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266Y1 - 키트(kit) 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 - Google Patents

키트(kit) 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266Y1
KR940007266Y1 KR92001551U KR920001551U KR940007266Y1 KR 940007266 Y1 KR940007266 Y1 KR 940007266Y1 KR 92001551 U KR92001551 U KR 92001551U KR 920001551 U KR920001551 U KR 920001551U KR 940007266 Y1 KR940007266 Y1 KR 940007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ceiling
rail
assembly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1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관
Original Assignee
김영진
주식회사 진 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주식회사 진 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92001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266Y1/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트(KlT) 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 밴박스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부품인 전방키트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부품인 측방키트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부품인 천정키트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구성부품인 후방키트의 사시도.
제6도(a)는 본 고안의 드라이 밴박스가 설치되는 서브빔 어셈블리의 평면도.
제6도(b)는 제6도(a)의 서브빔 어셈블리의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드라이 밴박스의 개략횡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드라이 밴박스의 좌우방향으로 절단한 개략종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드라이 밴박스의 전후방항으로 절단한 개략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전방키트 B : 측방키트
C : 천정키트 D : 후방키트
E : 서브빔 어셈블리 1, 11: 상부레일
2, 12 : 하부레일 3 : 전방횡 방향부재
4, 14 : 포스트 5 : 전방코너포스트
6 : 판넬 13 : 폐쇄포스트
15 : 판넬 20 : 천정레일
21 : 천정빔 22 : 판넬
23 : 보강재 30 : 포스트
31 : 상부레일 32 : 하부레일
33 : 도어 34 : 록킹장치
35 : 엔드플레이트 36 : 윙플레이트
40 : 종방향부재 41 : 횡방향부재
41a : 엔드플레이트 41a' ; 볼트 구멍
50 : 플로어 60 : 포옴테이프
61 : 절연테이프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밴트럭(van truck)의 드라이 밴박스(dry van box)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밴박스를 형성하는 전방벽, 후방벽, 측방벽 및 천정벽들이 각각 키트(kit)로 되어 있고 이들 키트들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어서 구성된 키트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밴트럭에 설치되는 밴박스는 상자 형태로 된 화물적재함을 뜻하며, 드라이 밴박스는 냉동 밴박스와 같이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이도록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단지 비, 바람, 먼지 등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하도록 된 화물적재함을 뜻한다.
종래의 드라이 밴박스는 밴박스를 형성하는 전방부재, 후방부재 및 천정부재들이 각각 별도로 제조된 후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머저 프레임을 차체에 용접한 후 그 프레임에 다수의 판재를 리베팅에 의해서 조립해서 일체로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밴박스 외부의 상부모서리에는 일체로 된 상부레일이 리베팅에 의해서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드라이 밴박스는 제조작업이 복잡하고 노동력 및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대량생산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차량사고에 의해서 밴박스의 일부분만 파손되는 경우에도 전체를 교환 또는 수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Claims (3)

  1. 밴박스를 형성하는 전방벽, 측방벽, 천정벽 및 후방벽들이 각각 전방키트(A), 측방키트(B), 천정키트(C) 및 후방키트(D)로 되어 있고, 이들 키트들이 서브빔어셈블리(E)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고, 동시에 이들키트들이 상호 분해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밴트럭에 설치된 키트조립구조의 드라이밴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방키트(A)가 상부레일(1), 하부레일(2) 및 그 하부에 결합된 전방횡방향부재(3), 다수의 포스트(4). 그리고 양쪽의 전방코너포스트(5)가 결합되어서 된 프레임에 판넬(6)이 리베트에 의해서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고 ; 상기 측방키트(B)는 상부레일(11), 하부레일(12), 다수의 포스트(14), 그리고 전후방의 폐쇄포스트(13)가 결합되어서된 프레임에 돌출부가 형성된 판넬(15)이 리베트에 의해서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 상기 천정키트(C)는 전후좌우측의 천정레일(20)들과 다수의 천정빔(21)이 결합되어서 된 프레임에 판넬(22)이 리베트에 의해서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직각으로 만나는 천정레일사이에서는 보강제(23)가 설치되어 있으며 ; 상기 후방키트(D)는 좌우의 포스트(30), 상부레일(31). 그리고 하부레일(32)이 결합되어서 된 프레임에 도어(33) 및 록킹강치(34)가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부레일(31)의 좌우양단에는 엔드플레이트(35)가 부착되어 있고 좌우의 포스트(30)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뻗은 윙플레이트(36)가 부착되어 있으며 ; 상기 서브빔어셈블러(E)는 2개의 종방향부재(40)와, 양단에 각각 볼트구멍(41a') 이 형성된 엔드플레이트(41a)가 용접된 다수의 횡방향부재(41)들이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 상기 전방키트(A)의 하부레일(2)에 결합된 전방횡방향부재(3)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서브빔어셈블리(E)의 종방향부재(40)의 선단에 결합되어 전방키트(A)와 서브어셈블리(E)가 조립되며. 후방키트(D)의 하부레일(32)도 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서브빔어셈블리(E)의 종방항부재(40)의 후단에 결합되어 후방키트(D)와 서브빔어셈블리(E)가 조립되며. 축방키트(B)의 하부레일(12)과 서브빔어셈블리(E)의 엔드플레이트(41a)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결합되어 측방키트(B)와 스브빔어셈블리(E)가 조립되며 ; 전방키트(A)의 전방코너포스트(5)와 측방키트(B) 전방의 폐쇄포스트(13), 측방키트(B) 후방의 폐쇄포스트(13)와 후방키트(D)의 포스트(30), 천정키트(C) 좌우의 친정레일(20)가 측방키트(B)의 상부레일(11), 천정키트(C) 전방의 천정레일(20)과 전방키트(A)의 상부레일(11), 그리고 천정키트(C) 후방의 천정레일(20)과 후방키트(D)의 상부레일(31)이 각각 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결합되어서 상기 키트들이 상호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조립구조의 드라이밴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들의 볼트 및 너트에 의한 결합부분의 접촉면에는 수밀유지를 위하여 포옴테이프(60)가 부착되어 있고, 각각 알루미늄재질과 강재질로 된 전방키트(A)의 하부레일(2)과 그 하부에 결합된 전방힁방향부재(3) 사이, 천정키트(C) 후방의 천정레일(20)과 후방키트(D) 의 상부레일(31)사이, 측방키트(B) 후방의 폐쇄포스트(13)와 후방키트(D)의 포스트(30)사이, 그리고 측방키트(B)의 하부레일(12)과 서브빔어셈블리(E)의 엔드플레이트(41a) 사이의 접촉면에는 절연테이프(6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전방키트(A)의 전방코너모스트(5)는 공기저항을 적게 받도록 모서리부가 라운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
KR92001551U 1992-08-19 1992-08-19 키트(kit) 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 KR940007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551U KR940007266Y1 (ko) 1992-08-19 1992-08-19 키트(kit) 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551U KR940007266Y1 (ko) 1992-08-19 1992-08-19 키트(kit) 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266Y1 true KR940007266Y1 (ko) 1994-10-17

Family

ID=1932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1551U KR940007266Y1 (ko) 1992-08-19 1992-08-19 키트(kit) 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2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037A1 (ko) * 2015-01-30 2016-08-04 한국차체 주식회사 화물차용 복합재 적재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037A1 (ko) * 2015-01-30 2016-08-04 한국차체 주식회사 화물차용 복합재 적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4751A (en) Automotive body side wall structure
US6086141A (en) Body structure for motor vehicle
US5700118A (en) Wall and logistics track construction for a refrigerated vehicle
US5228741A (e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ES2341474T3 (es) Procedimiento modular para frabicar y ensamblar una estructura de vehiculo automovil, para el transporte de pasajeros y cargas, y chasis y carroceria resultantes.
EP1171340A1 (de) Tragstruktur für kraftwagen
WO2019114663A1 (zh) 门槛梁总成、侧后车身总成、车身总成以及汽车
US6139081A (en) Vehicle structural member
US2812973A (en) Commercial vehicle body wall construction
US20070296197A1 (en) Multipurpose and Evolutive Road Trailer
US4605257A (en) Expandable operator's cab
DE4318080A1 (de) System für den Bau von Sonderfahrzeugen
KR940007266Y1 (ko) 키트(kit) 조립구조의 드라이 밴박스
JP4009404B2 (ja) ステイ付バンパー補強材
JPH0481371A (ja) 車体閉断面構造部材
JPS62181976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H06144299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950003570Y1 (ko) 키트(kit) 조립구조의 냉동 밴박스
CN109515520B (zh) 一种新能源物流车、车厢、底架及其组装方法
US1953991A (en) Bus body
WO1997010138A1 (en) Vehicle cab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cab by welding
EP3628571A1 (de) Nutzfahrzeug mit an der bodenstruktur vorgesehenem batteriekasten
JP7464414B2 (ja) 鉄道車両構体及び鉄道車両構体の製造方法
JPS6332790Y2 (ko)
JPH0492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