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676Y1 -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676Y1
KR940006676Y1 KR92007359U KR920007359U KR940006676Y1 KR 940006676 Y1 KR940006676 Y1 KR 940006676Y1 KR 92007359 U KR92007359 U KR 92007359U KR 920007359 U KR920007359 U KR 920007359U KR 940006676 Y1 KR940006676 Y1 KR 940006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angle adjusting
wire
inlet groove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050U (ko
Inventor
최기봉
Original Assignee
최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봉 filed Critical 최기봉
Priority to KR92007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676Y1/ko
Publication of KR930023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0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6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각도 조절구 7 : 요홈
3 : 고정봉 4 : 슬라이드
5 : 스프링 6 : 고정구
7 : 소켓
본 고안은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특징은 사각형 슬리브로 만든 각도 조절구에 다수개의 요홈을 만들어 사각형 파이프로 만든 소켓을 슬라이딩 되게하여 소켓 상부에 부착된 고정봉이 요홈에 요입되어 각도 조절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를 보면, 원형 소켓 내부에 스프링을 관설하여 스프링이 슬리브를 감삽하여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각도 조절구를 잡아주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스프링의 탄성이 약해져 원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형 파이프로 소켓(7)을 만들어 일측면에 와이어 안내편(14)을, 후미 저부에는 휠체어와 결합할 수 있게 너클(13)을 형성하고, 걸림턱(8)과 각도 조절구 유입홈(4') 및, 고정봉 안내홈(9)이 형성된 슬라이드(4)를 소켓(7)의 슬라이드 유입홈(7')에 밀어넣고 소켓(7) 상부에는 와이어 유입홈(10)과 와이어 고정볼트(11)가 형성되고, 구성된 고정봉(3)을 스프링(5)이 내장된 고정구(6)에 삽입하여 고정구(6)를 나사(12)로 소켓과 결합하였으며, 다수개의 요홈(2)과 일측에 너클(13)이 형성된 각도 조절구(1)를 슬라이드(4)의 각도 조절구 유입홈(4')에 삽입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0)은 바퀴, (31)은 발걸이.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각도 조절구(1)에 형성된 너클(13)을 휠체어(20)의 등받이 후레임(21)과 연결하고 소켓(7)에 형성된 너클(13)을은 휠체어(20)의 뒷바퀴를 지지하는 후레임(21)과 연결한 다음, 소켓(7)상부 고정구(6)에 있은 고정봉(3)의 와이어 유입홈(10)에 와이어를 넣고 와이어 고정볼트(11)를 조이면 와이어가 고정되게 되는데, 이렇게 고정된 와이어를 휠체어(20)의 등받이 후레임(21)에 형성된 손잡이(22)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보호자가 환자를 휠체어에 태우고 산책을 시키거나 할시 환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가 될 수 있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보호자가 휠체어(20) 등받이 후레임(21)에 형성된 손잡이(22)를 잡고 힘을 가하게 되면, 고정구(6)의 고정봉(3)에 형성된 와이어 유입홈(10)에 유입되어 와이어 고정볼트(11)로 조여진 와이어에 의해 각도 조절구(1)의 요홈(2)에 요입된 고정봉(3)이 요홈(2)에서 이탈하게 되면 휠체어 등받이를 환자가 가장 편안하다고 생각되는 상태로 조절한 다음 손잡이를 놓으면 고정구(6)에 내장된 스프링(5)의 탄성에 의해 고정봉(3)이 각도 조절구(1)의 요홈(2)에 요입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휠체어의 발걸이 각도를 조절하는데에도 본 고안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기가 용이할뿐 아니라 고정봉이 요홈에 요입되어 이탈이 되지 않고 장구히 사용하여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사각형 파이프로 소켓(7)을 만들어 일측면에 와이어 안내편(14)을, 후미저부에는 휠체어와 결합할 수 있게 너클(13)을 형성하고, 걸림턱(8)과 각도 조절구 유입홈(4') 및, 고정봉 안내홈(9)이 형성된 슬라이드(4)를 소켓(7)의 슬라이드 유입홈(7')에 밀어 넣고 소켓(7) 상부에는 와이어 유입홈(10)과 와이어 고정볼트(11)가 형성되고, 구성된 고정봉(3)을 스프링(5)이 내장된 고정구(6)에 삽입하여 고정구(6)를 나사(12)로 소켓과 결합하였으며, 다수개의 요홈(2)과 일측에 너클(13)이 형성된 각도조절구(1)를 슬라이드(4)의 각도 조절구 유입홈(4')에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KR92007359U 1992-04-29 1992-04-29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KR940006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359U KR940006676Y1 (ko) 1992-04-29 1992-04-29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359U KR940006676Y1 (ko) 1992-04-29 1992-04-29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050U KR930023050U (ko) 1993-11-25
KR940006676Y1 true KR940006676Y1 (ko) 1994-09-28

Family

ID=1933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359U KR940006676Y1 (ko) 1992-04-29 1992-04-29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6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050U (ko) 199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635670A1 (fr) Dispositif pour fixer provisoirement une canne a un support
US6615431B2 (en) Portable massage bed
US20030229966A1 (en) Stroller height extenders and method
US5090434A (en) Chair assembly for releasable attachment to crutch
JP5164242B2 (ja) 子供用座席及び伸縮自在に調節可能な足支持具
AU2016224104B2 (en) A bracket
KR940006676Y1 (ko) 휠체어용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NO305971B1 (no) Hoeyderegulering for rygglener på stoler
US6983988B1 (en) Backrest adjusting device for a bicycle
CN110368215B (zh) 移动支援用具
US200300108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nding crutches
JPH0536059B2 (ko)
GB0106764D0 (en) A reclining chair having a footrest and clamping device
EP1150636B1 (en) Chair designed for disabled persons
US20070085407A1 (en) Retainer assembly
JPH04193107A (ja) 椅子用腰当て支持具
JP2003019959A (ja) 手押し車におけるハンドル及び腰掛けシートの高さ調節機構
JPH0546756Y2 (ko)
KR200146371Y1 (ko) 버스 의자용 팔받침대의 절첩장치
NL1006269C2 (nl) Handondersteuning voor een looprek.
KR200222584Y1 (ko) 유아용 그네
KR0129875Y1 (ko) 버스시트의 풋레스트 거리조절장치
JP4644029B2 (ja) フットレストの取付け構造
KR0121071Y1 (ko) 유아용 의자 변기의 손잡이 결합구조
KR910005144Y1 (ko) 사무용 의자의 러킹(rocking)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