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557B1 -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557B1
KR940007557B1 KR1019920006555A KR920006555A KR940007557B1 KR 940007557 B1 KR940007557 B1 KR 940007557B1 KR 1019920006555 A KR1019920006555 A KR 1019920006555A KR 920006555 A KR920006555 A KR 920006555A KR 940007557 B1 KR940007557 B1 KR 94000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nner body
gear
reduction gea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301A (ko
Inventor
이은충
Original Assignee
이은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충 filed Critical 이은충
Priority to KR101992000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557B1/ko
Publication of KR93002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밀링가공장치를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횡단면도.
제 3 도는 내체에 편심되게 끼워진 축의 변위상태를 표시한 정면도로서, a는 축의 중심이 하부에 위치한 상태도이고, b는 축의 중심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밀링가공장치를 선반의 공구대에 설치한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링가공장치 2 : 외체
3 : 브래킷 4 : 워엄기어
5 : 워엄기어의 축 6 : 내체
7 : 링기어 9 : 편심구멍
11 : 축 12 : 드릴척
13 : 감속기어박스 14 : 감속기어
15 : 기어변속부재 16 : 변속레버
18 : 구동모우터 20 : 선반
21 : 공구대 22 : 커터
23 : 공작물
본 발명은 공작기계인 선반의 공구대에 설치하여 선반가공은 물론 밀링머신에 의해서만 가공될 수 있는 평면, 단면절삭 및 홈파기등을 겸할 수 있도록한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기존의 선반공구대에 밀링가공장치를 고정하여 평상시에는 선반작업인 원주절삭, 절단작업, 테이퍼절삭등 선반으로서의 행할 수 있는 작업을 하고, 필요시 키홈을 파거나 평면절삭등과 같은 밀링 작업으로 해야할 경우 공작물을 선반에 그대로 고정시킨 후 간단히 공구대에 밀링가공장치를 부착하여 홈파기 및 평면절삭을 행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1기의 선반에 의해서 밀링작업도 가능하게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는 1기의 기계에서 2기의 기계기능을 갖도록 되는 것으로 작업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고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이라함은 공작물에 회전운동을 주고 절삭공구인 바이트가 평행운동(좌우이송)과 수직운동(전후이송)을 하면서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작기계로서 원주절삭을 하거나 테이퍼절삭, 절단작업등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선반에서는 선반에 의해서만 가공될 수 있는 공작물이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선반에 의해 간단한 키홈을 파고자할 경우에는 공작물이 회전하기 때문에 이는 불가능하며 밀링가공에 의해 홈파기를 하여야 하므로 이와 같은 간단한 작업을 위해서는 공작물을 밀링머신으로 옮겨 설치한 후 홈파기를 하였던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간단한 가공을 하기 위하여 공작물을 밀링머신으로 이동시킨다는 것은 작업상 불합리하다 아니할 수 없다.
그리고, 공작물을 이송시킴에 있어서도 공작물의 중량이 가벼울 때는 이동에 큰 불편함이 없지만, 예를 들어 중량이 무거워 인력으로서 이동시키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 작업성은 더더욱 어려웠다.
특히, 소규모로 영세사업을 하는 경우에는 선반만 설치하여 놓고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이때에는 어쩔수 없이 간단한 홈파기를 위하여 밀링머신이 있는 업체에 의뢰하여 홈파기작업을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공작물을 위탁의뢰하는 것은 경제성의 저하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함을 감안하여 선반으로서 선반가공을 하고 밀링가공이 필요할 때 간단히 공구대에 밀링가공장치를 고정부착하여 홈파기, 평면절삭등을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선반의 공구대에 설치되는 밀링가공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밀링장치이다.
이 밀링장치(1)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외체(2)는 앞부에 브래킷(3)이 세워져 설치되고, 이 브래킷(3)에 워엄기어(4)가 설치되며, 워엄기어(4)의 축(5)은 어느 한쪽방향으로 돌출되어 별도의 공구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면부호 6은 상기한 외체(2)의 내부에 끼워지는 내체이다.
이 내체(6)는 그 앞부에 링기어(7)가 부착설치되고, 뒤부는 돌출턱(8)이 형성되어 외체(2)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그리고 이탈하지 않게 끼워져 설치된다.
한편, 상기한 링기어(7)는 외체(2)의 브래킷(3)에 설치된 워엄기어(4)와 기어물림되어 워엄기어(4)를 회전시 링기어(7)가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내체(6)가 회전하는 결과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내체(6)는 그 내부에 편심으로된 편심구멍(9)이 길이방향으로 뚫려지고 이 편심구멍(9)에 베어링(10)을 매체로 하여 축(11)이 설치되고 축(11)앞부에는 드릴척(12)이 설치되며, 축(11)의 뒤부는 감속기어박스(13)내에 설치된 감속기어(14)와 접속설치된다.
한편, 감속기어박스(13)의 내부일측에는 변속레버(16)를 갖는 기어변속부재(15)가 설치되어 변속레버(16)의 조작에 의해 적절한 회전속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된다.
도면부호 18은 구동모우터이다.
이 구동모우터(18)는 감속기어박스(13)의 후측에 고정설치되어 감속기어(14)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회전구동력이 각 감속기어(14)들을 통해 상기한 축(11)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워엄기어(4)를 갖는 외체(2) 내부에 링기어(7)를 갖고 편심구멍(9)이 뚫린 내체(6)가 끼워진 후 상기 편심구멍(9)에 축(11)이 끼워지며, 축(11)의 후부에는 내체(6)와 일체로 감속기어(14)와 기어변속부재(15)가 설치된 감속기어박스(13)가 고정설치되고, 감속기어박스(13)의 후부에는 구동모우터(18)가 감속기어박스(13)에 고정설치된 구조로서 상기한 워엄기어(4)를 회전시 링기어(7)가 회전하므로서 축(11)의 중심위치가 자유로이 변위조절되는 것으로, 이 때, 링기어(7)가 설치된 내체(6)가 회전함에 따라 내체(6), 감속기어박스(13) 및 구동모우터(18)는 서로간에 일체화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같이 회전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작용효과를 사용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밀링가공장치(1)를 설치할 때에는 제 4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20)에 있어서 공구대(21)에 고정설치한다.
예를 들어, 홈파기를 할 경우, 드릴척(12)에 홈파기에 적합한 커터(22)인 엔드밀을 설치한 후, 상기한 커터(22)를 공작물(23)의 중심에 수직으로 맞춘다.
이 때, 커터(22)가 공작물(23)의 중심에 맞지 않았을 때에는 워엄기어(4)의 축(5)에 별도의 공구를 끼워 워엄기어(4)를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내체(6)를 회전시킨다.(제 3 도 참조)
따라서, 워엄기어(4)와 맞물려 있는 링기어(7)가 회전하게 되므로 내체(6) 역시 회전을 하는데, 이 때, 내체(6)의 편심구멍(9)에 축(11)이 끼워져 있으므로 축(11)의 중심은 변위되면서 결국 공작물(23)의 중심에 대하여 커터(22)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커터(22)를 공작물(23)의 중심에 맞춘 후 공작물(23)이 고정된 상태에서 모우터(18)를 구동시키면 이 구동력은 감속기어(14)를 거쳐 축(11)에 전달되며 축(11)이 회전하므로서 축앞부에 고정설치된 커터(22)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구대(20)를 전후 혹은 좌우 어느방향으로든 적절히 이동시키면 홈파기의 절삭가공이 되는 것이다.
한편, 홈파기가 아닌 평면절삭을 해야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축(11)이 편심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때, 역시 워엄기어(4)를 회전시킴으로서 축(11)이 변위되므로 드릴척(12)에 평면절삭에 적합한 밀링 커터, 예를 들어, 프레인밀링을 설치하여 절삭을 행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가공물을 가공하는 축의 중심위치를 자유자재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한 축에 적절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모우터 및 감속기어를 일체화로 구성하여 기존의 선반 공구대에 설치하여 밀링머신으로서도 대체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1기계 2기능의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결과가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극대화시킨 신규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워엄기어(4)를 갖는 외체(2)내부에 링기어(7)와 편심구멍(9)을 갖는 내체(6)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한 편심구멍(9)에 드릴척(12)을 설치한 축(11)이 끼워져, 워엄기어(4)를 회전시 내체(6)에 끼워진 축(11)의 중심위치가 변위되도록 하며, 상기한 내체(6)의 후부로는 감속기어(14) 및 기어변속부재(15)가 설치된 감속기어박스(13) 및 구동모우터(18)가 차례로 설치되어, 상기한 축(11)에 적절한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속기어박스(13)는 내체(6)에 고정되고, 구동모우터(18)는 상기한 감속기어박스(13)에 고정설치되어 내체(6)의 회전시 감속기어박스(13) 및 구동모우터(18)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일체화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외체(2)에 설치된 워엄기어(4)와 내체(6)에 설치된 링기어(7)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KR1019920006555A 1992-04-16 1992-04-16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KR94000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555A KR940007557B1 (ko) 1992-04-16 1992-04-16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555A KR940007557B1 (ko) 1992-04-16 1992-04-16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301A KR930021301A (ko) 1993-11-22
KR940007557B1 true KR940007557B1 (ko) 1994-08-20

Family

ID=1933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555A KR940007557B1 (ko) 1992-04-16 1992-04-16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323B1 (ko) * 2016-03-04 2016-07-20 주식회사 지현텍스 실의 교체가 용이한 숫돌 가공 기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323B1 (ko) * 2016-03-04 2016-07-20 주식회사 지현텍스 실의 교체가 용이한 숫돌 가공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301A (ko) 199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2175A (en) Multiple axis milling apparatus
US5413439A (en) Universal spindle head for machine tool
US6053082A (en) Holder for orbitable tool
KR940007557B1 (ko) 선반설치용 밀링가공장치
CN113146298A (zh) 一种车削件夹取机构
KR101945209B1 (ko) 보링 머신용 페이싱 헤드
JPS5953140A (ja) タレツト形工作機械の主軸駆動装置
US4505627A (en) Polygon box tool milling cutter applied to automatic screw machines
US3170348A (en) Auxiliary high-speed table for vertical turret lathes and the like
US3518901A (en) Portable heavy duty offset drilling attachment
US7266870B2 (en) Mandrel device for machine tool
KR100899091B1 (ko) 수직선반을 이용한 편심 보링 장치
US3270590A (en) Lathe drill attachment
US3990326A (en) Universal attachment drive
KR100436249B1 (ko) 터렛헤드 장치
KR19980073152A (ko) 자동식 연동처크
CN114029518B (zh) 一种孔端面加工装置
KR100192558B1 (ko) 수직선반용 턴밀 터릿
JP3174911B2 (ja) 工作機のクイル支持装置
KR100521862B1 (ko) 터렛형공구대의회전공구장치
CN212496500U (zh) 一种深孔镗车复合加工中心头架
EP1011909B1 (en) A machining assembly and a method
CN100544887C (zh) 用于刀架转塔中的旋转刀具的驱动系统
KR200193294Y1 (ko)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
CN212070433U (zh) 一种可旋转角度的钻床主机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