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565Y1 -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 Google Patents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565Y1
KR940004565Y1 KR92009317U KR920009317U KR940004565Y1 KR 940004565 Y1 KR940004565 Y1 KR 940004565Y1 KR 92009317 U KR92009317 U KR 92009317U KR 920009317 U KR920009317 U KR 920009317U KR 940004565 Y1 KR940004565 Y1 KR 940004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support body
decorative
decorative plyw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9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5318U (ko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호 filed Critical 양경호
Priority to KR92009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565Y1/ko
Publication of KR930025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53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제1도는 장식용 합판의 사시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는 종래 장식용 합판의 성형동작을 나타낸 평단면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합판의 성형동작을 나타낸 평단면도.
제4(a)도, 제4(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합판의 정면도.
제5(a)도, 제5(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체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합판 1a,1c : 편목
1b : 코아 2 : 지주체
2a : 장공 2b : 날개부
7,7' : 홈 8 : 삽입홈
본 고안은 진열장이나 건물내, 내부의 벽면등에 설치하여 선반이나 옷걸이 및 각종 광고물등을 설치할때 사용하는 장식용 합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식용합판에 어태치먼트(attachment)와 볼트 및 너트 부재등이 결합되는 지주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선반과 옷걸이 및 각종 광고물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제작 및 조립이 간단하도록 한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진열장이나 건물내, 외부의 벽면등에 설치하는 장식용 합판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판(1) 중앙에 다수의 장공(2a)이 뚫린 지주체(2)를 매설하여 상기 장공(2a)이 뚫린 전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므로서 사용자가 상기 합판(1)을 앵커볼트나 앵커못 등으로 벽면(P)에 견고히 고정시킨 다음, 외부로 노출된 지주체(2)의 장공(2a)에 어태치먼트(4)나 볼트 및 너트 부재등을 결합하여 여기에 선반용 받침대(5)와 옷걸이(6) 및 각종 광고물등을 설치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장식용 합판을 구성하는 요소는 합판(1)과 장공(2a) 뚫린 지주체(2)임을 알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합판(1)을 벽면(P)에 고정 시키기 위한 앵커볼트(3)와 앵커못 및 장공(2a)에 결합되는 어태치민트(4)와 볼트 및 너트 부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같은 장식용 합판을 형성함에 있어 제2도와 같이 먼저 합판(1)전면에 지주체(2)의 폭과 높이 만큼 일정 깊이로 두줄의 평행한 홈(7),(7')을 형성한후(a), 상기 홈(7),(7')사이의 합판(1)을 떼내어 하나의 삽입홈(8)을 형성하고(b), 이어서 상기 삽입홈(8)에 지주체(2)를 삽입하여 이를 접착제나 나사못등으로 고정시켰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식용 합판은 합판(1) 전면에 삽입홈(8)을 형성하여 여기에 별도로 형성된 지주체(2)를 삽입, 고정시켜야 하므로 제작 및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원가상승과 생산성 저하를 야기시킬 뿐 아니라, 지주체(2)가 합판(1)의 삽입홈(8)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순히 접착제나 나사못에 의해 고정되므로 이들 사이의 접착력이 약하며 지주체(2)에 과다한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지주체(2)가 합판(1)으로 부터 분리되어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합판(1)에 지주체(2)를 결합시키는 작업도 통상 공사 현장에서 인부들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공기 지연과 인건비 상승의 주된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합판(1)과 지주체(2)사이의 틈새 발생으로 미관을 그르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식용 합판성형시 합판과 지주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 및 조립이 간단하고 수명이 길며, 외관이 미려하도록 안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합판의 성형동작을 나타낸 평단면도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합판(1)과 장공(2a)이 뚫린 지주체(2)로 구성되는 장식용 합판에 있어서, 상기 합판(1)을 구성하는 일측 편목(1a)과 코아(1b)사이에 지주체(2)에 형성된 날개부(2b)를 삽입하고, 상기 코아(1b) 외측에 나머지 편목(1c)을 접착하여 합판(1)과 지주체(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성형동작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판(1) 성형시 상기 합판(1)을 구성하는 일측 편목(1a)의 원하는 위치에 지주체(2)의 날개부(2b)를 대고(a), 상기 편목(1a)과 날개부(2b) 전면에 코아(1b)를 접착시킨 다음(b), 상기 코아(1b) 전면에 또 다른 편목(1c)을 접착시키므로서 본 고안의 장식용 합판을 완성한다.
상기 동작중 코아(1b) 전면에 편목(1c)을 접착시킬때는 제4도와 같이 지주체(2)의 위치에 따라 2-3개로 분할된 편목(1c)을 사용하거나 또는 편목(1c)을 2-3개로 분할하여 접착시키므로서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2b)는 제5도와 같이 지주체(2)의 양측면을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a)와 같이 양측면의 전체에 형성할 수 도 있고, (b)와 같이 상호 대칭된 위치에 요철형태로 형성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제품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하중을 많이 받고 무거운 곳에 사용되는 지주체(2)에는 (a)와 같은 형태를, 하중을 적게 받고 가벼운 곳에 지주체 사용하는 지주체(2)에는 (b)와 같은 형태의 날개부(2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장식용 합판은 합판(1)과 지주체(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합판(1)을 벽면(P)에 부착시키기만 하면 지주체(2)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본 고안의 장식용 합판은 합판(1) 성형시 지주체(2)를 일체로 매설하여 그 전면부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하므로서 상기 합판(1)을 지주체(2)가 설치될 벽면(P)에 부착시켜 놓기만하면 지주체(2)의 장공(2a)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는 상기 장공(2a)에 어태치먼트(4)나 볼트 및 너트부재를 결합한 후 여기에 선반과 옷걸이 및 각종 광고물등을 손쉽게 설치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합판(1)과 지주체(2)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들 사이의 접착 강도가 크고 틈새가 없으며 지주체(2)에는 날개부(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주체(2)에 아무리 강한 외력 및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으며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아울러 공사 현장에서 지주체(2)를 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작업이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식용 합판 성형시 합판(1)과 지주체(2)를 일체로 형성하여 지주체(2)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공기 단축과 인건비 절감에 기여 할수 있고, 상기 합판(1)과 지주체(2)의 집착강도가 강하여 분리 및 파손되는 일이 없으며 이러한 효과는 지주체(2)에 날개부(2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서 더욱 뛰어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합판(1)과 장공(2a)이 뚫린 지주체(2)로 구성되는 장식용 합판에 있어서, 상기 합판(1)의 일측 편목(1a)과 여기에 접착되는 코아(1b) 사이에 지주체(2)의 날개부(2b)를 삽입하고, 상기 코아(1b)전면에 나머지 편목(1c)을 접착시켜 상기 지주체(2)가 합판(1)에 매설된체 그 전면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b)는 지주체(2)의 양측면 전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b)는 지주체(2)의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요철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KR92009317U 1992-05-28 1992-05-28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KR940004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317U KR940004565Y1 (ko) 1992-05-28 1992-05-28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317U KR940004565Y1 (ko) 1992-05-28 1992-05-28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318U KR930025318U (ko) 1993-12-20
KR940004565Y1 true KR940004565Y1 (ko) 1994-07-11

Family

ID=1933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9317U KR940004565Y1 (ko) 1992-05-28 1992-05-28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5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318U (ko) 199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2529A (en) Railing system
US6170214B1 (en) Cladding system
US3391514A (en) Structural fasteners
CN117750897A (zh) 通用安装支架
US5236344A (en) Panel fixture
US6007285A (en) Cantilever fastener assembly
KR940004565Y1 (ko) 지주체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용 합판
CN215215918U (zh) 一种预埋件以及带有该预埋件的嵌入式灯具
CN216516690U (zh) 一种装饰立柱组件和墙板组件
CN211582200U (zh) 装饰柱和收纳柜
CN216109499U (zh) 一种墙面装饰板紧固件
KR200190594Y1 (ko) 가구문짝 손잡이 결합구조
KR960009839Y1 (ko) 조립식 선반
KR100308930B1 (ko) 커튼 박스
JP5698077B2 (ja) 外装化粧材の固定構造
KR950006768Y1 (ko)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KR200143084Y1 (ko) 실내장식용 패널
JP2000253954A (ja) 縁 台
KR200350088Y1 (ko) 시공이 용이한 몰딩재
KR940003897Y1 (ko) 장식용 벽돌
KR200206263Y1 (ko) 홀딩 도어의 구조
KR940000444Y1 (ko) 장식용 벽돌
KR200174975Y1 (ko) 요철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KR100200952B1 (ko) 조립식 가구용 프라스틱 패널소재
KR200345218Y1 (ko) 매립형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