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698Y1 - 형광표시관 - Google Patents

형광표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698Y1
KR940004698Y1 KR2019910017340U KR910017340U KR940004698Y1 KR 940004698 Y1 KR940004698 Y1 KR 940004698Y1 KR 2019910017340 U KR2019910017340 U KR 2019910017340U KR 910017340 U KR910017340 U KR 910017340U KR 940004698 Y1 KR940004698 Y1 KR 940004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display tube
fluorescent display
connection termin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715U (ko
Inventor
강성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7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698Y1/ko
Publication of KR930009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5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with ray or beam selectively directed to luminescent anode segment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광표시관
제 1 도는 종래 형광표시관을 보인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표시관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기판 2 : 접속단자패턴
3 : 내부접속패턴 4 : 절연성 피막
5 : 양극세그멘트 5a : 형광층
6 : 통공 7 : 그리드
7' : 러그 7a : 절곡부
8 : 도전성 프리트
본 고안은 디지탈계측기 및 계산기등에 소정의 숫자 및 기호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형광표시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형광층의 휘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 형광표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형광표시관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다.
즉, 세라믹 또는 그리스(glass)등으로 된 절연기판(10)의 표면에 도전성 피막으로서 피착되는 접속단자패턴(20) 및 내부접속패턴(30)이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패턴(20)의 피착부 제외한 부위에는 절연성피막(40)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성피막(40)에는 접속단자패턴(20) 및 내부접속배선패턴(30)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통공(50)이 형성된다. 또한 통공(50)이 형성된 절연성피막(40)의 상면에는 양극 세그먼트(60)가 피착되고, 상기 양극세그먼트(60)은 상면에는 형광층(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성 피막(40) 상면에는 도전성 접착제(80)(예를 들면 ; 은(Ag)페이스트)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접착제(80)위에 그리드(90)가 얹혀져 접속단자패턴(20)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도전성접착제(80)위에 얹혀진 그리드(90)의 고정을 위하여 프리트(90a)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리드(90)위에는 음극으로서 전자를 방출하는 복수의 선형 필라멘트(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그리드(90)를 절연성 피막(40)에 고정시킬때에 접속단자패턴(20)과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도전성접착제(80)를 통공(50)에 도포한 뒤 그리드(90)를 얹고, 다시 프리트(90a)를 도포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인 바, 이에 의하면, 이는 도전성접착제(80)와 그리드(90)간의 접촉불량이 발생될 염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서는 형광휘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형광표시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형광체의 휘도가 저하되지 않으며 그 작업공정수의 감소와 이에 따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형광표시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동전원 인가시 음극으로서 전자를 방출하는 필라멘트부재와, 이 필라멘트부재의 하부에 위치되어 방출된 전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그리드부재와, 상기 그리드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라멘트부재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끌어당김으로써 전류를 흐르게 하는 형광체가 도포된 양극부재와, 상기 그리드 부재 및 양극부재를 고정지지하는 절연성 고정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부재의 양측 단부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성 고정부재에는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가 상기 통공에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형광표시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표시관을 도시한 것으로서, 절연기판(1) 표면에는 도전성 피막으로써 피착되는 접속단자패턴(2) 및 내부접속패턴(3)이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자패턴(2)의 피착부를 제외한 부위에는 절연성 피막(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성피막(4)의 상면에는 양극세그먼트(5)가 피착되고, 상기 양극세그먼트(5)의 상면에는 형광층(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단자패턴(2)과 그리드(7)와의 전기접속을 위하여 상기 절연성피막(4)에는 접속단자패턴(2)과 연통되는 통공(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절연성 피막(4)과 접촉되는 그리드(7)의 양측 러그(7')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하부로 오목한 요철형의 절곡부(7a)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러그(7')의 절곡부(7a)는 접속단자패턴(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기 통공(6)에 삽입 안착되어 상기 접속단자패턴(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그리드(7)의 상부에는 음극으로서 전자를 방출하는 복수의 선형 필라멘트(9)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러그(7')의 절곡부(7a)가 통공(6)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그리드(7)의 안정된 고정을 위하여 도전성프리트(8)가 도포되어진다.
상기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형광표시관에 의하면, 그리드(7)를 고정함에 있어 절연성피막(4)에 접속단자 패턴(2)과 연동되도록 통공(6)을 형성하여 그리드(7)의 절곡부(7a)를 상기 통공(6)에 삽입함으로써 접속단자패턴(2)과의 전기적 접속이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그리드(7)와 접속단자패턴(2)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촉상태에서 도전성프리트(8)로써 그리드(7)를 고정하는 것이어서 그리드(7)와 접속단자패턴(2)과의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되게 접촉고정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서는 형광층의 발광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그리드를 얹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어서 이에 따라 생산단가를 낮출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구동전원 인가시 음극으로서 전자를 방출하는 필라멘트부재와, 이 필라멘트부재의 하부에 위치되어 방출된 전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그리드부재와, 상기 그리드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라멘트부재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끌어당김으로써 전류를 흐르게 하는 형광체가 도포된 양극부재와, 상기 그리드부재 및 양극부재를 고정 지지하는 절연성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된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부재의 양측 단부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성 고정부재에는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가 상기 통공에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
KR2019910017340U 1991-10-17 1991-10-17 형광표시관 KR940004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340U KR940004698Y1 (ko) 1991-10-17 1991-10-17 형광표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340U KR940004698Y1 (ko) 1991-10-17 1991-10-17 형광표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15U KR930009715U (ko) 1993-05-26
KR940004698Y1 true KR940004698Y1 (ko) 1994-07-16

Family

ID=1932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340U KR940004698Y1 (ko) 1991-10-17 1991-10-17 형광표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6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1159A (ja) * 2003-02-03 2004-08-26 Futaba Corp 蛍光発光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15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4698Y1 (ko) 형광표시관
US6509693B2 (en) Filament for fluorescent display device
KR100312692B1 (ko) 형광 표시관
KR100315236B1 (ko) 와이어 그리드를 갖는 형광 표시관
EP0769804A3 (e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KR940001855Y1 (ko) 형광 표시관
KR940004189B1 (ko) 형광표시관
US6624573B2 (en) Fluorescent display device
KR100300337B1 (ko) 형광 표시관
JPS5828163A (ja) 螢光表示管
CN1108625C (zh) 场致发射显示的阴极装置
KR940004699Y1 (ko) 형광표시관
KR920005883Y1 (ko) 형광표시 장치
KR100362536B1 (ko) 형광 표시관
KR940007250B1 (ko) 형광표시판 제조방법
KR930008340Y1 (ko) 형광표시관
KR20000010505U (ko) 형광 표시관
JPS60163353A (ja) 螢光表示管
JPH0542606Y2 (ko)
KR200225270Y1 (ko) 형광 표시관
KR100315223B1 (ko) 형광표시관 및 그 제조방법
KR920006870Y1 (ko) 형광표시관
KR100315233B1 (ko) 직류 구동식 형광 표시관
KR19980084254A (ko) 형광표시관
KR100362537B1 (ko) 형광표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