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262Y1 -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262Y1
KR940007262Y1 KR92023461U KR920023461U KR940007262Y1 KR 940007262 Y1 KR940007262 Y1 KR 940007262Y1 KR 92023461 U KR92023461 U KR 92023461U KR 920023461 U KR920023461 U KR 920023461U KR 940007262 Y1 KR940007262 Y1 KR 940007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ssembly
assembling
groov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3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518U (ko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92023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262Y1/ko
Publication of KR940012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4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9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specifically formed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의 (a)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b) (c)는 본 고안의 또다른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3도의 (a)(b)(c)는 제1도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조립단면도.
제4도의 (a)(b)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의 조립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6도의 (a)는 제5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b)는 (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본체 2 : 삽착홈
3 : 조립부 4 : 조립홈
5 : 조립돌기 6 : 받침판
7 : 고무링 또는 신축성패드 8 : 장식편
9 : 환착홈 10 : 금속편
본 고안은 2개 이상의 부품으로 성형되는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부품이 상호 형합되는 조립부의 형상을 달리하거나 또는 별도의 기밀부제를 삽입한뒤 이들 2개의 부품을 접착 또는 열융착시키므로서 조립성과 기밀효과가 퓌어나도록 한 2단 중공용기(中空容器)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프라스틱병이나 유리병과 같은 중공용기롤 성형할 경우 주로 중공성형법에 의존하였던바, 이와 같이 중공성형법에 의해 성형되는 대부분의 중공용기(중공성형품)는 그 형상과 모양이 매우 단조러워 시각적(視覺的)인 효과가 극히 저조하고, 특히 사출-블로(Blow)성형기로 성형되는 중공용기의 경우에는 두께의 한계성 때문에 외형올 변형시키기가 매우 어려우며, 또한 유리로 성형되는 유리용기의 경우에는 파손 및 형태변경의 제약 때문에 상기와 같은 사출성형법으로는 소망하는 형태의 중공용기를 얻기가 더욱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별도로 성형된 2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사용할수 있는 2단 중공용기가 등장하였던바, 그 대표적인 예가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91517호(83.6.21공개)에 게개된 "용기상자가 결합되는 용기"가 있다.
상기 "용기상자가 결합되는 용기"의 내용을 요약하면, 용기본체의 저면부를 몸통부분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고, 상기 저면부의 주벽을 하측바닥자리를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면부의 주벽에 내면이 상기 주벽에 대응하고 한편으로는 외형이 상기 몸통부분과 거의 같은 형상의 주벽을 갖는 상단이 개구된 용기상자를 착탈시킬수 있는 용기상자가 결합되는 용기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용기는 용기본체의 저면부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중공와 용기상자의 중공부가 차단되므로 결국 하나의 용기에 각기 다른 2가지의 이물질올 저장할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착탈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와 같은 용기는 용기본체 저면부의 주벽이 상측은 좁고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되어있고, 상기 주벽에 결합되는 용기상자의 주벽은 그 내측에 상기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용기본체 및 상자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결합할 경우에는 용기상자상단에 용기본체를 올려놓고 위에서 힘을 가하여 경사면을 상호 형합시키면 조립이 완료되며, 반대로 용기본체와 용기상자를 잡고 양측에서 잡아 빼면 상기 경사면이 이탈되면서 분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2단 중공용기는 용기본체 및 상자의 주벽에 형성된 경사면끼리의 형합에 의해 상호 분해조립되는 것이므로 이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경사면의 마모로 인해 형합부위가 제기능을 발휘할수 없게되고, 이로인해 용기본체로 부터 용기상자가 저절로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2개 이상의 부품으로 성형되는 2단중공용기를 성형함에 있어서 용기본체와 그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판의 조립부의 형상을 개선하거나 또는 이들사이에 별도의 기밀부재를 삽입한뒤 접착 또는 열융착을 통하여 영구결합시키므로서 조립성과 기밀효과가 뛰어난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부품의 조립부외면에 장식편을 환설하여 시각적 미감과 함께 용기의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저면이 개방된 중공형의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보다 직경이 작은 그 저면의 조립부(3)에 상면이 개방된 받침판(6)이 조립되어서 형성되는 2단 중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외 사출성형시 그 조립부(3)의 상단외주면에 삽착홈(2)을 요설하고, 용기본체(1)와 조립부(3)사이의 단턱(11)저면에는자형의 조립홈(4)을 환설하며, 이와 별로 사출성형되는 받침판(6)의 상단에는 상기 조립홈(4)에 끼워질수 있는자형의 조립돌기(5)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조립시에는 제2도(a)의 요부 단면도와 같이 상기 2개의 사출품(용기본체와 받침판)중 용기본체(1)의 삽착홈(2)에 고무링이나 신축성패드(7)를 삽착한후 받침판(6)을 조립부(3)하단에 위치시켜 여기에 약간의 힘을 가압하므로서 받침판(6)의자형 조립돌기(5)가 용기본체(1)의자형 조립홈(4)에 끼워지도록 한다음 이렇게 해서 원하는 형태로 조립된 2단 중공용기(중공성형품)의 각 조립면을 접착제나 열융착을 통하여 고정시키므로서 간단히 조립을 완료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0)와 받침판(6)이 접착제나 열융착을 통하여 조립되면 이들의 조립상태가 더욱 견고하여 질뿐만 아니라 삽착홈(2)에 끼워진 고무링이나 신축성패드(7)에 인해 중공용기의 기밀성이 한층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용기본체(1)의 조립부(3)를 저면에 형성하지 않고 제2도의 (b)(c)와 같이 용기본체(1)의 중간이나 상단에 형성하여 상기와 동일한 동작으로 조립작업을 실시 할 수 있는데, 다만 이때는 (c)도에서와 같이 용기본체(1)의 상단에 실시한 경우에는 조립부를 형성하기가 곤란하므로 이때는자형의 조립돌기(5)를 용기본체(1)의 저면에 형성하고자형의 조립홈(4)과 삽착홈(2)을 받침판(6)상단에 형성하여도 되며, 이렇게 해도 (a)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한, 제3도의 (a) (b) (c)는 제1도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조립단면도서 용기 본체(1)의 하단부위와 중간부위 및 상단부위에 각각 고무링이나 신축성패드(7)을 삽착하기 위한 삽착홈(2)을 생략하고 용기본체(1)의 저면에 환설한자형의 조립홈(4)에 받침판(6)의 상면으로 돌설한자형의 조립돌기(5)를 삽입하여 받침판(6)을 조립부(3)에 직접 조립할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2개의 사출품(용기본체와 받침판)을 소망하는 형태의 중공용기(중공성형품)로 제작할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서도 조립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나 열융착을 통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2단 중공용기를 견고히 조립성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4도의 (a) (b)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의 조립단면도로서 용기본체의(1)의 조립부(3)에 형성된 삽착홈(2)과 받침판(6)의 외면사이에 고무링(7)을 삽착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하는 상기 조립부(3)외 단턱(11)에 요설한자형의 조립홈(4)에자형의 조립돌기(5)가 끼워지는 받침판(6)의 주벽부(6')를 ""형으로 형성하고, 또자형의 조립돌기(5)가 저면으로 돌설된 조립부(3)를 ""형으로 형성하여 조립한 다음 그 외면부에 장식편(8)을 환착시킬수 있는 ""자형의 환착홈(9)을 형성하므로서 성형된 중공용기(중공성형품)의 외적미감을 한층 높힘과 동시 용기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6도의 (a)는 제5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b)는 (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용기본체(1)의 하부에 ""형의 조립부(3)를 형성하고 이의 하단 외면에 고무링(7)이 끼워지는 삽착홈(2)을 요설하거나 또는 그대로 성형하는 한편 상기 조립부(3)와 결합되는 받침판(6)은 그 내면에 상기 조립부(3)와 형합되는 ""형의 주벽부(6')를 형성하여 이들 2개의 사출품(용기본체와 받침판)을 조립할때 ""자형의 단면을 이루는 금속편(10)이 받침판(6)의 바닥면(6")에 안착되도록 상기 금속편(10)의 단부를 조립부(3)의 하단 외면과 받침판(6)의 주벽부(6')내면 사이에 삽착시켜 조립을 완료하므로서 받침판(6)인 용기본체(1)의 재질이 투명할 경우 중공용기전체의 시각적인 효과를 더욱 다양하게 형성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중공용기의 용도에 따라 고무링(7)의 삽입을 요하지 아니할때는 (b)와 같이 그대로 조립하면 되며, 또한 상기의 모든 조립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나 열융착에 의해 조립되므로 조립상태가 매우 양호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번의 사출성형로는 만들수 없었던 중공용기(중공사출품)를 2개 이상의 부품으로 분리성형한후 이들 2개의 부품을 접착제나 열융착을 통하여 다양하게 조립하므로서 세제류, 화장품 및 기타 두께에 구애됨이 없이 기밀성을 요하는 다양한 형태의 용기류를 간단히 성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저면이 개방된 중공형의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보다 직경이 작은 그 저면의 조립부(3)에 상면이 개방된 받침판(6)을 조립하여서 2단 중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의 조립부(3)상단외부면에 삽착홈(2)을 요설하여 신축성패드(7)를 삽착하고, 용기본체(1)와 조립부(3)사이의 단턱(11)하단에는자형의 조립홈(4)올 환설하며, 상기 용기본체와 별도로 성형되는 받침판(6)의 상단에는 상기 조립홈(4)에 끼워지는자형의 조립돌기(5)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본체(1)와 받침판(6)이 조립홈(4) 및 조립돌기(5)에 의해 형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3)의 외면부에 ""자형의 환착홈(9)을 형성하여 장식편(8)을 환착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의 조립부(3)와 받침판(6)의 주벽부(6')를 각각 ""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받침판(6)의 바닥면(6")에 안착되는 금속편(10)의 단부가 상기 조립부(3)와 주벽부(6')사이에서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KR92023461U 1992-11-26 1992-11-26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KR940007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461U KR940007262Y1 (ko) 1992-11-26 1992-11-26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461U KR940007262Y1 (ko) 1992-11-26 1992-11-26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518U KR940012518U (ko) 1994-06-18
KR940007262Y1 true KR940007262Y1 (ko) 1994-10-17

Family

ID=1934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3461U KR940007262Y1 (ko) 1992-11-26 1992-11-26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2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569A1 (ko) * 2022-03-31 2023-10-05 박대롱 김 형태의 야채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를 생산하는 식품 분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569A1 (ko) * 2022-03-31 2023-10-05 박대롱 김 형태의 야채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원료를 생산하는 식품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518U (ko) 199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8567A (en) Stretching and blow molding of synthetic resin bottles with base cups
US5465856A (en) Plastic container having injection-molded container components
JPH01111667A (ja) プラスチック製のスナップ係合用ヒンジ部を有する蓋
EP1876003A8 (en) Method of molding composite member and composite member
KR940007262Y1 (ko) 2단 중공용기의 조립구조
US6179153B1 (en) Two-chamber container with changeable upper cover
JP2001233372A (ja) 一体型供給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6253945B1 (en) Container having separable liquid-ornament unit
JP2005504664A (ja) 封鎖可能な流体接続用アセンブリ
US4496513A (en) Tubular container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40079769A1 (en) Receptacle
JP4978911B2 (ja) 二重壁を有する有頂筒状の合成樹脂製成形品
US20040060890A1 (en) Fluid distribution device
US6129803A (en)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container
JP2004529785A (ja) 塗布可能製品用ディスペンシングデバイスの作成方法
JP5093475B2 (ja) 二重壁を有する有頂筒状の合成樹脂製成形品
JP2004529785A5 (ko)
JPH10316123A (ja) 合成樹脂製瓶
KR102666607B1 (ko) 화장품 용기
CN111556717B (zh) 用于利用相同部件制造化妆品容器的化妆品容器系统
CA2445553A1 (en) Semi-molded thin wall container configuration and method
KR19980066769A (ko) 사출성형 화장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3070755U (ja) 包装鏡餅
USD463285S1 (en) Bottle with nozzle
KR20060027099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