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099Y1 - 폐수처리용 증발 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용 증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099Y1
KR940004099Y1 KR2019910008123U KR910008123U KR940004099Y1 KR 940004099 Y1 KR940004099 Y1 KR 940004099Y1 KR 2019910008123 U KR2019910008123 U KR 2019910008123U KR 910008123 U KR910008123 U KR 910008123U KR 940004099 Y1 KR940004099 Y1 KR 940004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heating furnace
steam
bur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783U (ko
Inventor
김병서
Original Assignee
김병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서 filed Critical 김병서
Priority to KR2019910008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099Y1/ko
Publication of KR930000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16Evaporating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8Purification of waste water by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by direct contact with a particulate solid or with a fluid, as a heat transfer medium
    • C02F1/12Spray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수처리용 증발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기 위한 설치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가열로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노 2 : 폐수 파이프
3 : 폐수 분사 노즐 4 : 폐수 고급 밸브
5 : 내화벽돌 6 : 버너
7 : 배기통 8 : 감속기
9 : 커플링 10 : 회전축
11 : 베벨기어 12 : 축봉
13 : 슬랙제거날 14 : 잔넬
15 : 온도감지센서 17 : 증기배출닥트
M : 모우터
본 고안은 폐수를 공급한후 가열하면서 슬랙(SLAG)제거날의 회전에 의해 폐수중의 수분을 증발시켜 폐수를 처리하도록 하는 폐수처리용 증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폐수처리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며 처리시 여러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시설비의 소모가 큰 결점이 있었다.
또한, 유지비의 소모가 크므로 폐수처리 시설을 갖추어 놓고서도 그대로 하천에 방류해 버리게 되므로 하천 오염의 주범이 되었으며, 최근에 와서는 각종 환경오염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에서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폐수를 투입한후 열원(경유. 스팀)에 의해 폐수중의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서 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가열시 발생되는 슬랙은 제거날의 회전에 의해 폐수의 점도에 따라 페인트 성분이 사라진 재상태의 소량이 발생되어 처리가 편리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은 폐수공급밸브를 통과된 폐수가 폐수파이프의 폐수 분사노즐을 통하여 가열노에 공급되도록하며 상기 가열노의 하측은 내화벽돌로 성형되어 일측의 버너에서 열공급이 되도록하고 반대쪽에서 배기되도록 구성시킨다.
또한 모우터의 동력을 벨트로 전달하여 감속기로 감속시킨후 커플링과 회전축을 통하여 한쌍의 베벨기어로 전달되며 그 하측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서로다른 다수의 슬랙제거날을 회전시켜 가열노의 슬랙제거와 폐수를 섞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버너에 의해 공급된 열이 가열노를 가열하여 폐수중의 수분이 증발되어 증기배출닥트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측으로 폐수공급밸브(4)가 설치된후 가열노(1)의 내측벽에 고정되며 다수의 폐수분사노즐(3)를 갖는 폐수파이프(2)와, 상기 가열노(1)의 하측에서 내화벽돌(5)로 설치되며 일측으로 경유를 연소시키는 열원인 버너(6)가 설치되고 그 반대쪽에 배기통(7)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가열노(1)의 일측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버너(6)의 점화 및 소화를 자동조절하는 컨트롤부(16)와, 상기 가열노(1)의 외측벽에 설치되는 모우터(M)와 감속기(8)를 벨트(V)로 연결한 후 커플링(9)을 통하여 회전축(10)으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가열노(1)의 중앙상측을 가로질러 설치된 잔넬(14)상에서 상기 회전축(10)이 베어링(B)으로 축 설치하고 그 선단에서 한쌍의 베벨기어(11)에 의해 동력이 90°꺽여 축봉(12)에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축봉(12)의 하측에서 가열노(1)의 바닥과 접촉되며 다방향으로 돌출길이가 서로 다른 슬랙제거날(13)을 다수개 구성시킨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폐수공급밸브(4)를 열어 폐수파이프(2)로 폐수를 공급하면 다수의 폐수분사노즐(3)를 통하여 폐수가 분사되어 가열노(1)상에 공급된다.
이때 컨트롤(16)를 동작시켜 버너(6)로 경유가 공급되면서 점화되도록 하여 가열노(1)가 일정온도(300℃)로 상승되도록 하며, 동시에 모우터(M)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회전력이 벨트(V)를 통하여 감속기(8)에서 감속된 후 커플링(9)을 통하여 회전축(10)선단에서 한쌍의 베벨기어(11)에 의해 동력이 90°꺽이면서 축봉(12)을 회전시켜 다수의 슬랙제거날(13)이 회전되면서 폐수를 섞는다.
그러면 폐수는 일정온도로 상승됨에 따라 가열되면서 수증기가 증발되며 이 증기는 증기배출닥트(17)를 통하여 배출되고 버너(6)에 의해 경유가 연소되면서 내화벽돌(5) 내부에 일정기간 체류 한후 배기통(7)을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버너(6)는 가열노(1) 일측의 온도감지센서(15)에 의해 온도가 감지되며 일정온도(300℃)이상이 되면 컨트롤부(16)에 의해 버너(6)를 소화시키며 일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점화시켜 항상 일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열효율의 극대화가 가능하고 열손실이 방지된다.
한편 버너(6)의 가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폐수의 슬랙은 슬랙제거날(13)을 회전시켜 제거하며 폐수의 점도에 따라 페인트성분이 사라진 재상태의 소량만 남게 되므로 처리에 어려움이 없게 된다.
또한 가열노(1)의 크기가 가로 1500×세로 2000일 경우 1일처리 능력이 800kg 정도에 달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5도에서와 같이 열원을 스팀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가열노(1)의 하측으로 스팀체류공간(18)을 설치하며 일측으로 스팀입구(19)와 반대측에 스팀출구(20)를 설치하여 가열노(1)에 폐수를 공급한 후 스팀입구(19)로 스팀을 스팀체류공간(18)에 공급하여 약 300℃정도로 가열하면 폐수의 수분이 증발되어 증기배출닥트(17)를 통하여 배출되며 스팀출구(20)로 스팀체류공간(18)의 스팀을 배출시키면 되므로 스팀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폐수를 사용하여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폐수를 공급한후 하측에서의 가열에 의해 일정온도로 가열노를 가열하면서 다수의 슬랙제거날을 회전시키면 폐수중의 수분이 증발되어 배출되므로 슬랙(SLAG)이 없이 폐수를 증발식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의 소모가 작아 누구나 설치 및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일측으로 배기통(7)과 버너(6)가 형성되며 내화벽돌(5)상에 설치되는 가열노(1)측벽에 설치되고 폐수공급밸브(4)와 다수의 폐수분사노즐(3)을 갖는 폐수파이프(2)와, 상기 가열노(1)의 일측에 설치된 모우터(M)의 동력을 감속기(8)를 통해 감속시킨후 잔넬(14)상에서 축설치된 회전축(10) 선단으로 한쌍의 베벨기어(11)가 설치되며 상기 베벨기어(11) 하측의 축봉(12)선단에서 가열노(1)와 접촉되고 돌출길이가 서로 다르게 다방향으로 돌출된 슬랙제거날(13)과, 상기 가열노(1)상으로 폐수의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닥트(17)를 구성시킨 폐수처리용 증발장치.
KR2019910008123U 1991-06-01 1991-06-01 폐수처리용 증발 장치 KR940004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123U KR940004099Y1 (ko) 1991-06-01 1991-06-01 폐수처리용 증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123U KR940004099Y1 (ko) 1991-06-01 1991-06-01 폐수처리용 증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783U KR930000783U (ko) 1993-01-20
KR940004099Y1 true KR940004099Y1 (ko) 1994-06-20

Family

ID=1931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123U KR940004099Y1 (ko) 1991-06-01 1991-06-01 폐수처리용 증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0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783U (ko)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8527B2 (en) Hazardous waste multi-sectional rotary kiln incinerator
KR100543550B1 (ko) 고압 에어 선회식 가스화 버너
EP02478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containing organic contaminants
PL179627B1 (pl) Instalacja do pirolizy odpadów PL PL PL
JP2003214768A (ja) 過熱蒸気を用いた熱処理設備
WO19800007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fluid
KR940004099Y1 (ko) 폐수처리용 증발 장치
KR100254036B1 (ko) 하/폐수 슬러지의 건조 소각장치
KR200226144Y1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JPH06247784A (ja) 回転式熱処理炉
KR100500388B1 (ko) 폐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20000054505A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100246080B1 (ko) 직가열식 폐수증발농축장치
KR101367224B1 (ko) 가연성 고형 폐기물을 연료로 하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
RU2282788C1 (ru) Установка обезвреживания и уничтожения твердых отходов
KR20010103331A (ko) 슬러지와 폐기물 소각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3658016A (en) Incinerator
SU1177623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материалов
PL81621B1 (ko)
KR920004203Y1 (ko) 산업폐기물 소각로를 이용한 액상폐기물 처리장치
KR100255194B1 (ko) 이중 순환식 유동층 연소장치
RU20239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невого обезвреживания сточных вод
KR100507991B1 (ko) 슬러지 소각처리장치
EP0836051A2 (en) Linked rotary kiln incinerator
SU887884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безвреживани отх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