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20B1 - 링 신호의 주파수 가변 가능한 키폰 시스템 - Google Patents

링 신호의 주파수 가변 가능한 키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20B1
KR940005520B1 KR1019910019744A KR910019744A KR940005520B1 KR 940005520 B1 KR940005520 B1 KR 940005520B1 KR 1019910019744 A KR1019910019744 A KR 1019910019744A KR 910019744 A KR910019744 A KR 910019744A KR 940005520 B1 KR940005520 B1 KR 94000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dial
circuit
dtmf
r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584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백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백중영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520B1/ko
Publication of KR93001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링 신호의 주파수 가변 가능한 키폰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키폰 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블록도.
제3도는 DTMF 다이얼 매트릭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송신회로 22 : CPU
24 : 스피커 구동회로 26 : DTMF 다이얼 발생회로
27 : LCD 모듈 28 : 다이얼 버튼 회로
본 발명은 키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DTMF 다이얼 발생회로를 이용하여 착신 링 신호 주파수를 사용자가 임의 조정 가능케 하는 키폰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키폰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상태로 나타낸 것으로 단말기를 제어하는 주장치(1)와,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구분하는 접속회로와, 데이터 송·수신 선로와 접속하는 데이터 송·수신회로(21)와, 주장치(1)의 명령에 의해 단말기를 제어하는 CPU(22)와, CPU(22)에 의해 착신 링을 발생시키는 톤 링거회로(23)와, 스피커 구동회로(24)와, 스피커(25)로 구성된다.
주장치(1)는 데이터 송·수신회로(21)와, CPU(22), 톤 링거회로(23), 스피커 구동회로(24) 및 스피커(25)로 된 키폰 단말기(2)로 음성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보내는데, 키폰 단말기(2)로 전화가 올 경우 주장치(1)는 키폰 단말기(2)로 착신 링을 명령하는 데이터를 주장치(1)과 데이터 송·수신회로(21)를 연결하는 데이터 신호선을 통해 전달하고 CPU(2)가 이를 분석, 톤 링거회로(23)를 동작시키면 이 시스템의 설계시 저장된 주파수의 링 신호가 스피커 구동회로를 통해 스피커로 송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에는 주장치에 접속되는 모든 키폰 단말기의 착신 링 신호 주파수가 동일하므로 여러 키폰에서 착신 링이 울릴 때 사용자가 해당 키폰으로부터 조금만 멀리 떨어져 있어도 자신의 키폰에 전화가 왔는지 구별하기 어려워 동일공간의 사무실에서 조용한 업무를 볼 때 키폰의 착신 링에 의해 신경이 쓰여 집중도가 떨어질때가 있을지 모르며 업무 능률 향상에도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러 키폰에서 착신 링이 울릴 때 각 키폰에서 해당 주파수로 착신 링이 울려 사용자가 자신의 키폰에 전화가 왔는지를 쉽게 구별해 줄 수 있게끔 링 신호의 주파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링 신호의 주파수 가변 가능한 키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키폰 시스템에다 CPU로부터 임의의 코드가 입력될 때 DTMF 다이얼 매트릭스에서 미리 설정된 구분 가능한 7가지 주파수중 해당 주파수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DTMF 발생회로와, DTMF 발생회로의 DTMF 다이얼 매트릭스에서 7가지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다이얼 버튼 회로와, 7가지 주파수 선택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해 일정한 정보를 표시하는 LCD 모듈과, 다이얼 버튼 회로의 다이얼 버튼을 누를 때 이 데이터를 CPU를 통해 전달받아 해당 단말기 번호와 함께 기억하고 있는 주장치와, DTMF 발생회로로부터의 선택 주파수를 스피커로 송출하도록 구동시키는 스피커 구동회로 등을 구비한 것을 덧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폰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 연결상태를 블록개념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서, 종래의 키폰 시스템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음성신호 처리 부분은 공지의 사실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서술하지 아니한다. 우선, 사용자는 자기가 원하는 주파수를 착신 링 신호의 주파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CPU(22)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얼 버튼 회로(28)에서 해당 버턴을 누른다. 그러면 CPU(22)는 그의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소망의 주파수로 설정되도록 하게 하는데, 예를들면 키폰 단말기(2')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얼 버튼 회로(28)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CPU(22)는 LCD 모듈(27)을 구동시켜 LCD 모듈(27)상에 "링 신호 선택(Ring Signal Selection)"이라는 단어와 현재의 주파수 1∼7숫자중 하나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에 해당하는 다이얼 버튼을 다이얼 버튼 회로(28)에서 누른다.
그러면 LCD 모듈(27)상에 바뀐 주파수의 번호(선택된 다이얼 번호)가 새로 표시된다. 그리고 착신 링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선택 종료는 CPU(22)에 알리기 위해 다이얼 버튼 회로(28)에서 다시다이얼 버튼을 누른다. 이에따라 스피커(25)에서 선택된 주파수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확인음이 잠시 송출되고 LCD 모듈(27)은 다시 원상태로 돌아간다.
제3도는 DTMF 다이얼 매트릭스를 도시한 것이다. 이 DTMF 다이얼 매트릭스는 DTMF 다이얼 발생회로(26)에 내장되어 있어 이는 16가지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매트릭스 1에서는 697Hz의 저주파 및 1209Hz의 고주파가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DTMF 다이얼 발생회로(26)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16가지 주파수중 구분 가능한 7가지를 미리 지정 3비트의 2진코드(ψψ1∼111)로 일대일 대응시켜 놓는다.
이제, 키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키폰 시스템 설치시 키폰 사용자가 상술한 방법으로 착신 링 주파수 7가지중 하나를 선택하면 CPU(2)가 이를 입력하여 주장치 (1)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주장치(1)는 해당 단말기 번호와 선택된 착신 링 주파수 데이터를 그의 내장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한다. 링 착신 필요시 주장치(1)는 메모리에서 미리 저장된 해당 단말기의 링 주파수 데이터를 찾아 데이터 송·수신회로(21)를 통해 CPU(22)로 전송하면 단말기의 CPU(2)가 상기 데이터를 받아 이를 분석하여 선택된 주파수가 발생하도록 8비트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DTMF 발생회로(26)를 제어한다. 그러면 DTMF 발생회로(26)에서 선택된 주파수가 출력하여 스피커 구동회로(24)를 통해 스피커(25)로 송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키폰 시스템에 따르면 종래의 주장치(1)가 링 착신을 위해 단일 명령어만 사용한 것과는 다르게 사용자가 임의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톤 링거 회로 대신에 16가지 주파수 발생 가능한 DTMF 다이얼 발생회로를 이용하여 링 신호 착신시 발생되는 혼란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Claims (1)

  1.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CPU로부터 임의의 코드가 입력될 때 DTMF 다이얼 매트릭스에서 미리 설정된 구분 가능한 7가지 주파수중 해당 주파수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DTMF 다이얼 발생회로와, 상기 DTMF 다이얼 발생회로의 DTMF 다이얼 매트릭스에서 7가지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다이얼 버튼 회로와, 7가지 주파수 선택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해 일정한 정보를 표시하는 LCD 모듈과, 상기 다이얼 버튼 회로의 다이얼 버튼을 누를 때 이 데이터를 상기 CPU를 통해 전달받아 해당 단말기 번호와 함께 기억하고 있는 주장치와, 상기 DTMF 다이얼 발생회로로부터의 선택 주파수를 스피커로 송출하도록 구동시키는 스피커 구동회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주파수로 착신 링을 울리도록 되어 있는 링 신호의 주파수가 가변 가능한 키폰 시스템.
KR1019910019744A 1991-11-07 1991-11-07 링 신호의 주파수 가변 가능한 키폰 시스템 KR94000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744A KR940005520B1 (ko) 1991-11-07 1991-11-07 링 신호의 주파수 가변 가능한 키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744A KR940005520B1 (ko) 1991-11-07 1991-11-07 링 신호의 주파수 가변 가능한 키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84A KR930011584A (ko) 1993-06-24
KR940005520B1 true KR940005520B1 (ko) 1994-06-20

Family

ID=1932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744A KR940005520B1 (ko) 1991-11-07 1991-11-07 링 신호의 주파수 가변 가능한 키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186B1 (ko) * 1997-07-09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이교환시스템에서내선가입자별링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84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1198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5257307A (en) Radio pager system which transmits secret coded messages from a caller to a pager terminal apparatus
KR100646143B1 (ko) 무선통신장치용의 오디오 피드백을 갖는 직관적 키패드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US6573825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lerting method
KR940005520B1 (ko) 링 신호의 주파수 가변 가능한 키폰 시스템
US5058151A (en) Multi-user cordless telephone capable of discernibly notifying each user
EP1976245A2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KR19990001882A (ko)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KR100313375B1 (ko) 키폰시스템의발신자정보수신장치
KR100275773B1 (ko)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
KR960004724B1 (ko) 문자전송전화기
KR100226473B1 (ko) 전화기의 메모리장치
JPH0336855A (ja) 携帯電話装置
JPH11196039A (ja) 発呼信号出力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発呼信号受信部付き電話機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JPH01317097A (ja) ボタン電話装置用電話機
KR0168008B1 (ko) 키폰시스템에서 디티엠에프 송신기를 이용한 시보 서비스방법
KR960004293B1 (ko) 무선전화기
KR2004009334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
JPH0220195A (ja) ボタン電話装置用電話機
KR20010003647A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KR960027996A (ko) 특정 가입자 벨음색 구분장치
JPH09139967A (ja) 受信端末装置
KR980007104A (ko) 헨드폰의 원격 제어장치
KR19980015957A (ko) 전자수첩에 의한 다이얼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