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089Y1 - 냉각수 및 연료 절약형 증류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수 및 연료 절약형 증류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089Y1
KR940004089Y1 KR2019910007094U KR910007094U KR940004089Y1 KR 940004089 Y1 KR940004089 Y1 KR 940004089Y1 KR 2019910007094 U KR2019910007094 U KR 2019910007094U KR 910007094 U KR910007094 U KR 910007094U KR 940004089 Y1 KR940004089 Y1 KR 940004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steam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7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007U (ko
Inventor
이선재
Original Assignee
이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재 filed Critical 이선재
Priority to KR2019910007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089Y1/ko
Publication of KR920021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0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64Feeding of liquid into an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28Evaporating with vapour compression
    • B01D1/289Compressor features (e.g. constructions, details, cooling, lubrication, driv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각수 및 연료 절약형 증류수 제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용기 2 : 가열실
3 : 외피 7 : 수위감지관
9 : 스팀이송관 9-1 : 이송관
10 : 열교환관 13 : 냉각통
14 : 받침체 A : 가열장치부
B : 응축장치부
본 고안은 공지의 증류수 제조 시스템을 개량하여 된 것으로서, 공급수를 스팀의 응축을 위한 냉각수로 1차 활용하고 상기 스팀관을 통과 한 상기 공급수가 1차 가온화 되어 가열용기 내로 인입되는 공급수로 이용됨으로 연료를 절약하고 또한 급가열에 의한 폐단을 방지코져 한 것이다.
종래의 스템제조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열용기(30)의 가열을 중지한 다음 물 공급관(31)의 밸브를 작동시켜 가열용기 내의 물 공급 방법에 의해 물을 충진하여 가열스팀에 의한 가열을 하게 됨으로써, 공급수의 보충시 때마다 물 공급관(31)의 밸브 작동 작업과, 상기 가열용기(30)을 저면까지 외피(32)로 구성시켜 스팀으로 가열함에 따라서 고온의 가열스팀이 용기(20) 측면과 같이 저면을 동시 가열케 되어 용기내에 고압이 형성되어짐에 따라 용기 저면부에는 응축된 이물질 및 용기 내피 팽창에 의한 표피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스팀이 이송관(33)을 통하여 응축장치부(34)로 이송 응축되어 증류수를 만들고 있으나 상기 응축장치부(34)는 플랜지로 조립 체결되는 몸체(35)와 측부에는 만곡형 결합체(36)로 구성 체결하되 상기 원통형의 몸체(35)에는 밀봉되는 측판(37)으로 밀봉하고 이에 냉각관(38)을 다수 융착 구성시켜 몸체(35) 상단의 냉각수 주입구(39) 및 저면의 배출구(40)에 의해 냉각수의 공급과 상기 냉각수의 직배출을 방지하는 격판(41)을 상기 몸체(35) 내에 구성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냉각수를 무한정 사용 배출되는 폐단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각관(38)의 마모 및 이물질에 의한 결함시에는 응축장치부 전체를 폐기하는 비경제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반 문제점을 시정코져 한 본 고안은, 공급수를 이용하여 1차의 냉각수로 활용함과 상기에서의 열교환으로 발생된 가온효과로 1차 가열된 공급수를 가열용기로 주입함으로써 연료 절약의 효과를 얻게됨과 더불어 그 구성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형성되어 제작과 수리에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열장치부(A)와 응축장치부(B)로 구성되는 스팀제조기에 있어서, 가열용기(1)의 측면 외주연에 가열실(2)이 형성되도록 한 보온재로 된 외피(3)를 구성시켜 저면에는 가열스팀 응축수 배출구(4)를 형성하고, 상기 가열실(2) 상단부에는 링형의 분출관(5)을 구성, 가열 스팀 주입관(6)과 연결 구성하며, 상기 가열용기(1)에는 수위감지관(7)을 돌출 구성하여 수위감지기(8)을 장착 전자변(18)과 접속하고 상단 스팀 이송관(9)으로 나선형 열교환관(10)과 유니온(11)으로 결합 구성하되, 열교환(10) 끝단에는 증류수 배출관(12)을 형성하여 냉각통(13) 받침체(14)에 융착하고, 상기 받침체(14)는 플랜지(15)로 뚜껑(16)을 구성하는 냉각통(13)을 체결되도록하며, 또한 받침체(14)에는 보충수 공급관(17)을 연결하고 상부 냉각통(13)상단에는 이송관(9-1)으로 가열용기(1) 저면으로 연결 구성하되, 전자변(18) 및 첵크밸브(19)를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20은 트랩 바이패스 설비를 표시한 것이며, 21은 퇴수관 및 22는 고정다리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공급관(17)에 의해 냉각통(13)과 가열용기(1)내에 물이 적량 이르게 되면 수위감지관(7)의 수위감지기(8)에 의해 이송관(9-1)의 전자변(18)을 “오프”하게됨으로 적량의 물수위가 결정된다.
따라서 공지의 방법에 의한 가열스팀을 스팀주입관(6)을 통해 가열실(2) 상단의 링형 분출관(5)으로 분사시켜 가열용기(1) 측면외주면을 가열하여 내부의 물을 가열함에 따라 스팀이 발생되고, 상기 스팀은 용기(1) 상단의 스팀 이송관(9)에 의해 응축장치부(B)의 냉각통(13) 내에 구성된 나선형의 열교환관(10)을 지나면서 응축되어 증류수로 변화, 저면의 증류수 배출관(12)으로 배출케 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관(10)이 내장된 냉각통(13)내에는 냉각수가 충진 되어져 있고 스팀이 상기 열교환관(10)에 이른때 냉각수는 열교환관(10)의 열을 흡수하여 가온된 온수는 상승되어지고, 또한 가열용기(1)내의 물이 스팀으로 변화됨으로 물의 보충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가열용기(1)의 수위를 감지한 감지기(8)가 전자변(18)을 “온”하여 전기한 냉각통(13)의 가온된 물을 이송관(9-1)으로 하여금 가열용기(1)에 인입시키게 되어져 항상 필요시 물을 공급하는 장점이 있으며, 열교환관(10)에 의해 열교환으로서 1차 가온된 온수를 가열용기(1)에 충진함으로써 연료절약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냉각통 및 열교환관이 연결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청소 및 교체 작업이 극히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공급수를 열교환관으로 1차 가온시켜 가열 용기에 충진하여 가열케 됨으로써, 연료절약과 열교환관의 냉각수를 가열, 공급수로 재활용케 됨으로 냉각수의 활용에 의한 경제성이 있으며 가열용기의 측면 가열에 의하여 증기발생을 원활하고 양호한 증기를 얻게 됨으로 증류수의 질적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가열장치부(A)와 응축장치부(B)를 구성시켜 스팀이송관(9)로 연결 구성하고 고열의 스팀으로 가열용기(1)를 가열하여 증류수를 얻게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단부에 플랜지(15)로 결합되는 가열용기(1)에 돌출 수위감지관(8)을 구성, 수위감지기(8)을 장착하고 가열실(2)이 측면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외피(3)을 구성한 상기 가열실(2) 상단부에는 링형의 분출관(5)을 구성하는 가열장치부(A)와, 나선형 열교환관(10)을 내장시킨 냉각통(13) 하단을 플랜지(15)로 받침체(14)와 결합 구성하여 보충수 공급관(17)을 받침체(14)에 융착한 응축장치부(B)을, 상기 냉각통(13) 상단과 가열용기(1) 저면을 유니온(11)으로 결합되는 이송관(9-1)으로 연결하며, 가열용기(11) 상단의 스팀이송관(9)은 유니온(11)으로 나선형 열교환관(10)과 결합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및 연료 절약형 증류수 제조 장치.
KR2019910007094U 1991-05-17 1991-05-17 냉각수 및 연료 절약형 증류수 제조장치 KR940004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094U KR940004089Y1 (ko) 1991-05-17 1991-05-17 냉각수 및 연료 절약형 증류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094U KR940004089Y1 (ko) 1991-05-17 1991-05-17 냉각수 및 연료 절약형 증류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007U KR920021007U (ko) 1992-12-18
KR940004089Y1 true KR940004089Y1 (ko) 1994-06-20

Family

ID=1931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7094U KR940004089Y1 (ko) 1991-05-17 1991-05-17 냉각수 및 연료 절약형 증류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0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337A (ko) * 2001-01-16 2002-07-24 장기호 증류수 제조기
KR200445873Y1 (ko) * 2007-09-18 2009-09-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차단밸브 분해 및 조립용 리프터
KR20200025643A (ko) * 2018-08-31 2020-03-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동시 반출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337A (ko) * 2001-01-16 2002-07-24 장기호 증류수 제조기
KR200445873Y1 (ko) * 2007-09-18 2009-09-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차단밸브 분해 및 조립용 리프터
KR20200025643A (ko) * 2018-08-31 2020-03-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동시 반출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007U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9307A (en) Distillation apparatus
FI62415C (fi) Vaermepanna foer uppvaermning av ett vaermeoeverfoeringsmediumi en uppvaermningsanlaeggning
KR940004089Y1 (ko) 냉각수 및 연료 절약형 증류수 제조장치
JPS5528476A (en) Heat exchanger
JPH0816597B2 (ja) ループ型ヒートパイプ式流体加熱装置
KR840003346A (ko) 고압보일러의 동작용 방법 및 장치
KR800000162Y1 (ko) 스팀 보일러
CN106820983B (zh) 一种即热式饮水机
KR100790306B1 (ko) 전기 가열 보일러
KR200367139Y1 (ko) 열풍 기능을 가지는 온수 보일러
KR200290896Y1 (ko)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
US5676800A (en) Distilling apparatus
DE59201234D1 (de) Beheizungssystem zur kombinierten Wärmeerzeugung für eine Heizungsanlage und einen Speicherbehälter für Brauchwasser.
CN211659294U (zh) 一种显影液蒸馏系统
CN220870837U (zh) 一种热循环利用型电加热气化器
CN214230941U (zh) 一种具有蒸汽冷却收集功能的即热式热饮机
CN220398297U (zh) 一种酒蒸馏余热利用设备
SU709548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дистилл ции воды
KR800000442Y1 (ko) 급탕온수 겸 난방용 증기 발생장치
KR20000026279A (ko) 보일러의 폐열회수방법 및 장치
RU1776965C (ru) Теплова труба
SU1101219A1 (ru) Посудомоечна машина
GB2088030A (en) Hot water cylinder
US2025489A (en) Still
RU1836601C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