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568Y1 - 문틀부재 - Google Patents

문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568Y1
KR940006568Y1 KR92005657U KR920005657U KR940006568Y1 KR 940006568 Y1 KR940006568 Y1 KR 940006568Y1 KR 92005657 U KR92005657 U KR 92005657U KR 920005657 U KR920005657 U KR 920005657U KR 940006568 Y1 KR940006568 Y1 KR 940006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threshold
cement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5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811U (ko
Inventor
조승기
Original Assignee
조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기 filed Critical 조승기
Priority to KR92005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568Y1/ko
Publication of KR930023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8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문틀부재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틀부재본체조 11 : 결합홈
20 : 문턱부재 21 : 결합부
22 : 문턱부
본 고안은 시멘트 혼합물 또는 콘크리트로 된 문틀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틀부재본체를 시멘트 혼합물 또는 콘크리트로 성형하고 이에 목재로 된 문턱부재를 결합하여 목재로 된 문턱부가 형성되도록 한 문틀부재에 관한 것이다.
예로 부터 문틀은 문짝과 함께 목재로 제작하여 왔으며 이러한 목재 문틀은 사람들에게 친근감이 있고, 질감과 미감이 좋은 소재로서 널리 애용되어 왔으나 근래 목재자원의 고갈과 목재값의 상승 및 자연보호의 차원에서 콘크리트 문틀과, 압출시멘트 문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압출시멘트 문틀은 시멘트와 석면, 규사등과 같은 무기물이 혼합된 시멘트 혼합물을 압출 성형하는 것이며, 콘크리트 문틀은 시멘트 콘크리트를 형틀에 부어넣어 성형하는 것이다.
압출시멘트 문틀과 콘크리트 문틀의 장점은 목재 문틀이 숙련된 기술을 요하며 제작성이 떨어지는 것에 비하여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으며 양산이 가능하여 저렴하게 다량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문틀과 압출시멘트 문틀은 문짝의 가장자리가 맞닿는 부분인 문턱부를 문틀본체부와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문짝을 닫을 때 충격과, 비교적 단단한 물건등이 떨어질때 문턱의 모서리 부분이 부스러지는 등 파손되기 쉬워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질감(質感)과 미관에서도 좋지 않으며, 콘크리트나 시멘트 성형 문틀은 경도면에서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출입시 발가락등이 부딪혔을 때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거나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문턱부의 모서리부분이 쉽게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문틀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문틀과 압출시멘트 문틀의 장점인 제작상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으며 양상이 가능하여 저렴하게 다량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목재 문틀의 장점인 질감과 미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시 발가락등이 부딪히더라도 통증을 심하게 느끼거나 부상을 입을 염려가 없도록 하려는 것이다.
시멘트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문틀부재본체의 일측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에는 목재로 된 문턱부재를 결합설치하여 문턱부가 돌출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부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문틀부재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을 압출시멘트 문틀에 적용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시멘트와 석면, 규사등의 무기물의 혼합물로 압출성형한 문틀부재본체(10)의 내측면(문틀부재본체를 밑틀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상면, 윗틀로 사용하였을 경우는 저면, 좌우 선틀로 사용하였을 경우는 내측면)에 목재로 된 문턱부재(20)를 매설하여서 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턱부재(20)의 저부, 즉 문틀부재본체(10)에 매설되는 부분이 디브테일(Dove Tail)형 결합부(21)로 형성되고, 상부, 즉 문틀부재본체(10)에서 돌출되는 부분은 구형(矩形)단면의 문턱부(22)로 형성된다.
상기 문틀부재본체(10)에는 문턱부재(20)의 결합부(21)가 결합되는 결합홈(11)이 형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중량감소를 위한 중공부이고, 13은 문틀부재본체(10)를 건물의 바닥면, 천정면 및 벽면에 부착할 때 시멘트 몰탈이 충전되어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요입부이며, 30은 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문틀부재는, 문틀부재본체(10)를 압출시멘트 문틀을 성형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성형하되 일측면에 결합홈(11)이 형성되도록 하고 양생이 완료되면 결합홈(11)에 목재로 된 문턱부재(20)를 일단부로 부터 끼워넣어 결합하는 것이다.
사용에 있어서 문틀을 구성하는 밑틀, 윗틀 및 좌우 선틀로 사용하여 문(30)을 달아붙이는 것으로 문(30)을 닫았을 때 제2도와 같이 문턱부재(20)의 문턱부(22)에 문(30)의 가장자리가 닿게 되어 문(30)을 여닫을 때 충격이 감소되고 문틀부재본체(10)에는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문틀부재의 파손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비교적 단단한 물건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목재로 된 문턱부재(20)의 문턱부(22)에 충돌하게 되므로 문틀부재본체(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문틀부재중 본체(10)부분은 압출시멘트 문틀과 같이 압출성형하는 것이므로 양산에 의하여 저렴하게 다량공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목재로 된 문턱부재(20)가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목재특유의 질감과 미감을 살릴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목재로 된 문턱부재(20)의 문턱부(22)가 노출되는 것이므로 출입시 발가락등이 걸리더라도 통증이 덜하게 되고 부상을 입을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을 압출시멘트 문틀에 적용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문틀부재(20)의 문턱부(22)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목재로 된 문턱부재(20)의 노출부분을 크게 함으로써 질감과 미감이 크게 나타나도록 한 것이며, 여타 부분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을 콘크리트 문틀에 적용한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문틀의 성형 방법의 특성상 문턱부재(20)가 결합되는 결합홈(11)을 타브테일형으로 성형할수 없으므로 단순히 구형(矩形)으로 형성하고, 목재로 된 문턱부재(20)를 끼워넣어 결합하는 것이다.
여타 부분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량 시멘트 문틀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문턱부재(20)의 결합부(21)와 문턱부(22)의 형상도 문틀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등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시멘트 혼합물이나 시멘트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문틀부재본체(10)의 일측면에 결합홈(11)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11)에는 목재로 된 문턱부재(20)를 결합설치하여 문턱부(22)가 돌출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부재.
KR92005657U 1992-04-07 1992-04-07 문틀부재 KR940006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657U KR940006568Y1 (ko) 1992-04-07 1992-04-07 문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657U KR940006568Y1 (ko) 1992-04-07 1992-04-07 문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811U KR930023811U (ko) 1993-11-26
KR940006568Y1 true KR940006568Y1 (ko) 1994-09-26

Family

ID=1933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5657U KR940006568Y1 (ko) 1992-04-07 1992-04-07 문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5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218B1 (ko) * 2010-12-02 2013-04-19 (주)캡스톤엔지니어링 도어용 잼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842B1 (ko) * 2000-08-10 2003-05-12 주식회사 한건 천연무늬목 문선부가 탈부착가능한 세멘트재 창문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218B1 (ko) * 2010-12-02 2013-04-19 (주)캡스톤엔지니어링 도어용 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811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8354A (en) Sectional decoration block
KR940006568Y1 (ko) 문틀부재
KR200224353Y1 (ko) 문틀
JPS58143986U (ja) 防火・断熱扉
KR20000017008U (ko) 조립식 문틀 덮개
KR200211399Y1 (ko) 문틀
KR200357491Y1 (ko) 샤시를 이용한 도어프레임 어셈블리
KR200272171Y1 (ko) 조립식 문틀
KR200144796Y1 (ko) 천정 패널
KR200246670Y1 (ko) 문틀
KR0140724Y1 (ko) 건축용 마루틀
KR100450630B1 (ko) 조립식 문틀
KR900009894Y1 (ko) 열차단부를 갖는 이중 압출시멘트 문틀의 내 · 외 문틀 체결장치
KR900007440Y1 (ko) 조립식 소형마감블럭
KR200152293Y1 (ko) 건축내장마감재의 부착구조
KR930006162Y1 (ko) 칸막이용 조립식 블록
KR890007060Y1 (ko) 압출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구조
JPH0438001Y2 (ko)
KR100676409B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20000012211A (ko) 조립식 문틀
KR920000070B1 (ko) 합성수지새시 및 그 새시로서 이루어지는 창틀
KR100468940B1 (ko)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
JPS5814786Y2 (ja) サツシ枠付セメント製膳板
JP2001090311A (ja) 成形出隅柱及びその施工構造
KR200255876Y1 (ko) 창호용 프레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