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631U - 난방기 - Google Patents

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631U
KR19990037631U KR2019980003438U KR19980003438U KR19990037631U KR 19990037631 U KR19990037631 U KR 19990037631U KR 2019980003438 U KR2019980003438 U KR 2019980003438U KR 19980003438 U KR19980003438 U KR 19980003438U KR 19990037631 U KR19990037631 U KR 199900376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water tank
oil
pipe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출
Original Assignee
구본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출 filed Critical 구본출
Priority to KR2019980003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631U/ko
Publication of KR19990037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31U/ko

Links

Landscapes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에 사용되는 가정용 온수 보일러는 주로 석유나 경유 등을 사용하도록 제작되어 작업공수가 복잡하고 고가인 부품이 많이 소요되며 가동시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고 보일러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유류(油類)를 전량수입에 만 의존해야 했으므로 환율이 고가인 현실을 감안할 때에 외화가 많이 낭비되어 국가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수용가에서도 많은 부담이 되는 등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온수 순환관이 회권된 하연소실과 상연소실을 횡수조를 사이에 두고 구획 분리하고 사방 둘레의 수조와는 연통되게 형성하여 화목(火 木)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건축폐목재 및 소각이 가능한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게 하므로써 난방을 원활히 하면서 새로운 환경공해요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임.

Description

난방기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부산물로 대량 폐기되는 목재(火木) 등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가정용 온수보일러는 주로 석유나 경유 등을 사용하도록 제작되어 작업공수가 복잡하고 고가인 부품이 많이 소요되며 가동시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고 보일러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유류(油類)를 전량 수입에만 의존해야 했으므로 환율이 고가인 현실을 감안할 때에 외화가 많이 낭비되어 국가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수용가에서도 많은 부담이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온수순환관이 회권된 하연소실과 상연소실을 횡수조를 사이에 두고 구획 분리하고 사방 둘레의 수조와는 연통되게 형성하여 화목(火木)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건축폐목재 및 소각이 가능한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게 하므로써 수조에 전달되는 열량을 극대화로하여 난방을 원활히 하면서 새로운 환경공해요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취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유통구 3 : 횡수조 4 : 상연소실 5 : 하연소실
6, 7, 8, 9 : 수조 10 : 상수조 11 : 배출관 12 : 고정파이프
10 : 상수조 11 : 배출관 12 : 고정파이프 13 : 연통 14, 15 : 유입관
16 : 온수순환관 17, 17', 17".. : 통공 18 : 연소판 19 : 투입구
20, 20', 20".. : 장공 21 : 걸림부 22 : 개폐문 23 : 걸이대
본체(1) 내부 일측으로 유통구(2)가 있는 횡수조(3)를 사이에 두고 상연소실(4)과 하연소실(5)을 구획하고 사방은 수조(6)(7)(8)(9)와 상측의 상수조(10)를 상호간 연통되게 형성하여 배출관(11)과 온도계 고정파이프(12)를 연결하며 상연소실(4)로 연통(13)과 수조(7)(9)의 하측으로는 유입관(14)(15)을 연결하고 하연소실(5) 둘레는 온수순환관(16)을 나선형으로 설치 양단은 외측으로 노출시키며 저면은 다수의 통공(17)(17')(17")..이 뚫린 연소판(18)을 안착하되 측면 투입구(19)에는 장공(20)(20')(20")..이 뚫리고 걸림부(21)가 형성된 개폐문(22)을 유착하여 걸이대(23)를 돌려 개폐되게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24는 개폐커버, 25는 온도계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설치시에는 장소와 주위환경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1)의 양측 수조(7)(9)에 연결돌출된 유입관(14)(15)중 유입관(14)은 폐쇄하고 유입관(15)으로 배관을 통상대로 연결설치한 상태에서 가동을 하려면 본체(1)의 하연소실(5) 외부일측에 유착된 걸이대(23)를 개폐문(22)의 걸림부(21)에서 이탈되게 돌려 해리하고 개폐문(22)를 열고 투입구(19)로 화목(火木)(도시하지 않았음)을 다수의 통공(17)(17')(17")..이 뚫린 연소판(18)위에 놓고 점화를 하고 개폐문(22)을 닫고 다시 걸이대(23)를 원위치로 돌려 괘정한 후 개폐커버를 밀거나 당겨 장공(20)(20')(20")..을 조정하면 공기가 적당량 투입되어 잘 소각될 때에 발생하는 고열은 둘레의 수조(6)(7)(8)(9)와 상측의 횡수조(3)내의 순환수를 가열하면서 하연소실(5)둘레에 회권된 온수순환관(16)을 동시에 가열하여 순환되는 온수순환관(16)내의 고온수는 욕실 및 생활용수로 활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잔여 연소열은 유통구(2)를 통해 상연소실(4)로 와류되며 재연소되는 과정에 횡수조(3)와 상측의 상수조(10)를 가열하면서 하연소실(5)부분의 수조(6)(7)(8)(9)에서 가열되어 올라오는 물을 상연소실(4)부분에서 재가열되는 작용이 계속 반복될 때에 고온수로 되어 상측의 배출관(11)을 통해 난방을 할 수 있으며 식혀진 순환수는 다시 수조(7)에 노출된 유입관(15)을 통해 유입 가열되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며 상수조(10)로 집결 가열된 순환수의 온도는 고정파이프(12)에 연결된 온도계로 확인할 수 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으며 화목(火木)과 소각이 가능한 쓰레기등도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므로써 공해요인을 제거 할 수 있고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어 가계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연소실을 2단으로 분리 성형하여 열의 손실을 최소로 줄이면서 수조에 전달되는 열은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 내부 일측으로 유통구(2)가 있는 횡수조(3)를 사이에 두고 상연소실(4)과 하연소실(5)을 구획하고 사방은 수조(6)(7)(8)(9)와 상측의 상수조(10)를 상호간 연통되게 형성하여 배출관(11)과 온도계 고정파이프(12)를 연결하며 상연소실(4)로는 연통(13)과 수조(7)(9)의 하측으로는 유입관(14)(15)을 연결하고 하연소실(5) 둘레는 온수순환관(16)을 나선형으로 설치 양단은 외측으로 노출시키며 저면은 다수의 통공(17)(17')(17")..이 뚫린 연소판(18)을 안착하되 측면 투입구(19)에는 장공(20)(20')(20")..이 뚫리고 걸림부(21)가 형성된 개폐물(22)을 유착하여 걸이대(23)를 돌려 개폐되게하여서 된 난방기.
KR2019980003438U 1998-03-06 1998-03-06 난방기 KR199900376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38U KR19990037631U (ko) 1998-03-06 1998-03-06 난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38U KR19990037631U (ko) 1998-03-06 1998-03-06 난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31U true KR19990037631U (ko) 1999-10-15

Family

ID=6971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438U KR19990037631U (ko) 1998-03-06 1998-03-06 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63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632B1 (ko) * 2003-01-25 2005-12-05 주식회사 팸택 벽난로 겸용 온수, 온풍 발생 가정용 용융병행 소각로
KR100682239B1 (ko) * 2005-02-14 2007-02-15 송인관 아궁이 소각로를 이용한 축열 및 난방장치
KR100929050B1 (ko) * 2008-03-24 2009-11-26 김영구 연탄 보일러
KR101047012B1 (ko) * 2009-05-21 2011-07-06 한화숙 세라믹 소성체로된 연소판을 구비한 연소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632B1 (ko) * 2003-01-25 2005-12-05 주식회사 팸택 벽난로 겸용 온수, 온풍 발생 가정용 용융병행 소각로
KR100682239B1 (ko) * 2005-02-14 2007-02-15 송인관 아궁이 소각로를 이용한 축열 및 난방장치
KR100929050B1 (ko) * 2008-03-24 2009-11-26 김영구 연탄 보일러
KR101047012B1 (ko) * 2009-05-21 2011-07-06 한화숙 세라믹 소성체로된 연소판을 구비한 연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7631U (ko) 난방기
KR100870434B1 (ko) 화목 보일러
KR19990038705U (ko) 온수보일러
KR200204912Y1 (ko) 시설 하우스용 난방 시스템
KR200207399Y1 (ko) 화목보일러
KR200333251Y1 (ko) 온수 보일러
KR200320168Y1 (ko) 보일러용 폐열 회수장치
KR200192678Y1 (ko) 난방용 온수보일러
KR200224414Y1 (ko) 소각기능을 갖춘 전기 보일러 겸용 나무 보일러
KR940005043Y1 (ko)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기
KR200243221Y1 (ko) 연탄 보일러
KR910006618Y1 (ko) 온수 보일러
KR20050083342A (ko) 장작(長斫)을 땔감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KR980009062U (ko) 목재 연소용 보일러
KR200315683Y1 (ko) 보일러의 연소실구조
CN2199451Y (zh) 常压组合式强制循环民用炉
KR200249964Y1 (ko) 보일러
KR19990036186U (ko) 온수보일러겸용 화덕보일러
JPS6023633Y2 (ja) 温水器
KR19980014279U (ko) 연료 교체형 보일러
CN2153719Y (zh) 高效节能炉
KR940005046Y1 (ko)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 장치
CN2450545Y (zh) 多用途搪瓷热水煤炉灶
KR980010226A (ko) 화목 보일러
KR890005082Y1 (ko) 구공탄겸용 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