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972B1 -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송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송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972B1
KR940003972B1 KR1019910012834A KR910012834A KR940003972B1 KR 940003972 B1 KR940003972 B1 KR 940003972B1 KR 1019910012834 A KR1019910012834 A KR 1019910012834A KR 910012834 A KR910012834 A KR 910012834A KR 940003972 B1 KR940003972 B1 KR 94000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dtmf
dig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781A (ko
Inventor
이의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972B1/ko
Publication of KR930003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송출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확인신호 송출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 송출장치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본 발명은 전화 단말기를 이용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라인을 통해 원격 제어코드로 입력하는 다이얼 디지트 신호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원격 제어자에게 송출토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산업의 발달로 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임의기기를 작동시키는 장치 및 방법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HA(Home Automatic)시스템, 자동응답 기능을 갖는 음성처리 시스템(Voice processing system)등등 전화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 하거나 자동응답에서의 메시지 기록등을 제어토록 되어 있다.
통상 이와 같이 전화 단말기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전화기의 키패드(key pad)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디지트 예를 들면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 MFC)를 송출하면, 전화라인에 접속된 단말기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DTMF코드에 대한 시스템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DTMF 코드를 수신하는 수신 시스템은 DTMF코드를 수신 하였을 때 DTMF신호를 수신 하였음을 나타내는 확인 톤을 통상적으로 사용자에 송출토록 되어 있으며, 이는 제1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로서, 전화라인(Tip, Ring)에 접속되어 통화로 제어신호 입력에 의해 통하 루프를 형성하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12)와, 상기전화라인 인터페이스(12)를 통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입력 음성신호를 상기 전화라인 인터페이스(12)를 통해 전화라인(Tip, Ring)로 송출하는 통화로부(14)와, 상기 통화로부(14)로부터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코딩하여 4비트 2진부호(4bit Binary Code)의 데이터로 출력하는 DTMF수신부(16)와, 상기 DTMF수신부(16)의 출력 데이터를 입력하여 확인 톤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8)과, 상기 마이컴(18)으로부터 출력되는 확인 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비프톤(Beep tene)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통화로부(14)로 출력하는 비프톤 생성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도의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 외부의 전화기와 제1도의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12)으로 통화루프가 형성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사용자가 외부에서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DTMF신호를 송출하면, 이는 전화리인 인터페이스(12)를 통해 통화로부(14)로 인가된다. 통화로부(14)는 입력된 DTMF신호를 소정레벨의 신호로 증폭하여 DTMF수신부(16)에 입력 시킨다. 이때 DTMF수신부(16)는 입력 DTMF신호를 디코딩하여 4비트 데이터로 마이컴(18)에 입력시킨다.
상기 DTMF수신부(16)로부터 4비트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마이컴(18)은 DTMF신호가 수신 되었다고 판단하고, 확인톤 발생 제어신호(로직"1")를 비프톤(20)에 입력시킨다. 여기서 확인톤 발생 제어신호는 마이컴(18)이 외부로부터 DTMF신호를 수신 하였을 때 이를 수신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 마이컴(18)으로부터 확인톤 발생 제어신호를 입력한 비프톤 생성부(20)는 가청음 대역의 비프톤(Beep tone)를 발생하여 통화로부(14)에 입력 시킨다. 비프톤을 입력한 통화로부(14)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12)를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하며, 사용자는 상기 비프톤 청취하여 자신이 다이얼링한 DTMP을 마이컴(18)(원력제어기)이 수신 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상기 제1도와 같은 회로에서는 단순히 비프톤 만을 송출함으로서 사용자는 방금 송출(다이얼링)한 DTMF신호가 무엇인가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즉, 자신이 송출한 DTMF를 시스템에서 수신 하였다는 것을 확인 할 수는 있었으나 자신이 어떠한 디지트의 DTMF를 송출 하였는지를 알수가 없었다. 왜냐하면 비프톤으로 여러 가지 DTMF의 디지트에 해당하는 번호를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 디지트(Dial Digit)를 음성신호로서 복창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 송출장치의 회로로서, 전화라인(Tip Ring)에 접속되어 통화로 제어신호 입력에 의해 통화루프를 형성하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22)와, 상기 전화라인 인터페이스(22)를 통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입력 음성신호를 상기 전화라인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전화라인(Tip, Ring)로 송출하는 통화로부(24)와, 상기 통화로부(24)로부터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코딩하여 유효데이터 일때만 DV(Data Valid)신호와 4비트 2진부호(4bit Dinary code)의 데이터로 출력하는 DTMF수신부(26)와, 상기 DTMF수신부(26)로부터 출력되는 DV신호에 의해 4비트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DTMF신호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혀진 DTMF에 대응한 음성합성 명령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컴(28)과, 다이얼링 디지트에 대한 각각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마이컴(28)에서 출력하는 음성합명 명령 데이터에 대응한 음성데이터를 아나로그의 음성신호로 음성합성하여 상기 통화로부(24)를 통해 전송하는 음성합성부(30)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로서, 다이얼 디지트가 수신 되었는가를 검색하는 다이얼 디지트 수신 검색과정과, 상기 다이얼 디지트 수신검색 과정에서 다이얼 디지트가 수신된다고 판단시에 수신되는 다이얼 디지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읽어들여 디지트를 판독하는 디지트 판독 과정과, 상기 다이얼 디지트 판독 과정에서 판독된 디지트에 대응하는 디지트 음성합성 명령을 출력하여 수신 디지트의 음성합성을 실행하는 음성합성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외부에서 사용자가 DTMF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DTMF신호로 제1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교환기(도시하지 않았음)와 전화라인 인터페이스(22)를 통해 통화로부(24)에 입력된다. 라인 인터페이스(22)를 통해 통화로부(24)에 입력된다. 통화로부(24)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수신되는 DTMF신호를 DTMF수신부(26)에 입력 시킨다.
DTMF신호를 입력하는 DTMF수신부(26)는 입력 DTMF신호를 디코딩한다. 디코딩 결과 유효한 신호인 경우 DTMF수신부(26)는 DV(Data Valid)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16진수로 디코딩된 4비트 데이터를 버스(32)를 통해 마이컴(28)으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DTMF수신부(26)에서 출력되는 DV신호에 의해 제3도 40과정에서 DTMF신호가 있는가를 검색한다. 상기 40과정의 검색에서 유효한 DTMF신호가 있는 경우라고 판단되면, 마이컴(28)은 42과정에서 DTMF데이터를 리이드(Read)한다. 즉 DV신호가 있는 경우 마이컴(28)은 버스(32)를 통해 DTMF수신기(26)의 출력 데이터값을 리이드 한다.
상기 제3도 42과정에서 DTMF수신기(26)의 디코딩값 즉 DTMF데이터를 리이드한 마이컴(28)은 44과정에서 입력된 DTMF데이터에 대응한 합성음을 발생하는 명령(Command)를 음성합성부(3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다이얼 디지트 "1"에 해당하는 DTMF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음성신호로 "일"이라는 음성합성음을 만들어 내도록 하는 음성합성 명령을 음성합성부(30)로 전송하며, 다이얼 디지트 "5"에 해당하는 DTMF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음성신호 "5"라는 음성합성음을 만들어 내도록 하는 음성합성 명령을 상기 음성합성부(30)로 전송한다.
상기 44과정에서 DTMF데이터에 대응한 음성합성 명령을 전송한 마이컴(28)은 음성합성 개시신호를 음성합성(30)의 인에이블단자(EN)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48과정에서 수신된 DTMF데이터에 따른 시스템 제어신호(SCS)를 라인(32)로 추력하며 원격 제어에 따른 시스템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마이컴(28)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합성 개시신호를 입력하는 음성합성부(30)는 이에 응답하여 데이터 버스(34)로 입력된 음성합성 명령에 따른 음성 데이터의 합성을 개시하여 합성된 음성신호를 통화로부(24)에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 음성 합성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음성합성된 아나로그의 음성 합성신호이다. 상기 음성합성부(3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합성 신호를 입력하는 통화로부(24)는 음성합성 신호를 전화라인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다이얼링한 디지트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청취하게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이는 전술한 제2도의 규정에서 마이컴(28)이 제거되고 DTMF수신기(26)의 출력이 바로 음성합성부(30)의 데이터 입력단자 및 인에이블단자의 접속된 구성의 예이다.
상기 제4도의 동작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지금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지의 사용자가 다이얼링한 DTMF신호가 전화라인 인터페이스(22)를 통해 통화로부(24)에 입력되면, 상기 통화로부(24)는 입력된 DTMF신호를 DTMF수신부(20)에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 DTMF수신기(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DTMF신호를 디코딩하여 DV신호와 디코딩된 4비트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DTMF수신기(26)의 DV신호는 음성합성부(30)의 인에이블 신호로 입력되고, 디코딩된 4비트의 데이터는 음성합성부(30)의 음성합성 명령으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입력 DTMF신호가 디지트 "4"이라면 음성합성부(30)으로는 D3∼D0의 데이터가 "100"로 입력된다.
상기한 DTMF수신부(26)으로부터 DV신호와 4비트 DTMF데이터를 인에이블다자와 데이터단자(EN)(D0∼D3)로 입력하는 음성합성부(30)는 상기 DV신호 입력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입력 DTMF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중 음성합성하여된 음성신호를 통화로부(24)로 출력한다.
예컨대, DTMF수신부(26)에서 출력하는 데이터가 다이얼 디지트 "4"인 경우 음성합성부(30)의 음성합성 출력은 아나로고 음성신호 "사"로 출력된다. 상기 음성합성부(3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합성 신호는 통화로부(24)를 통해 원격 제어를 위한 다이얼링한 사용자가에 전송된다. 따라서 원격지의 사용자는 제4도의 회로에서 음성합성한 음성신호를 청취하게됨으로 자신이 몇번의 디지트를 다이얼링 하였는지 인식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되는 DTMF신호를 검출하여 수신된 DTMF신호에 대응한 음성합성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다이얼링한 사용자가 이를 청취하여 이전 다이얼링 디지트를 인식할 수 있고 정확한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전화라인(R)(T)에 접속되어 통화 루프를 형성하여 전화라인을 인터페싱하고 외부로부터의 다이얼 디지트를 수신하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22)를 구비한 수신 다이얼 디지트신호에 대응한 음성신호 송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화라인 인터페이스(22)를 통한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입력 음성신호를 소정 증폭하여 상기 전화라인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전송하는 통화로부(24)와, 상기 통화로부(24)로부터 출력되는 다이얼 디지트신호를 디코딩 하고, 상기 디코딩된 다이얼 디지트 신호에 대응한 음성신호를 음성합성하여 상기 통화로부(24)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다이얼 디지트 음성합성 출력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 송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이얼 디지트 음성합성 출력수단이 상기 통화로부(24)로부터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코딩 하여 유효 DTMF신호일 때 DV신호를 출력하고, 디코딩된 DTMF데이터를 출력하는 DTMF수신부(20)와, 상기 DTMF수신기(26)로부터 출력되는 DV신호에 의해 4비트 디지털 테이터로 변환된 DTMF신호 데이터를 리이드하고, 상기 리이드된 DTMF에 대응한 음성합성 명령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컴(28)과, 다이얼링 디지트에 대한 각각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마이컴(28)에서 출력하는 음성합명 명령 데이터에 대응한 음성데이터를 아나로그의 음성신호로 음성합성하여 상기 통화로부(24)를 통해 전송하는 음성합성부(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다이얼 다지트에 해당하는 음성신호 송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다이얼 디지트 음성합성 출력수단이 상기 통화로부(24)로부터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코딩하여 유효 DTMF신호일 때 DV신호를 출력하고 디코딩된 DTMF데이터를 출력하는 DTMF수신부(26)와, 다이얼링 디지트에 대한 각각의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DTMF수신부(26)로부터 출력되는 DV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DTMF데이터에 대응한 음성합성을 개시하여 음성합성 신호를 상기 통화로부(24)로 전송하는 음성합성부(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4. DTMF수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DTMF데이터를 출력하는 DTMF수신기(26)와, 음성합성 명령 입력에 따른 음성합성을 하여 음성합성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합성부(30)와, 상기 DTMF수신기(26)의 출력을 입력하여 이에 대응한 음성합성 명령을 송출하는 마이컴(28)을 구비한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 송출 방법에 있어서, 다이얼 디지트가 수신 되었는가를 검색하는 다이얼 디지트 수신 검색 과정과, 상기 다이얼 디지트 수신검색 과정에서 다이얼 디지트가 수신 된다고 판단시에 수신되는 다이얼 디지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리이드하여 디지트를 판독하는 디지트 판독 과정과, 상기 다이얼 디지트 판독 과정에서 판독된 디지트에 대응하는 디지트 음성합성 명령을 출력하여 수신 디지트의 음성합성을 실행하는 음성합성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012834A 1991-07-25 1991-07-25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송출장치 및 그 방법 KR94000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834A KR940003972B1 (ko) 1991-07-25 1991-07-25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송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834A KR940003972B1 (ko) 1991-07-25 1991-07-25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송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81A KR930003781A (ko) 1993-02-24
KR940003972B1 true KR940003972B1 (ko) 1994-05-09

Family

ID=1931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834A KR940003972B1 (ko) 1991-07-25 1991-07-25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송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9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81A (ko) 199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6702A1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00064733A (ko) 셀룰러무선전화기프로그래밍방법및시스템
KR920015241A (ko) 무선호출 시스템
US4103107A (en) Paging encoder system utilizing a telephone line link
KR940003972B1 (ko) 수신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한 음성신호송출장치 및 그 방법
US5293419A (en) Simultaneous voice-call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US4168399A (en) Paging encoder system utilizing a telephone line link
KR930009849B1 (ko) 부재시 수신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23900B1 (ko) 이중음다주파 신호를 이용한 통화중 메세지 송수신 방법
KR100247052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930010279B1 (ko) 전화번호 기억 및 확인 방법
KR970024782A (ko) 디지탈 전화기의 음성인식 시스템 및 음성인식방법
JP2621857B2 (ja) 選択呼出方式
KR19990058043A (ko) 부재중 발신자 정보 알림 장치 및 방법
JPS61152148A (ja) 信号発生器
JP3119698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194414B1 (ko) 무선전화기의 비밀번호에 따른 링발생방법
JP3316361B2 (ja) 電話装置
KR0148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형성하는 방법
KR960028003A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음성 서어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20504A (ko) 단말기에서 통화중 숫자메세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930009850B1 (ko) 기억 전화번호의 표시 및 자동 다이얼링 방법
JP2749890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2000059491A (ja) 電話装置
JPH058210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