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384B1 - 포백의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포백의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384B1
KR940004384B1 KR1019910021867A KR910021867A KR940004384B1 KR 940004384 B1 KR940004384 B1 KR 940004384B1 KR 1019910021867 A KR1019910021867 A KR 1019910021867A KR 910021867 A KR910021867 A KR 910021867A KR 940004384 B1 KR940004384 B1 KR 940004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ashing
cleaning
tank
expa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301A (ko
Inventor
타카오 미시다
케이이찌 요네다
타카시 아사베
타다시 사노
히로유끼 코시야마
요시테루 산도
히로시 이시도시로
카즈요시 네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도오뎃고오쇼
산도오 요시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도오뎃고오쇼, 산도오 요시테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도오뎃고오쇼
Priority to KR101991002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384B1/ko
Publication of KR93001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1/00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 D06L1/12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using aqueous solvents
    • D06L1/14De-si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백의 세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포백세정장치의 실시예를 표시한 전체설명도.
제2도는 흰바탕오염방지세정조의 상세구조설명도.
제3도는 예비세정조의 상세구조설명도.
제4도는 그 구멍뚫린 드럼의 사시도.
제5도는 샤워박스의 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그 내부구조를 표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
제8도는 익스팬더장치의 측면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백 2 : 흰바탕오염방지세정조
3 : 예비세정조 4 : 팽윤세정조
5 : 세정조 6 : 마무리세정조
7 : 저온세정조 10 : 익스팬더장치
본 발명은 견직물 및 먼니트포백의 날염발색후의 연속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업적으로 가공생산하는 장척포백의 프린트가공은, 전처리가 완료된 포백에 염료를 부착(날염)하는 날염공정과, 이 날염포백의 표면에 부착한 호제(糊劑)를 탈락시키는 풀빼기세정공정과, 이 풀빼기된 포백표면의 염료를 포백에 고착시키는 염착공정으로 구별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풀빼기세정공정에 설비되는 풀빼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종래 공지의 이런 종류의 풀빼기세정장치는, 다수개의 풀빼기조를 포백의 이송방향으로 배설하는 동시에, 이들 풀빼기조내에 다수개의 안내로울을 배설시켜서, 이들 안내로울에 의해 이송되는 포백에 대해서 세정액(물)을 반복작용(접촉)시켜 풀빼기를 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풀빼기세정장치에서는, 그 세정효과가 낮기 때문에 동일세정장치로 수회의 반복세정을 행하고 있는 것이나, 그 첫회째의 세정처리에 이어서 다음회째의 세정을 행하는 동안의 체류시에 있어서, 염료의 이행에 의한 흰바탕의 오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세정장치에 있어서는, 세정해야할 포백을 단순히 세정액조내를 통과시켜서 세정을 기대하는 세정수단이기 때문에 풀빼기가 완료될때까지의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에 따라 그 세정장치의 전체설비길이도 길어져 설비의 규모가 커지는 것은 당연하고, 설비비도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프린트포백이 견직물인 경우와 먼니트인 경우가 있으나, 그 포백이 견질물 및 먼니트인 경우에는 견직물의 특성으로 인해서 이송시에 강력한 텐션을 작용시킬 수 없거나 혹은 호제탈락을 위하여 강력한 충격력을 부여할 수 없고, 또 세정용열액의 온도도 예를들면 50℃이상으로 승온시킬 수 없는 등의 제약이 있다. 먼니트의 경우는 세정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열액온도는 예를들면 100℃에 가까운 것이 요구되므로, 1기종의 세정장치로는 견직물과, 면직물의 처리에 병용할 수 없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이들 견직물처리용과 면직물처리용의 각각의 풀빼기세정장치를 설비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 목적은 프린트포백이 견직물 또는 면직물의 어느것이든 1기종의 풀빼기세정장치를 공용할 수 있도록해서, 견직물 또는 면직물의 어느것이든 각각의 포백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풀빼기세정을 유효하게 하고, 또한 설비의 간소화 및 설비비의 삭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2 목적은 포백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호제의 탈락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포백에 작용시키는 세정액(물)의 부여수단을 개선해서 소규모의 세정장치에서도 효과적인 풀빼기세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의해 날염발색포의 흰바탕오염방지 또한 설비비의 삭감은 물론이고, 성력화를 달성시킬 수 있는 높은 세정효율의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의거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풀빼기세정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날염풀이 부착되어 있는 견직물 또는 편물등의 포백(1)의 표면부착호제를 탈락세정시키기 위한 연속세정장치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 세정장치는 포백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흰바탕오염방지세정조(2), 예비세정조(3), 팽윤세정조(4), 세정조(5), 마무리세정조(6), 저온세정조(7)의 순서로 배설되어 있으며, 세정해야할 포백(1)을 이들 세정조내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므로써, 목적으로하는 풀빼기세정이 이루어져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흰바탕오염방지세정조(2)의 구체적 구성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포백(1)을 안내하는 구멍뚫린 드럼(21)을 가지고, 이 구멍뚫린 드럼(21)은, 그 둘레면전체에 다수의 통액용투과구멍을 뚫어형성시켜 이루어지고, 이 구멍뚫린 드럼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서 적당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이다.
(22)는 세정해야할 포백(1)을 상기 구멍뚫린 드럼(21)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안내시키기 위하여 배치한 도입쪽안내로울, (23)은 구멍뚫린 드럼(21)에 안내되어온 포백(1)을 다음 공정인 예비세정조(3)로 인도하기 위한 도출쪽안내로울로서, 상기 도입쪽안내로울(22)은 함수조(24)의 수중에 침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251)(252)는 상기 구멍뚫린 드럼(21)의 세로방향중심축을 경계로하는 좌우양쪽의 드럼표면에 접근배치되는 원호형상의 층류판으로서, 이 층류판(251)(252)의 곡면은, 구멍뚫린 드럼(21)의 곡률과 동등한 곡률로 형성되어 있고, 그 층류판(251)(252)의 곡면과, 구멍뚫린 드럼 둘레면의 사이가 약 수mm의 간격(a)으로 유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261)(262)는 상기 좌우쌍방의 간격(a)에 세정수를 보내주기 위한 샤워박스로서, 이 샤워박스(262)는 제 2 도에 있어서 왼쪽의 간격(a)에 흘려보내는 것이며, 샤워박스(262)는 오른쪽의 간격(a)에 흘려보내기 위한 것이다. 또 한쪽의 샤워박스(261)내에는 급수관(271)에 의해 새로운 물이 공급되고, 또한 이 박스(261)로부터는, 오우버플로우수단에 의해서 드럼(21)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균등한 새로운 물이 흘러내리는 것이다.
또 다른쪽의 샤워박스(262)에는 구멍뚫린 드럼(2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받침접시(28)내에 저장된 물이 펌프업수단에 의해 급수관(272)을 거쳐 재사용수가 공급되고, 또 이 박스(262)로부터는 마찬가지의 오우버플로우사단에 의해 재사용수가 상기 오른쪽의 간격(a)을 향해서 흘러내리는 것이다. (29)는 상기 쌍방의 층류판(251)(252)을 각각 축지지하는 지축이고, 이 지축(29)에는 상기 층류판(251)(252)에 고정되는 아암(210)이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211)에 의해, 그 아암(210)이 동작되므로써 층류판(251)(252)은 구멍뚫린 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예비세정조(3)의 구조를 제3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31)은 포백(1)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세정액조이고, 이 세정액조(31)의 내부에는 포백(1)을 안내이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드럼(32)이 배설되어 있다. 이 드럼(32)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둘레면에 다수개의 투과구멍(33)이 뚫어져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뚫린 드럼(32)의 전체면에 있어서 통액성을 초래하고 있다. 또 이들 구멍뚫린 드럼(32)은, 세정액조(31)내에 있어서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그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구멍뚫린 드럼(32)은, 세정액조(31)내의 액(35)중에 침지되지 않도록 액면이 설정되어 있다. (36)은 그 기중에 위치되는 구멍뚫린 드럼(32)에 안내이송되는 포백면을 향해서 액정수를 샤워시키는 샤워박스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기의 샤워박스가 세정액조(31)의 상부에 배설되어 있다. 이 샤워박스(36)의 상세한 설명은 제5도 내지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네모꼴박스 본체(37)와, 이 박스본체(37)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관(38)과, 이 박스본체(37)의 한쪽면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개구한 오우버플로우구멍(39)과, 이 오우버플로우구멍의 개구면에 대해서 약간의 간격,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310)의 개재의 의해 약 1~2mm의 간격(a)을 형성하는 당접판(31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당접판(311)은 장착나사(312)에 의해서 상기 간격을 유지해서 박스본체(37)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급수관(38)의 박스본체(37)내 단부는 상기 오우버플로우구멍(39)의 긴쪽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역 T자형상의 분산관(313)에 형성되는 동시에 다수의 유출구(314)가 뚫어져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샤워박스(36)에 의하면, 급수관(38)으로부터 박스본체(37)내에 공급된 세정수는 오우버플로우구멍(39)에 형성된 약 1~2mm의 간격(a)을 거쳐 포백의 폭방향으로 폭을 가진 필름형상의 유하수(315)가 되어 흘러내리는 것이다. (316)은 세정액조(31)내의 세정액을 흡인하고, 상기 샤워박스(36)에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317)은 언더플로우파이프를 표시한다.
팽윤세정조(4)는, 습열반응실(41)과, 이 반응실의 내부에 설비되어, 이 반응실(41)내에 공급된 포백(1)을 노우텐션의 상태에서 또한 포백을 충분히 팽윤시킬 수 있는데 필요한 타이밍을 얻어 이송하기 위한 상하 1쌍의 네트컨베이어(42)를 가지고, 그 반응실(41)내에 공급된 포백(1)은 그 상하 1쌍의 네트컨베이어(42) 상호간에 접은 상태에서 끼워 이송되면서 습열처리되는 것이다.
다음은 세정조(5), 마무리세정조(6), 저온세정조(7)의 구성인데, 이들 세정조는 상기한 예비세정조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각조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가열온도는 그 포백이 예를들면 견직물의 경우는 40℃전후가 바람직하고, 또 면직물의 경우는 60~9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흰바탕오염방지세정조(2), 예비세정조(3), 팽윤조(4), 세정조(5), 마무리세정조(6), 저온세정조(7)등의 각조의 포백도입구부 및 포백도출구부의 각각에는, 고무커브드(curved) 익스팬더(8)와 스크롤(scroll) 익스팬더(9)가 병렬설치상태로 조합되어 이루어진 익스팬더장치(10)가 배설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익시팬더장치(10)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고무커브드 익스팬더(8)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81)과, 스크롤익스팬더(9)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91)을 고정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는 지축(92)에 고정하는 동시에, 이 지축(92)에는 아암(11)을 고정하고, 또 이 아암(11)의 선단부에는 에어실린더(12)의 동작축(13)을 연결한 것이다.
이상이 본 실시예의 구성인데,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프린트호제가 부착되어 있는 세정해야할 포백(1)이 이송되므로써, 먼저 함수조(24)내에 침지되어 포백의 전체면이 적셔진다. 이어서 이 포백은 구멍뚫린 드럼(21)에 안내되어 이송되고, 도출쪽안내로울(23)을 거쳐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나, 그 구멍뚫린 드럼(21)에 안내되는 왼쪽안내부에 있어서는 샤워박스(261)로부터 흘러내리는 새로운 물의 흐름에 역행해서 이송된다. 즉 샤워박스(261)로부터 흘러내리는 새로운 물은 좁은 간격(a)내에 보내지기 때문에 높은 수압흐름이 되고, 또 그 물흐름에 역행해서 이송되는 포백에는 유효한 세정력이 작용한다. 또한 이 수압흐름을 받으면서 이송되는 포백은 구멍뚫린 드럼(21)의 작용에 의해서 포백의 내심부로의 유수투과량이 중대하고, 이에 의해 또 포백의 세정효율이 높아져 호제의 탈락이 유효하게 된다. 구멍뚫린 드럼(21)의 정점을 통과한 포백은 오른쪽의 간격(a)내에 보내지는 재사용수의 물흐름을 받아서 완벽한 세정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흰바탕오염방지세정조(2)에서 세정처리된 포백은 염료의 이행과, 그에 따른 흰바탕오염이 발생하는 일없이 다음의 예비세정조(3)내에 도입된다. 이 예비세정조(3)에 공급된 포백(1)은 세정액조(31)내에 배치시킨 복수개의 구멍뚫린 드럼(32)에 의해서 안내이송되는동시에, 샤워박스(36)로부터 오우버플로우되고 있는 세정수가, 구멍뚫린 드럼(32)에 의해서 안내되고 있는 포백(1)을 향해서 부여된다. 이 샤워박스로부터 오우버플로우된 세정수는 앞에도 설명한 바와같이 이송되는 포백의 폭방향을 따른 유수폭을 가진 필름형상의 유하수(샤워수)(315)이므로, 포백의 폭방향을 따라서 중단되지 않는 균일한 세정수가 작용되는 것이며, 이에 의한 포백의 전체면에 걸쳐서 균일한 세정수가 유하(流下)작용하고, 그 결과 세정얼룩을 갖지 않는 양호한 세정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그 샤워박스(36)로부터 흘러내려 포백(1)에 부여된 세정수는 이 포백을 안내하는 구멍뚫린 드럼(32)에 다수의 투과구멍(33)이 뚫어져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포백(1)으로의 통과량이 촉진되고, 즉 포백의 내심부에의 세정액의 통액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포백의 세정이 수자원절약하에서 유효한 세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백에 부여시키는 세정수는 자연유하에 의한 부여수단이고, 예를들면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강력한 분사압력수를 부여하는 종래의 부여수단에 비해서 견직물, 편물등의 포백의 올밀림, 올구부러짐이 발생하기 어렵고, 품질을 손상하는 일이 없는 양호한 세정처리포백을 얻을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이렇게 해서 예비세정된 포백은, 상하 1쌍의 네트컨베이어(42)에 의해서 노우텐션상태에서 끼워 이송되는 동안에 충분한 팽윤이 진행되고, 다음의 세정조(5)에 공급된다. 예를들면 발염()등의 세정일 경우는 세정조(5)에 의한 중화제세정은 상기한 예비세정조(3)와 마찬가지의 세정작용을 받아서 포백에 부여되고 있던 산중화가 이루어진다. 이하 마찬가지의 세정작용에 의해서 세정조(6)에 의한 마무리세정이 이루어진후, 포백(1)이 예를들면 견의 경우는 약 30℃전후의 세정수에 의해서, 또 면의 경우는 약 60℃전후의 세정수에 의해서 세정되어 일련의 세정처리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세정장치에서는 고무커브드익스팬더(8)와 스코롤익스팬더(9)를 가진 익스팬더장치(10)를 각소에 배치하고, 견직물 처리시에 있어서는, 고무커브드익스팬더가 포백이송로에 돌출해서 그 견직물의 확포 안내를 행하고, 또 편물의 처리시에는 스클롤익스팬더가 포백이송로에 돌출해서 그 편물의 확포, 귀말림방지 안내가 행해지는 것이므로, 이 포백연속처리장치에 의하면 견직물과 편물포백의 처리에 공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세정처리해야할 포백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포백을 연속적으로 안내이송하는 구멍뚫린 드럼 및 이 구멍뚫린 드럼에 접하고 있는 포백에 대해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마주설치하는 층류판 및 상기 간격을 향해서 세정수를 보내주는 샤워박스를 가진 흰바탕오염방지 세정조(2)와, 둘레면에 다수의 투과구멍을 뚫어 형성시킨 회전드럼, 및 이회전드럼에 의해 안내이송되는 포백을 향해서 자연유하시키고 또한 포백의 폭방향전체길이에 걸쳐서 연속하는 필름형상유하수를 형성하는 세정액유하조를 가진 예비세정조(3)와, 흔들어 떨어뜨린 포백을 차례로 노우텐션상태에서 끼워 이송하는 상하 1쌍의 엔들리스컨베이어를 습열반응실내에 가지게 한 팽윤세정조(4)와, 세정조(5), 마무리세정조(6) 및 저온세정조(7)의 순서로 배설시키고 또 상기 포백의 이송로 적소에 평행으로 병렬설치되는 고무커브드익스팬더 및 스크롤익스팬더 및 이고무커브드익스팬더와 스코롤익스팬더의 위치를 포백의 이송로에 출몰시키는 구동수단을 가진 익스팬더 장치를 배설시킨 포백의 세정장치이므로, 이에 의하면 특히 상기 흰바탕오염방지세정조(2)에 있어서는 샤워박스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는 층류판과 포백 및 구멍뚫린 드럼의 사이에 발생하는 좁은 간격에 보내지므로써 높은 수압흐름이 되고, 따라서 세정해야할 포백이 이 높은 수압흐름을 받으므로써 포백의 표면은 물론이고 포백의 내심부에 걸쳐서 유효한 흰바탕오염방지세정을 기대할 수 있고, 또 예비세정조(3)에 있어서는 포백에 작용되는 세정액이 자연유하액이므로 무리한 외력이 포백에 작용되는 일이 없고, 올밀림, 올구부러짐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 포백에 작용하는 유하액은, 필름형상으로 되어 포백의 전체폭에 부여되는 것이므로, 그 포백의 전체폭에 걸쳐서 균일한 세정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포백을 안내하는 드럼이 통액성을 가진 것이기 때문에, 포백내심부에의 세정액의 통과성이 촉진되고 또 팽윤세정조에 있어서는 노우텐션이송에 의한 포백의 팽윤세정조가 유효하므로, 이들 각 세정조에 의한 상쇄작용에 의해 종래의 세정장치에 비해서 극히 단시간 동안에, 포백의 풀빼기세정이 이루어지고, 경제성과 생산성이 뛰어난 세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포백의 이송로의 적소에 상기 익스팬더장치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 익스팬더 장치에 의해서 상기 세정장치를 견직물처리와 편물처리시에 공용할 수 있으므로, 설비비, 열에너지, 수자원등의 절약이 가능해져 경제성이 뛰어난 처리가공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견직물, 편물포백에 적합한 확포이송이 가능해져 그들 포백을 손상하는 일이 없는 품질이 양호한 처리가공을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세정처리해야할 포백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포백을 연속적으로 안내이송하는 구멍뚫린 드럼 및 이 구멍뚫린 드럼에 접하고 있는 포백에 대해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마주설치하는 층류판 및 상기 간격을 향해서 세정수를 보내주는 샤워박스를 가진 흰바탕오염방지세정조(2)와, 둘레면에 다수의 투과구멍을 뚫어형성시킨 회전드럼, 및 이 회전드럼에 의해 안내이송되는 포백을 향해서 자연유하(流下)시키고 또한 포백의 폭방향 전체길이에 걸쳐서 연속하는 필름형상유하수를 형성하는 세정액유하조를 가진 예비세정조(3)와, 흔들어 떨어뜨린 포백을 차례로 노우텐션상태에서 끼워 이송하는 상하 1쌍의 엔들리스컨베이어를 습열반응실내에 가지게 한 팽윤세정조(4)와, 세정조(5), 마무리세정조(6) 및 저온세정조(7)의 순서로 배설시키고 또 상기 포백의 이송로에 있어 상기 각조의 포백도입구 및 포백도출구에 평행으로 병렬설치되는 고무커브드익스팬더 및 스크롤익스팬더 및 이 고무커브드익스팬더와 스크롤익스팬더의 위치를 포백의 이송로에 출몰시키는 구동수단을 가진 익스팬더장치를 배설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포백의 세정장치.
KR1019910021867A 1991-11-30 1991-11-30 포백의 세정장치 KR940004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867A KR940004384B1 (ko) 1991-11-30 1991-11-30 포백의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867A KR940004384B1 (ko) 1991-11-30 1991-11-30 포백의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01A KR930010301A (ko) 1993-06-22
KR940004384B1 true KR940004384B1 (ko) 1994-05-23

Family

ID=1932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867A KR940004384B1 (ko) 1991-11-30 1991-11-30 포백의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3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01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5230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particularly dyeing and printing of goods
US2366136A (en) Continuous flatwork laundering machine
CN108193413B (zh) 用于筒状针织物连续化的煮-浴一步式淋漂机及淋漂方法
KR940004384B1 (ko) 포백의 세정장치
US4182140A (en) Cloth cleaning method with steaming and liquid flow and an apparatus therefor
JPS5855267B2 (ja) チエ−ンレス・マ−セライジング機
TWM600764U (zh) 水洗機
KR101046217B1 (ko) 신축성 직물 텐터 공정용 변부 말림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7938207B (zh) 用于开幅针织物连续化的煮-浴一步式淋漂机及淋漂方法
EP0725177A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
US459210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 in rope form
JPH0660459B2 (ja) 布帛の洗浄装置
US4104753A (en) Processes and apparatus for the batch wet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
JP5248166B2 (ja) 布帛洗浄装置
DK2455530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in particular, wet treatment of laundry
KR940000431Y1 (ko) 포백의 세정장치
GB1158483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Soiled Materials
US2442277A (en) Apparatus for laundering clothes and the like
JPS5953940B2 (ja) 繊維品の連続洗浄方法
KR940000565B1 (ko) 포백(布帛)의 연속세정 장치
US4711102A (en) Wet heat treating apparatus of a cloth for performing dyeing and washing in combination
KR950012675B1 (ko) 직물원단의 분사식 수세방법 및 장치
JPH0321213B2 (ko)
JPH042860A (ja) ガイドロールの清拭方法
JPH0714388Y2 (ja) エキスパンダ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