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438Y1 -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438Y1
KR940004438Y1 KR92008643U KR920008643U KR940004438Y1 KR 940004438 Y1 KR940004438 Y1 KR 940004438Y1 KR 92008643 U KR92008643 U KR 92008643U KR 920008643 U KR920008643 U KR 920008643U KR 940004438 Y1 KR940004438 Y1 KR 940004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terminal
distribution box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8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6571U (ko
Inventor
박전근
Original Assignee
박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전근 filed Critical 박전근
Priority to KR92008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438Y1/ko
Publication of KR930026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6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접속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a, b도는 본 고안의 단면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전함 함체 2,2′ : 조립편
3 : 지지대 4,4′ : 절결홈
5,5′ : 괘지편 6,6′ : 삽입부
7,7′ : 전선삽입공 8,8′ : 나사공
9,9′ : 단자 10,10′ : 단자함체
11,11′ : 접속볼트 12 : 괘지홈
본 고안은 천정내부등에 설치하여 전선의 인입선과 그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등, 콘센트등에 분할 연결하는 인출선을 접속하는 분전함에 있어서, 인입선과 인출선을 동시에 연결하는 다수의 전선 삽입공이 형성된 접속단자를 필요한 갯수만큼 임의로 조립되게 하여 분전함의 구성을 용이하게 한 동시에 전선의 접속작업 역시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한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선의 인입선으로 부터 필요 장소로 전선을 분전하는 과정에서 전선끼리를 직접연결하는 경우는 전선의 피복제거작업 이나 테이핑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과 전선끼리의 연결부위로 인한 전선의 낭비가 뒤따랐고 특히 보수과정에서는 항상 이를 잘라내야 되어 전선이 절손되는 결점이 있었고, 또한 전선의 분전함을 설치한 경우에도 그 고정설치된 단자의 단조로움으로 다양한 사용이 불가능하여 사용폭이 좁은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전선 하나의 인입선에 대하여 하나의 인출선만 연결하게 되어있어 분전효과가 떨어질 뿐 아니라 많은 분전을 하기 위하여는 그 만큼의 단자가 각기 필요하기 때문에 분전함의 부피가 커지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선의 분전함에 있어서 전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제거코저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면에 “U”자형 절결홈(4)(4′)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소폭으로 형성한 단자삽입용 삽입부(6)(6′)를 형성한형 지지대(3)를 통상의 분전함체(1)의 조립편(2)(2′)에 결합되게 하되, 직육면체상의 금속편상에 전선삽입공(7)(7′)을 형성하고 그와 수직으로 관통된 나사공(8)(8′)을 형성한 단자(9)(9′)를, 수지상의 부도체로 형성한 단자함체(10)(10′)에 매입하여 상부에는 나사공(8)(8′)과 일치되게끔 접속 볼트(11)(11′)를 나삽하고 하측에는 상광하협의 괘지홈(12)을 형성하여, 이를 전기한 지지대(3)에 임의의 갯수만큼 삽입시켜 그 양측의 절결홈(4)(4′)를 수직으로 세운 괘지편(5)(5′)으로서 괘지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분전함을 천정내부 등에 통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치한 후, 전선의 인입선을 접속연결하고 그로 부터 소용되는 전선의 인출선을 접속하여 전선의 인입선으로부터 전력을 분할 인출하는 것인데, 분전함을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일정한 단자는 고정설치 하는 것이 아니고 금속편상의 단자를 매입한채 사출형성하는 단자함체(10)를 그 하부의 상관하협상 괘지홈(12)으로 지지대(3)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이어서, 단자함체(10)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원가절감을 꾀할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조립이 매우 용이한 것이고 그 좌우의 결합 역시 지지대(3)상에 형성한 “U”형 절결홈(4)(4′)으로 형성된 괘지편(5)(5′)을 수직으로만 세우면 그 단자함체(10)(10′)를 좌우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인데, 여기에서 괘지편(5)(5′)의 간격형성은 단자함체(10)의 폭과 동일하게 여러개 형성함으로서, 어느 위치에서나 단자함체(10)(10′)를 괘지조립할 수 있어 단자함체(10)(10′)를 필요한 갯수만큼 임의의 숫자로 삽입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자(9)(9′)의 전선삽입공(7)(7′)을 2개 또는 3개등 임의의 숫자로 구성하므로서, 하나의 전선인입선에 대하여 여러개의 인출선으로 분전할 수 있어 분전함의 규격을 소형화 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이를 접속함에 있어서도 피복을 벗긴 전선의 끝단부를 그 전선삽입공(7)(7′)에 삽입시킨후 접속볼트(11)(11′)를 조이기만 하면 그 나사공(8)(8′)을 통하여 접속볼트(11)(11′)가 전선을 견고하게 지지시키므로서 전선이 견고하게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선의 인입선 인출선을 동시에 연결하는 전선삽입공을 형성한 단자를 필요한 갯수만큼 임의로 조립되게 한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하여 그 구성을 용이하게한 동시에 전선의 접속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안전하게 한 것이다.

Claims (1)

  1. 표면에 “U”자형 절결홈(4)(4′)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소폭으로 형성한 삽입부(6)(6′)를 형성한 단자삽입용 삽입부(6)(6′)를 형성한형 지지대(3)를 구성하여 이를 통상의 분전함체(1)의 조립편(2)(2′)에 결합되게 하되, 직육면체상의 금속편상에 전선삽입공(7)(7′)을 형성하고, 그와 수직으로 관통된 나사공(8)(8′)을 형성한 단자(9)(9′)를 수지의 부도체로 형성한 단자함체(10)(10′)에 매입하여 상부에는 나사공(8)(8′)과 일치되게끔 접속볼트(11)(11′)를 나삽하고, 하측에는 상광하협의 괘지홈(12)을 형성하여, 이를 전기한 지지대(3)에 임의의 갯수만큼 삽입시켜 그 양측의 절결홈(4)(4′)를 수직으로 세운 괘지편(5)으로 괘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접속장치.
KR92008643U 1992-05-18 1992-05-18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접속 장치 KR940004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643U KR940004438Y1 (ko) 1992-05-18 1992-05-18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643U KR940004438Y1 (ko) 1992-05-18 1992-05-18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571U KR930026571U (ko) 1993-12-28
KR940004438Y1 true KR940004438Y1 (ko) 1994-06-30

Family

ID=1933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8643U KR940004438Y1 (ko) 1992-05-18 1992-05-18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4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9801A2 (ko) * 2010-02-12 2011-08-18 (주)이오엠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9801A2 (ko) * 2010-02-12 2011-08-18 (주)이오엠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WO2011099801A3 (ko) * 2010-02-12 2011-11-24 (주)이오엠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571U (ko) 199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9647A (en) Electrical receptacle
KR910007667B1 (ko) 통신용 케이블접속장치
KR0135089B1 (ko) 전선연결장치
KR900003571B1 (ko) 케이블 결속단자대
US4433204A (en) Junction box for poke-thru floor fittings
US4649230A (en) Electrical universal connecting box
US6498295B1 (en) Side insertion trap
CA2085329A1 (en) Circuit wiring device
US20090014210A1 (en) Electrical Cable Support Bracket
JP3446972B2 (ja) 出口コネクタキット
US6079677A (en) Adjustable bracket assembly for a building entrance box
GB2404097A (en) Wal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Module
US2281515A (en) Secondary service box
KR940004438Y1 (ko) 분전함의 조립식 전선접속 장치
US5204803A (en) Neutral system for electric distribution panelboard
US4580864A (en) Modular connecting blocks
US9490618B2 (en) Electrical splice box
US5942725A (en) Self-grounding protector module for building entrance protector box
US4533195A (en) Pre-wired modular connecting blocks
US7871287B2 (en) Branching device for an electric line
US6191358B1 (en) Building entrance box with localized wire potting
US4738634A (en) Electrical wiring apparatus
US6031907A (en) Building entrance box with integrated flexible grounding
US3445585A (en) Cable distribution box
KR950012464B1 (ko) 와이어 트랩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