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302Y1 - 용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302Y1
KR940004302Y1 KR92003783U KR920003783U KR940004302Y1 KR 940004302 Y1 KR940004302 Y1 KR 940004302Y1 KR 92003783 U KR92003783 U KR 92003783U KR 920003783 U KR920003783 U KR 920003783U KR 940004302 Y1 KR940004302 Y1 KR 940004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lider
container
upper cap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3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614U (ko
Inventor
윤태봉
Original Assignee
최근선
주식회사 럭 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선, 주식회사 럭 키 filed Critical 최근선
Priority to KR92003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302Y1/ko
Publication of KR9300216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6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기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개폐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개폐 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이동용 캡을 제거하고 용기의 압축시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용기 개폐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제5도는 종래 용기 개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캡 10 : 슬라이더 삽입공
11 : 수직연부 12 : 돌기
13 : 수직연부 14 : 결합부
2 : 슬라이더 20 : 플랜지
21 : 저장물 유출공 22 : 돌출부
23 : 요부 24 : 측벽
25 : 단층부 3 : 상부 캡
30 : 출구 31 : 돌기
32 : 홈 33 : 돌기
34 : 밀착부 4 : 스프링
5 : 이동캡 50 : 홈
51 : 손잡이
본 고안은 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샴프등과 같은 고점성 액체를 저장하는 탄력성 용기의 출구에 부착하여 한손만으로 용이하게 샴프를 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프등과 같은 고점성 액체 또는 저점성 액체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탄력성 용기는 용기의 미사용시 용기의 압축등으로 인한 저장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 또는 뚜껑이 부착되거나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캡 또는 뚜껑은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C)에 고정 부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출구(100)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캡(101)에 탄성편(102)으로 상부캡(103)이 연결되어 있고, 통상의 수나사(104)가 외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출구(105)에는 암나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106)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캡(103) 또는 뚜껑(106)이 부착된 용기(C)의 사용을 개략 설명하면 캡(103)의 경우 고점성 액체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C)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손으로 캡(103)을 잡아 하부캡(101)으로부터 탄성편(102)에 의해 상부캡(103)을 회전시킴으로써 이격시키고 다시 탄력성 용기(C)를 거꾸로 세워 손으로 압축시킴으로써 저장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고, 뚜껑(106)의 경우 뚜껑(106)을 한손으로 회전시켜 연후에 다른 손으로 용기(C)를 거꾸로 세워 압축시킴으로써 저장물을 외부로 유출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저장물의 사용후 상기한 바와 같은 캡(103)과 뚜껑(106)을 닫아야 하는 바, 이는 용기(C)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손으로 캡(103) 또는 뚜껑(106)을 닫아야 하기 때문에 저장물이 소량 출구(100, 105)로 유출되어 용기의 출구 부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용기(C)에 저장된 저장물의 사용시 두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저장물이 샴프나 치약인 경우 샴프를 손에 받기 위해 또는 치약을 칫솔에 묻히기 위해서는 그 행동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점성의 저장물을 내장한 용기에서 저장물을 유출시켜 사용하는데 따른 행동의 번거로움을 방지함과 아룰러 용기에서 캡 또는 뚜껑의 개폐시 출구에 저장물이 묻어 그 주위가 불결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를 하부캡에 형성시키고, 유출공이 다수 형성된 슬라이더를 하부캡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더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캡을 하부캡과 결합시키고, 상부캡과 슬라이더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한정시키며, 용기의 이동시 외부의 압축에 의하여 저장물이 누출됨을 방지하는 이동캡을 상부캡에 결합시켜 한손으로 저장물을 외부로 유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개폐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하부 캡(1)에 슬라이더 삽입공(10)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 삽입공(10)에는 슬라이더(2)가 이동 자재하도록 삽입되며 상기한 하부캡(1)에 상부캡(3)이 결합됨과 아울러 슬라이더(2)와 상부 캡(3)의 사이에 통상의 스프링(4)과 같은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한 상부캡(3)의 출구(30)에는 이동캡(5)이 결합된다.
상기한 하부캡(1)의 상부 수직연부(11)에는 외주변에 돌기(12)가 형성되어 상부캡(3)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있고 슬라이더(2)에는 하부캡(1)에 형성된 슬라이더 삽입공(10)의 직경보다 크게 플랜지(20)가 형성되어 슬라이더(2)의 하향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슬라이더(2) 중심 축상에는 저장물 유출공(21)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2)가 슬라이더(2)에 형성된 요부(23)의 측벽(24)과 이격 형성되어 있고 상부캡(3)과 슬라이더(2)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4)이 요구 측벽(24)과 돌출부(22)의 이격 틈새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부캡(3)에 형성된 출구(30)의 외주변에는 돌기(31)가 형성되어 이동캡(5)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있다.
물론, 상기한 하부캡(1)과 출구(30)에 형성된 돌기(12, 3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대응되게 상부캡(3)과 이동캡(5)에 형성된 홈(32, 5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한 하부캡(1)의 슬라이더 삽입공(10)은 하향 연장되어 슬라이더(2)를 지지하는 수직연부(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에 용기(C)와 결합되는 결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C)에 하부캡(1)이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캡(5)이 출구(3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캡(3)과 슬라이더(2)에 밀착되어 있는 스프링(4)의 탄성력으로 슬라이더(2)가 연장되어 있다.
특히, 상부캡(3)에 형성된 출구(30)에 의해 슬라이더(2)에 형성된 저장물 유출공(21)이 밀폐되고 스프링(4)의 탄성력으로 지지되어 내부 저장물의 유동에도 외부로 저장물의 유출이 방진된다.
내부 저장물의 사용시 상부캡(3)에서 이동캡(5)을 제거하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C)를 한손의 압력(P)으로 압축하면 용기(C)의 내부에 압력(P′)가 형성되어 슬라이더(2)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압력(P′)와 함께 용기(C) 내부의 저장물이 슬라이더(2)를 상승시키는 바, 슬라이더(2)의 상승과 함께 출구(30)로부터 슬라이더(2)의 저장물 유출 공(21)이 개방되어 용기(C) 내부의 공기와 함께 저장물이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슬라이더(2)와 상부캡(3)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스프링(4)의 탄성력은 용기(C)의 압축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P′)에 의해 슬라이더(2)가 용이하게 상승될 수 있을 정도로 조정되어 있고, 슬라이더(2)의 상승 높이를 한정하기 위하여 돌출부(22)의 외주에 단층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캡(3)의 출구(30) 저면에는 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한 단층부(25)와의 밀착으로 슬라이더(2)의 상승 높이를 한정한다.
그리고, 상부캡(3)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33)의 측부에는 슬라이더(2)의 플랜지(20)와 밀착되는 밀착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캡(3)의 출구(30)에 결합된 이동캡(5)의 외주 일측에는 손잡이(51)가 형성되어 이동캡(5)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저장물의 사용이 끝나면 손에 의한 용기(C)의 입력(P)이 소멸됨과 아울러 용기(C) 내부의 압력(P′)이 소멸되면서 용기(C)가 팽창됨에 따라 흡입력이 발생되어 슬라이더(2)가 하강하게 되며 슬라이더(2)의 저장물 유출공(21)에 잔류되어 있는 저장물을 흡입하게 됨으로써 출구(30)의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탄력성 용기의 압축에 따라 저장물 유출공이 형성된 슬라이더가 승강되게 구성함으로써 한손만으로 용기의 저장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용기의 압축시 흡입력에 의해 출구 부분의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한손으로 저장물이 담긴 용기(C)를 잡고 다른손으로 탄성편(102) 또는 나사(104)가 형성된 캡(103) 또는 뚜껑(106)을 잡아 개폐시키는 용기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용기(C)와 결합되고 슬라이더(2)가 이동 자재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더 삽입공(10)이 형성된 하부캡(1)과 상기한 슬라이더 삽입공(10)에 삽입되어 요부(23)에 삽입된 탄성부재(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동 자재하고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더(2)의 상승시 저장물을 돌출부(22)에 형성된 저장물 유출공(21)으로 유출시키며 슬라이더(2)가 아래로 빠짐을 방지하는 플랜지(20)가 형성된 슬라이더(2)와, 상기한 슬라이더(2)의 돌출부(22)가 출구(30)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슬라이더(2)의 요부(23)에 삽입된 탄성부재(4)의 한쪽을 지지하는 상부캡(3)과, 상기한 상부캡(3)의 출구(30)에 결합되어 용기(C)의 이동시 돌출부(22)의 외부 돌출을 방지하는 이동캡(5)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캡(3)과 하부캡(1)과 이동캡(5)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하부캡(1)의 상부캡(3)과 결합되는 부분과 상부 캡(3)과 이동캡(5)이 결합되는 부분에 돌기(12, 31)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캡(3)과 이동캡(5)에 홈(32, 5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라이더(2)의 돌출부(22) 외주변에 슬라이더(2)의 상승 높이 한정을 위해 단층부(2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캡(5)의 일측에 이동캡(5)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5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개폐장치.
KR92003783U 1992-03-09 1992-03-09 용기 개폐장치 KR940004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783U KR940004302Y1 (ko) 1992-03-09 1992-03-09 용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783U KR940004302Y1 (ko) 1992-03-09 1992-03-09 용기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614U KR930021614U (ko) 1993-10-15
KR940004302Y1 true KR940004302Y1 (ko) 1994-06-25

Family

ID=1933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3783U KR940004302Y1 (ko) 1992-03-09 1992-03-09 용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3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614U (ko) 199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814B2 (en) Enhanced fluid dispenser container fitment
EP0446513A1 (en) Pump assembly
EP0161907A2 (en) Cleaning device with reservoir of cleaning liquid
KR101579405B1 (ko) 화장용 스파츌러 자동 인출 구조를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EP1595470B1 (en) Cosmetics dispenser container fitment
EP1606173A2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US6073757A (en) Combined bottle and lens case
US20230302474A1 (en) Content container
KR940004302Y1 (ko) 용기 개폐장치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102319268B1 (ko) 원터치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100097573A (ko)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CN109907467B (zh) 化妆品容器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0431896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0393324Y1 (ko) 화장품 용기
KR200328750Y1 (ko) 탄력노즐을 가진 고점도 액상물 용기
KR102323991B1 (ko) 화장품 용기
KR200363983Y1 (ko) 반유동성 물질용 용기
CN210870265U (zh) 化妆品容器
KR100392469B1 (ko) 신축용기의 액체토출장치
KR102516937B1 (ko) 화장용 오토 드롭퍼
KR100890056B1 (ko) 콘택트렌즈 보관 케이스
KR200301193Y1 (ko) 리필용 비닐팩
KR20230168132A (ko)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