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694B1 - 방직 섬유 가공기의 섬유랩의 균일화 장치 - Google Patents

방직 섬유 가공기의 섬유랩의 균일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694B1
KR940007694B1 KR1019870010575A KR870010575A KR940007694B1 KR 940007694 B1 KR940007694 B1 KR 940007694B1 KR 1019870010575 A KR1019870010575 A KR 1019870010575A KR 870010575 A KR870010575 A KR 870010575A KR 940007694 B1 KR940007694 B1 KR 940007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oller
detector element
thickness
feed
senso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147A (ko
Inventor
라이펠드 페르디난드
요제프 노르 프란쯔
Original Assignee
트뤼쯔 쉴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볼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뤼쯔 쉴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볼라드 filed Critical 트뤼쯔 쉴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880004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01G15/12Details
    • D01G15/36Driving or speed control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23/00Feeding fibres to machines; Conveying fibres between machines
    • D01G23/06Arrangements in which a machine or apparatus is regulat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volume or weight of fibres fed, e.g. piano 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직 섬유 가공기의 섬유랩의 균일화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달린 소면기(card)의 측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측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선 Ⅱb-Ⅱb를 취한 단면도.
제2c도는 제2a도의 선 Ⅱc-Ⅱc를 취한 평면도.
제 3 도는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는 감지기용 지지부재가 달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3a도는 제 3 도에 도시한 구조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 4 도는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공급 롤러가 달린 본 발명의 실시예.
제 5 도는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공급대가 달린 본 발명의 실시예.
제 6 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7a도 및 7b도는 제 7 도에 도시한 구조의 부분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 롤러 2 : 공급대
3 : 리커인(licker-in) 16 : 측정부재
17 : 제어 장치 18 : 구동 모터
19, 19a, 19b : 절개부 20, 20a, 20b : 감지기 요소
23 : 볼 베어링 28 : 운반요소
39 : 레버 암(lever arm) 40 : 균형추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리커인(licker-in)과, 재료의 공급 방향에서 볼 때 리커인의 상류측에 배치된 공급 롤러와, 상기 공급 롤러와 협동하는 공급대를 갖는 소면기(梳綿機 card), 롤러 카드(roller card) 등과 같은 방직-섬유 가공기에 공급되는 섬유랩(fiber lap)의 균일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균일화 장치는 섬유 가공기내로 끌려 들어오는 섬유 재료의 두께를 감지하기 위한 측정부재와, 상기 측정부재에서 나오는 신호를 받으며 이 감지된 두께의 함수로써 공급 롤러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공급 롤러용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공지된 장치(FR-OS 23 22 942)에 있어서, 위치가 고정된 공급 롤러 아래에는 위치가 고정된 지지부가 제공되어 있고, 이 지지부상에는 다수의 감지기 레버(sensor lever)(공급대)가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감지기 레버의 한 단부는 리커인에 가까이 인접하여 있고, 스프링이 장전되어 있다. 감지기 레버의 다른 단부는 측정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이 측정 장치는 유입되는 섬유 재료의 두께에 따라 이동하는 감지기 레버의 변위를 감지하여 통합한다.
그러나, 이 장치는 공급 롤러가 리커인으로부터 섬유 재료를 인계 받을 때 리커인의 작용력(티어링 힘(tearing force))이 각 감지기 레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측정 결과가 그릇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단점은 공급 롤러와 감지기 레버 사이의 클램프 구역내에 있는 측정 장소가 공급 롤러와 감지기 레버가 서로 대향하여 있는 긴 영역(클램프 구역의 시작점에서부터 감지기 레버의 단부까지의 구간)에 걸쳐 뻗어있기 때문에, 측정 장소가 명백히 확정되지 아니한다는 점이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공급대가 다수의 스프링 장전의 감지기 레버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감지기 레버들이 구조가 매우 복잡한 "피아노 키 시스템(piano key system)"(여러개의 페달을 이용하여 공급 롤러에 들어가는 섬유의 양과 이에 따라 공급 롤러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류의 장치로서, 전술한 단점들을 제거하고, 특히 구조적으로 간단한 수단에 따라 측정부재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아니하고, 이에 의해 일정한 측정 장소를 확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아래에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방직 섬유 가공기에 공급된 섬유랩의 두께를 균일화시키는 균일화 장치는, 대체로 수평의 종축선을 갖는 공급 롤러와, 상기 공급 롤러와 협동하여 섬유랩이 통과하는 닙(nip)을 만드는 공급대를 포함한다. 또한 섬유 가공기는 공급 롤러에 연결되어 이 공급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공급 롤러와 협동하며 공급 롤러와 감지기 요소사이를 주행하는 섬유랩의 두께 변화에 따라 행정을 수행하는 감지기 요소로 구성된 랩 두께 측정부재와, 상기 측정부재에 접속되어 상기 행정을 표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모터와 연결되어서 두께 변화의 함수로써 회전수 제어 신호를 모터에 인가한다. 감지기 요소는 공급대로부터 분리되어서 이 공급대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하며, 공급대는 구멍(aperture)을 가지고, 감지기 요소는 이 구멍을 통해 공급 롤러와 협동한다.
공급대가 측정부재의 감지기 요소와 리커인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측정 장소와 리커인 사이에는 간격이 생기게 된다.이러한 배치의 장점은, 리커인이 공급대 위에 놓여 있는 섬유 재료에 힘을 가하는 동안에, 감지기 요소 특히 측정 장소에 놓여 있는 섬유 재료에는 어떠한 해로운 영향도 주지 아니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측정부재의 감지기 요소와 공급 롤러 사이의 클램프 구역내에 있는 측정 장소가 매우 짧은 범위에 걸쳐 또는 공급 롤러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이 되는 선에 걸쳐 또는 점과 같은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에 의하여 종래의 장치와는 대조적으로, 측정 장소의 위치가 명백히 확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측정 장소와 리커인으로 향하는 섬유 재료의 전달 장소 (작용 장소 )사이에는 일정한 경로가 보장된다. 회전수 조절에 의하여 섬유 재료가 작용 장소에 도달하는 양에 비례하여 리커인이 많거나 또는 적은 양의 섬유 재료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감지기 요소는 공급대와는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여 구멍은 4면이 폐쇄되어 있거나, 한면(즉, 짧은 외측 모서리 )만이 개방될 수 있는 절개부(cut-out)이다. 이러한 절개부는 4각형으로 되어 있고, 절개부의 긴 모서리는 공급대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즉, 공급 롤러의 축선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여, 측정부재는 사각형 감지기 요소를 구비하며, 이 감지기 요소의 긴 모서리는 공급대의 폭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감지기 요소의 짧은 모서리는 재료의 공급 방향(작용 방향)에 수직으로 향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섬유 재료의 폭 전면에 걸쳐 다수의 측정 장소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동시에 측정하고, 그 측정값들을 동시에 합산(적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한 2개 내지 4개의 감지기 요소들을 제공함으로써 폭넓은 감지 범위에 걸쳐서 다수의 측정치를 합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다른 특징에 의하여, 감지기 요소의 외측단부는 리커인의 방향에서 볼때 공급 롤러의 거의 수직축의 평면까지 뻗어 있다. 감지기요소는 위치 고정된 회전 베어링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베어링은 균형추 또는 스프링 등과 같은 가압요소(force-exerting element)와 협동한다. 감지기 요소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감지기 요소는 그 양쪽 외측 단부에서 탄성적으로 지탱된다. 감지기 요소는 지지부재에 수평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게 지탱되어 있다. 감지기 요소 또는 지지부재는 플런저 코일(plunger coil)이 달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런더 코어(아마추어)를 가진다. 측정부재의 감지기 요소은 아날로그 작동의 무접촉 간격 감지기(no-contact distance sensor)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공급 롤러(1), 두 부분(2a,2b)으로 형성된 공급대(2), 리커인(liker-in)(3), 메인 카딩 실린더(main carding cylinder)(4), 도퍼(doffer)(5), 스트리핑(stripping) 롤러(6), 크러시 롤러(7,8), 웨브안내 요소(9), 슬라이버 트럼펫(sliver trumpet)(10), 캘린더 롤러(calender roller)(11,12) 및 주행 플랫(flat)(13) 등으로 구성된 소면기(예 : 트뤼쯔쉴러-EXACTACARD DK 715)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소면기의 여러가지 실린더 및 롤러는 정상적으로 각각의 부품으로 끌려들어가는 구부러진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이 소면기와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롤러 카드 장치, 비터(beater), 세정기 등과 같은 방직 가공기의 다른 형식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공급 롤러(1)는 위치 고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공급대(2)는 후부분(2a)과 전부분(2b)으로 형성된 원피스(one-piece) 부품이다. 공급대(2)에는 후부분(2a)과 전부분(2b) 사이에 절개부(cutout)(19)가 제공되어 있다. 후부분(2a)쪽으로 향한 전부분(2b)의 말단부는 공급 롤러(1)의 축방향 수직면(1a)을 약간 지나서 후부분(2a)의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전부분(2b)의 또다른 단부는 공급 롤러(1)와 리커인(3)사이의 간극내에 연장해 있다. 전부분(2b)쪽으로 향한 후부분(2a)의 단부는 공급 롤러(1)의 축방향 수직면(1a) 바로 앞에서 조금 떨어져서 끝난다.
공급 롤러(1)의 아래에 설치되는 감지기 요소(20)는 그 저면에 연결된 압축 스프링(14)에 의하여 공급 롤러(1)의 방향으로 편의(biss)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은 한쪽 단부가 감지기 요소(20)의 저면과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가 고정된 대향 지지부(14b)와 연결되어 있다.
감지기 요소(20)는 이 요소와 공급 롤러(1)의 주변에 의해 규정된 공간을 통해 지나가는 섬유랩(15)의 두께의 함수로써 행정(excursions)을 수행하기 위해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탱되어 있다. 감지기 요소(20)와 연결되어 있는 측정부재(16)는 감지기 요소(20)의 변위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제어 장치(17)에 인가하고 , 또한 제어 장치는 공급 롤러(1)의 구동 모터(18)와 접속되어 있다. 주행하는 섬유랩의 두께가 가변함에 따라, 섬유랩의 표면과 접촉해 있는 감지기 요소(20)가 그 변화에 대응하여 평향한다. 그러한 편향(deflection)의 크기는 측정부재(16)에 등록되고, 그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 장치(17)에 인가되며, 이에 따라 제어장치가 공급 롤러(1)를 위한 구동 모터(18)를 더 빠르게 또는 더 느리게 회전하도록 만든다.
제2a도에서, 공급 롤러(1)및 공급대(2)로 형성된 섬유랩 공급 장치에서는, 공급 롤러(1)를 향하여 섬유 재료를 아내하는 공급대의 후부분(2a)이 설치되어 있다. 제2c도에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대(2)는 원피스(one-piece) 구조이며, 사각형 절개부(19a,19b)로써 형성된 2개의 구멍을 가진다. 절개부(19a,19b)의 긴모서리(u',u" ; v',v")는 제각각 공급대(2)의 폭에 평행하게 즉, 공급 룰러(1)의 축선(16)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절개부(19a, 19b)의 짧은 모서리(x', x" ; y', y")는 제각각 작용방향으로 즉, 섬유랩(15)의 공급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감지기 요소(20a,20b)는 각각 절개부(19a,19b)의 영역내에 수용된다. 감지기 요소(20a,20b)는 사각형 모양을 가지며 즉, 절개부(19a,19b)의 모서리와 유사하게, 감지기 요소의 긴모서리를 폭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감지기 요소의 짧은 모서리는 작용 방향으로 즉, 섬유 재료의 공급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각각의 감지기 요소(20a.20b)의 전방 모서리는 리커인(3)을 향하는 방향에서 볼 때 대략 공급 롤러(1)의 축방향 수직면(1a)까지 연장한다.
제2b도에서, 감지기 요소(20a,20b)는 단면이 도시되고 각각의 절개부에서 감지 작동중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감지기 요소(20a)는 양면의 틈(19a',19a")을 형성하면서 절개부(19a)를 통과하여 돌출한다. 다른 감지기 요소(20b)는 양면의 틈(19b',19b")을 형성하면서 절개부(19b)를 통과하여 돌출한다. 섬유랩(15)는 공급대(2)에서 지탱되고, 감지기 요소(20a,20b)의 각각의 상부면과 접촉 관계에 있다.
감지기 요소(20a,20b)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 3 도, 3a도, 3b도, 4도, 5도 및 6도에서는 참고 부호(20)로 지칭하여 단일 감지기 요소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3 도에서, 감지기 요소(20)는 지지바(21)의 한 단부에 배치된 핀(22)에 의하여 지지바(holding bar)(21)에서 지탱된다. 지지바(21)를 향하여 위치한 감지기 요소(20)의 가다란 좁은 측면에는 볼 베어링(23)을 수용하여 막힌 구멍이 제공되고, 지지바(21)의 핀(22)의 단부가 상기 구멍내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감지기 요소(20)는 이중 화살표 A로 지시한 바와 같이 핀(22)의 대체로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swing motion)가능하게 지탱된다.
다음에 지지바(21)는 위치 고정된 베어링(23')에서 핀(22)의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향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이중 화살표 B로 지시한 바와 같이 선회 운동이 가능하게 지탱되어 있다. 지지바(21)의 선회 운동에 의하여 감지기 요소(20)는 수직면에서 이중 화살표 C로 지시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하다.
제3a도에서, 지지바(21)는 핀(22)에서 멀리 떨어진 단부의 상단에서 고정된 압축 스프링(24)과 연결되고, 이 압축 스프링이 감지기 요소(20)와 지지바(21)로 형성된 조립체를 베어링(23')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떠민다. 지지바(21)와 연관되어 있는 측정부재(16)는 지지바(21)에 부착된 플런저 코어(아마추어)(16')와 고정된 플런저 코일(16")로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코어가 플런저 코일(16")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측정부재(16)는 유도성 무접촉 경로 감지기/거리 측정 장치로 되어 있다. 고정 받침점(21')이 지지바(21) 위에 설치되어서 감지기 요소(20) 및 지지바(21)의 선회 운동을 반시계 방향에서 제한하며 따라서 감지기 요소(20)가 공급 롤러(1)의 주변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기 요소(20)의 2개의 종방향 대향 단부에 배치되는 측정부재(16a,16b)는 상기 측정부재(16)와 구조가 동일하다.
제 4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감지기 요소(20)는 대향한 종방향 단부의 저면에서 압축 스프링(25a,25b)에 의해 지탱되고, 공급대(2)가 부분(25c)에서 단단하게 유지된다. 더구나, 공급 롤러(1)는 스프링(26)에 의하여 기계 프레임에서 탄성적으로 지탱되는 베어링을 가지고, 이에 의하여 공급 롤러(1)가 수직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 5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급 롤러(1)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지탱되는 반면, 대향면에 있는 공급대(2)는 스프링(27)(하나만 도시됨)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장착되며 따라서 공급대(2)가 공급 롤러(1)에 대해 수직 행정을 실시할 수 있다. 감지기 요소(20)는 제 4 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프링(25a,25b)에 의해 지탱된다. 따라서, 공급대(1)와 감지기 요소(20)가 동일한 힘의 근원(한편으로는 공급 롤러(1)와 공급대(2) 사이, 다른 한편으로는 공급 롤러(1)와 감지기 요소(20) 사이를 통과하는 섬유 재료에 의해 전달된 반경 방향의 힘)에 의하여 행정을 수행하는 반면, 공급대(2)와 감지기 요소(20)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제 6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감지기 요소 (20)는 저면의 중간부에서 지주(28a)를 가지며, 감지기 요소(20)에서 멀리 떨어진 지주의 자유로운 외측 단부는 볼록한 아치형 모양을 가진다. 저면이 스프링(31a,31b)으로서 지탱되는 운반 요소(28)는 요람 모양의 상부가 오목한 지지면을 가지고, 이 지지면은 감지기 요소(20)의 지주(28a)의 볼록면을 보완적으로 수용하며, 이중 화살표 D로 도시한 아치형 활주 운동이 가능하게 지탱한다. 운반 요소(28)의 양측 단부에 있는 수직 가이드(29)(단 하나만 도시됨)에 의해 안내받는 운반 요소(28)는 이중 화살표 E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응용되어 있다.
이제 제 7 도에서, 도시된 구조는 기계의 받침대벽(32a,32b) 각각에 장착된 2개의 베어링(33a,33b)에서 회전가능하게 지탱된 공급 롤러(1)를 보이고 있다. 공급대(2)는 2개의 이분할(two-part) 결합부재(2c, 2e 및 2d, 2f) 각각을 매개물로 한 2개의 베어링(34a,34b)에 의해 지탱된다.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대(2)는 베어링(34a,34b)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중 화살표 F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롤러(1)의 축선(16)에 평행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면에서 선회 운동이 가능하다. 베어링(34a,34b)은 단단한 고정축(3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고정축(36)의 대향 단부에는 슬리브(37a,37b)가 동축상에서 거리를 두고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슬리브는 화살표 G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36)에 관하여 회전가능하다. 슬리브(37a,37b)는 각각 레버 암(lever arm)(39a,39b)을 지탱하는 각각의 지지 블록(38a,38b)과 연결되고, 상기 레버 암의 외측 단부는 각각의 균형추(40a,40b)를 보유한다. 레버 암(39a,39b)에서 멀리 떨어진 지지 블록(38a,38b)의 측면에는, 공급대(2)의 후면 구멍(2g,2h)을 통과하는 지지바(21a,21b)가 부착된다. 지지바(21a,21b)의 단부에 있는 각각의 감지기 요소(20a,20b)는 제 3 도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리브(37a,37b)의 외면에는, 측정부재(16a,16b)의 아마추어(42a,42b)와 각각 연결된 측정 암(41a,41b)이 부착된다. 각각의 아마추어(42a,42b)는 관련된 플런저 코일(43a,43b)과 협동한다. 베어링 연결부재(2e,2f)의 상부면에는 각각 중공의 지지 요소(44a,44b)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 요소는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스프링 적층부(45) 및 안내핀(46)을 수용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공급대(2)는 베어링(34a,34b)의 하우징 블록(housing block)의 상단면에 지지요소(44a,44b)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탱되어 있다.
따라서, 제 7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제 5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공급대가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의 목적은 두께 변화가 있더라도 주행하는 섬유 재료를 공급 롤러(1)에 대해 가능한 균일한 압축을 달성하는데 있다. 압축력은 적극적인 재료 공급을 위해 그리고 작업 영역의 모서리 즉, 공급 롤러(1)와 리커인(3) 사이의 전송 장소로 전진하는 섬유 재료를 클램프하기에 필요할 정도로 높아야 한다. 그러한 클램핑은 리커인(3)에 전진한 섬유랩 부분에서 섬유 재료의 큰 덩어리를 찢지 않도록 예방한다. 클램핑은 압축력의 크기를 결정하고, 그러한 압축력에 반응하여 재료가 전진하는 일은 이차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섬유 재료의 전진이라는 견지에서 그러한 압축력은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공급대(2)와 공급 롤러(1)간의 압축 배치는 두께 결정에 사용되지 못한다. 제 7 도의 실시예에서, 공급 롤러(1)는 고정적으로 지지되고, 즉 반경 방향 행정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감지기 요소(20a,20b)는 감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아주 작은 힘에 의해서도 공급 롤러(1)에 가압된다. 그러한 힘은 섬유 재료의 전진에 사용되지 않으며, 그와는 반대로 그러한 전진력에 대항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압축력은 가능한 약해야 하고, 명백한 두께 감지를 확실히 보장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제 7 도의 배치 구조는 서로 모순되는 상술한 조건을 요구하는 2가지 다른 목적을 위해 최적 크기의 힘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섬유 재료를 클램핑 및 공급하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는 두께를 감지하는 것과는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개별적인 작업(특히 작용 영역의 모서리에서 섬유 재료를 클램핑하는 일과 재료 두께를 감지하는 일)이 분리되어 취급될 수 있고, 필요한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수행하는 섬유 재료의 두께 변화를 고도로 민감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이것은 재료의 전진 및 감지 기능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실현 불가능하다.
상기 설명은 독일 특허출원 제P36 32 581.3호(1986년 9월 25일) 및 제P37 22 141.8(1987년 7월 4일)에 포함된 주제와 관련되고, 이 특허출원은 여기서 참고로 하였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21)

  1. 방직 섬유 가공기에 공급되는 섬유랩의 두께를 균일화하기 위한 장치에 이어서, 대체로 수평의 종방향 축선을 갖는 공급 롤러와, 상기 공급 롤러와 협동하여 섬유랩이 통과하는 닙(nip)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폭을 갖는 공급대와, 공급 롤러와 연결되어 이 공급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공급 롤러의 표면과 협동하며 공급 롤러와 감지기 요소 사이를 주행하는 섬유랩의 두께 변화에 반응하여 행정을 수행하는 감지기 요소로 구성된 랩 두께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행정을 나타내는 신호를 측정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며 또한 두께 변화의 함수로써 회전수 제어 신호를 모터에 인가하기 위해 모터에 연결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기 요소가 공급대와는 분리되어 있고 동시에 공급대에 대해 상기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공급대가 구멍을 가지며, 상기 감지기 요소가 이 구멍을 통해 공급 롤러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공급대에서 절개부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긴 모서리를 갖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요소는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긴 모서리와 재료의 공급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짧은 모서리를 갖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요소는 2개 내지 4개의 복수로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요소는 섬유랩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주행 방향에 횡단하여 위치한 하류측 말단부를 가지고, 상기 말단부는 대략 공급 롤러의 축방향 수직면까지 상기 수직면의 상류측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축방향 수직면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요소를 선회 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요소를 공급 롤러쪽으로 구동하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요소를 대체로 수직 방향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요소는 공급 롤러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이격된 대향 단부들을 가지고, 상기 대향 단부에 연결되며 동시에 감지기 요소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요소를 지탱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제 1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수직면에서 선회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선에 대체로 수직인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면에서 감지기 요소의 선회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바에 감지기 요소를 연결시키는 선회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요소를 공급 롤러쪽으로 떠밀기 위하여 지지바에 작동상으로 연결된 균형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랩 두께 측정 수단은 플런저 코일 및 이 플런저 코일과 협동하는 플런저 아마추어를 포함하여 감지기 요소에 작동상으로 연결된 유도성 측정 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랩 두께 측정 수단은 상기 감지기 요소에 작동상으로 연결되며 동시에 아날로그 거리 감지 장치로써 형성되는 측정 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롤러를 반경 방향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단과, 상기 공급대를 단단히 지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요소와 협동하여 소정 거리 보다 공급 롤러에 더 가까이 이동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받침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공급 롤러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수단과, 공급 롤러에 대하여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공급대를 지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대 지지 수단은 공급대를 공급 롤러쪽으로 탄성적으로 구동하도록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랩의 두께 균일화 장치.
KR1019870010575A 1986-09-25 1987-09-24 방직 섬유 가공기의 섬유랩의 균일화 장치 KR940007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632581.3 1986-09-25
DE3632581 1986-09-25
DE3722141.8 1987-07-04
DE3722141A DE3722141C2 (de) 1986-09-25 1987-07-04 Vorrichtung zur Vergleichmäßigung des Faserbandes oder -vlieses bei einer Karde, Krempel o. dg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147A KR880004147A (ko) 1988-06-01
KR940007694B1 true KR940007694B1 (ko) 1994-08-24

Family

ID=631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575A KR940007694B1 (ko) 1986-09-25 1987-09-24 방직 섬유 가공기의 섬유랩의 균일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40007694B1 (ko)
DE (2) DE3722141C2 (ko)
IN (1) IN1671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8838B4 (de) * 1990-01-23 2005-12-22 Trützschl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isen von in Flockenform befindlichem Fasergut, z. B. Baumwolle, Chemiefasern u. dgl., zu Verarbeitungsmaschinen
IT1302166B1 (it) 1997-09-17 2000-07-31 Truetzschler & Co Dispositivo su uno striratoio per la misura di una nastro di fibrecomposito formato da nastri di fibre
DE502005004637D1 (de) * 2004-03-03 2008-08-21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ickeln mehrerer fäd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22942A1 (fr) * 1975-09-02 1977-04-01 Alsacienne Constr Meca Dispositif detecteur et correcteur d'irregularites pour car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67108B (ko) 1990-09-01
KR880004147A (ko) 1988-06-01
DE3722141C2 (de) 1996-04-04
DE3722141A1 (de) 1988-03-31
DE3783986D1 (de) 199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7247A (en) Lap leveler for a textile fiber processing machine
US5398381A (en) Measuring clothing clearances directly at the facing points
US4672717A (en) Apparatus for swinging nipper frame of comber
GB223134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liver
JP3545441B2 (ja) 繊維塊状の綿、合成繊維などの繊維材料をカード、除塵手段などの紡績準備機械に供給する装置
US6163931A (en) Feeding device for advancing fiber material to a fiber processing machine
US4785505A (en) Silver or lap evening apparatus for a carding machine or the like
US20050076476A1 (en) Apparatus at a draw frame for supplying fibre slivers to a drawing mechanism comprising at least two pairs of rollers
JP3535287B2 (ja) 繊維処理装置
US59746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iber length and nep number in a carding machine
US4928355A (en) Lap evener for a fiber processing machine
KR940007694B1 (ko) 방직 섬유 가공기의 섬유랩의 균일화 장치
US4222154A (en) Fibre flock material feed apparatus for opening rolls
GB2254344A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 opening fibre material
GB2423528A (en) Monitoring fibre build-up on a spinning preparation machine using non-contact sensors
US5042112A (en) Drafting unit for a spinning machine
US5930870A (en) Measuring fiber length at input and output of a fiber processing machine
US4641397A (en) Drafting mechanism for spinning machines
US4557022A (en) Drafting means for textile machine such as spinning machine
US5586366A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 opening fiber tufts
GB2463353A (en) Apparatus for correcting a measurement of textile sliver thickness
US4734958A (en) Drafting frame for a spinning machine
US4606186A (en) Auxiliary roller drive for open-end friction spinning machine
ATE182375T1 (de) Vorrichtung zum kräuseln von synthetischen fadenbündeln oder -bändern
US5613280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sliver wrapping about a sliver guiding r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