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781Y1 -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781Y1
KR940006781Y1 KR92007188U KR920007188U KR940006781Y1 KR 940006781 Y1 KR940006781 Y1 KR 940006781Y1 KR 92007188 U KR92007188 U KR 92007188U KR 920007188 U KR920007188 U KR 920007188U KR 940006781 Y1 KR940006781 Y1 KR 940006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delivery
slide knob
draw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939U (ko
Inventor
이정인
Original Assignee
이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인 filed Critical 이정인
Priority to KR92007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781Y1/ko
Publication of KR930022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9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20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 A47G29/28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having a receptacle inside the house and a delivery pipe or the like passing through a door, wall, or the like, e.g. for delivering milk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내측몸체 2a : 지지편
2b : 고정공 4 : 인출도어
4a : 가이드홈 4b : 격벽
5 : 슬라이드노브 5a : 힌지공
5b : 고정돌기 6 : 힌지핀
본 고안은 대단위 아파트 단지나 연립주택등의 대문 또는 현관문등에 설치하여 우유나 요구르트, 음료수등의 배달물을 투입 및 인출하는 배달물 투입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노브를 이용하여 인출도어의 개폐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달물 투입구는 대문 외측에 설치하는 외측몸체와 투입도어 및, 대문 내측에 설치하는 내측 몸체와 인출도어로 구성되어 상기 내.외측몸체가 볼트 체결에 의해 대문을 사이에 두고 견고히 압착고정 되므로써, 배달자가 실외에서 상기 투입도어를 열고 우유나 요구르트, 음료수등의 소형배달물을 투입하면 실내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인출도어를 열고 이들 소형배달물을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달물 투입구는 대부분 실내측의 인출도어에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배달물 투입시 또는 투입된 배달물이 지면으로 떨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인출도어의 개폐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별도의 로크핀을 사용하거나, 인출도어에 자물쇠를 부착하였던바, 이와 같은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별도의 로크핀을 사용할 경우에는 인출도어를 개폐시킬때마다 상기 로크핀을 삽입 및 탈거시켜줘야만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외관이 불량한 단점이 있으며, 자물쇠를 사용할 경우에는 고가인데다 고장이 잦아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출도어가 슬라이드노브에 의해 손쉽게 개폐되도록 안출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상단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일측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드노브를 설치하고, 대문에 부착된 내측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곳에 고정공이 뚫린 지지편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노브를 회동시키면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공이 분리, 결합되면서 인출도어가 손쉽게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대문(D)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몸체(1)와 투입도어(3) 및, 대문(D) 내측에 설치하는 내측몸체(2)와 인출도어(4)로 구성되어 상기 내.외몸체(1), (2)가 볼트(7) 체결에 의해 대문(D)을 사이에 두고 압착고정되는 배달물 투입구에 있어서, 상기 인출도어(4)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a)과, 상기 가이드홈(4a)내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한 슬라이드노브(5) 및, 상기 내측몸체(2)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노브(5)와 분리 결합되는 지지편(2a)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4a)은 인출도어(4)의 내부상단에 형성된 격벽(4b) 내부에 형성되어 그 상단이 상기 인출도어(4) 상단과 관통되고 양측면은 상기 격벽(4b) 외부와 개방된다.
상기 슬라이드노브(5)는 손잡이부 상단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고 몸체부 측면에는 힌지핀(6)이 끼워지는 힌지공(5a)과 고정돌기(5b)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4a)내에 삽입되어 손잡이가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편(2a)은 상기 고정돌기(5b)와 대응하는 내측몸체(2)의 후면에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 고정공(2b)이 형성된다. 조립 및 설치시에는 제2도와 같이 외측몸체(1)와 내측몸체(2)를 각각 대문(D) 외측과 내측에 대고 볼트(7)로 체결하여 압착고정시킨 다음, 상기 인출도어(4)의 가이드홈(4a)에 슬라이드노브(5)를 삽입하여 힌지공(4c), (5a)과 힌지핀(6)을 결합한후, 상기 힌지핀(6) 양단을 내측몸체(2)의 힌지홈(2c)에 삽입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 설치된 본 고안의 개폐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의 실선과 같이 슬라이드노브(5)가 가이드홈(4a)의 일측에 위치하여 고정돌기(5b)가 고정공(2b)과 분리되어 있을때는 인출도어(4)를 맘대로 열수 있다.
또한, 가상선과 같이 슬라이드노브(5)가 가이드홈(4a)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돌기(5b)가 고정공(2b)에 끼워져 있을때는 인출도어(4)가 열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는 사용자가 슬라이드노브(5)를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여 가상선과 같은 위치에 놓음으로써, 고정돌기(5b)와 고정공(2b)이 결합되어 인출도어(4)가 열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달자가 상기 배달물 투입구내에 우유나 요구르트, 음료수등과 같은 배달물 투입한후,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노브(5)를 실선과 같이 움직이면 고정돌기(5b)가 고정공(2a)에서 이탈되어 인출도어(4)를 손쉽게 열 수 있으므로 배달물 또한 손쉽게 인출 할 수 있다.
그리고 배달물을 인출한 다음에는 슬라이드노브(5)를 가상선과 같이 원위치시켜 놓으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4)에 슬라이드노브(5)를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드노브(5)의 회동에 의해 인출도어(4)가 손쉽게 개폐되므로 조작이 간단하고,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이 제품에 대한 신뢰도 향상과 함께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외측몸체(1)에는 투입도어(3)를 회동가능하게 부착하고, 내측몸체(2)에는 힌지핀(6)로서 인출도어(4)를 내측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인출도어(4) 상단 내측에 형성된 격벽(4b)의 가이드홈(4a)에 슬라이드노브(5)를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게 삽입한 다음 상기 격벽(4b)의 일측에 위치하는 내측몸체(2) 내면의 지지편(2a)에 형성된 고정공(2b)으로 상기 슬라이드노브의 고정돌기(5b)가 삽탈되게 하여 인출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개폐장치.
KR92007188U 1992-04-29 1992-04-29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개폐장치 KR940006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188U KR940006781Y1 (ko) 1992-04-29 1992-04-29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188U KR940006781Y1 (ko) 1992-04-29 1992-04-29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939U KR930022939U (ko) 1993-11-25
KR940006781Y1 true KR940006781Y1 (ko) 1994-10-01

Family

ID=1933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188U KR940006781Y1 (ko) 1992-04-29 1992-04-29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7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939U (ko) 199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5126A (en) Outlet cover
KR940006781Y1 (ko) 배달물 투입구의 인출도어 개폐장치
US20210071444A1 (en) Child-safe door, cabinet, and drawer locking system and apparatus
US5692674A (en) Self-locking security mailbox
US3432882A (en) Hinge structure
US5192097A (en) Plastic door lock
KR101563129B1 (ko) 도어장치
KR20030044524A (ko) 신발장
KR890007737Y1 (ko) 현관문의 물품투입장치
KR200335556Y1 (ko) 잠금장치가 있는 수취함
KR100314258B1 (ko) 도어용 보조키의 해정 방지장치
KR920002277Y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취출장치
KR950005204Y1 (ko)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 도어 수납장치
KR100246427B1 (ko)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및 방법
US4257657A (en) Readily releasable mechanism for locking a merchandising machine door in open position
KR200241491Y1 (ko) 김치저장고
KR940000763Y1 (ko) 가전제품용 도어의 좌우 개폐장치
KR200154878Y1 (ko) 통신기기용 캐비닛 랙의 도어 고정용 스톱퍼 체결장치
JPS5844455Y2 (ja) 自動販売機の扉構造
KR200337574Y1 (ko) 수납장
KR950007589Y1 (ko) 배달물투입구
KR200164381Y1 (ko) 냉장고용 도어개폐장치
KR940001327Y1 (ko) 자동판매기의 도어 잠금장치
KR20050017056A (ko) 도어 손잡이
KR200214118Y1 (ko) 캐비넷의 도어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