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043Y1 -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기 - Google Patents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043Y1
KR940005043Y1 KR92004063U KR920004063U KR940005043Y1 KR 940005043 Y1 KR940005043 Y1 KR 940005043Y1 KR 92004063 U KR92004063 U KR 92004063U KR 920004063 U KR920004063 U KR 920004063U KR 940005043 Y1 KR940005043 Y1 KR 940005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torage tank
heat
pipe
was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4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118U (ko
Inventor
조장원
Original Assignee
조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장원 filed Critical 조장원
Priority to KR92004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043Y1/ko
Publication of KR930022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0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열교환기의 절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수 저장탱크 2,3 : 연도
4 : 몸통부 5 : 흡기관
6 : 배기관 7 : 공실
7' : 관통로 8 : 열교환기
12 : 팽창관 13 : 급수관
14 : 온수 출탕관 15 : 석면
본 고안은 보일러의 연도에 부착하여 보일러로 부터 연도를 통해 나오는 폐열을 활용하도록 한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보일러를 사용한 후 남은 폐열은 연도를 통해 그냥 빠져 나가도록 되어 있어 폐열을 이용하지 못함으로서 매우 비경제적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지양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폐열을 이용하고자 한 것으로서 연도에 열교환기가 내장된 온수저장 탱크를 설치하여 폐열에 의해 저장탱크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서 폐열을 재 활용코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는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온수저장탱크(1)를 연도(2)(3)에 설치함에 있어, 몸통부(4)내에는 양단에 흡기관(5)과 배기관(6)이 형성되어 내부 공실(7)과 연통되고 중앙에 관통로(7')를 형성한 열교환기(8)를 장착하되, 상기 흡기관(5)과 배기관(6)이 연도(2)(3)에 삽착되어 연통되게 하며 몸통부(4)의 상부 일측에 팽창관(12)과 급수관(13)을 형성하고 하부 일측에는 온수 출탕관(14)을 연설하며 상기 온수저장탱크(1)의 외주면은 석면(15)을 부착한 구조로서, 부호 16은 물, 17은 보일러, 18은 팽창탱크, 19은 옥상탱크, 20은 목욕실, 21은 주방, 22는 난방 라디에이터, 23은 난방팽창관, 24는 냉수공급관, 25는 펌프, 26은 온수공급관, 27은 기름탱크, 28은 난방출탕관, 18', 20', 21', 23', 24', 28', 28"는 제어밸브이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옥상탱크(19)에 저장된 냉수를 팽창탱크(18)에 공급함과 동시에 냉수공급관(24)을 통해 이와 연결된 급수관(13)을 지나 온수저장탱크(1)내로 공급시킨다.
이렇게 하여 온수저장탱크(1)에 냉수가 가득차면 제어밸브(1')를 잠궈 폐쇄시킨다.
이 상태에서 보일러(17)을 가동시키면 통상의 물 순환이 수행되는데,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팽창탱크(18)내의 냉수를 파이프를 통해 보일러(17)를 거쳐 난방출탕관(28)으로 공급시키며, 이때 제어밸브(23')는 폐쇄시킨 상태에서 난방출탕관(28)에 설치된 제어밸브(28')(28")를 개방시켜 난방 라디에이터(22)로 공급 순환되게 하므로써 난방 상태가 되며, 순환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밸브(28')(28")를 잠그고 제어밸브(23')를 개방하여 난방팽창관(23)을 통해 팽창탱크(18)로 다시 공급시킨다.
여기서 본 고안은 보일러(17)의 가동으로 발생된 폐열을 활용코자 한 것인바, 폐열은 연도(2)를 통해 온수저장탱크(1)내에 장착된 열교환기(8)의 흡, 배기관(5)(6)을 통과하여 연도(3)로 빠져나간다.
폐열이 흡 배기관(5)(6)을 지날때 그 열기가 주위로 전도되어 온수저장탱크(1)내에 충만된 물(16)을 가열시키는데 흡, 배기관(5)(6)은 공실(7)과 연통되어 있어 폐열이 흡기관(5)을 통과하여 공실(7)을 순환하면서 지나게 되므로 그 열기가 열교환기(8)의 외부 및 중앙에 형성된 관통로(7')에 고루 전달되어 온수저장탱크(1)내의 물(16)을 충분히 가열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연도(2)(3)를 통해 빠져나가는 폐열의 온도는 보일러의 가동상태에 따라 크게 2가지로 구별된다.
첫째는 온수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 낮인 경우로서, 이때에는 보일러(17)의 작동 상태를 온수공급용으로 가동시키므로 이에 비례하여 연도(2)(3)로 빠져나가는 폐열의 온도 또한 높아지게 된다.
폐열의 온도가 고온이므로 폐열이 온수저장탱크(1)내의 흡, 배기관(5)(6)을 통과할때 충만된 물 또한 고온이 된다.
고온의 물로 인해 온수저장탱크(1)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부피가 팽창하므로 안전도를 높게하기 위해 온수저장탱크(1)의 상부 일측에 연설한 팽창관(12)으로 빠져 나가도록하여 팽창탱크(18)로 방출하면 되는 것이다.
둘째는 보일러(17)를 난방용으로만 사용하는 심야인 경우로서, 이때에는 이미 온수저장탱크(1)내의 물(16)이 온수가 된 상태로 보온이 되어 있고 폐열에 의해 온수 가열기(8)가 가열된 상태이므로 이때 가열된 온수는 보일러(17)를 가동하지 않아도 온수를 바로 쓸수 있어 효과적인 것이다.
예를들어 아침에 목욕실(20) 또는 주방(21)에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어밸브(20')를 개방시키면 냉수는 옥상탱크(19)로 부터 냉수공급관(24)을 통해 바로 공급되며 이때에는 온수저장탱크(1)내의 온수가 넘쳐 급수관(13)으로 역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밸브(1')는 잠궈둔다.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어밸브(21')를 개방하면 온수저장탱크(1)내의 온수가 온수출탕관(14)을 통해 보일러(17)내를 거쳐 연통된 온수공급관(26)을 지나 공급되므로 목욕실(20)이나 주방(21)에서 바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온수저장탱크(1)의 외주면에 석면(15)과 같은 보온재가 덮어 씌워 있어 폐열에 의해 가열된 온수저장탱크(1)내의 물(16)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연도에 설치하여 연도를 통해 빠져나가는 폐열을 회수하여 활용하므로써 저장탱크내의 물을 충분히 가열, 온수로 사용 가능하므로 보일러의 가동에 따른 연료비를 절약하고 단수등의 비상시에는 사용가능한 잇점이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온수저장탱크(1)를 연도(2)(3)에 설치함에 있어 몸통부(4)내에는 양단에 흡기관(5)과 배기관(6)이 형성되어 내부공실(7)과 연통되고 중앙에 관통로(7')를 형성한 열교환기(8)를 장착하되, 상기 흡기관(5)과 배기관(6)이 연도(2)(3)에 삽착되어 연통되게 하며, 몸통부(4)의 상부 일측에 팽창관(12)과 급수관(13)을 형성하고 하부 일측에는 온수출탕관(14)을 연설하며 상기 온수저장탱크(1)의 외주면은 석면(15)을 부착하여서 된 폐열을 이용한 온수가열기.
KR92004063U 1992-03-13 1992-03-13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기 KR940005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4063U KR940005043Y1 (ko) 1992-03-13 1992-03-13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4063U KR940005043Y1 (ko) 1992-03-13 1992-03-13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118U KR930022118U (ko) 1993-10-16
KR940005043Y1 true KR940005043Y1 (ko) 1994-07-27

Family

ID=1933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4063U KR940005043Y1 (ko) 1992-03-13 1992-03-13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0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118U (ko) 199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04014A (en) Heating and hot water boiler
KR940005043Y1 (ko)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기
ATE195175T1 (de) Wandgasheizkessel mit kleinem brauchwasserspeicher
US1029300A (en) Water-heater.
KR940005046Y1 (ko)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 장치
KR0131887Y1 (ko) 증기보일러 부설 온수가열기
US2604265A (en) Water-heating system
KR910005006A (ko) 가스보일러의 난방수와 온수회로 시스템
KR19990037631U (ko) 난방기
GB1559958A (en) Water heating installation
KR100239268B1 (ko) 저장탱크 일체형 핫 오일 히터
RU93015539A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бытовая водогрейная установка
JPS602465Y2 (ja) 温水器付ボイラ
JPS61213439A (ja) 遠隔追焚式風呂釜
KR20030061169A (ko) 다층 보일러
KR100360842B1 (ko) 전기 보일러가 포함된 보일러 시스템
KR920002271Y1 (ko) 석유풍로용 온수보일러
JPS6142020Y2 (ko)
US2342500A (en) Fluid heater
CA1138729A (en) Heating boiler for burner firing
KR910006618Y1 (ko) 온수 보일러
KR200250501Y1 (ko) 온수보일러시스템
JPS5812055Y2 (ja) 排熱利用給湯システム
GB2286654A (en) Apparatus for providing hot water and/or central heating
KR200206394Y1 (ko) 소형보일러의 폐열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