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900B1 -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900B1
KR940003900B1 KR1019920006855A KR920006855A KR940003900B1 KR 940003900 B1 KR940003900 B1 KR 940003900B1 KR 1019920006855 A KR1019920006855 A KR 1019920006855A KR 920006855 A KR920006855 A KR 920006855A KR 940003900 B1 KR940003900 B1 KR 94000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upply pipe
gas supply
gas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283A (ko
Inventor
황우덕
Original Assignee
황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우덕 filed Critical 황우덕
Priority to KR101992000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900B1/ko
Publication of KR93002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플랜지의 사시도.
제2a도는 제 1도에 도시된 연결플랜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b도는 제 1도에 도시된 연결플랜지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연결플랜지를 제조하기 위한 작업순서도.
제4도는 종래의 연결플랜지의 사시도.
제5a도는 제 4도에 도시된 종래의 연결플랜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b도는 제5a도에 도시된 종래의 연결플랜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공급파이프 2 : 연결플랜지
3 : 몸체 4 : 보스부
5 : 이음부 6 : 외주면
7 : 설치구멍 8 : 덧살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 등에 내설되는 주가스공급파이프와 노즐을 서로 연결시킬 때 사용되는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용플랜지가 가스공급파이프의 원주면과 완전히 접촉된 상태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고, 연결부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제품의 품질과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된 가스레인지 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레인지에 내장되는 노즐은 가스레인지 내부로 도입된 주가스공급파이프에 연결용 플랜지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가스공급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노즐쪽으로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중간연결용으로 사용되는 연결플랜지(50)는, 제4도와 제 5a도및 제5b도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하고서 단면이 원형으로 된 가스공급파이프(51)의 원주면상에 반경방향으로 부착된 다음, 노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배관에 부착된 플랜지(도시되지 않음)와 보울트로 체결됨으로써 상호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즉, 원형단면을 한 가스공급파이프(51)의 원주면에 소정 구경으로 형성된 삽입구멍(도시되지 않음)내로 상기 연결플랜지(50)의 한쪽면에 돌출성형된 이음부(52)를 상기 가스공급파이프(51)에 반경방향으로 끼우고, 연결플랜지(50)의 몸체(53)에 형성된 보스부(54)의 윗면과 가스공급파이프(51)의 원주면을 예컨대 스폿용접 (Spotwelding)과 같은 방법으로 용접시켜 가스공급파이프(51)의 원주면상에 연결플랜지(50)가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 다음, 이 연결플랜지(50)에 노즐에 연결되는 배관의 앞끝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된 플랜지가 보울트 등을 매개로 체결되어 상호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플랜지(50)는, 몸체(53)의 한쪽면에 단부(55)를 갖춘 이음부(52)가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몸체(53)의 중앙부로 부터 이음부(52)까지 보스부(54)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스부(54)의 윗면과 이음부(52)를 잇는 단부(55)가 좌우로 대칭되는 원형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져, 이러한 종래의 연결플랜지(50)를 제조하려면, 균일한 두께를 가진 철판 등을 소정크기로 절단한 다음 성형다이에 올려놓고 소정부위를 반복해서 프레스가공하게 됨으로써 소성변형되면서 돌출되어지는 이음부가 국부적으로 인장되어져 플랜지형상을 갖추어 가게되므로, 이음부의 두께가 몸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아져 이음부의 강도가 구조적으로 약해지는 한편, 단부(55)와 가스공급파이프(51)와의 접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컨대 이음부(52)상에 덧살 등을 형성시킬 만한 소재의 여유가 없게된다.
따라서 원형단면으로 된 가스공급파이프(51)에 연결플랜지(50)를 직접연결시키고가 할 경우, 이음부(52)가 가스공급파이프(51)의 외주면에 완전하고 균일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일부분만이 접촉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틈새로 인하여 스폿용접시 각 소재간의 간격이 상이해져 균일한 저항치가 발생치 않게 됨에 따라 균일한 용접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연결부위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해질 뿐 아니라. 용접상태가 불량하면 가스의 누출로 인해 대형사고의 위험도 따른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플랜지가 가스공급파이프의 원형단면과 완전히 일치된 상태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용접을 할 수 있게 되어 가스누출이 방지되게 됨은 물론, 이음부의 구조적 강성도 향상되어 제품의 품질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 된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 플랜지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한쪽면에 단면형상이 원형을 이룬 이음부가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몸체의 중심부로 부터 이음부까지 보스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에는 가스공급파이프의 반경방향과 접촉되는 부분이 길이방향과 접촉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그 단면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는 덧살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공급파이프의 원형단면과 균일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연결플랜지를 제조하려면, 스테인레스등의 강재로 만들어진 강봉을 소정 길이로 절단한 소재강봉을 소정 형상의 제 1초경금형에다 넣고서 일정온도를 가온하면서 가압해서 소재강봉의 하부에 소정의 오목부형상을 한 보스부가 형성되도록 단조성형하는 1차단조작업을 시행하고, 이어 이 1차단조품의 중앙상부면에서 하부의 보스부까지 내통되도록 펀치를 타입해서 소정 구경의 구멍을 형성하고 나서 제 2초경금형에다 넣고서 일정 온도로 가온하면서 가압해서 몸체상부에 보스부 윗면과 이 보스부윗면 상부에 소정의 돌출부 및 이 돌출부와 상기 보스부윗면 사이에 소정두께의 덧살이 형성된 플랜지모형을 단조성형하는 2차단조작업을 시행한다. 다음에는 2차단조작업을 거쳐 형성된 플랜지모형으로부터 불요부분을 제거해서 플랜지몸체를 형성시켜 외관을 완성시키는 트리밍작업과, 외관이 갖춰진 2차단조품에 드릴 등으로 돌출부의 상면에서부터 하부의 보스부까지 내통되는 탑홀(Top hole)을 뚫어 소정의 이음부를 형성시켜 완전한 형상을 갖춘 플랜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드릴링작업, 보스부윗면과 이음부가 형성된 플랜지몸체에 2축탭핑머신 등으로 동시에 1쌍의 나사구멍부를 뚫는 탭핑작업, 플랜지에 형성된 보스부와 나사구멍의 가공면을 예각이 되도록 하는 모따기작업, 모따기작업이 끝난 플랜지를 여러개 원형통속에 넣고 회전시켜 상호간의 마찰에 따라 플랜지의 가공면에 붙어 있는 칩이나 버어(burr)등을 제거하는 바렐(Barrel)작업, 바렐작업이 끝난 플랜지의 몸체로 부터 절삭유나 금속조각 등을 완전히 제거하는 세척작업이 순차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플랜지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스공급파이프(1)에 노즐쪽 플랜지(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어 노즐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바, 이 연결플랜지(2)는 몸체(3)의 뒷면에 돌출된 보스부(4)의 윗면과 이음부(5)의 외주면(6)사이에 가스공급파이프(1)의 반경방향과 접촉되는 부분이 길이방향과 접촉되는 부분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그 단면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는 덧살(8)이 소정두께로 형성되어, 가스공급파이프(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설치구멍(도시되지 않음)속으로 상기 연결플랜지(2)를 연결시킬 때 이음부(5)에 형성된 덧살(8)부위가 가스공급파이프(1)의 설치구멍벽면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맞대어 놓고서 용접작업 등으로 연결플랜지(2)를 연결장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연결플랜지를 제조하는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 연결플랜지를 제조하는 작업순서를 공정도로 도시한 것으로, 스테인레스재질 등으로 된 원형강봉을 소정길이만큼씩 절단한 소재강봉을 소정형상의 제 1초경금형에다 넣고서 일정한 온도로 가온하면서 가압해서 하부에 소정의 보스부가 형성된 단조품이 성형되도록 하는 1차단조작업을 시행한다.
이어 다음의 2차단조작업시에 상기 1차단조작업에서 만들어진 단조품의 중앙부 및 양 측부가 균일하게 가압되면서 소정가공되기 위한 보상여유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해 1차단조품의 중앙부에 펀치를 타입해서 그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의 보스부까지 내통되는 소정지름의 구멍을 형성시키는 피어싱작업을 한 다음, 제 2초경금형에다 넣고 소정 온도로 가온하면서 가압하여 1차단조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균일하게 소성변형시켜 보스부의 외주면과 이 외주면 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보스부의 외주면과 돌출부사이에 소정 두께의 덧살을 형성시키는 2차단조작업을 시행하여 플랜지모형을 만들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2차 단조작업공정을 거쳐 제조된 플랜지모형으로 부터 프레스가공 등으로 불요부분을 제거하는 트리밍작업과, 이 트리밍작업을 마친 2차단조품에 드릴 등으로 돌출부 상부면으로 부터 하부의 보스부까지 소정 지름의 구멍을 관통형성시켜 이음부를 형성하게 되는 드릴링작업을 해서 완전한 형상의 플랜지를 만든다.
또, 상기 드릴링작업을 거친 플랜지몸체에 2축탭핑머신 등으로 1쌍의 나사구멍을 형성하는 탭핑작업과, 접촉성을 향상시켜 가스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플랜지몸체에 형성된 보스부와 1쌍의 나사구멍 각 가장자리에 예각이 되도록 하는 모따기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공정을 거쳐 완성된 플랜지들을 원형통속에 넣고 회전시켜 상호 부딪치도록 해서 각 가공면에 붙어있는 칩이나 버어 등을 제거하는 바렐(Barrel)작업을 실시한 다음, 플랜지에 묻힌 절삭유 등을 세척하게 되면 제품이 완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작업공정을 단계적으로 거쳐 제조된 연결플랜지는, 스테인레스재질로 된 소재금속을 초경금형을 이용한 단조작업으로 성형제조되기 때문에 단조품의 성형밀도가 우수함은 물론, 플랜지의 각 부위가 균일한 두께로 되므로 이음부의 강성이 향상되게 되고, 설치하고자 하는 가스공급파이프의 원형단면부에 연결 플랜지의 중간 연결선이 일치하게 되어, 완전히 접촉시켜진 상태에서 스폿용접을 실시 할 수 있게 되어 접촉 부분에 균일한 용접이 이루어져 가스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는, 보스부의 외주면 이음부의 중간연결선에 소정 두께의 덧살이 형성되어 있어서 가스공급파이프의 원형단면부에 직접 일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게 됨으로써, 균일한 용접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가스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한편, 이음부의 구조적 강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품질 및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몸체(53)의 한쪽면에 단면형상이 원형을 이룬 이음부가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몸체(53)의 중심부로 부터 이음부까지 보스부(54)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가스레인지 배관용 연결프랜지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5)에는 가스공급파이프(1)의 반경방향과 접촉되는 부분이 길이방향과 접촉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그 단면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는 덧살(8)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공급파이프(1)의 원형단면과 균일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
KR1019920006855A 1992-04-23 1992-04-23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 KR94000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855A KR940003900B1 (ko) 1992-04-23 1992-04-23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855A KR940003900B1 (ko) 1992-04-23 1992-04-23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283A KR930021283A (ko) 1993-11-22
KR940003900B1 true KR940003900B1 (ko) 1994-05-09

Family

ID=1933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855A KR940003900B1 (ko) 1992-04-23 1992-04-23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767B1 (ko) * 2007-10-11 2009-11-11 이노만 자동차용 오토밋션 브라켓의 제조방법
KR101490193B1 (ko) * 2013-08-21 2015-02-06 주식회사 세림티앤디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클램프 단조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283A (ko) 199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7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d forging a trailer hitch receiving housing
US7658419B2 (en) Fit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tting
US4087188A (en) Pivot joint housing
KR940003900B1 (ko) 가스레인지배관용 연결플랜지구조
US5755133A (en) Mold for fabricating a screw washer and a screw washer
CN100519056C (zh) 离心式混凝土桩模的生产方法
JPH0741339B2 (ja) アクスルケースのプレス成形法
CN210131992U (zh) 一种膨胀管缩口修整模具
KR100321965B1 (ko) 요크 및 요크 제조방법
EP1588785B1 (de) Gewendeltes Rohrelement
CN220782318U (zh) 一种三通管相贯线加工模具
JP2614593B2 (ja) アイ形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JP2717519B2 (ja) 鍛造素管、鍛造カップリング、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3014491B2 (ja) 冷間圧延によるアイ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CN213134491U (zh) 一种无缝钢管生产用穿孔夹具
US20190262883A1 (en) Stamping and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hollow or tubular member with high tolerances
KR100603707B1 (ko) 화공유체탱크용 노즐 슬리이브의 성형장치
JPH0771566A (ja) 歯車及びその製造方法
CA2475781C (en) Method for the post-treatment of deformed high-grade steel blanks
KR200358447Y1 (ko) 화공유체탱크용 노즐 슬리이브의 성형장치
JPH0792177B2 (ja) アイ形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AU688415B2 (en) Coupling member
US2444487A (en) Blowpipe nozzle
KR100581833B1 (ko) 화공유체탱크용 노즐 슬리이브의 성형방법
JPS6039178Y2 (ja) チツプドレツサ−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