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046B1 - 사운드 합성회로 - Google Patents

사운드 합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046B1
KR940005046B1 KR1019910023393A KR910023393A KR940005046B1 KR 940005046 B1 KR940005046 B1 KR 940005046B1 KR 1019910023393 A KR1019910023393 A KR 1019910023393A KR 910023393 A KR910023393 A KR 910023393A KR 940005046 B1 KR940005046 B1 KR 940005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terminal
voice
flowing
ster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259A (ko
Inventor
신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046B1/ko
Publication of KR93001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0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4Details of speech synthesis systems, e.g. synthesiser structure or memory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운드 합성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합성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역통과필터 20 : 음성검출수단
AMP1 : 연산증폭기 R1∼R5 : 저항
SW1∼SW4 : 스위치 VR1 : 가변저항
Q1 :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음향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음향신호에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에서 음성신호가 유입되면 기록매체에서 재생되어 출력되던 음성신호와 절환되어 재생된 음향신호에 합성되어 출력되는 사운드 합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기록재생장치의 한 종류인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aser Disk Player; 이하 'LDP'라고함)에 기록매체로서 사용되는 디스크의 한 예인 가요반주 디스크의 수록 내용을 살펴보면, 디지털 좌측(Digital Left)채널과 디지털 우측(Digital Right)채널에는 스테레오 반주신호가 수록되어 있고, 아날로그 좌측(Analog Left)채널에는 모노반주신호가 수록되어 있으며, 아날로그 우측(Analog Right)채널은 모노반주신호 및 음성신호가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LDP에서 디지털 모드 선택시 스테레오 반주신호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아날로그 모드 선택시에는 반주신호 및 음성신호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디지털 모드를 선택하여 스테레오 반주에 맞추어 사람이 노래를 부를 수 있었고 아날로그 모드를 선택하여 재생되는 반주와 음성(노래)신호에 맞추어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디지털 모드를 선택했을때 스테레오 반주상에 음성(노래)신호가 실려있지 않아 사람이 음성(노래)신호에 따라 부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스테레오 신호에 사람의 음성신호를 실을 수 있는 사운드 합성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음성신호가 유입되면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음성신호와 바뀌어져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스테레오 신호에 합성하기 위한 사운드 합성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디지털 스테레오 신호를 유입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구비한 음향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스테레오 신호상에 재생된 음성신호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음성신호중 선택하여 혼합시키는 믹싱수단과, 상기 믹싱수단으로 재생된 음성신호와 혼합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부가하는 시스템 제어수단과, 외부에서 음성신호가 유입될 때 상기 믹싱수단으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뮤트시킴으로써 상기 유입되는 스테레오 신호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도록하는 뮤트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접속관계를 살펴보면, 제1입력단자(5)는 저항(R2)의 일측 및 저항(R4)의 일측 그리고 제1출력단자(55)에 접속하고, 제2입력단자(15)는 저항(R1)의 일측 및 저항(R3)의 일측 그리고 제2출력단자(65)에 접속한다. 제3입력단자(25)는 대역통과필터(10)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대역통과필터(10)의 출력단자는 가변저항(VR1)의 일측에 접속하며, 가변저항(VR1)의 다른 일측은 제1스위치(SW1)의 a단자 및 제2스위치(SW2)의 c단자에 접속한다. 제1스위치(SW1)의 b단자는 저항(R1)의 일측에 접속하고, 제2스위치(SW2)의 d단자는 저항(R2)의 일측에 접속한다. 제4입력단자(35)는 제1, 2스위치(SW1,SW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와도 접속한다.
제5입력단자(45)는 음성검출수단(20)의 입력단자 및 연산증폭기(AMP1)의 비반전단자에 접속하고, 음성검출수단(20)의 출력단자는 저항(R5)의 일측에 접속하여 제3, 4스위치(SW3,SW4)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저항(R5)의 다른 일측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자는 기저전원과 접속한다. 연산증폭기(AMP1)의 비반전단자 및 제3스위치(SW3)의 e단자 그리고 제4스위치(SW4)의 g단자에 접속하고, 제3스위치(SW3)의 f단자는 저항(R3)의 일측에 접속하며 제4스위치(SW4)의 h단자는 저항(R4)의 일측에 접속한다.
이하 작동을 설명하면,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디지털 스테레오 신호가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제1, 2입력단자(5,15)로 유입된다. 제1, 2입력단자로 스테레오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제3입력단자(25)로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음성신호가 실린 모노 신호가 유입되어 대역통과필터(10)로 전송된다. 대역통과필터(10)에서는 음성신호만 필터링되어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다. 가변저항(VR1)은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적절히 조절하여 제1스위치의 a단자와 제2스위치의 c단자에 인가한다. 이때 시스템 제어수단에서는 기록매체에 실려진 정보에 의해 가요반주 디스크임이 판단되면 제1, 2스위치의 개폐접점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하이논리상태로 바꾸어 출력한다. 그 제어신호는 제4입력단자(35)를 통해 제1, 2스위치(SW1,SW2)로 인가되고 이에 따라 제1스위치(SW1)의 a단자는 b단자와 연결되며, 제2스위치(SW2)의 c단자는 d단자와 연결된다. 제1, 2스위치(SW1,SW2)가 도통되면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저항(R1,R2)을 거쳐서 제1, 2입력단자(5,15)를 통해 유입되어 전송되는 스테레오 신호의 전송로로 부가되어 제1, 2출력단자(55,65)로 출력된다.
그리고 제5입력단자(4)와 접속된 음성검출수단(20)에서 음성신호가 검출될때 즉 외부에서 제5입력단자(45)로 유입되는 음성신호가 있을때 연산증폭기(AMP1)에서 일정레벨만큼 증폭된 음성신호는 제3스위치의 e단자 및 제4스위치의 g단자에 인가되고, 음성검출수단(20)에서 출력된 하이논리상태의 제어신호는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는 턴 온(Turn On)상태가 된다.
트랜지스터(Q1)가 턴 온됨에 의해 시스템 제어수단에서 제1, 2스위치(SW1,SW2)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뮤트된다.
그리고 음성검출수단(2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제3, 4스위치(SW3,SW4)로 인가되어 스위치의 개폐 동작점을 알려준다. 즉 음성검출수단(20)에서 발생된 하이논리상태의 제어신호는 제1, 2스위치(SW3,SW4)를 도통시킴에 따라 인가된 음성신호를 저항(R3,R4)을 통해서 전송로로 부가시켜서 제1, 2출력단자(55,65)로 스테레오 반주신호상에 음성신호가 합성되어 출력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반주에 사람의 목소리를 실어 스테레오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배울수 있는 기능뿐 아니라 마이크를 이용해 노래를 하면 디스크에 실려있는 음성신호와 노래하는 사람의 목소리와 바뀌어져 나오게 하여 노래를 한층 쉽게 배울 수 있게 하였다.

Claims (4)

  1. 재생처리된 디지털 스테레오 신호를 아날로그 스테레오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화기를 구비한 음향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스테레오 신호를 유입하기 위한 제1, 2입력단자와, 재생처리된 음성신호가 포함된 모노 신호가 유입되는 제3입력단자와, 외부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음성신호를 유입하기 위한 제4입력단자와, 상기 제1, 2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스테레오 신호에 상기 제3, 4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음성신호중 선택하여 혼합출력하기 위한 믹싱수단과, 상기 제3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제1, 2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스테레오 신호에 혼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믹싱수단으로 부가하는 시스템 제어수단과, 상기 제4입력단자로 외부에서 음성신호가 유입될 때 상기 시스템 제어수단에서 상기 믹싱수단으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뮤트시킴으로써 상기 제1, 2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스테레오 신호에 상기 제4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뮤트수단과, 상기제1, 2출력단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합성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음성신호를 유입하는 제4입력단자와 접속되어 제4입력단자로 음성신호가 유입됨을 검출하여 상기 뮤트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음성검출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합성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검출수단은 상기 믹싱수단에도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4입력단자로 유입된 음성신호가 상기 제1, 2입력단자로 유입된 스테레오신호에 혼합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합성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입력단자로 유입된 모노신호에서 상기 재생처리된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믹싱수단에 제공하는 대역통과필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합성회로.
KR1019910023393A 1991-12-18 1991-12-18 사운드 합성회로 KR94000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393A KR940005046B1 (ko) 1991-12-18 1991-12-18 사운드 합성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393A KR940005046B1 (ko) 1991-12-18 1991-12-18 사운드 합성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259A KR930014259A (ko) 1993-07-22
KR940005046B1 true KR940005046B1 (ko) 1994-06-10

Family

ID=1932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393A KR940005046B1 (ko) 1991-12-18 1991-12-18 사운드 합성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873A (ja) * 1996-07-08 1998-01-23 Sony Corp 音声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259A (ko) 199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17744B2 (ja) ボイスチェンジ回路
KR100309624B1 (ko) 오디오장치
KR940005046B1 (ko) 사운드 합성회로
KR950009379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가라오케회로
US4395739A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selective attenuation of reproduced signals to facilitate comprehension of external speech signals
US5343531A (e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KR100278811B1 (ko) 노래 연습 장치
JPH0548292Y2 (ko)
JP2687379B2 (ja) カラオケ装置
JPH0624042Y2 (ja) テ−プ再生装置
JP3079685B2 (ja) 音響ミキシング装置
KR100258591B1 (ko) 가라오케 광디스크 재생기기의 음성변경 장치
KR940002835Y1 (ko) 음성다중신호의 자동재생회로
KR0136024B1 (ko)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의 음량조절장치
JPS5832206A (ja) 再生装置
KR0131602Y1 (ko) 이중 헤드를 구비한 오디오 더빙 장치
JPH0329598A (ja) 信号再生装置
JPH0831089A (ja) ミキシング装置
KR960006402B1 (ko) 모니터를 이용한 복합 가라오케 브이씨알(vcr)
KR19980051317A (ko) 음악 녹음 시스템
KR0157497B1 (ko) 하이-파이 시스템의 음성신호 기록/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20911A (ko) 가라오케 시스템의 점수 계산회로
JPH0546070A (ja) カラオケ装置
JPH0659899U (ja) ステレオ音声多重再生装置
JPH07105625A (ja) 音楽記録媒体と音楽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