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177Y1 - 트랙보올 - Google Patents

트랙보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177Y1
KR940004177Y1 KR2019900015734U KR900015734U KR940004177Y1 KR 940004177 Y1 KR940004177 Y1 KR 940004177Y1 KR 2019900015734 U KR2019900015734 U KR 2019900015734U KR 900015734 U KR900015734 U KR 900015734U KR 940004177 Y1 KR940004177 Y1 KR 940004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bowl
encoder
rot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759U (ko
Inventor
아끼히또 후지이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7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랙보올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상부판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입력스위치와 캔셀(cancel) 스위치를 장착한 예의 평면도.
제4도는 그 정면도.
제5도는 종래의 트랙보올을 간략하게 표시한 상부판을 떼어낸 평면도.
제6도는 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케이스 11a : 상부판
11b : 바닥판 11c : 좌측판
11d : 앞면판 11e : 배면판
11f : 우측판 12 : 보올
13x : x축용 종동(從動)로울러 13y : y축용 종동로울러
14x :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 14y : y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
16 : 지지용 로울러 17 : 지지부
18 : 지지부 19 : 베어링
21 : 베어링 22 : 지지대
23 : 베어링 24 : 베어링
25 : 지지부 26x : x축용 인코우더축
26y : y축용 인코우더축 27 : 지지부
28 : 지지부 29 : 베어링
31 : 베어링 32 : 베어링
33 : 지지부 34 : 베어링
35x : 벨트 35y : 벨트
36x : 프린트기판 36y : 프린트기판
37x : 접편 37y : 접편
38x : 지지판 38y : 지지판
41 : 스위치 42 : 스위치
본 고안은 보올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이 x방향성분의 회전과 y방향성분의 회전으로 분해되고, 이들 x방향성분의 회전량과 그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신호와, y방향성분의 회전량과 그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고, 예를 들면 이들 신호를 퍼어스널컴퓨터에 입력하므로서, 그 표시면상의 커어서(cursor)를 이동시키는 일에 사용되는 트랙보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랙보올은 제5도 및 제6도에 간략화해서 표시하고 있으나, 사각형 케이스(11) 내에 보올(12)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되고, 보올(12)은 케이스(11)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있으며, 케이스(11)내에 서로 직각으로 연장하고, 또한 보올(12)과 각각 둘레면이 마찰결합한 x축용 종동(從動)로울러(13x)와 y축용 종동로울러(13y)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x축용 종동로울러(13x) 및 y축용종동로울러(13y)의 각각의 축에 각각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x) 및 y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5y)가 장착되어 있다.
보올(12)이 회전되면, 그 x방향의 회전성분과, y방향의 회전성분에 따라 각각 x축용 종동로울러(13x), y축용 종동로울러(13y)이 보올(12)의 회전과 종동 회전하고, x축용 종동로울(13x)의 회전량과 그 회전방향에 따른 신호가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x)로부터 출력되고, y축용 종동로울러(13y)의 회전량과 그 회전방향에 따른 신호가 y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y)로 부터 출력된다.
또한 로우터리인코우더(14x), (14y)로서 광학식의 것이 사용되는 경우는, 소정의 패턴의 슬릿이 형성된 차광판이 로울러(13x), (13y)의 각각의 축에 장착되며, 그 각 차광판의 양쪽에 대향해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배설된다.
인코우더(14x), (14y)로서 기계식의 것이 사용되는 경우는 소정의 도전성 점점 패턴이 형성된 프린트기판이 로울러(13x), (13y)의 각각의 축에 각각 장착되고, 이들 프린트기판의 패턴면에 각각 접편이 접동해서 접촉된다.
즉, 로우터리인코우더(14x), (14y)는 광학식, 기계식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회전판이 로울러(13x), (13y)의 축에 장착된다.
종래에는 이 비교적 큰 회전판을 x축용 종동로울러(13x) 및 y축용 종동로울러(13y)의 각각의 축에 직접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의 검출정밀도를 소정치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로우터리인코우더(14x), (14y)에 사용하는 회전판(상기 차광판 또는 상기 프린트기판)으로서 직경이 예를들면 10mm 이상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이 비교적 큰 회전판을 케이스(11)내에 수용하고, 또한 보올(12)이 케이스(11)의 상부면으로부터 어느 정도이상 돌출하여 조작성이 양호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올(12)을 크게 하지 않을 수 없어서, 전체적으로 형상이 큰 것으로 되어 있었다. 종래에는 보올(12)의 직경이 예를들면 약 40mm 이상의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x축용 종동로울러 및 y축용 종동로울러에 각각 로우터리인코우더를 장착하는 일없이, x축용 종동로울러 및 y축용 종동로울러와 각각 평행하고, 또한 이들보다도 케이스의 바닥면쪽에 위치한 x축용 인코우더축 및 y축용 인코우더축이 배설되고, x축용 종동로울러의 회전은 x축용 회전전달수단에 의해 x축용 인코우더축에 전달되고, y축용 종동로울러의 회전은 y축용 회전전달 수단에 의해 y축용 인코우더축에 전달되고, 이들 x축용 인코우더축 및 y축용 인코우더축에 각각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 및 y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가 장착된다.
로우터리인코우더가 각각 장착된 x축용 인코우더축과 y축용 인코우더축이, x축용 종동로울러 및 y축용 종동로울러보다도 케이스의 바닥면쪽으로 위치해 있기 때문에, 로우터리인코우더의 각 회전판을 비교적 크게해도, 비교적 작은 보올이라도 케이스의 상면으로 부터 비교적 높게 돌출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는 가늘고 긴 직육면체가 되고, 케이스(11)의 상부판(11a)의 중앙부에 원형개구(15)가 열려있다. 원형개구(15)로 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보올(12)이 케이스(11)내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보올(12)의 중심보다 약간 아래에 있어서 x축용 종동로울러(13x)와 y축용 종동로울러(13y)가 둘레면을 보올(12)과 마찰접촉해서 배치되고, x축용 종동로울러(13x)와 y축용 종동로우터리(13y)는 케이스(11)의 바닥판(11b)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직각이며, x축용 종동로울러(13x)는 케이스(11)의 좌측판(11c)과 평행하고, y축용 종동로울러(13y)는 케이스(11)의 앞면판(11d)과 근접해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보올(12)의 중심보다 약간 아래에 있어서, x축용 종동로울러(13x) 및 y축용 종동로울러(13y)와 보올(12)에 대하여 반대쪽이고, 또한 이들 양로울러(13x), (13y)와 대략 45°를 이루는 지지용 로울러(16)의 둘레면이 보울(12)에 회전접촉되어 있다.
앞면판(11d), 배면판(11e)의 각 내면에 대향해서 비닥판(11b)로 부터 지지부(17), (18)가 일체적으로 세워지고, 지지부(17), (18)에 대향해서 베어링(19), (21)이 각각 장착되고, 이들 베어링(19), (21)에 x축용 종동로울러(13x)의 양단부의 축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또 보올(12)에 대하여 x축용 종동로울러(13x)와 반대쪽에 있어서, 앞면판(11d)에서부터 중앙부로 연장된 지지대(22)가 바닥판(11b)으로 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지고, 지지부(17)와 지지대(22)와의 대향면에 각각 베어링(23), (24)이 끼워넣어져서 장착되고, 이들 베어링(23), (24)에 y축용 종동로울러(13y)의 양단부의 축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또, 바닥판(11b)에 ㄷ자형상 지지부(25)가 일체적으로 세워지고, 그 ㄷ자형상 지지부(25)의 양다리부 사이에 지지용 로울러(16)의 양단부의 축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개구(15)의 직경은 보올(12)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것으로 되고, 보올(12)이 개구(15)의 둘레면에 자유롭게 접동할 수 있도록 접한 상태에서 보올(12)에 로울러(13x), (13y), (16)의 각 둘레면이 회전접촉해서 보올(12)이 케이스(11)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또 보올(12)을 회전하면 이에 따라서 x축용 종동로울러(13x) 및 y축용 종동로울러(13y)가 회전한다.
x축용 종동로우터리(13x)와 평행하고, 또한 이것보다도 바닥판(11b) 쪽으로 위치한 x축용 인코우더축(26x)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x축용 인코우더축(26x)은 x축용 종동로울러(13x)와 좌측판(11c)쪽에서 나란히 배설된 경우이다. x축용 인코우더축(26x)은, 바닥판(11b)에 일체적으로 세워진 지주(27), (28)에 장착된 베어링(29), (31)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또 y축용 종동로울러(13y)와 평행하고, 또한 이것보다도 바닥판(11b) 쪽에 위치한 y축용 인코우더축(26y)이 배설된다. 도시예에서는 y축용 인코우더축(26y)은 앞면판(11d)과 배면판(11e)과의 중간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y축용 종동로울러(13y)의 일단부와 대향하도록, 축방향으로 어긋나게해서 배치되어 있다. y축용 인코우더축(26y)은, 지지대(22)에 장착된 베어링(32)과, 우측판(11f)에 일체적으로 배설된 지지부(33)에 장착된 베어링(34)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x축용 종동로울러(13x)와 x축용 인코우더축(26x)과의 사이에, x축용 회전전달수단으로 벨트(35x)가 팽팽하게 가설되어, x축용 종동로울러(13x)의 회전이 x축용 인코우더축(26x)에 전달된다. 또 y축용 종동로울러(13y)와 y축용 인코우더축(26y)과의 사이에 y축용 회전전달수단으로서 벨트(35y)가 팽팽하게 가설되어, y축용 종동로울러(13y)의 회전이 y축용 인코우더축(26y)에 전달된다.
x축용 인코우더축(26x)에는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x)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x)로서 기계식의 것을 사용하였을 경우로서, 접점패턴이 형성된 프린트기판(36x)이 x축용 인코우더축(26x)에 장착되며, 이 프린트기판(36x)에 접편(37x)의 일부단가 탄성적으로 접촉되고, 접편(37x)의 타단부는 지지판(38x)에 고정되며, 지지판(38x)은 바닥판(11b)에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y축용 인코우더축(26y)에 y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y)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점패턴이 형성된 프린트기판(36y)이 y축용 인코우더축(26y)에 장착되며, 프린트기판(36y)에 접편(37y)의 일단부가 접촉되고, 접편(37y)의 타단부는 지지판(38y)에 고정되며, 지지판(38y)은 바닥판(11b)에 장착된다. 접편(37x), (37y)의 각 고정부는 케이스(11)의 바닥판(11b)으로 부터 외부로 돌출되어서 단자로 되어 있다.
보올(12)이 회전되면, 그 회전의 x성분에 따라서 x축용 종동로울러(13x)가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x축용 인코우더축(26x)이 회전하여,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x)로 부터 보올(12)회전의 x성분의 회전량과 그 회전방향에 대응한 신호를 얻게 되며, 마찬가지로 보올(12)회전의 y성분에 따라서 y축용 종동로울러(13y)가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y축용 인코우더축(26y)이 회전하여, y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y)로부터 보올(12) 회전의 회전량과 그 회전 방향에 대응한 신호를 얻게 된다.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x) 및 y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y)는 광학적인 것 또는 그 외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벨트(35x), (35y) 대신에 기어등 다른 회전전달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케이스(11)의 상면양단부에, 보올(12)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예를들면 커어서를 이동시켜, 그 이동위치를 입력시키기 위한 스위치(41)와, 그 입력을 취소하기 위한 스위치(42)를 배설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x축용 종동로울러(13x) 및 y축용 종동로울러(13y)에 의해 각각 x축용 인코우더축(26x) 및 y축용 인코우더축(26y)을 x축용 종동로울러(13x) 및 y축용 종동로울러(13y)보다도 각각 낮게 배설하고, 이들 x축용 인코우더축(26x) 및 y축용 인코우더축(26y)에 각각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x) 및 y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y)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로우터리인코우더(14x), (14y)의 회전판(실시예에서는 프린트기판(36x), (36y))의 직경을 크게 하고, 충분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게 하였을 경우에 보올(12)을 비교적 작게 해도, 보올(12)을 케이스(11)의 상면으로 부터 조작성이 양호할 정도로 충분히 돌출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회전판의 직경을 10mm로 하였을 경우, 종래에는 보올(12)의 직경을 40mm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보올(12)의 직경을 약 13mm로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x축용 인코우더축(26x) 및 y축용 인코우더축(26y)을 사용하므로서,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x)와 y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y)를 보올(12)의 양쪽에 배치하고, 즉, 이들을 1열로 배열하여 케이스(11)를 가늘고 길게 구성하는 동시에 케이스(11)내의 공간을 낭비없이 유효하게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소형화 할 수 있다.

Claims (1)

  1. 상면에 개구(15)를 가진 케이스(11)와, 상기 개구(15)로 부터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케이스(11) 내에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된 보올(12)과, 그 보올(12)의 회전에 종동해서 회전하고, 축심이 서로 직각으로 상기 케이스(11)내에 배치된 x축용 종동로울러(13x) 및 y축용 종동로울러(13y)와, 이들 x축용 종동로울러(13x) 및 y축용 종동로울러(13y)와 각각 평행하고, 또한 이들에 대해서 케이스(11)의 바닥면쪽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내(11)에 배설된 x축용 인코우더축(26x) 및 y축용 인코우더축(26y)과, 상기 x축용 종동로울러(13x) 및 y축용 종동로울러(13y)의 각 회전을 각각 상기 x축용 인코우더축(26x) 및 y축용 인코우더축(26y)에 전달하는 x축용 회전전달수단(35x) 및 y축용 회전전달수단(35y)과, 상기 x축용 인코우더축(26x) 및 y축용 인코우더축(26y)에 각각 장착되고, 그 회전량 및 회전방향과 대응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x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x) 및 y축용 로우터리인코우더(14y)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보올.
KR2019900015734U 1989-10-16 1990-10-16 트랙보올 KR94000417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0854 1989-10-16
JP1989120854U JPH0542515Y2 (ko) 1989-10-16 1989-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759U KR910007759U (ko) 1991-05-29
KR940004177Y1 true KR940004177Y1 (ko) 1994-06-22

Family

ID=1479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734U KR940004177Y1 (ko) 1989-10-16 1990-10-16 트랙보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42515Y2 (ko)
KR (1) KR940004177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0381A (en) * 1981-02-16 1981-09-21 Seiko Epson Corp Small printer
JPS6142637U (ja) * 1984-08-15 1986-03-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ソル移動指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63238U (ko) 1991-06-20
KR910007759U (ko) 1991-05-29
JPH0542515Y2 (ko) 199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8961A (en) Track ball
JP4055281B2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US4581609A (en) X-Y position input device for display system
KR930004013Y1 (ko) X-y 방향 입력장치
KR900003066Y1 (ko) 광학식 로타리 인코더
KR940004177Y1 (ko) 트랙보올
KR920018542A (ko) 타이머 시간설정장치
US5278364A (en) Rotary switch
US5884407A (en)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al changes
KR20060045462A (ko) 회전각 검출장치
CA1051193A (en) Probe for a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US4920341A (en) Magnetic rotary encoder device
CN113406769B (zh) 一种平面镜微调装置
KR20020009549A (ko) 볼륨일체형 다방향 입력장치
KR20010091949A (ko) 다방향 입력장치
MY125643A (en) Gear psotion detecting apparatus
US10832879B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371230B1 (ko) 중량검출장치 및 전자레인지
JP2541343Y2 (ja) 電子計器の操作装置
JPH0571940U (ja) X−y座標入力装置
JPH10170796A (ja) レンズ鏡筒
JPH0132132Y2 (ko)
GB2156497A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tracker ball
JP2001075727A (ja) ボリューム一体型多方向入力装置
JP2017120817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