걸림턱(12)에서 걸림돌기(3a)가 벗어나게되므로 톱날을 손으로 잡고 간격부에서 분리하여 톱날과 톱자루를 별도로 보관할수 있게되므로 톱체의 길이를 절반으로 줄여 보관할수 있도록 되는것인데, 본고안과 같이 결합편(3) (4)을 서로 당겨 삽입간격(가)을 좁게하거나 당기는 힘을 해제하여 삽입간격을 넓게하는 방식으로 톱날결합장치를 만드므로 인해 결합부의 협지력이 완벽해지고 작동레버(8)를 젖혀 눕히거나 일으켜세우는 단순한 동작으로 톱날결합과 분리가 가능케되어서 사용하기가 쉽고 사용중에 고장의 염료도 적은 이점을 얻을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톱자루(1)의 선단부에 금속제 고정관(2)을 끼워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쌍의 금속제 결합편(3)(4)을 돌출시켜 사이에 삽입간격(가)이 형성되게하고 결합편에 각각 통공부(3')(4')를 관통시켜 통공부 둘레에 외향융출부(3")(4")를 형성시키고 하측결합편의 통공부(3') 내측으로 톱날 두께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a)와 지지돌기(3b)를 "T"형으로 배치시켜 형성시키며 하측통공부(3')에서 상측통공부(4')로 향해 밑에 걸림턱(7a)이 있는 연결봉(7)을 끼워 상단연결공(7b)을 작동레버(8)에 횡삽된 연결핀(9)과 접속시키고 연결핀(9)이 설치된 작동편에 연결하고 작동편의 축공둘레에는 일정높이의 낮은접촉부(8a)와 높은접촉부(8b)를 형성하여 높은접촉부 외측으로 고정부(8c)를 만들고 낮은접촉부 외측으로 고정부(8d)를 형성하며 톱날(10)의 결합부(10a)에는 결합공(11) 외측으로 걸림턱(12)과 삽입홈(13)을 "T"형으로 형성시켜서 된 목공톱의 결합장치.
KR92013318U 1992-07-18 1992-07-18 목공톱의 결합장치 KR940008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318U KR940008213Y1 (ko) 1992-07-18 1992-07-18 목공톱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318U KR940008213Y1 (ko) 1992-07-18 1992-07-18 목공톱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948U KR940002948U (ko) 1994-02-15
KR940008213Y1 true KR940008213Y1 (ko) 1994-12-05

Family

ID=1933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318U KR940008213Y1 (ko) 1992-07-18 1992-07-18 목공톱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159A (ko) * 2001-12-28 2003-07-04 최진민 가정용 가스보일러 판형열교환기의 배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159A (ko) * 2001-12-28 2003-07-04 최진민 가정용 가스보일러 판형열교환기의 배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948U (ko) 199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3823B1 (fr) Cheville d'ancrage à noyau d'expansion
FR2763622A1 (fr) Poteau en acier destine a supporter une plaque de moulage
US6438801B1 (en) Holderless clamping hose
KR940008213Y1 (ko) 목공톱의 결합장치
EP0571294A1 (fr) Collier de serrage à vis
KR890017436A (ko) 트위스팅 와이어용 장치 및 커넥팅 로드용 성형 와이어
EP0326481B1 (fr) Ecrou en forme de pince et assemblage réalisé à l'aide de cet écrou
FR2669997A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pour crochet de ruban de mesure.
CH627245A5 (ko)
KR200366678Y1 (ko) 관 연결용 고정핀
KR970002703Y1 (ko) 접철식 톱
JP3097836B2 (ja) パイプ保持具
CH362301A (fr) Dispositif presse-étoffe pour machine à coudre
JPS588972Y2 (ja) 止め具
FR2617919A3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parapluie sur une voiture d'enfant
KR940003784Y1 (ko) 낚시대용 가이드링의 체결장치
JPH0115505Y2 (ko)
KR850000867Y1 (ko)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의 손잡이 록크장치
JPH0751994Y2 (ja) ベルト締具
KR900001273Y1 (ko) 홀더 코드 취부 장치
KR910002137Y1 (ko) 낚시대 받침구의 걸고리 지지 장치
KR900004536Y1 (ko) 낚시용 받침대
JPH0246970Y2 (ko)
KR0125268Y1 (ko) 베어링 분리용 공구
JPH04109519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