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937B1 - 화장용 오토 드롭퍼 - Google Patents

화장용 오토 드롭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937B1
KR102516937B1 KR1020210055244A KR20210055244A KR102516937B1 KR 102516937 B1 KR102516937 B1 KR 102516937B1 KR 1020210055244 A KR1020210055244 A KR 1020210055244A KR 20210055244 A KR20210055244 A KR 20210055244A KR 102516937 B1 KR102516937 B1 KR 10251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per
container
button
makeup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012A (ko
Inventor
전병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210055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93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41Drop counters; Drop formers
    • B01L3/0272Droppe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82Burettes; Pipettes mounted within a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2Filling fluids into wells by specific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110)에 대해 스포이트(120)의 회전 개방 조작시, 용기의 내부에 담겨진 화장 내용물이 유리관(122)의 내부로 자동 흡입되어 지고, 또 용기(110)로부터 스포이트(120)의 분리 후 버튼(123)을 탄성 가압하는 것에 의해 화장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화장 내용물의 흡입 및 토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버튼의 안정된 수직 가압 조작을 통해 화장 내용물의 안정된 토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용 오토 드롭퍼{Cosmetic Auto Dropper}
본 발명은 액상 형태의 화장 내용물을 자동 흡입 및 토출시켜 사용하기 위한 화장용 오토 드롭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로부터 스포이트의 회전 개방 조작시, 용기의 내부에 담겨진 화장 내용물이 유리관의 내부로 자동 흡입되어 지고, 또 스포이트의 분리 후 버튼을 탄성 가압하는 것에 의해 화장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화장 내용물의 흡입 및 토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버튼의 안정된 수직 가압 조작을 통해 화장 내용물의 안정된 토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에 관한 것이다.
에센스 또는 아이크림이나 노화방지 및 주름방지제 등과 같은 고기능성 화장품은 대게 내용물이 고가이고, 또 포장 단위가 소량이어서 이를 수용하는 기존의 화장품 용기 또한 콤팩트한 크기가 대부분이고, 또 용기 구조 역시 용기 및 마개로 단순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내용물을 사용하는 경우, 용기의 유출공을 통해 내용물을 손에 묻혀 피부에 바르게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내용물의 토출량 조절이 어렵고, 또 손에 묻어 낭비되는 량 만큼 고가의 내용물이 손실되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스포이트(spuit) 방식으로 내용물을 정량 추출하여 해당 피부에 직접 바를수 있도록 한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지하다시피, 종래 사용되고 있는 스포이트는 유리관의 상부에 구비된 고무 주머니를 펌핑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유리관의 내부로 흡입하고 동시에 외부로 토출시키는 작용을 통해 내용물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의 종래 스포이트는 외캡을 용기로부터 분리 개방한 다음 고무 주머니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유리관의 내부로 흡입하고, 동시에 유리관과 고무 주머니로 이루어진 스토이트는 용기로부터 별도 분리한 다음 다시 고무 주머니를 가압하여 화장하고자 하는 부분에 내용물을 토출시켜 화장하게 되는 걱이어서 내용물의 흡입 및 토출 작용이 매우 번거롭고, 또 외캡과 스포이터를 각각 분리 개방 및 결합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며, 고무 주머니를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눌러 내용물을 흡입하기 때문에 정량 인출 사용이 어렵게되는 문제가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 고무 주머니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유리관의 내부로 흡입 및 토출시키는 단순한 스포이트 구조에서 벗어나, 스포이드관이 결합된 결합부재와, 내부 실린더의 내부에 피스톤이 결합된 내부버튼과, 상기 내부버튼의 외부에 탄성부재로 탄력 커버되는 외부버튼과, 작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재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부버튼이 승강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스포이드관의 내부로 흡입되게 하면서 결합부재를 용기에 낫 결합시키고, 작동부재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에 나사 결합된 결합부재를 나사 해채시키는 펌핌수단을 가지며, 내용물 배출시, 상기 외부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내부버튼이 동시에 눌려지면서 스포이드관의 내부에 흡입되어진 내용물을 소망하는 부위에 토출시켜 사용하도록 한 “화장품 용기용 캡”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화장품 용기용 캡은 내용물의 흡입, 토출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피스톤이 구비되어져 실질적으로 내용물을 흡입시키는 내부버튼이 작동부재와 함께 회전 조작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인위적으로 상승하면서 내용물을 흡입하게 되고, 또 토출시에는 탄성부재로 탄력설치된 외부버튼을 별도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내부버튼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하강 이동하면서 내용물의 토출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용물을 실질적으로 흡입 및 토출시키는 내부버튼의 승 하강 동작이 신속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고, 또 내용물의 흡입 작용시, 탄성부재로 탄력 설치된 외부버튼 및 피스톤이 결합된 내부버튼이 작동부재의 작동구에 의해 일정구간 동시에 회전되고, 그 후 결합부재가 회전되면서 용기로부터 잠겨지거나 풀려지게 되는 구조의 복잡성과 더불어 별도의 외부버튼을 가압하여야만 내부버튼이 부차적으로 하강 회전 이동하게 되면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다소 번거로운 토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커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버튼을 승강 및 하강시켜 실린더에 의해 정량의 액상의 내용물을 항상 충진하도록 하고, 금속스프링을 대체하여 실리콘재질로 실린더를 구성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스프링없는 스포이드형 에코 오토드롭퍼”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1. KR101773375 B1(2017.08.31. 공고) 2. KR102179354 B1(2020.11.17.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포이트의 회전 개방 조작시, 용기의 내부에 담겨진 화장 내용물이 유리관의 내부로 자동 흡입되어 지고, 또 용기로부터 스포이트의 분리 후 버튼을 탄성 가압하는 것에 의해 화장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화장 내용물의 흡입 및 토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버튼의 안정된 수직 가압 조작을 통해 화장 내용물의 안정된 토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에 결합되어진 내캡에 대하여 내용물의 흡입 작동 구간에서는 외캡이 걷돌게되고, 동시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된 버튼이 부드럽게 상승하면서 유리관의 내부로 내용물의 정량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용물의 흡입 동작이 매우 안정적이면서도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화장용 오토 드롭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용 오토 드롭퍼는, 주입구(112)를 통해 내부에 화장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110)와; 상기 용기(110)의 주입구(112)에 대해 개방조작시, 용기(110)의 내부에 충전된 화장 내용물을 강제 흡입하고, 또 용기의 주입구(112)로부터 완전 분리 후 버튼(123)을 탄성 가압하는 것에 의해 화장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사용하게 되는 스포이트(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포이트(120)는, 용기(110)의 주입구(112)에 대해 개폐 조작되는 결합부(121a) 및 실린더(121b)를 갖는 내캡(121)과; 상기 내캡(121)의 내부에 결합되어져 주입구(112)를 통해 용기(110)의 내부로 출입되는 유리관(122)과; 상기 내캡(121)의 실린더(121b) 외측으로 커버되어 짐과 동시에 내캡(121)의 결합부(121a) 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23a)로 탄력 받침되고, 또 그 외주면으로는 경사 가이드면(123b)이 단턱지게 대향 형성된 버튼(123)과; 상기 버튼의 고정리브(123c)에 결합되어 짐과 동시에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121b)의 내벽을 따라 승 하강되도록 탄성 밀착되는 구조의 피스톤(124)과; 상기 버튼(123)의 가압부(123d)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그 하단부가 내캡(121)의 결합부(121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됨과 동시에 상단 내주면으로는 상기 버튼(123)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각 경사 가이드면(123b)에 상호 걸림 가이드되는 가압편(125a)이 형성되고, 또, 상기 가압편(125a)의 하부로는 내캡(121)의 실린더(121b) 외측에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외부 지지관(121c)에 대하여 대향되게 절제 형성된 개폐 조작공간(121c-1) 범위 내에서 회전되고 동시에 좌우 양 측의 수직 걸림벽(121c-2)에 각각 걸림 조작되어 지면서 내캡(121)의 동시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 조작편(125b)이 형성된 외캡(125)과; 상기 외캡(125)의 가압편(125a)이 경사 가이드면(123b)을 따라 회전 개폐 조작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내캡(121)이 따라도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수단(126);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기(110)에 대하여 스포이트(1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외캡(125)의 가압편(125a)이 버튼(123)의 경사 가이드면(123b)의 최고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버튼(123)이 탄성부재(123a)를 압착시키면서 하강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상기 용기(110)에 대하여 스포이트(120)를 회전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외캡(125)의 가압편(125a)이 버튼(123)의 경사 가이드면(123b)의 최저 지점에 위치되어 지면서 상기 버튼(123)이 탄성부재(123a)의 신장력에 의해 상승 이동됨과 동시에 피스톤(124)의 흡인력에 의해 화장 내용물이 유리관(122)의 내부로 흡입되어 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캡(121)의 결합부(121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외캡(125)은 그 하단부 내주면으로 형성된 회전 가이드 돌기(125c)가 상기 결합부(121a)의 대응 외주면으로 형성된 회전 가이드 홈(121a-2)에 상호 탄성 결합되어지는 것에 의해 서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호 회전자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캡(121)의 외부 지지관(121c)으로는 승강 가이드 편(121d)을 대향되게 형성하고, 또 상기 버튼(123)의 외주면으로는 상기 승강 가이드 편(121d)이 끼워지는 승강 가이드 홈(123e)을 대향되게 형성하여 버튼(123)의 승 하강 작동시, 상기 승강 가이드 편이 승강 가이드 홈에 대해 수직적으로 안내 이동되어 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수단(126)은, 용기(110)의 주입구(112) 하단 외측에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 스톱돌기홈부(126a) 및 내캡(121)의 하단 내주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스톱돌기(126b)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포이트(120)는, 내캡(121)의 내부로 결합되는 유리관(122)의 상면을 기밀함과 동시에 실린더(121b)를 따라 승 하강하는 피스톤(124)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기밀 받침하기 위한 제1패킹(1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포이트(120)는, 용기(110)의 주입구(112) 상면을 기밀하기 위하여 내캡(121)의 결합부 내측에 구비되는 제2패킹(12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포이트(120)의 내캡(121)으로는 이의 내부에 끼워지는 유리관(122)의 안정된 끼움 받침을 위한 수직단관(121f)이 하부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용 오토 드롭퍼(100)는, 용기(110)로 부터 스포이트(120)를 분리하는 경우, 용기(110)의 주입구(112) 내부에 결합되어져 스포이트(120)의 유리관(122) 외주면에 묻은 화장 내용물을 제거해주기 위한 와이퍼(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포이트의 회전 개방 조작시, 용기의 내부에 담겨진 화장 내용물이 유리관의 내부로 자동 흡입되어 지고, 또 용기로부터 스포이트의 분리 후 버튼을 탄성 가압하는 것에 의해 화장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화장 내용물의 흡입 및 토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버튼의 안정된 수직 가압 조작을 통해 버튼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면서도 화장 내용물의 안정된 토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에 결합되어진 내캡에 대하여 내용물의 흡입 작동 구간에서는 외캡이 걷돌게되고, 동시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된 버튼이 부드럽게 상승하면서 유리관의 내부로 내용물의 정량 흡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용물의 흡입 동작이 매우 안정적이면서도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수단 구조응 보이기 위한 분리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이 하강 이동된 상태의 조립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버튼의 상승 이동에 따른 구조를 보인 스포이트 발췌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이 상승 이동된 상태의 조립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버튼의 상승 이동에 따른 구조를 보인 스포이트 발췌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이 하강 이동된 상태의 조립 측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외캡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버튼이 상승 이동된 상태의 조립 측 측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9의 (a)에 따른 버튼이 하강 이동된 상태의 스포이트 발췌 사시도이고, (b)는 도 9의 (b)에 따른 외캡의 반시계방향 회전 조작에 따라 버튼이 상승 이동된 상태의 스포이트 발췌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로부터 분리된 스포이트의 버튼을 가압하여 화장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상태의 발췌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오토 드롭퍼(100)는, 크게, 용기(110)와, 스포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용기(110)는, 일방으로 단차지게 연장된 주입구(112)를 가진다.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으로는 결합수단의 하나로서, 숫나사(113)가 돌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용기(110)의 내부로는 주입구(112)를 통해 액상의 화장 내용물이 적당량 담겨질 수 있다.
스포이트(120)는, 용기(110)의 주입구(112)에 대해 개방조작시, 용기(110)의 내부에 담겨진 화장 내용물을 강제 흡입하고, 또 용기의 주입구(112)로부터 완전 분리 후 버튼(123)을 탄성 가압하는 것에 의해 화장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사용하게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120)는, 용기(110)의 주입구(112)에 대해 개폐 조작되는 결합부(121a) 및 실린더(121b)를 갖는 내캡(121)과; 상기 내캡(121)의 내부에 결합되어져 주입구(112)를 통해 용기(110)의 내부로 출입되는 유리관(122)과; 상기 내캡(121)의 실린더(121b) 외측으로 커버되어 짐과 동시에 내캡(121)의 결합부(121a) 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23a)로 탄력 받침되고, 또 그 외주면으로는 경사 가이드면(123b)이 단턱지게 대향 형성된 버튼(123)과; 상기 버튼의 고정리브(123c)에 결합되어 짐과 동시에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121b)의 내벽을 따라 승 하강되도록 탄성 밀착되는 구조의 피스톤(124)과; 상기 버튼(123)의 가압부(123d)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그 하단부가 내캡(121)의 결합부(121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됨과 동시에 상단 내주면으로는 상기 버튼(123)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각 경사 가이드면(123b)에 상호 걸림 가이드되는 가압편(125a)이 형성되고, 또, 상기 가압편(125a)의 하부로는 내캡(121)의 실린더(121b) 외측에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외부 지지관(121c)에 대하여 대향되게 절제 형성된 개폐 조작공간(121c-1) 범위 내에서 회전되고 동시에 좌우 양 측의 수직 걸림벽(121c-2)에 각각 걸림 조작되어 지면서 내캡(121)의 동시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 조작편(125b)이 형성된 외캡(125)과; 상기 외캡(125)의 가압편(125a)이 경사 가이드면(123b)을 따라 회전 개폐 조작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내캡(121)이 따라도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수단(126);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캡(121)의 결합부(121a) 내주면으로는 용기(110)의 주입구(112) 외주면으로 형성된 숫나사(113)에 대해 결합 및 해체되는 암나사(121a-1)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캡(121)은 결합부(121a)의 암나사(121a-1)와 용기(110)의 주입구(112) 외주면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숫나사(113)의 상호 나사 결합 및 해체를 통해 개폐 조작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내캡(121)의 결합부(121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외캡(125)은 그 하단부 내주면으로 형성된 회전 가이드 돌기(125c)가 상기 결합부(121a)의 대응 외주면으로 형성된 회전 가이드 홈(121a-2)에 상호 탄성 결합되어지는 것에 의해 서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호 회전자재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125c) 및 회전 가이드 홈(121a-2)은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고, 또 다단으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125c) 및 회전 가이드 홈(121a-2)은 그 목적의 달성이 가능한 것이라면, 홈이나 돌기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캡(121)에 대하여 버튼(123)을 탄력 받침하고 있는 탄성부재(123a)는, 상기 내캡(121)을 기준으로, 상기 버튼(123)을 항상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있는 탄성 받침력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며, 화장 내용물의 사용이 종료된 후, 스포이트(120)가 용기(110)에 대하여 결합되어 진 경우, 예컨대, 도 9 의 (a) 및 도 10의 (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캡(125)이 시계방향(편의적으로, 스포이트가 용기에 대해 결합되는 상태)으로 회전 조작되어 가압편(125a)이 버튼(123)의 경사 가이드면(123b) 중 최고지점에 도달하여 버튼(123)이 강제로 하강 이동하는 경우에만 강제로 압축되어지게 되며, 반대로 화장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스포이트(120)를 용기(1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예컨대, 외캡(125)이 도 9 의 (b) 및 도 10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 시계방향(편의적으로, 스포이트가 용기로 부터 분리되는 상태)으로 회전 조작되어 가압편(125a)이 버튼(123)의 경사 가이드면(123b) 중 최저 지점에 도달하는 경우, 다시 원상태로 신장되면서 버튼(123)을 상승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23a)는,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를 비롯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고, 그 형태, 또한 스프링 형태를 비롯하여 자바라 타입 등 탄력 작용이 가능한 형태라면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버튼(123)에 형성되는 양 경사 가이드면(123b)과, 내캡(121)의 외부 지지관(121c)에 절제 형성되는 개폐 조작공간(121c-1)의 형성 위치는 대략 동일한 위치 및 간격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123)은 스포이트(120)를 용기로부터 분리시켜 화장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하부로 가압 이동되어 지는 바, 이때, 버튼(123)의 안정된 수직 하강 및 상승 이동을 위해, 내캡(121)의 외부 지지관(121c)으로는 승강 가이드 편(121d)을 대향되게 형성하고, 또 상기 버튼(123)의 외주면으로는 상기 승강 가이드 편(121d)이 끼워지는 승강 가이드 홈(123e)을 대향되게 형성하여, 버튼(123)의 승 하강 작동시, 상기 승강 가이드 편이 승강 가이드 홈에 대해 수직적으로 안내 이동되어 짐에 따라 버튼(123)이 일 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항상 안정된 승 하강 이동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외캡(125)의 개폐 조작시, 일정 구간에서 내캡(121)의 회전을 강제로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수단(126)은, 용기(110)의 주입구(112) 하단 외측에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 스톱돌기홈부(126a) 및 내캡(121)의 하단 내주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스톱돌기(126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캡(121)에 형성된 스톱돌기(126b)는 스포이트(120)가 용기(110)의 주입구(112)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110)의 스톱돌기홈부(162a)에 강제로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외캡(125)은 버튼(123)의 가압편(125a)이 경사 가이드면(123b)의 최고지점에서 최저지점 위치로 회전 이동될 때 까지는 내캡(121)의 간섭없이 자유롭게 회전 조작되어 질 수 있고, 또, 가압편(125a)이 상기 경사 가이드면(123b)의 최저점 구간에 도달되어 상기 외캡(125)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외캡(125)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외캡의 개폐 조작편(125b)이 내캡(121)의 외부 지지관(121c)으로 절제 형성된 개폐 조작공간(121c-1)을 따라 회전 이동하다가 일 측의 수직 걸림벽(121c-2)에 상호 걸림되어 질 때 비로소 내캡(121)이 함께 회전 조작되지 지고, 동시에 내캡(121)의 스톱돌기(126b)가 용기(110)의 스톱돌기홈부(126a)로 부터 강제로 이탈되면서 상기 외캡(125)과 내캡(121)이 용기(110)의 주입구(112)로부터 함께 개방 가능하게 회전 조작되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포이트(120)는, 내캡(121)의 내부로 결합되는 유리관(122)의 상면을 기밀함과 동시에 실린더(121b)를 따라 승 하강하는 피스톤(124)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기밀 받침하기 위한 제1패킹(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이트(120)는, 용기(110)의 주입구(112) 상면을 기밀하기 위하여 내캡(121)의 결합부 내측에 구비되는 제2패킹(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포이트(120)의 내캡(121)으로는 이의 내부에 끼워지는 유리관(122)의 안정된 끼움 받침을 위한 수직단관(121f)이 하부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수직단관(121f) 구성을 통해 유리관(122)은 좌우 흔들림 없이 안정된 결합 상태의 유지가 더욱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용 오토 드롭퍼(100)는, 용기(110)로부터 스포이트(120)를 분리시, 용기(110)의 주입구(112) 내부에 결합되어져 스포이트(120)의 유리관(122)외주면에 묻은 화장 내용물을 제거해주기 위한 와이퍼(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130) 구조를 통해 화장 내용물의 토출 사용시, 유리관(122)의 외주면에 묻어있는 화장 내용물은 깨끗하게 제거되어 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용기(110)로부터 스포이트(120)를 분리하더라도 회장 내용물이 유리관(122)의 외주면에 남아 흘러 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오토 드롭퍼(100)의 작용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10)에 대하여 스포이트(120)가 결합된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 경우에는 도 9 의 (a) 및 도 10의 (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캡(125)dl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된 경우, 가압편(125a)이 버튼(123)의 경사 가이드면(123b)의 최고 지점에 위치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버튼은 탄성부재(123a)를 압축시키는 상태로 강제 하강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버튼(123)은 내캡(121)에 대하여 승강 가이드 홈(123e)은 내캡에 형성된 승강 가이드 편(121d)에 승강 안내되어 수직 하강 이동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버튼(123)의 하강 이동에 의해 그 내부에 갖추어진 피스톤(124) 역시 내캡(121)의 실린더(121b)를 따라 하강 이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유리관(122)의 내부는 비어있게 된다. 또한, 스토퍼수단(126)의 내캡(121)에 구비된 스톱돌기(126b)는 용기(110)에 구비된 스톱돌기홈부(126a)에 강제로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상태에서 화장용 오토 드롭퍼(100)는, 용기(110)에 대하여 스포이트(120)가 안정된 기밀 상태를 가지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보관에 따른 화장 내용물의 누설이 방지되어 질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용기(110) 내부에 충전된 화장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포이트(120)를 용기(110)로부터 개방 조작하게 되는 바, 이때에는 용기(110)에 대하여 외캡(125)을 잡고 도 9 의 (b) 및 도 10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그러면 외캡의 가압편(125a)은 버튼(123)의 경사 가이드면(123b)을 따라 최저 지점에 도달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버튼은 압축 상태에 있던 탄성부재(123a)의 신장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게 된다. 즉, 경사 가이드 면(123b)의 최고 지점 및 최저 지점의 높이 차이 만큼 강제로 상승 이동하게 된다. 이때 버튼(123)은 하강 이동시와 마찬가지로 승강 가이드 홈(123e)이 이에 끼워진 내캡(121)의 승강 가이드 편(121d)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직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버튼(123)이 상승 이동됨에 따라 피스톤 역시 상승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피스톤의 흡인력에 의해 용기(110)의 내부에 충전된 화장 내용물을 유리관(122)의 내부로 흡입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버튼(123)이 상승 이동된 상태에서 외캡(125)을 계속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상기 내캡(121)의 개폐 조작공간(121c-1)을 따라 회전되던 개폐 조작편(125b)은 일 측의 수직 걸림벽(121c-2)에 걸려지면서 외캡(125)과 내캡(121)이 동시에 회전 조작되어지고, 이때 내캡(121)의 스톱돌기(126b)는 용기(110)의 스톱돌기홈부(126a)로 부터 강제로 벗어나게 되고, 이를 통해 스포이트(120)는 용기(110)로부터 완전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스포이트(120)의 버튼(123)의 가압부(123d)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내캡(121)을 기준으로 버튼이 강제 하강 이동되고, 동시에 그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124)의 압축력에 의해 유리관(122)의 내부로 흡입된 화장 내용물이 외부로 최종 토출되어 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강제로 가압하고 있던 버튼(123)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버튼(123)은 다시 탄성부재(123a)의 반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장 내용물을 다시 사용하거나, 또는 스포이트(120)를 용기(110)에 결합하여 휴대 보관하는 경우에는 다시 외캡(12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버튼(123)은 다시 하강 이동 조작되고, 또 외캡의 개폐 조작편(125b)이 내캡(121)의 외부 지지관(121c)에 형성된 개폐 조작공간(121c-1)을 따라 회전하면서 타 측의 수직 걸림벽(121c-2)에 걸림됨과 동시에 내캡(121)을 함께 회전 조작하게 되고, 이를 통해 외캡(125) 및 내캡(121)이 동시에 닫힘 회전되고, 계속해서 닫힘 조작하는 동작을 통해 내캡(121)의 스톱돌기(126b)가 용기(110)의 스톱돌기홈부(126)에 강제 걸림되는 것에 의해 스포이트(120)의 닫힘 결합 상태가 완료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캡(125)의 개방 또는 폐방 회전 조작을 통해 스포이트(120)를 용기(120)에 대하여 결합 또는 분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스포이트(120)를 용기(110)로부터 분리 개방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유리관(122)의 내부로 화장 내용물이 흡입되어지고, 또 용기(110)로부터 스포이트(120)를 분리한 후 상승 이동된 상태에 있는 버튼(123)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화장 내용물의 토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장 내용물의 흡입 및 토출 사용이 매우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버튼(123)의 승 하강 조작시, 버튼(123) 및 내캡(121)의 외부 지지관(121c)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승강 가이드 홈(123e) 및 승강 가이드 편(121d)에 의해 일 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안정적인 승 하강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버튼(123)의 상승 이동 조작시, 즉, 용기(110)로부터 스포이트(120)의 분리 조작시, 화장 내용물이 유리관(122)의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는 외캡(125) 만이 일정 구간 회전 조작되고, 화장 내용물의 흡입 동작이 완료된 후 내캡(121)과 함께 회전 조작되면서 용기(110)로부터 분리되어 짐에 따라 화장 내용물의 흡입 동작이 매우 부드럽고, 신속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화장용 오토 드롭퍼 110: 용기
112: 주입구 120: 스포이트
121: 내캡 121a: 결합부
121a-2: 회전 가이드 홈 121b: 실린더
121c: 외부 지지관 121c-1: 개폐 조작공간
121c-2: 수직 걸림벽 121d: 승강 가이드 편
122: 유리관 123: 버튼
123a: 탄성부재 123b: 경사 가이드면
123e: 승강 가이드 홈 121f: 수직단관
124: 피스톤 125: 외캡
125a: 가압편 125b: 개폐 조작편
125c: 회전 가이드 돌기 126: 스토퍼수단
126a: 스톱돌기홈부 126b: 스톱돌기
127,128: 제1 및 제2패킹 130: 와이퍼

Claims (8)

  1. 주입구(112)를 통해 내부에 화장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110)와;
    상기 용기(110)의 주입구(112)에 대해 개방조작시, 용기(110)의 내부에 충전된 화장 내용물을 강제 흡입하고, 또 용기의 주입구(112)로부터 완전 분리 후 버튼(123)을 탄성 가압하는 것에 의해 화장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사용하게 되는 스포이트(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포이트(120)는, 용기(110)의 주입구(112)에 대해 개폐 조작되는 결합부(121a) 및 실린더(121b)를 갖는 내캡(121)과; 상기 내캡(121)의 내부에 결합되어져 주입구(112)를 통해 용기(110)의 내부로 출입되는 유리관(122)과; 상기 내캡(121)의 실린더(121b) 외측으로 커버되어 짐과 동시에 내캡(121)의 결합부(121a) 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23a)로 탄력 받침되고, 또 그 외주면으로는 경사 가이드면(123b)이 단턱지게 대향 형성된 버튼(123)과; 상기 버튼의 고정리브(123c)에 결합되어 짐과 동시에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121b)의 내벽을 따라 승 하강되도록 탄성 밀착되는 구조의 피스톤(124)과; 상기 버튼(123)의 가압부(123d)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그 하단부가 내캡(121)의 결합부(121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됨과 동시에 상단 내주면으로는 상기 버튼(123)의 외주면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각 경사 가이드면(123b)에 상호 걸림 가이드되는 가압편(125a)이 형성되고, 또, 상기 가압편(125a)의 하부로는 내캡(121)의 실린더(121b) 외측에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외부 지지관(121c)에 대하여 대향되게 절제 형성된 개폐 조작공간(121c-1) 범위 내에서 회전되고 동시에 좌우 양 측의 수직 걸림벽(121c-2)에 각각 걸림 조작되어 지면서 내캡(121)의 동시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 조작편(125b)이 형성된 외캡(125)과; 상기 외캡(125)의 가압편(125a)이 경사 가이드면(123b)을 따라 회전 개폐 조작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내캡(121)이 따라도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수단(126);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기(110)에 대하여 스포이트(1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외캡(125)의 가압편(125a)이 버튼(123)의 경사 가이드면(123b)의 최고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버튼(123)이 탄성부재(123a)를 압착시키면서 하강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상기 용기(110)에 대하여 스포이트(120)를 회전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외캡(125)의 가압편(125a)이 버튼(123)의 경사 가이드면(123b)의 최저 지점에 위치되어 지면서 상기 버튼(123)이 탄성부재(123a)의 신장력에 의해 상승 이동됨과 동시에 피스톤(124)의 흡인력에 의해 화장 내용물이 유리관(122)의 내부로 흡입되어 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121)의 결합부(121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외캡(125)은 그 하단부 내주면으로 형성된 회전 가이드 돌기(125c)가 상기 결합부(121a)의 대응 외주면으로 형성된 회전 가이드 홈(121a-2)에 상호 탄성 결합되어지는 것에 의해 서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호 회전자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121)의 외부 지지관(121c)으로는 승강 가이드 편(121d)을 대향되게 형성하고, 또 상기 버튼(123)의 외주면으로는 상기 승강 가이드 편(121d)이 끼워지는 승강 가이드 홈(123e)을 대향되게 형성하여 버튼(123)의 승 하강 작동시, 상기 승강 가이드 편이 승강 가이드 홈에 대해 수직적으로 안내 이동되어 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126)은, 용기(110)의 주입구(112) 하단 외측에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 스톱돌기홈부(126a) 및 내캡(121)의 하단 내주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스톱돌기(126b)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트(120)는, 내캡(121)의 내부로 결합되는 유리관(122)의 상면을 기밀함과 동시에 실린더(121b)를 따라 승 하강하는 피스톤(124)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기밀 받침하기 위한 제1패킹(1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트(120)는, 용기(110)의 주입구(112) 상면을 기밀하기 위하여 내캡(121)의 결합부 내측에 구비되는 제2패킹(12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트(120)의 내캡(121)으로는 이의 내부에 끼워지는 유리관(122)의 안정된 끼움 받침을 위한 수직단관(121f)이 하부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화장용 오토 드롭퍼(100)는,
    용기(110)로 부터 스포이트(120)를 분리하는 경우, 용기(110)의 주입구(112) 내부에 결합되어져 스포이트(120)의 유리관(122) 외주면에 묻은 화장 내용물을 제거해주기 위한 와이퍼(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오토 드롭퍼.
KR1020210055244A 2021-04-28 2021-04-28 화장용 오토 드롭퍼 KR10251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244A KR102516937B1 (ko) 2021-04-28 2021-04-28 화장용 오토 드롭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244A KR102516937B1 (ko) 2021-04-28 2021-04-28 화장용 오토 드롭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12A KR20220148012A (ko) 2022-11-04
KR102516937B1 true KR102516937B1 (ko) 2023-04-03

Family

ID=8404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244A KR102516937B1 (ko) 2021-04-28 2021-04-28 화장용 오토 드롭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9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02Y1 (ko) 2012-11-27 2014-02-27 펌텍코리아 (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74769Y1 (ko) * 2013-08-21 2014-10-16 (주)톨리코리아 회전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200484156Y1 (ko) 2016-04-14 2017-08-07 이종남 정량취출 기능을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2150366B1 (ko) * 2020-03-20 2020-09-01 주식회사 창신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375B1 (ko) 2016-05-05 2017-08-31 최종서 화장품 용기용 캡
KR102179354B1 (ko) 2019-04-03 2020-11-17 (주)민진 스프링 없는 스포이드형 에코 오토드롭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02Y1 (ko) 2012-11-27 2014-02-27 펌텍코리아 (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74769Y1 (ko) * 2013-08-21 2014-10-16 (주)톨리코리아 회전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200484156Y1 (ko) 2016-04-14 2017-08-07 이종남 정량취출 기능을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2150366B1 (ko) * 2020-03-20 2020-09-01 주식회사 창신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12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5866B (zh) 旋转挤压式化妆品容器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1387624B1 (ko)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립글로스 화장품 용기
KR200457521Y1 (ko) 밀폐식 화장품용기
KR101542590B1 (ko) 역립타입 용기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2011701B1 (ko) 버튼 출몰식 용기
KR200459352Y1 (ko) 승강출몰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337069B1 (ko)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KR102017318B1 (ko) 디스펜서 펌프
KR102516937B1 (ko) 화장용 오토 드롭퍼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US20230302474A1 (en) Content container
KR102359569B1 (ko) 스포이트 정량 펌핑 캡 구조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KR101902268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102272109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CN113371306A (zh) 能够将内容物全部排出使用的无气式两类内容物混合容器
KR101385944B1 (ko) 내용물 배출용 에어리스 펌프의 사이드 버튼
KR200426428Y1 (ko)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KR101681018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KR200460286Y1 (ko) 분말화장품용기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