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888Y1 - 회전형 브러쉬 - Google Patents

회전형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888Y1
KR940006888Y1 KR2019880009930U KR880009930U KR940006888Y1 KR 940006888 Y1 KR940006888 Y1 KR 940006888Y1 KR 2019880009930 U KR2019880009930 U KR 2019880009930U KR 880009930 U KR880009930 U KR 880009930U KR 940006888 Y1 KR940006888 Y1 KR 940006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rush
hairs
hub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207U (ko
Inventor
로버트 애브라함슨 제랄드
존 듀웰 어어니스트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90000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46B7/08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as a rotating disc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46B7/044Sliding connections for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46B7/1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as a rotating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24D13/1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comprising assemblies of brush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형 브러쉬
제1도는 본 고안의 회전형 브러쉬의 단부도(end view).
제2도는 일부를 절단한 허브상에 설치된 제1도에 도시한 형태의 하나의 브러쉬 소자를 도시한 부분 단부도.
제3도는 제2도에 상당하는 종래의 실시예의 부분 단부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부도.
제5도는 제1도에서 브러쉬 소자와 털의 상대적인 굴곡 상태를 보이기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하는 부분 단부도.
제6도는 털 유지수단의 한 실시예의 부품들을 도시하는 부분단부도.
제7도는 제6도에 대한 조립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부도.
제8도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브러쉬 소자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부도.
제9도는 제8도에서 도시된 부분으로 부터 완전히 조립된 브러쉬 소자의 단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형 브러쉬 11 : 허브
12 : 원주면 13 : 홈
14 : 브러쉬소자 16 : 털
17 : 털 고정수단 20 : 결속수단
21 : 탄성 및 가요성 소자 32 : 필라멘트
본 고안은 회전형 브러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착탈이 가능한 브러쉬 소자를 구비하는 형식의 회전형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환형으로 펼쳐지는 털들(bristles)을 사용하는 회전형 브러쉬는 여러가지 제품에 대해 다듬질등의 표면처리를 하는 경우에 사용되어 왔으며, 산업적으로는 제품의 표면에 붙은 보풀들을 제거하거나 제품표면을 다듬질 하는데 사용된다.
연마제가 함유된 필라멘트를 그 일단부가 외향으로 펼쳐지게 하고 반대쪽단부가 고정되게 하는 경화수지층을 이용하여 부착시킨 원형 허브를 갖는 형식의 회전형 브러쉬는 산업분야에서 표면다듬질 공정에 폭넓게 사용되어 오고 있는 장치로, 그 산업적인 효과는 매우 우수한 것이나 다만 제조공정에 있어 상당한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 문제점은 첫째, 종래의 브러쉬 장치는 개개의 필라멘트의 일단부를 액체 수지층 속에 적립시켜 액체수지층의 경화에 따라 브러쉬 소자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군집화 공정(flocking operation)을 거쳐야 하며, 이 군집화 공정에서는 정돈된 털의 길이를 통상 12㎝보다 작도록 제한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로는, 털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경화수지의 대부분이 산성이나 부식성의 매체를 함유하는 고온의 수성용매 및 용제와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경화 상태가 약화되어 소정의 목적, 즉 털을 고정하는 작용을 완벽하게 달성하기 어렵다는데 있었다. 그리고 셋째로는 회전허브 위에 전개 되어 부착된 털들이 다듬질할 제품 표면과 접촉되고 이 접촉이 휘일의 회전에 따라 분리됨에 따라 반복적으로 휘어지고 펴지는 동작을 하게 되므로, 경화수지에서의 고착점에서 굽힘피로에 의한 손상을 입는다는데 있었다. 이것은 또한 기계적 수단에 의해 허브의 표면위에 고정된 털들에 대한 문제점이기도 하다.
미합중국 특히 제4,646,479호와 1983. 4. 7가 공고된 영국의 대응특허출원 GB2 106 020A호에서는 보풀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맨드릴을 구비하는 원통형 브러쉬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바, 상기 맨드릴에는 연마제가 함유된 다수의 긴 털이 부착되어 있고, 이 털들의 밀집상태는 각 털들의 외향 연장 단부가 회전면 및 길이방향에서 모두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간 지점에서의 털은 이격플랜지 요소에 의해 상기 맨드릴의 원주면상에 기계적으로 고정 유지되는 로드(ROD)주위를 감싸게 된다. 따라서 맨드릴의 표면중 털들이 고정되는 브러쉬 면이 만들어지며, 이 털들은 사용시에 굽힘작동에 의해 피로상태에 처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굽힘작동이 반복된 후 털들은 고정된 부착지점에서 파단현상이 일어난다.
여러가지 종래의 참고예에서 홈이 형성된 원주면을 갖는 로우타리 허브를 구비하고, 상기 홈속에 연마재팩(abrasive pack)이 삽입되어 연마재 플랩휘일(abrasive flap wheel)을 제공하게 되는 다듬질등의 표면처리용 휘일도 알려져 있으나, 그중 어느것도 연마재 플랩을 대신하여 털을 작용하지는 않았었다. 각각의 연마재팩에는 동일한 방향의 연마재 플랩들이 포함되고, 플랩팩이 모여서 허브주위에 고리모양의 연마재 플랩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플랩 휘일에 대해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3,768,214호, 4,217,737호, 4,285,171호에 개지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털들이 반경방향으로 펼쳐져 돌출하는 허브를 갖는 회존형 다듬질용 휘일을 제공한다. 상기 털들은 독특한 방식으로 부착되므로 굽힘에 의한 피로손상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통상적 방법으로 털을 부착시킨 브러쉬보다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본 고안의 브러쉬를 만드는 방식이 종래기술과 같은 군집화 공정을 거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털의 길이를 12㎝보다 길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회전형 브러쉬는 이격된 브러쉬 고정수단을 갖는 허브를 구비한다. 다수의 착탈가능한 브러쉬 소자는, 각각의 브러쉬 소자가 하나씩의 브러쉬 고정수단에 의해 구속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브러쉬를 제공하도록 고정된다. 바람직한 허브의 형태로는 원주면과 양측면을 갖는 원통형 허브를 포함한다. 허브에는 그 원주면위에 서로 이격된채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홈이 마련되며, 이홈속에 각각 하나씩의 브러쉬소자가 들어간다. 상기 브러쉬소자는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털(bristle)들과, 상기 털들을 고정하는 털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털들은 상기 털 고정수단에 대해 바깥쪽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브러쉬 소자는 또한 브러쉬 고정수단내에 계합되는 긴 결속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브러쉬 소자는 또한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소자를 구비하는데, 이 소자의 일단은 상기 결속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털 고정수단에 고정되어 이 고정수단을 허브에 대해 반경방향의 정지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정지위치라 함은 브러쉬의 털들이 처리대상제품과 접촉하고 있지 않을때의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털의 가요성과 상기 탄성 및 가요성 소자의 가요성이 나타내는 상대성은, 상기 허브가 처리대상 제품과 허브의 털을 접촉시키면서 회전할때 털이 정상위치로 부터 휘어지는 각 보다 상기 탄성 및 가요성 소자가 상기 정지위치로 부터 휘어지는 각이 더큰 각이 되도록 허용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털의 재료로는 연마재가 함유된 중합체가 좋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예를 들어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원통형 허브(11)을 갖는 회전형 브러쉬 장치(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허브(11)은 그 원주면(12)위에 다수의 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홈(13)속에 브러쉬 소자(14)가 들어가 고정된다. 브러쉬 소자(14)에는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털(16)들과, 상기 털(16)들을 고정시키는 털 고정수단(17)로 이루어진 브러쉬(15)가 구비되며, 상기 털(16)들은 상기 수단(17)에 대해 정상위치에서 외곽쪽으로 평행하게 돌출한 형상으로 이 수단(17)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상기 브러쉬소자(14)는, 브러쉬(15)의 반대쪽 단부에, 홈(13)중의 하나와 계합되는 긴 결속 수단(20)을 구비한다.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소자(21)은 그 일단부(22)가 상기 결속수단(20)에, 그리고 타단부(23)이 털 고정수단(17)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허브(11)에 대해 반경방향의 정지위치에서 상기 고정수단(17)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5도에서 보면, 털(16)들과 탄성 및 가요성 소자(21)의 상대적인 가요성 때문에, 털(16)이 처리대상제품(도시생략)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허브(11)이 회전하는 동안(하나의 털만을 도시함) 가요성 소자(21)이 A'의 정지위치로부터 휘어지는 각 A는 털(16)이 정상위치 B'로부터 휘어지는 각 B보다 횔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 휘어짐은 털이 굽힘에 의해 받는 피로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허브(11)은 보통 원통형으로 만들어지며, 적당한 축(도시생략)위에 장치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브러쉬장치(10)이 보통의 정상적 작업조건 하에서 회전할때 브러쉬 소자(14)의 기계적 움직임과 회전력을 견뎌낼 수 있는 적당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허브(11)을 만드는 적당한 재료로는 알루미늄, 철 또는 강철, 황동과 같은 철 합금, 그리고 나일론과 같은 소정재료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가장 적당한 재료로는 알루미늄을 들 수있다.
허브(11)의 크기는 적용대상에 따라 달라지며, 통상적으로는 5∼30㎝의 직경을 갖고, 길이가 3∼200㎝정도이다. 그러나 길이를 상기 범위이외의 것으로 해도 무방하다.
허브(11)의 원주면 위에 만들어지는 홈(13)의 수는 허브(11)의 직경과 브러쉬 소자(14)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두꺼운 브러쉬 소자와 작은 직경의 허브인 경우에는 보다 적은 수의 브러쉬 소자가 필요한 것이며, 반대로 큰 직경의 허브와 얇은 브러쉬 소자인 경우는 보다 많은 수의 브러쉬 소자가 필요할 것이다. 브러쉬 소자의 숫자는 사용처에 맞게끔 털의 반경방향 배열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충분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브러쉬 소자의 숫자는 5㎝직경의 허브에 대해 12개, 30cm직경의 허브에 대해 60개가 적당하다. 또한 일부의 홈에 브러쉬소자를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예를들면, 홈들을 하나씩 건너 비워두거나, 이 비워진 홈에 "스카치 브라이트(Scotch Brite)"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것과 같은 저밀도의 연마재로 만들어진 소자등의 처리가공기구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그외에 상기 비워진 홈에 연마제 플랩이나 스트립을 코팅할 수도 있다.
아울러 홈의 배열상태를 통상 회전축에 평행하게 형성하기도 하지만 특별한 결과를 얻을 목적으로 변경시킬수도 있다. 예를들면 상기 홈을 미합중국 특허 제4,285,171호에서 개시한 것처럼 헬리컬 형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회전축에 대해 일정한 각을 갖도록 배열할 수도 있는 것이다.
홈(13)은 원주면(12)밑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게 만들며, 상기 허브(11)의 단부면중 적어도 한쪽을 개방시켜 적당한 형태의 결속 소자(20, 금속로드형태)가 단부면에 있는 개방부로 부터 홈(13)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허브(11)내에서 결속소자(20)의 고리가 결합되도로 하고, 브러쉬 장치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고리가 허브(11)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속소자(20)의 확대부와 탄성 및 가요성 소자(21)은 나일론과 같은 주형이 가능한 재료를 단일체로 성형하여 만들거나 또는 기계가공이나 다른 적당한 방법을 써서 단일체로 만들어 사용한다.
다른 허브의 형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은 브러쉬 소자의 부착용 홈을 구비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3,768, 214호에 개시된 허브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 종래의 특허는 본 명세서에서 허브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구성에 의한 허브를 적용하게되면 역시 상기 특허에서 개시되고 있는 브러쉬 결속소자를 채용해야만 한다.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털(16)은 연마재 입자를 함유하는 나일론과 같은 중합체를 사용하여 만들며, 그외에도 연마성이 없는 중합체 재료나 연마성 또는 미연마성의 와이어 등을 사용해서 만들 수도 있다. 털(16)들에 함유되는 연마재 입자들은 세라믹 연마재(예; "큐비트론(Cubitron)"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소재)나 "노르존(Norzon)"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것과 같은 용융된 알루미나-지르코니아 연마재와 같은 공지된 연마재 재료를 사용해서 만드는 것도 좋으나 탄화규소나 산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털, 즉 섬유(fiber)의 길이는 적어도 2㎝이상이 좋으나, 그 적용범위는 2∼25mm 사이에서 자유로 선택할 수 있으며, 더 길거나 짧은 것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또한 섬유의 직경 역시 가변적인 것이나, 통상적으로는 0.5∼1.5mm범위의 것을 사용한다.
적당한 연마재 섬유는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E.I. Dupont deNemours Co. 가 시판하는 탄화규소 연마재 함유의 Tynex A0376,0378,9376 및 산화알루미늄 연마재 함유의 Tynex A 9336과 같은 "Tynex"라는 상표명의 나일론 연마재 필라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들은 통상 직경이 18∼60mils(평균직경 0.5∼1.5㎜)이고, 약 30∼600grade(핑균 입자 크기 20∼600㎛)입자크기를 갖는 연마재를 함유하며, 연마재 함유량의 중량%는 30∼40%정도이다. 상기 섬유들은 약 100㎝의 길이로 스풀에 감겨진 상태 또는 다발로 판매된다. 이와 동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또다른 섬유로는 "Nybrad"의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Allied Fibers Co.의 제품이 있다. 이상의 섬유들은 모두 곱슬곱슬한 형태로 되어 있다.
털(16)내에 함유되는 연마재 입자의 크기는 가변적이며, 털(16)의 직경에 좌우되는데, 작은 직경의 입자는 작은 직경의 필라멘트에 사용되며, 통상적인 연마재 입자의 크기는 30∼600grade정도이다. 또한 섬유내에 연마재를 함유시키는 정도도 역시 상당히 가변적이나 10∼20중량%정도가 바람직하다.
털 고정 방법은 장치가 회전하는 동안 예기치 못하는 털의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적당한 위치에서 털(16)을 고정시킬 수 있는 편리한 방법을 적용한다.
털 고정수단(17)에는 사건에 배열된 섬유, 즉 털들을 고정시키는 경화수지 블럭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털고정수단이 도면 제6도∼제9도에서 도시되고 있으며, 이 고정수단은 다수의 필라멘트(32)를 긴 부재와 같은 적당한 부재(30)의 주위에서 그 필라멘트들의 중심점을 접고, 상기 필라멘트의 접혀진 단부와 기계적으로 제한되어 필라멘트를 정위치에 유지시키는 적당한 금속챈널(31)의 양쪽 가장자리 사이에 파지 시킨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4도에서는 적소에 털(16)을 고정하는 또다른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는 종이나 카드보드와 같은 적당한 재료로 만든 이격판(40)들을 적용하며, 상기 판(40)사이에 한묶음의 필라멘트를 놓고, 스페이플(41)과 같은 적당한 수단으로 고정시켜 스택을 만든다. 이 스택은 적당한 경화수지를 첨부하여 보강시킬 수도 있다.
탄성 및 가요성 소자(21)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만든다. 예를들면,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동시에 어느정도의 강성을 갖는 얇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조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6도∼제9도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가령 나일론섬유로 형성된 직물(fabric) 이나 금속으로 접은 스트립(6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유용한 스트립 재료로는 나일론으로 만들고 중합체로 보강된 직물을 들 수 있다.
탄성 및 가요성 소자(21)의 굽힘각(A)는 정지위치 0로 부터 회전형 브러쉬휘일의 회전에 의해 털들이 처리대상제품과 접촉하는 위치인 55사이에서 변화한다. 마찬가지로 털(16)의 굽힘각(B)는 약 0로 부터 털(16)이 대상 제품과 접촉하는때인 약 15사이에서 변한다. 물론 굽힘 정도는 접촉정도 및 각 재료의 상대적 가요성에 따라 좌우되지만, 탄성 및 가요성 소자(21)의 굽힘각(A)는 털(16)의 굽힘각(B)를 항상 초과하는게 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표기중,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비율(part)은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20브러쉬, 외경 51㎝, 폭 10㎝의 회전형 브러쉬 휘일(제1도에 도시된 형식)을 준비하였다. 금속 챈널내에서 접혀진 섬유 묶음을 곱슬곱슬하게 하는 것은 일련의 주름 로울을 사용해서 달성하지만, 10∼12화이버 디이프(deep)를 갖는 일련의 화이버는 테이블 바이스를 사용해서 주름을 만든다. 금속챈널은 ASTM A366 18의 표준치수(1.2㎜)를 갖는 완전히 무른 냉간 압연강으로 만들어서 기저부가 13㎜, 양 다리가 13㎜인 U자형 단면으로 성형한다. 상기 화이버는 연마재를 함유하는 곱슬곱슬한 1㎜직경의 것으르 연마재 입가는 80grade(표준입자크기는 약 200μm)의 Al2O3를 사용한다. 이러한 화이버는 Dupont사의 "Tynex" 상표제품을 시중에서 구할 수 있다. 챈널(31)은 시이트형 금속브레이크로 예비 성형되어진 것이다. 31×32로 배스킷 직조되고, 단위중량 251g/㎡, 두께 0.43㎜이고, 약 21grains/4×6in2(88g/㎡)으로 포화되며, 30grans / 4 ×6in2(125g/㎡)으로 폴리우레탄에 의해 뒷면 사이징된 보강 나일론 직물을 준비하여 접고, 개봉하여 루우프(60)을 만들어서 금속챈널(제7도∼제9도에 도시)에 접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화이버를 금속챈널(31)속에 넣고 코어로드(30)을 사용해서 가압한다. 그리고 금속챈널(31)을 가압해서 화이버의 접혀진 중간 지점이 코어로드(30)을 개재해서 챈널(31)의 내면부에 끼워져 유지되도록 한다.
[실시예 2]
제4도에 도시된 형식으로 허브직경 7.6㎝를 갖고, 15브러쉬, 외경 23㎝, 폭 5mm인 회전형 브러쉬 휘일을 준비한다. 6.4㎝, 직경 0.89㎜의 주름 없는 듀퐁사 제품의 Tynex섬유(180grade, 약 80㎛의 평균입자 직경을 갖는 SiC연마재 입자를 함유함)뭉치를 소정의 길이만큼 펼쳐놓는다. 상기 섬유는 10∼12화이버 직경 디이프를 갖는다. 상기 섬유뭉치의 일단부중 2.5㎝를 2부분으로된 열 경화성의 폴리우레탄 수지 속에 담그어 그 단부들을 서로 모으게 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준비된 또다른 섬유뭉치를 마련하고, 2개의 뭉치를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형식의 나일론 섬유의 양측위에 놓는다. 0.5mm두께의 섬유페이퍼(NVF Co. 제품의 경화섬유)로된 2개의 외부지지 판넬로 상기 2개의 섬유묶음을 둘러싸고 끝에서 힌지로 연결한다. 그리고 구성체의 조립은 일련의 금속 스테이플에 의해 영구결합된다. 그러나 다른 결속방법, 예를들어 재봉, 리벳연결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비교예]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상표명 BrushlonTM인 23mm직경과 5㎝폭의 브러쉬밴드에 0.89㎜의 "Tynex" 섬유들로된 3.8㎝의 섬유를 폴리우레탄 수지에 의해 부착하고 이를 플랜지 사이에서 고정시켜 원통형 브러쉬 휘일을 만든다.
[평가]
실시예 1의 브러쉬를 금속제의 처리대상 제품과 19㎜정도 접촉시키면서 280rpm의 속도로 300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작동시킨 경우 털의 손상이 없고 섬유의 피로 현상도 없었다.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브러쉬 요소의 부착방법을 사용한 동일 크기의 비교예에 의한 브러쉬를 동일한 조건으로 작동시킨 결과 역시 섬유의 손상은 없었으나, 사용중 나타난 섬유운동은 결과적으로 더 긴시간을 작동시킨 경우에 섬유의 피로 및 손상을 초래하였다.
실시예2의 브러쉬를 금속제의 처리대상 제품과 6㎜를 접촉시키면서 1800rpm의 속도로 12시간 동안 작동시킨 결과 털의 손상이 없었으며 섬유의 피로흔적도 없었다. 비교예의 경우에는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모든 털이 이탈하였으며, 접착지점 근처의 섬유 기초부에서의 파괴에 기인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적절한 몇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 것이며, 본 고안이 이 실시예들에 한해 제한된다고는 할 수 없고, 본 고안의 사상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5)

  1. 원주면을 따라 이격된 다수의 브러쉬 고정수단(13)을 갖는 허브(11)과, 다수의 착탈가능한 브러쉬 소자(14)로 구성되는 회전형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소자(14)는; 탄성과 가요성이 있는 다수의 털(16)들과, 상기 털들을 정상위치에서 털 고정수단에 대해 평행하게 외향 돌출되도록 고정시키는 털 고정수단(17)로된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 고정수단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긴 결속수단(20), 및 탄성과 가요성을 가지며, 일단부(22)가 상기 결속수단(20)에, 타단부(23)은 상기 털 고정수단(17)에 고정연결되어 상기 털 고정수단을 상기 허브에 대한 정지위치에 위치시키는 탄성 및 가요성 소자(21)을 구비하며; 상기 털과 상기 가요성 소자의 상대적인 가요성에 의해, 털이 처리대상 제품과 접촉하면서 허브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털이 정상위치로 부터 굽힘위치로 굽어지는 굽힘각 보다 더큰 각으로 상기 소자(21)이 상기 정지 위치로 부터 굽힘위치로 굽어지게 되고, 상기 털이 상기 처리대상 제품과 접촉하며 상기 회전형 브러쉬가 회전할때 상기 소자(21)의 굽힘각은 정지위치의 0로부터 약 55까지 변화하며, 상기 털의 굽힘각은 정상위치의 0로부터 약15까지 변화하게 되어 굽힘피로파괴로 인한 털의 손상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브러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털 고정수단(17)은 털들의 중심점에 긴 부재(30)을 개재하여 접혀진 털들을 챈널(31)의 양측부 사이에 놓고 압착시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브러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털고정 수단(17)은 털(16)들을 지지부(40)사이에 놓고, 이 털들을 스테이플로 한데 묶어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브러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털이 연마재가 함유된 중합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브러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및 가요성을 갖는 소자(21)은 가요성이 있고 피로에 견딜 수 있는 보강섬유나 중합체의 스트립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브러쉬.
KR2019880009930U 1987-06-26 1988-06-25 회전형 브러쉬 KR9400068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71187A 1987-06-26 1987-06-26
US67711 198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207U KR890000207U (ko) 1989-03-02
KR940006888Y1 true KR940006888Y1 (ko) 1994-10-06

Family

ID=2207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930U KR940006888Y1 (ko) 1987-06-26 1988-06-25 회전형 브러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299636B1 (ko)
JP (1) JPS6426155U (ko)
KR (1) KR940006888Y1 (ko)
CA (1) CA1323734C (ko)
DE (1) DE388430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3719A (en) * 1988-04-27 1993-08-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Apparatus and brush segment arrangement for finishing wheel brushes
US5083840A (en) * 1988-04-27 1992-01-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n industrial cylinder brush arrangement for operation
JPH0729265B2 (ja) * 1991-04-10 1995-04-05 株式会社ホタニ 重研ブラシロール
JP2584222Y2 (ja) * 1993-03-09 1998-10-3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ルーム
IT1275524B (it) * 1995-07-13 1997-08-07 Favagrossa Edoardo Srl Spazzolone per impianti per il lavaggio automatico di veicoli e simili
AU5904098A (en) * 1996-12-26 1998-07-31 J&L Speciality Steel, Inc. Brushing process for corrosion and oxidation resistance
KR100762489B1 (ko) * 2001-11-29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빌드 업 삼면 연마 장치
WO2009114630A2 (en) * 2008-03-11 2009-09-17 Voorwood Company Abrasive flap wheel with custom profiles
JP5419561B2 (ja) * 2009-06-26 2014-02-19 株式会社 菊星 ヘアダイブラシ、及びブラシカートリッジ
DE102014116998A1 (de) * 2014-11-20 2016-05-25 Miele & Cie. Kg Seitenbürste für einen Saugroboter und Saugroboter mit einer Seitenbürste
DE102017118541A1 (de) * 2017-08-15 2019-02-21 Miele & Cie. Kg Bürste für ein selbstfahrendes Bodenbearbeitung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10409B (de) * 1961-09-19 1966-02-10 Herbert Schmidt Buerste mit maschinell in Umlauf setzbarem endlosem Band als Besteckungstraeger
CH407798A (de) * 1962-10-15 1966-02-15 Merit Products Inc Schleif- und Poliertrommel
US3486276A (en) * 1967-10-16 1969-12-30 Merit Products Inc Rotary abrasive device
DE1937563C3 (de) * 1969-07-24 1978-06-01 Karl 4409 Hausduelmen Lienenbruegger Walzenbürste für Straßenreinigungsmaschinen
USRE28118E (en) * 1971-04-14 1974-08-20 Belanger finishing wheels
US3798847A (en) * 1972-05-15 1974-03-26 Belanger Inc Hinge type finishing packs with replaceable units for cylindrical hub structures
US3967418A (en) * 1975-02-20 1976-07-06 Schaffner Manufacturing Company, Inc. Work polishing too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489390A (en) * 1977-12-27 1979-07-16 Setsuo Hotani Brush for metallic plate washing and polishing
US4183183A (en) * 1978-03-22 1980-01-15 Belanger, Inc. Pack unit and mounting mean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426155U (ko) 1989-02-14
CA1323734C (en) 1993-11-02
EP0299636B1 (en) 1993-09-22
DE3884301D1 (de) 1993-10-28
DE3884301T2 (de) 1994-03-24
EP0299636A1 (en) 1989-01-18
KR890000207U (ko) 198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5091A (en) Method of making rotary brush with removable brush elements
KR940006888Y1 (ko) 회전형 브러쉬
US2984053A (en) Brush and brush material
JP3002310U (ja) 工業用ブラシに使用する改善されたブラシセグメント
US5016311A (en) Apparatus and brush segment arrangement for finishing wheel brushes; and method
US5187904A (en) Abrasive finishing elements, tools made from such elements, and methods of making such tools
US5233719A (en) Apparatus and brush segment arrangement for finishing wheel brushes
US2682734A (en) Brush
JPH04217465A (ja) 研磨工具用作業素子
US4285171A (en) Abrasive flap drum
US5083840A (en) Method of preparing an industrial cylinder brush arrangement for operation
US11623325B2 (en) Rotary brush
US5279079A (en) Adhesive bonded abrasive finishing tool
US2879631A (en) Brush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623741A (en) Brush pad with irregular fingers
EP0339933B1 (en) Apparatus and brush segment arrangement for finishing wheel brushes, and method
US2844835A (en) Tufted brush construction
JPH07186054A (ja) 内側研摩工具とその製造方法
JP7276805B2 (ja) ブラシカバー及び研磨ブラシ
GB2221472A (en) A rotary abrading tool
US4563839A (en) Flap wheel
US6379238B1 (en) Finishing and abrasive tool
JP3038430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掃除用回転ブラシ
JPS6240765Y2 (ko)
CA1126034A (en) Abrasive flap d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