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818Y1 - 건반 하모니커용 취구 - Google Patents

건반 하모니커용 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818Y1
KR940003818Y1 KR2019880018286U KR880018286U KR940003818Y1 KR 940003818 Y1 KR940003818 Y1 KR 940003818Y1 KR 2019880018286 U KR2019880018286 U KR 2019880018286U KR 880018286 U KR880018286 U KR 880018286U KR 940003818 Y1 KR940003818 Y1 KR 940003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corrugated pipe
cone
keyboard harmonica
larg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349U (ko
Inventor
시게유끼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닛뽕 교이꾸각끼 가부시끼가이샤
하세가와 시로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교이꾸각끼 가부시끼가이샤, 하세가와 시로하루 filed Critical 닛뽕 교이꾸각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4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8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Toy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반 하모니커용 취구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취구부의 평면도.
제4도는 전술할 측면도.
제5도는 전술한 종단면도.
제6도는 건반 하모니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종래의 입주용(立奏用) 취구의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탁주용(卓奏用) 취구의 평면도.
제9도는 종래의 취구주름관(腹管)의 요부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다른 상태의 정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또다른 상태의 정면도.
제12도는 다른 주름관의 요부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다른 상태의 요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취구 2 : 본체
3 : 0링 4 : 주름관
5,15 : 취구부 6,16 : 연결관
7,17 : 주름관 18 : 오목홈
19 : 돌조
본 고안은 건반 하모니커용 취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6도에 나타낸 소위(所謂) 건반 하모니커는, 수지제의 취구(1a) 및 건반이 형성된 본체(2)로 구성되며, 그 취구(1a)를 통하여 건반을 누르면서 취주(吹奏)함에 따라 소망하는 선율(禪律)을 연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7도는 제6도의 취구(1a)를 본체(2)에서 이탈한 상태를 나타내며, 그 취구(1a)는 상기 본체(2)에 착탈(着脫)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0링(3)을 구비한 연결부(4)를 가지고 있다.
이 취구(1a)는 경량(輕量) 소형(小型)이며 착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서 걸어다니면서 연주하기 위한 소위 입주용 취구로서 아주 적합하다.
그러나, 그 취구(1a)는 변형할 수 없으며, 제6도와 같이 본체(2)에 장착했을 경우에 일정방향으로 연출(延出)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팔길이의 차이에 의해 취주하는 자세를 바꿀 필요가 있는 경우, 갑갑해지거나 본체(2)의 건반이 보기 싫게 되는 결점이 잇다.
또, 상기 건반 하모니커에 장착하는 취구로서 제8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상의 취구(1b)가 알려져 있다.
그 취구(1b)는 주름상의 신축 및 변형이 가능한 수지제의 주름관(4)의 일단에 취구부(5)가 끼워 부착되며, 다른 단에 연결용인 0링(6a)을 가지는 연결관(6)이 끼워 부착되어 있다.
그 취구(1b)는 상기 취구(1a)에 비하여 꽤 길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6도의 본체(2)에 장착하여 그 본체(2)를 책상위에 얹어놓고,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신체에서 그 본체(2)를 떼어놓고 취주하는 소위 탁주용으로 아주 적합하다.
그러나, 그 취구(1b)는 상기 주름관(4)의 부분이 제9도와 같이, 주름을 형성하는 번갈아 연설된 대경부(a) 및 소경부(b)를 가지며, 또한 그 대경부(a)가 인접하는 소경부(b)의 중앙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경부(a)와 양측의 소경부(b)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원추대(c, d)가 그 대경부(a)를 통하여 각각 대칭이며 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주름관(4)를 제10도와 같이 양측에서 압축하면, 각 대경부(a)를 끼우는 원추대(c 및 d)가 각각 서로 대경부(a)를 통하여 서로 반발하며, 또 제11도와 같이 양측으로 잡아 늘리면, 그 원추대(c, d)가 각각 서로 끌어당겨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갈려고 하는 복원력이 생긴다.
이 결과, 이 악기가 유치원 아이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주름관(4)에 의해 취구(1b)의 길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적당한 신축(伸縮) 또는 구부려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는 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그 취구(1b)를 본체(2)에 연결하여 탁주하는 경우에 신장의 차이에 의해 사용자와 본체(2)가 접근하여, 취구부(5)와 본체(2)의 사이가 거리가 짧아지면, 개재하는 주름관(4)의 길이가 필요 이상이 되며, 그 남은 부분의 주름관(4)이 건반 또는 악보위로 휘어져 있는 연주의 방해가 되는 폐단이 생기기 쉽다.
또, 신축 위치 유지가 가능하며 굴곡위치유지가 가능한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주름관(7)이 예를 들면, 흡인(吸引)스트로, 신축 저금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알려져 있다.
제12도는, 주름관(7)의 연축한 부분(A)의 확대도이며, 그 주름관(7)의 각각 연접된 소경부(b)의 사이에 존재하는 대경부(a)가 그 소경부(b) 사이에 있어서, 그 관(7)의 축방향의 한쪽으로 편재하여 있기 때문에, 그 대경부(a)를 통하여 연접된 2개의 중공 원추대(c, d)가 제9도에 있어서 설명한 주름관(4)과 다르며, 원추대(c)쪽이 원추대(d)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형의 중공 원추대(d)는, 이것을 화살표 D쪽으로 압박했을때 그 화살표 D의 방향에 인접하는 대형의 중공 원추대(c)의 내측으로 대경부(a)에서 반전하여 제13도와 같이 끼워 삽입된다.
소형의 중공 원추대(d)를 그 대형의 중공 원추대(c)내로의 끼워 삽입을 위하여 서로 압박 변형시키지 않는 한, 자연스럽게 제12도 연신 상태에서 제13도의 축소상태로 변화하는 일이 없고, 또한 이와 반대로 변화하는 것도, 의도적으로 외력에 의해 잡아 늘리지 않는 한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주름관(7)은 신축위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 주름관(7)을 구부린 경우도, 구부림에 의해 압박되는 부분의 소형의 중공 원추대(d)가 대형의 중공 원추대(c)의 내측에 끼워 삽입되어 굴곡위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신축, 구부림이 가능하게 변형하고, 그 변형 형상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유치원 아이서 부터 어른에 이르기 까지 사용되어도 사용자의 신장 및 팔의 길이에 적응할 수가 있어 입주나 탁주등의 연주형태에 적당히 대응 가능한 건반 하모니커용 취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건반 하모니커용 취구는, 신축위치 유지가 가능하며 굴곡위치유지가 가능한 주름관의 일단부에 취구부를 형성하고, 또한 다른 단부에 그 주름관을 건반 하모니커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였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취구(1)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제(製)의 신축 위치유지가 가능하며, 굴곡위치유지가 가능한 주름관(7)을 가지고, 그 양단에 제8도와 동일한 취구부(5) 및 연결관(6)이 형성되며, 연결관(6)에는 0링(6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름관(7)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제1도의 취구(1)에서는, 주름관(7)의 연신한 부분(c)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신장 또는, 팔의 길이에 맞추어 취구(1)의 형상을 적당하게 변화할 수 있다.
또, 취구(1)을 구성하는 주름관(7)이 신축이 가능하고 형상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건반 하모니커를 취구(1a)에 의해 서서 연주하는 경우는 적당하게 주름관(7)을 축소시키고, 탁주하는 경우는 연신하여 행할 수 있으며, 입주 및 탁주시에 각각 취구를 바꾸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주름관(7)은 변형한 형상을 필요로 하는 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주중에 제1도의 취구(1)의 취구부(5)를 입에서 데어내도, 자체의 무게로 아래로 드리워지는 일이 없이, 취구부(5)의 위치를 대부분 같은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취구(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제의 주름관(17)의 일단에 수지제의 연결관(16)을 형성하고, 다른 단에 똑같이 수지제의 취구부(15)를 형성하며, 취구부(15)의 연결축은 단면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밖의 주위에는 돌조(1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취구부(15)의 취구측은 폭방향으로 긴 평평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가장자리 주변의 상하면에는 폭방향을 따라서 오목홈(18)을 형성한다.
주름관(17)은, 제12도 및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높이가 높은 원추대의 중공부(c)와 높이가 낮은 원추 대상의 중공부(d)를, 그 대경부(a)끼리 소경부(b)끼리를 통하여 번갈아 연설하여 이루어지며, 소경의 원추대상의 중공부(d)를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했을때, 중공부(d)가 그 화살표의 방향에 인접하는 대형의 원추대상의 중공부(c)의 내측으로 상기 대경부(a)에서 반전하여 제13도와 같이 끼워 삽입되어 신축위치유지가 가능하고 굴곡위치유지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그 소형의 원추대형상인 중공부(d)의 그 대형의 원추대형상인 중공부(c)내로의 감입 및 이탈은 외력을 가하지 않는한 자연스럽게 행해지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는 자신의 신장 또는 팔의 길이에 맞추어 취구(1)의 길이, 형상을 적당히 변화시키며,이것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주름관(17)의 단부내쪽에 형성된 오목부(도시하지 않았음)에 취구부(15)의 돌조(19)를 감입함으로써, 주름관(17)의 단부에 취구부(15)를 부착한다.
또, 연결관(16)의 바깥 주위에는 0링(16a)을 끼워넣고, 이 0링(16a)을 통하여 건반 하모니커 본체에 취구(11)를 부착한다.
또한, 주름관(7, 17)에 대하여 취구부(5, 15)를 일체로 성형하면, 격심한 움직임이라도 주름관(7, 17)에서 취구부(5, 15)가 빠지거나, 그 접속부에서의 공기 누출이 생기는 일이 없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름관을 신축위치유지가 가능하고 굴곡위치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장 및 팔의 길이에 적응하여 입주나 탁주 등의 연주형태로 적당히 대응 가능한 건반 하모니커용 취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의 같은 지름의 소경부와 복수의 같은 지름의 대경부가 교호로 순차적으로 연접되고, 상기 대경부가 소경부의 사이에서 관축방향의 일측에 편재되어 신축위치 유지가 가능하며, 굴곡위치유지가 가능한 주름관의 일단부에 취구부를 설치하고, 또 타단부에 이 주름관을 건반 하모니카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하모니카용 취구.
KR2019880018286U 1987-12-01 1988-11-07 건반 하모니커용 취구 KR9400038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81961U JPH0516627Y2 (ko) 1987-12-01 1987-12-01
JP62-181961(??) 1987-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49U KR890014349U (ko) 1989-08-10
KR940003818Y1 true KR940003818Y1 (ko) 1994-06-11

Family

ID=1610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286U KR940003818Y1 (ko) 1987-12-01 1988-11-07 건반 하모니커용 취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6627Y2 (ko)
KR (1) KR9400038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88996U (ko) 1989-06-12
KR890014349U (ko) 1989-08-10
JPH0516627Y2 (ko) 199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5278A (en) Manually manipulatable flexible toy
KR860002950Y1 (ko) 조립구성완구
CY1107171T1 (el) Ενας ελικοειδης ναρθηκας (στεντ) που εχει επιπεδα ακρα
JPS6323177U (ko)
US4997402A (en) Telescoping horn
KR940003818Y1 (ko) 건반 하모니커용 취구
US2531855A (en) Sipping straw
US3002318A (en) Toy
USD460536S1 (en) Flexible tube having a variable stiffness bellows
MA31670B1 (fr) Tampon
JP2636469B2 (ja) 鍵盤吹奏楽器の卓奏用ホース
JPS629866Y2 (ko)
US20020009947A1 (en) Squeezing deformable toy structure
JP3046986U (ja) 伸縮かつ屈曲自在な人形
USD411011S (en) Inflatable resetting cuff with bellows and manometer
KR970006444Y1 (ko) 마포걸레의 손잡이봉 조립구조
JPS6232311Y2 (ko)
KR960008374Y1 (ko) 블록완구용 플렉시블 장식봉
USD369652S (en) Miniature pneumatic test plug assembly
KR970032712A (ko) 진공청소기의 절첩식 연장관
KR200224689Y1 (ko) 손 모양의 응원기구
JPH0380701U (ko)
JP3636833B2 (ja) メガホン
JP3065331U (ja) アコ―ディオン
KR970020021A (ko) 진공청소기의 호스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