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774B1 - 전원회로 - Google Patents

전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774B1
KR940003774B1 KR1019910013245A KR910013245A KR940003774B1 KR 940003774 B1 KR940003774 B1 KR 940003774B1 KR 1019910013245 A KR1019910013245 A KR 1019910013245A KR 910013245 A KR910013245 A KR 910013245A KR 940003774 B1 KR940003774 B1 KR 940003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ower supply
power
inducto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507A (ko
Inventor
게이이치 시미즈
가즈유끼 우라타니
Original Assignee
도오시바 라이텍쿠 가부시끼가이샤
쯔루오 쯔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시바 라이텍쿠 가부시끼가이샤, 쯔루오 쯔도무 filed Critical 도오시바 라이텍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single converter stage both for correction of AC input power factor and generation of a high frequency AC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대응한 전원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2도는, 다른 실시예의 전원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대응한 전원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의 전원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5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전원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6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전원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대응한 전원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8도는, 가포화(可飽和) 초오크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9도는, 제7도의 전원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10도는, 다른 실시예의 전원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11도는, 부하의 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12도는, 종래의 전원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13도는, 다른 종래의 전원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14도는, 또다른 종래의 전원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15도는, 종래의 전원회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용 AC전원 2,DB : 다이오드 브릿지
3,4,L7 : 인덕터
L1,L2,L4,L5,L6 : 중간 탭을 가지는 인덕터
L3 : 2차 권선을 가지는 인덕터 L8,L9 : 가포화(可飽和)인덕터
CC,CC' : 초오크 코일 5,6,11,12 : 다이오드
7,8,14,15 : 콘덴서 C1,C2,C3,C4,C5,C6 : 콘덴서
9,10 : 스위치 동작용의 FET 13 : 평활 콘덴서
16,16A : 부하 17,18 : 구동회로
R1,R2,R3,R4,R5,R6 : 분압용의 저항
B1 : 기준 전압원 DF : 미분회로
IC1 : 비교회로 IC2 : 제어회로
본 발명은, 방전등 점등장치에 사용되는 전원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퍼회로와 인버어터회로와를 복합시킨 복합 전력 변환회로를 구성하는 전원회로에 관한 것이다.
직류전압을 상승시키는 초퍼작용과 상승시킨 직류전압을 고주파 교류로 변환하여 부하에 전력공급하는 인버어터 작용과를 겸비한 복합형의 전원회로가 종래로부터 알려져오고 있다.
제12도에 이런 종류의 전원회로의 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 단상 교류전원(상용 AC전원)(1)은, 다이오드 브릿지(2)에 의하여 정류되어, 이 다이오드 브릿지(2)의 플러스쪽 정류 출력끝단에 인덕터와 전원 통로쪽에 순방향을 향한 다이오드(5)와의 직렬회로의 일끝단이 접속되고, 다이오드 브릿지(2)의 마이너스쪽 정류출력끝단에는 인덕터(4)와 전원쪽에 순방향을 향한 다이오드(6)과의 직렬회로의 일끝단이 접속된다.
또, 이 다이오드 브릿지(2)의 출력끝단 사이에는, 콘덴서(7), (8)의 직렬회로가 접속된다.
교호로 고주파에 “온, 오프”하는 스위치 소자의 FET(전계 효과 트랜지스터)(9), (10)은 직렬로 접속되고, 한쪽의 FET(9)의 드레인에 다이오드(5)의 캐소우드(인덕터(3)과 다이오드(5)의 직렬회로의 다른끝단)가 접속되는 동시에, 다른쪽의 FET(10)의 소오스에 다이오드(6)의 애노우드(인덕터(4)와 다이오드(6)의 직렬회로의 다른끝단)가 접속된다. 콘덴서(7), (8)의 접속점과 FET(9), (10)의 접속점이 접속되고, 각 FET(9), (10)에는 병렬로 역도통용의 다이오드(11), (12)가 각각 접속된다. FET(9)와 다이오드(11) 및 FET(10)와 다이오드(12)는, 역도통형의 스위치 소자를 각각 구성한다.
또, FET(9)의 드레인과 FET(10)의 소오스와의 사이에는, 평활 콘덴서(13)가 접속된다.
이 구성의 전원회로에서는, FET(9), (10)의 접속점인 출력끝단과 평활 콘덴서(13)의 양끝단에 접속되는 콘덴서(14), (15)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인덕터를 구비한 방전등등의 부하(16)가 접속되고, FET(9), (10)가 구동회로(17), (18)에서 구동 제어신호를 받아서 교대로 온, 오프되는 것으로, 부하(16)으로 되는 소위, 방전등에 고주파 교류의 전력을 공급할 수가 있고, 이 방전등을 고주파 점등 할수가 있다.
즉, 이 전원회로에서는, 다이오드(11), (12)를 병렬 접속한 FET(8), (10)를 교호로 스위치 동작 시켜서, 다이오드 브릿지(2)의 정류출력 끝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콘덴서(7), (8)의 축적 전하를 일시적으로 인덕터(3), (4)에 교호로 축적함과 동시에, 인덕터(3), (4)의 축적에너지를 평활 콘덴서(13)에 교호로 방출하는 것으로 2조의 승압형 초퍼로써 동작 시킴과 동시에, FET(9), (10)와 평활 콘덴서(13)에 의하여 하프(half)브릿지 인버터로써 동작시켜, 부하(16)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 제13도에 나타낸 다른 전원회로에서는, 다이오드 브릿지(2)의 플러스쪽 정류출력 끝단과 FET(9)의 드레인과의 사이를 다이오드(5)에 접속하고, FET(10)의 소오스와 다이오드 브릿지(2)의 마이너스쪽 정류출력끝단과의 사이를 다이오드(6)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콘덴서(7), (8)의 접속점과 FET(9), (10)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초퍼 작용을 담당한 인덕터(19)를 접속하고 있다.
또, 제14도에 나타낸 다른예의 전원회로에서는, 다이오드 브릿지(2)의 플러스쪽 정류끝단과 FET(9), (10)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콘덴서(7)와 초퍼작용을 담당한 인덕터(19)를 접속하고 있다.
이들 구성의 전원회로에서는, 다이오드(11), (12)를 병렬로 가지는 FET(9), (10)를 교호로 스위치 동작시켜서, 콘덴서(14), (15) 또는 (7)의 축적전하를 인덕터(19)에 축적함과 동시에, 인덕터(19)의 축적 에너지를 평활 콘덴서(13)에 방출하는 것으로 승압형 초퍼로써 동작시키고, FET(9), (10)와 평활 콘덴서(13)에 의한 하프 브릿지 인덕터에 의하여 부하(16)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상술한 제12도에 나타낸 종래의 전원회로에서는, 입력의 전원라인에 서지가 인가되는 등으로, 평활 콘덴서(13)의 양끝단 전원 VC보다도 입력전원 전압 VB의 순간치가 높게될때에, 도면중, 화살표 P에 나타낸 경로에서 전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평활 콘덴서(13)를 충전하는 대전류가 흐른다.
이때 FET(9) 또는 (10)이 “온”하여지면, 인덕터(3) 또는 (4)에 보존된 전류가, FET(9) 또는 (10)에 과대전류로써 흐른다.
이때의 전류는 조건에 기인하지만, 정상전류의 10배에 달하고, FET(9), (10)를 파괴한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입력 전원압 VB가 순간적으로 높게되어도, 스위치 소자(FET(9), (10))가 파괴되는 일없이 전원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종래의 전원회로에서는, 부하(16)가 적은 부하로 되고, 부하(16)에서의 소비전력이 적게될때에, 잉여전력이 평활 콘덴서(13)에 충전되어 가기때문에, 콘덴서(13) 양끝단의 직류전압 VC이 과전압으로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부하가 적을때에 직류전압 VC가 과전압으로 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낸 종래의 전원회로에서는 부하(16)에 공급되는 입력전류가, 제15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정현파는 아닌 머리부가 부서진 전류파형으로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와같이 전류파형에는, 제15도(c)에 나타낸 바와같이 정현파의 기본파외에 제3차 고주파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이 고주파 성분이 교류전원의 전원라인에서 누출되고, 다른 전자기기등에 악영향을 준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덧붙여 말하면, 제15도(a)는, 전압파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부하에 흐르는 입력전류의 파형을 정현파에 근접 시킬 수 있는 전원회로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류전원을 전파정류(全波整流)하여 입력 직류전원을 얻는 전파정류 회로와, 이 전파정류 회로의 정류 출력 끝단 사이에 접속되는 직렬접속의 2개의 콘덴서와, 상기 전파정류 회로의 플러스쪽 정류출력 끝단에 한쪽끝단이 접속되고, 제1의 인덕터와 정류출력에 대하여 순(順)방향을 향해 제1의 다이오드로써 되는 제1의 직렬회로와, 상기 전파정류 회로의 마이너스쪽 정류출력끝단에 한쪽끝단이 접속되고, 제2의 인덕터와 정류출력에 대하여 순방향을 향해 제2의 다이오드로써 되는 제2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1의 직렬회로의 평활 콘덴서와, 이 평활 콘덴서의 양쪽끝단에 접속되는 직렬접속의 2개의 역도통형 스위치 소자와, 상기 직렬접속의 2개의 콘덴서의 접속점과 상기 직렬접속의 2개의 역도통형 스위치 소자의 접속점을 접속하는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파정류 회로에서 공급되는 입력전압과 상기 평활 콘덴서의 양쪽끝단 전압을 실질적으로 비교하는 전압비교 수단과, 이 전압 비교수단의 비교출력에 의해서, 상기 입력 전압이 상기 평활 콘덴서의 양끝단 전압에 비하여 상승한때에, 상기 역도통형의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직류전원에 콘덴서와, 이 콘덴서에 저장된 전력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초퍼용 인덕터와, 평활 콘덴서가 병렬접속된 2개의 스위치 소자의 직렬회로를 이들 2개의 스위치 소자의 교호의 “온, 오프”에 대응하여 상기 인덕터의 축적전력을 상기 평활 콘덴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하여, 직류전압을 승압 시키는 초퍼 동작과, 승압 시킨 직류전력을 고주파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어터 동작을 행하는 복합형의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에 2차측 권선을 형성하며, 상기 평활 콘덴서에 축적된 잉여 전력이 상기 입력 직류전원으로 귀환되도록 이 2차측 권선과 상기 직류전원을 다이오드를 통하여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직류전원에 콘덴서와, 이 콘덴서에 저장된 전력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초퍼용의 인덕터와, 평활 콘덴서가 병렬 접속된 2개의 스위치 소자의 직렬회로와를, 이들 2개의 스위치 소자의 교호의 온, 오프에 대응하여 상기 인덕터의 축적 전력을 상기 평활 콘덴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하여, 직류전압을 승압시키는 초퍼 동작과, 승압시킨 직류전력을 고주파 전류전력으로 교환하는 인버어터 동작을 행하는 복합형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초퍼용의 인덕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동작전류의 피이크에서 포화 영역으로 동작하는 가포화 인덕터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청구항 1에 대응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 전압의 순간값이 평활 콘덴서의 양끝단 전압 보다도 상승한때에, 스위치 소자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대응한 구성에 의하면, 경부하시에 평활 콘덴서 양끝단의 직류전압이 과전압으로 된때에, 초퍼 작용을 담당하는 인덕터의 2차측 권선에서 잉여의 전력을 전원쪽으로 귀환 할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대응한 구성에 의하면, 초퍼 작용을 담당하는 인덕터의 가포화 특성에 의하여, 입력전류가 큰 부분에서 포화하고, 입력 전류 파형의 정상부가 둥근 부분이 정현파에 가깝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말하면, 설명에 있어서는 종래예의 것과 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부분의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제1도는, 청구항 1에 대응한 구성에 의거한 전원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 입력전압 VB를 거출하기 위한 저항(R1), (R2)의 직렬회로로 부터되는 분압회로가 다이오드 브릿지(2)의 플러스쪽의 정류출력끝단과 콘덴서(7), (8)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접속된다.
이 분압회로에는, 입력전압 VB의 순간치의 1/2이 가해진다.
분압출력이 얻어지는 저항(7), (8)의 접속점은, 비교회로 IC1의 한쪽방향의 입력끝단자에 접속된다.
덧붙여 말하면, 콘덴서(7), (8)의 직렬회로는 다이오드 브릿지(2)이 정류출력끝단 사이에 접속되고, 이들 콘덴서(7), (8)의 접속점은 접속라인 n에 의하여 스위칭 소자인 FET(9), (10)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 평활 콘덴서(13)의 양끝단 전압 VC를 검출하기 위한, 콘덴서(13)를 에노드로 하는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와의 직렬회로가, 평활 콘덴서(13)의 플라스쪽 끝단과 접속라인 n사이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의 접속점에서는, 분할회로를 구성하는 저항(R3), (R4)의 직렬회로의 일끝단에 접속되고, 이 직렬회로의 다른끝단은 접속라인 n에 접속된다.
이 분압회로에는, 평활 콘덴서(13)의 양끝단 전압 VC이 가해진다.
분압출력을 얻는 저항(R3), (R4)의 접속점은, 비교회로(IC1)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비교회로(IC1)의 출력단자는, 제어회로(C2)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이 제어회로(IC2)의 제어신호가 FET의 구동회로(17), (18)에 각각 공급된다.
이 구성으로 되는 전원회로에서는, 저항(R1), (R2)의 직렬회로 및 저항(R3), (R4)의 직렬회로로부터 되는 분압회로의 분압비를 각각 적절하게 설정하여 놓으면, 전원라인에 서지(surge)가 실리는등하여 입력전압 VB의 순간치가 평활 콘덴서(13)의 양끝단 전압 VC을 넣을때, 비교회로(IC1)가 반전하고, 이때의 비교출력이 제어회로(IC2)에 반출되도록 된다.
제어회로(IC2)로부터는, 이 비교출력에 의거하여 FET(9), (10)의 동작을 정지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구동회로(17), (18)에 출력 함으로써, 구동회로(17), (18)로부터는 게이트에 출력되는 구동용 펄스가 출력되지 않게되고, FET(9), (10)의 스위치 동작이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과대전류에서 FET(9), (10)를 보호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2도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전압회로를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다이오드 브릿지(2)의 정류출력 끝단 사이에는, 입력전압 VB를 검출하기 위하여 저항(R5), (R6)의 직렬회로로부터는 분압회로가 접속된다.
분압출력을 얻는 저항(R5), (R6)의 접속점은, 미분회로(DF1)를 통하여 비교회로(IC1)의 한쪽방향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비교회로(IC1)의 다른쪽 방향의 입력단자에는, 기준 전압원(B1)(전압도 (B1)으로 한다.)이 접속된다.
이 비교회로(IC1)의 출력단자는, 제어회로(IC2)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이 제어회로(IC2)의 제어출력에 의하여 구동회로(17), (18)이 제어된다.
이 구성의 전압회로에서는, 분압저항(R5), (R6)에 의한 입력전압 VB의 검출출력이, 미분회로(DF1)에 의하여 미분된후에 비교회로(IC1)에 공급되어, 기준전압(B1)과 비교되므로, 입력전압(VB)의 전압 상승률이 소정치를 넘을때에, 비교회로(IC1)의 비교출력에 의거하여 제어회로(IC2)로부터, FET(9), (10)은 동작을 정지하기 때문에, 과대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할 수가 있다.
다음에, 청구항 2에 대응하는 구성의 전원회로의 일실시예를 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초퍼 작용을 행하기 위한 일시적 에너지 축적용 인덕터(L1), (L2)에는, 각각 탭이 형성되어 있고, 다이오드 브릿지(2)의 플러스쪽 정류출력끝단이 인덕터(L1)의 탭에 접속되고, 다이오드 브릿지(2)의 마이너스쪽 정류출력끝단이 인덕터(L2)의 탭에 접속된다.
인덕터(L1)한쪽끝단은, 마이너스쪽을 에노드로 하는 다이오드(D3)를 개제하여 다이오드 브릿지(2)의 마이너스쪽 정류출력끝단에 접속되고, 인덕터(L1)의 다른끝단은 다이오드(5)를 통하여 FET(9)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또 인덕터(L2)의 한쪽끝단은, 플러스쪽을 캐소우드로 하는 다이오드(D4)를 통하여 다이오드 브릿지(2)의 플러스쪽 정류출력끝단에 접속되고, 인덕터(L2)의 다른끝단은 다이오드(6)를 통하여 FET(10)의 소오스에 접속된다.
이 구성의 전원회로에서는, 부하(16)가 적은 부하로 되고, 평활 콘덴서(13) 양끝단의 직류전압(VC)가 상승하여, 인덕터(L1), (L2)의 탭과 인덕터(L1), (L2)한쪽끝단 사이의 2차쪽으로 나타나는 전압이, 입력전압(VB)보다도 높게될때에, 잉여의 전력이 다이오드(D3), (D4)를 통하여 전원(1)쪽에 귀환되도록 되어있고, 적은 부하시의 과전압을 방지 할수도 있다.
다음에, 제4도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전원회로를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다이오드 브릿지(2)의 플러스쪽 정류출력끝단은, 콘덴서(C3)와 인덕터(L3)의 1차권선(L3a)를 통하여 FET(9), (10)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브릿지(2)의 정류출력끝단 사이에는, 콘덴서(C2)와 다이오드 브릿지(DB)가 병렬로 접속되고, 이 다이오드(DB)의 교류접속끝단 사이에 인덕터(L3)의 2차권선(L3b)이 접속된다.
또, FET(9), (10)의 접속끝단(출력끝단)과 평활 콘덴서(13)의 플러스 끝단에는, 부하(16)와 콘덴서(14)의 직렬회로가 접속된다.
이 구성의 전원회로에서는, 부하(16)가 가벼운 부하로되고, 직류전압(VB)이 상승하여, 2차권선(L3b)에 나타내는 전압이, 입력전압(VB)보다도 높게 될때에, 잉여의 전력이 전원(1)쪽에 귀환되기 때문에, 가벼운 부하시의 과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5도에 나타낸 또다른 실시예의 전원회로를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다이오드 브릿지(2)의 정류출력 끝단 사이에는 콘덴서(C4)가 접속되고, 플러스쪽 정류출력 끝단이 인덕터(L4)의 탭에 접속된다.
인덕터(L4)의 한쪽끝단은, 마이너스쪽에 애노우드가 향하는 다이오드에 의하여 다이오드 브릿지(2)의 마이너스쪽 정류출력끝단에 접속된다.
인덕터(L4)의 다른끝단은, FET(9), (10)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또 FET(9), (10)의 접속끝단(출력끝단)과 평활 콘덴서(13)의 마이너스끝단에는, 부하(16)와 콘덴서(15)의 직렬회로가 접속된다.
이 구성의 전원회로에서는, 부하(16)가 적은 부하로 되고, 직류전압(VB)이 상승하여, 인덕터(L4)의 탭과 인덕터(L4)의 한쪽끝단 사이에 나타낸 전압이 입력전압(VB)보다도 높게될때에, 잉여의 전력이 다이오드(D5)를 통하여 전원(1)쪽에 귀환되므로, 가벼운 부하시의 과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6도에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전원회로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나타낸것과는 다르고, 다이오드 브릿지(2)의 정류출력 끝단 사이에 콘덴서(C5)가 접속되고, 마이너스쪽 정류출력끝단과 FET(9), (10)의 접속점 사이에 콘덴서(C6)이 접속된다.
또, 평활 콘덴서(13)의 양끝단에는, 부하(16A)가 접속된다.
이 구성의 전원회로에서도, 같은 가벼운 낙하시에 잉여전력이 인덕터(L5), (L6)로부터 다이오드(D6), (D7)를 통하여 전원(1)쪽에 귀환되어 과전압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말하면, 제3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전원회로에서, 교류전원(1)과 다이오드 브릿지(2)를 직류전원 B(제3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냄)에 치환되고, 이 직류전원 B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하면, 직류전원에서 고주파 교류전력으로 변환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 3에 대응하는 구성의 전원회로의 1실시예를 제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초퍼 작용을 맡은 초오크 코일(CC)은 인덕터(L7)과 가포화(可飽和) 인덕터(L8)의 직렬회로로서 구성되고, 이 직렬회로가, 다이오드 브릿지(2)의 정류출력 끝단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7), (8)의 접속점과 FET(9), (10)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접속된다.
제8도는, 1개의 초오크 코일(CC)에서 인덕터(L7)와 가포화 인덕터(L8)의 작용을 가지도록한 것이며, 권선(T)가 감기는 코어의 위끝단에 포화가 쉽도록 탄력이 붙음 갭(gap)(G)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인덕터(L7)에 가포화 인덕터(L8)를 직렬로 접속된 것에 의하여, 입력전류의 큰 부분에서 코어가 포화되고, 머리가 부서진 입력 전류파형(제9도(a)에 나타낸 파형)에, 가포화 인덕터(L8)에 의한 제9도(b)에 나타낸 전류파형이 무겁게되고, 머리부가 부서진 부분의 전류가 증가함으로, 제9도(c)에 나타낸 바와같이 입력전류의 파형이 정형파에 가까워지도록 한다.
이 동작에 의해, 입력전류에서 고주파 성분을 저감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10도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전원회로를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다이오드 브릿지(2)의 플러스쪽 정류출력끝단과 FET(9), (10)의 접속점과의 사이에는, 콘덴서(7)와 가포화 인덕터(L9)와의 직렬회로가 접속되고, FET(9), (10)의 접속점(출력끝단)과 평활 콘덴서(13)의 플러스끝단과의 사이에는 부하(16)와 콘덴서(14)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도, 가포화 인덕터(L9)의 활동으로 입력전류를 정현파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고, 고조파(高調波)성분을 저감할 수 있다.
제11a도, b도는 부하(16)의 예를 나타내어 있고, 제11a도에는 한류용(限流用)의 인덕터(L9) 방전등(LPM1)를 직렬으로 접속하고, 방전등(LMP1)의 필라멘트 사이에 콘덴서(C7)를 접속한 것이다.
또, 제11b도에서는, 1차권선(L11a)와 2차권선(L11b), (L11c)를 가지는 출력 트랜스(L11)를 사용하여 2개의 방전등(LMP2), (LMP3)를 점등시키도록 한 것이고, 방전등(LMP2), (LMP3)의 필라멘트 사이에 콘덴서(C8)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청구항 1에 대응한 구성에 의하면, 입력전압이 상승될때에,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 동작은 정지 하도록 하므로, 스위치 소자를 과전류로 부터 보호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 소자는 정격이 적은 소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전압을 검출하는 것에서, 과전류를 방지함으로 복잡하게되 전류검출 회로를 필요로하지 않도록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전류로 회로를 보호할 수가 있고, 평활 콘덴서에 의하여 전압적에 회로가 보호됨으로, 본 발명의 전원회로는 외부 서어지에 강하고, 신뢰성이 높으므로, 고역률, 낮은 왜곡교류·직류(교류·고주파)변환 장치로서 우수하다.
또, 청구항 2에 대응한 구성에 의하면, 가벼운 부하시의 잉여 전력을 전원쪽에 돌려보내지도록 함으로, 가벼운 부하시의 과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3에 대응한 구성에 의하면, 초퍼작용을 담당한 인덕터(초오크 코일)에 가포화 특성을 가지므로, 입력전류파형에서 고주파 성분을 저감할 수가 있고, 종래와 같은 전원라인에서 누출된 고주파 성분에 의해서 다른 저자기기등에 악영향을 주는일이 없다.
또, 초오크 코일의 자속밀도를 높게 설계하므로 초오크 코일의 소형화, 코스트의 저감을 꾀한다.

Claims (3)

  1. 교류전원을 전파정류하여 입력 직류전원을 얻는 전파정류회로와, 이 전파정류회로의 정류출력끝단 사이에 접속되는 직렬접속의 2개의 콘덴서와, 상기 전파정류회로의 플러스쪽 정류출력끝단에 한쪽끝단이 접속되고, 제1의 인덕터와 정류출력에 대하여 순방향을 향하여 제1의 다이오드로부터 되는 제1의 직렬회로와, 상기 전파정류회로의 마이너스쪽 정류출력끝단에 한쪽끝단이 접속되고, 제2의 인덕터와 정류출력에 대하여 순방향을 향하여 제2의 다이오드로부터 되는 제2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1의 직렬회로의 다른끝단과 상기 제2직렬회로의 다른끝단과의 사이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와, 이 평활 콘덴서의 양끝단에 접속되는 직렬접속의 2개의 역도통(導通)형스위치 소자와, 상기 직렬접속의 2개의 콘덴서의 접속점과 상기 직렬접속의 2개의 역도통형 스위치 소자의 접속점과를 접속하는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파정류회로(2), (7), (8)에서 공급되는 입력전압과 상기 평활 콘덴서(13)의 양끝단 전압과를 실질적으로 비교하는 전압 비교수단과, 이 전압 비교수단의 비교출력에 따라서,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평활 콘덴서(13)의 양끝단 전압에 비하여, 상승할때에, 상기 역도통형의 스위치소자(9), (10)의 스위칭 동작을 정지 시키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회로.
  2. 입력직류전원에, 콘덴서와 이 콘덴서에 축적된 전력을 일시적으로 축척하는 초퍼용의 인덕터와, 평활 콘덴서가 병렬접속된 2개의 스위치 소자의 교호의 온, 오프에 응하여 상기 인덕터의 축척전력을 상기 평활 콘덴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하여, 직류전압을 승압시키는 초퍼작용과, 승압시킨 직류전력을 고주파 교류전력에 변환하는 인버터 동작과를 시키는 복합형의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L3)에 2(13b)차쪽 권선을 형성하고, 상기 평활 콘덴서(13)에 축척된 잉여전력이 상기 입력직류전원에 귀환되도록, 이 2차쪽 권선(13b)과 상기 직류전원과를 다이오드(DB)를 통하여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회로.
  3. 입력직류전원에, 콘덴서와 이 콘덴서에 축척된 전력을 일시적으로 축척하는 초퍼용의 인덕터와, 평활 콘덴서가 병렬 접속된 2개의 스위치소자의 교호의 온, 오프에 응하여 상기 인덕터의 축척 전력을 상기 평활 콘덴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하고, 직류전압을 승압 시키는 초퍼동작과, 승압시킨 직류전력을 고주파 교류전력에 변환하는 인버터 동작과를 시킨 복합형의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초퍼용의 인덕터(L7)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동작 전류의 피크에서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는 가포화(可飽和) 인덕터(L8)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회로.
KR1019910013245A 1990-09-30 1991-07-31 전원회로 KR940003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61834 1990-09-30
JP261834 1990-09-30
JP2261834A JPH04140068A (ja) 1990-09-30 1990-09-30 電源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507A KR920007507A (ko) 1992-04-28
KR940003774B1 true KR940003774B1 (ko) 1994-04-30

Family

ID=1736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245A KR940003774B1 (ko) 1990-09-30 1991-07-31 전원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79196B1 (ko)
JP (1) JPH04140068A (ko)
KR (1) KR940003774B1 (ko)
CA (1) CA2052345A1 (ko)
DE (1) DE6911498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4737C (en) * 1992-08-26 1997-01-28 Minoru Maehara Inverter device
US5399944A (en) * 1993-10-29 1995-03-21 Motorola Lighting, Inc. Ballast circuit for driving gas discharge
US5488269A (en) * 1995-02-10 1996-01-30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resonant boost high power factor circuit
CN1040272C (zh) * 1995-03-15 1998-10-14 松下电工株式会社 逆变装置
DE19515510A1 (de) * 1995-04-27 1997-02-20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zum Impulsbetrieb von Entladungslampen
CN1302528A (zh) * 1999-04-28 2001-07-04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电路结构
CN114157166B (zh) * 2021-12-06 2023-06-09 成都信息工程大学 用于提升衍射性光波导曝光电子束场强的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702488A (nl) * 1987-10-19 1989-05-16 Philips Nv Elektrische inrichting voor het ontsteken en voeden van een gasontladings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14982T2 (de) 1996-04-11
JPH04140068A (ja) 1992-05-14
CA2052345A1 (en) 1992-03-31
EP0479196A1 (en) 1992-04-08
KR920007507A (ko) 1992-04-28
EP0479196B1 (en) 1995-11-29
DE69114982D1 (de) 199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1444B2 (en)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KR0133163B1 (ko) 아아크 용접기
US5506766A (en) 3-phase input type of switching power circuit
US6295211B1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having delay circuit for reducing switching frequency
JPH07177745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5862043A (en) Switch coupled active forward converter for obtaining a high power factor at a single power stage
US4821165A (en) High voltage DC power supply
US6519164B1 (en) Single power stage AC/DC forward converter with power switch voltage clamping function
US6999325B2 (en) Current/voltage converter arrangement
KR940003774B1 (ko) 전원회로
US11356029B2 (en) Rectifying circuit and switched-mode power supply incorporating rectifying circuit
US4945464A (en) High voltage DC power supply
US5327334A (en) Zero current switching DC-DC converter incorporating a tapped resonant inductor
KR100420964B1 (ko)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JPH08228486A (ja) Dc−ac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
KR100296290B1 (ko) 역률제어용 단상 능동 정류기
EP1313203A2 (en) Half-bridge converters
JP3163655B2 (ja) インバータ装置
US6424546B2 (en) Transformation circuit for universal switched power converter
KR100268563B1 (ko) 단상/3상 겸용 소프트 스위칭 방식 정류 장치
JP2001211650A (ja) 電源装置
JP3993704B2 (ja) アクティブフィルタ装置
JPH0320046Y2 (ko)
KR950001293Y1 (ko) 전원회로(power source circuit)
JP2628204B2 (ja) 直列共振コンバータ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