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576B1 - 잠열 에너지 축적재 - Google Patents

잠열 에너지 축적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576B1
KR940003576B1 KR1019860005911A KR860005911A KR940003576B1 KR 940003576 B1 KR940003576 B1 KR 940003576B1 KR 1019860005911 A KR1019860005911 A KR 1019860005911A KR 860005911 A KR860005911 A KR 860005911A KR 940003576 B1 KR940003576 B1 KR 940003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nt heat
heat accumulator
mustard
inhibito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289A (ko
Inventor
딘터 볼프강
Original Assignee
베. 에스. 테. 베르머 스파이허 테히놀로기. 에스. 아
위르거 슈바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 에스. 테. 베르머 스파이허 테히놀로기. 에스. 아, 위르거 슈바이퍼 filed Critical 베. 에스. 테. 베르머 스파이허 테히놀로기. 에스. 아
Publication of KR87000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6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solid or vice ver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6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solid or vice versa
    • C09K5/063Materials absorbing or liberating heat during crystallisation; Heat storag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8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잠열 에너지 축적재
제1도 및 제2도는 전형적인 열 축적재에 의한 열의 축적 및 방출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열 축적 및 방출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잠열 에너지 축적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냉상태로 보존되는 축적 물질이 용융상과 결정상 사이에서 전이되는 과정중에, 열량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잠열 에너지 축적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저온 범위에서 축적물질이 결정상과 액상 사이에서 변이되는 과정중에 흡수되거나 방출되는 잠열 형태의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한 축적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정 물질을 기초로 하는 과냉 잠열 축적재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전형적인 열축적 방법을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세로좌표는 임의적인 눈금으로 표시한 온도이다. 가로좌표는 각 단계별로 나누어져 있으며 역시 마찬가지로 임의적인 눈금으로 나타낸 열 에너지이다.
제1도는 전형적인 방법으로 시험한 잠열 축적재의 온도변화를 나타낸다. T1은 그의 물질이 결정 상태에 있는 사용되지 않은 축적재의 보존온도이다. 이 온도는 열축적재를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서, 예를들면, 실내 또는 지하실 등의 온도에 따라 좌우된다.
결정성물질에 열이 가해지면, 온도는 상변화 온도인 TP점으로 상승한다(제2단계). 더 많은 열이 가해지면 결정입자는 용융되기 시작하고, 그로인해 축적 물질이 완전히 용융될때까지 온도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제3단계). 이때 열축적재는 “열충전”상태가 된다
더욱 더 많은 열이 가해지면 최대 과충전 온도 T2가 축적 물질이 화학적으로 분해되는 온도 TD점 아래로 유지되는 한 무해한 “과충전”(제4단계) 상태로 된다.
이 단계에서 더이상의 열이 가해지지 않으면, 축적 물질은 통상적으로 TP(제5단계)로 냉각되거나 또는 특히 염수화물인 경우 이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점선). 물질이 액상으로 되는 TP점 이하의 온도 강하를 과냉(각)이라 한다.
일반적인 학술상의 견해로는, 과충전된 용융물이 온도 TP아래로 냉각됨에 따라서 즉시 제8단계가 일어나야 된다. 즉, 용융물이 대략 일정한 온도인 TP에서 결정화되고 이때 축적된 에너지를 다시 결정화 열의 형태로 방출하여야 한다. 일단 용융물이 완전히 결정화되면, 냉각되므로서(제9단계), 그에 의해 방출되는 열을, 특정 상황하에서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제1단계는 초기의 제1단계와 일치된다. 즉, 한 싸이클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와는 단지 온도변화 과정에 있어서 제6단계와 제7단계만이 다를 뿐이다.
이 온도 변화과정의 영향 및 그의 제어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발명의 목적은 용융물을 T3<TP의 온도, 또는-일반적으로, 그러나 필수적이지는 않은 온도 T1(제1단계) 또는 그보다 더 낮은 온도로(제2도에는 도시되지 않음) 무한기간 보존 하려는데 있는 것이다. 이 무한정한 시간은 제2도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이온도(엔탈피 점) 이하의 가능한한 넓은 온도범위내에서의 과냉효과를 실용화하는데 있다. 이 범위가 가동시의 열축적재의 주변온도 이하로 성공적으로 확장되면, 액상이 축적 물질에 비축된 잠열은 열손실 없이(주변온도에로의 냉각과 별도로) 어떠한 기간동안이라도 단열처리를 하지 않고 보존할 수 있으며, 하시라도 접종에 의해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융물에 용융물 고유의 결정입자 구조에 대응되기만 하면되는, 즉 등정형일 필요가 없는 약간의 결정을 첨가한다. 등형성 또는 에피탁식(epitaxic) 결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결정성 열축적 물질로서는, 원칙적으로 그 물질의 가격에 비해 잠열(유용성)이 크고, 열축적재가 사용되는 범위에 대응하는 온도에서 용융되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다시말하면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싸이클에서도 화학적 변화가 없이 견딜수 있고, 또 한편 열축적재의 기능설비(용기의 벽체, 열교환기, 기타의 관이나 밸브류, 및 배관연결부품)에 사용되는 재질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고, 즉 이들 부위에 부식이나 변질을 유발치 않는 모든 무기 및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축적 물질의 선택에 있어서는, 결정체 상태에서와 용융된 상태에서의 밀도 차이가 가능한한 작을 것이 결정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따라서, 용융상태에서 열을 비축하고 결정화시에 열을 방출할 수 있으며, 또한 열축적 물질의 융점 또는 전이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단열처리 및 에너지 손실없이 용융상태의 축적 물질을 안정화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므로써 상기 용융된 열 축적 물질이 융점 또는 전이온도 이하에서 정해진 시간 및 온도하에서 결정화 될 수 있도록 하는 결정화 억제제를 함유하는 결정성 열 축적 물질을 함유하는 잠열 에너지 축적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축적 물질은 무기 또는 유기 수화물 뿐만 아니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들 수화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열축적 물질은 또한 H2-착화합물 또는 상기 수화물의 하나 내지 다수와 H2O-착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일 수도 있다. 다른 종류의 적절한 열축적 물질은 무기 또는 유기 금속염이며, 특히, 주기율표의 Ⅲ족에 속하는 원소의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염은 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와 소디움 티오설페이트 펜타하이드레이트가 있다.
결정화 억제제는 물의 절연 상수에 대하여 적어도 0.1배 정도의 절연 상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용액내에서 해리되어 H+이온 및/또는 OH-이온을 형성하는 물 또는, 무기 및/또는 유기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결정화 억제제의 농도는 매우 광범위한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통상, 결정화가 일어날때 결정화 속도와 그에 따라 공급되는 열량이 열량의 수요와 부합되도록 계산된다.
결정화 억제제는 축적 물질이 용액에서 결정으로 되는 것을 억제하는 촉매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결정화 억제제에 있어서, 이온의 활성화 에너지는 잠열 축적물질 및/또는 물의 이온에 대한 이들 이온의 친화력보다 작다.
결정화 억제제로는 예를들면 단일원자가 또는 다원자가의 1차, 2차 혹은 3차 알콜, 또는 카르복실 그룹을 함유하는 유기화합물 등이 있다. 이러한 억제제로는 예를들면 개미산, 또는 니트로그룹을 함유하는 화합물, 즉, 니트로 벤젠이 있다.
본 발명의 억제제가 첨가된 열축적 물질은 쇼크에 둔감하여 용기에 넣어 화물트럭 또는 기차편으로 운송하거나 또한 일반적인 펌프나 배관계통을 사용하여 압송이 가능하다.
후술한 안정하고 재생가능한 과냉각의 실현을 기술하는 실시예는 소디움 티오설페이트 펜타하이드레이트에 관한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CH3-COONa·3H2O(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의 예를 이용하여 결정화 억제 및 재생의 작용 기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는 약 58℃의 융점(전이점 또는 전환점)을 갖는다. 과냉되는 것을 용융물의 고유한 특성이다. 즉, 특정 상황하에서는 용융물은 58℃ 이하에서도 액체로 남아 있는다. 그러나, 과냉 온도는 많은 우발성에 의해 좌우된다.
특히 바람직한 결정화 억제제는 겨자, 장미유 및 케러멜화 당이다. 겨자는 그 자체가 화합물들의 혼합물이지만 스위스에서 통상 시판되는 겨자는 본 발명의 방법 및 물질에 있어서 결정화 억제제로서의 기능을 훌륭하게 수행하는 것을 밝혀졌다.
겨자의 실제적인 조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R
Figure kpo00001
mpp's Chemical Dictionary) 같은 표준 사전을 참고할 수 있다. 장미유의 경우에 있어서도 비슷하다. 합성 장미유와 천연 장미유의 실제적인 성분에 대한 자세한 사항도 역시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R
Figure kpo00002
mpp's Chemical Dictionary(4th Ed.)에 따르면, 예를들면 겨자는 16~18%의 무염 건조 물질, 0.94~1.85%의 아릴 겨자유, 7~12%의 섬유질 및 10% 이하의 전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겨자는 일반적으로 모스트리히형(Morthrich type) 겨자로 불리운다.
열 축적 물질이 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이고 결정화 억제제가 장미유인 경우에 , 장미유는 일반적으로 1부피% 수용액으로 사용된다. 이 용액을 10부피% 미만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소디움 티오설페이트 펜타하이드레이트인 경우에는 보다 적은 양의 장미유, 예를들면 1부피% 수용액으로 약 1부피% 만이 필요하다. 이는 겨자 수용액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바람직한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명시하였다.
결정화 억제를 안정화시키는 첫번째 방법은 기본 물질에 물을 첨가하는 것이다. 결정수를 함유하는 축적 물질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은 결정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한다. 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가 그 자체의 결정수내에서 해리되면 Na+이온과 CH3-COO-이온으로 된다.
이하 가장 간단한 형태의 재생, 즉 기본 물질과 동일한 결정으로 접종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결정은 정전기적으로 중성이다. 즉, 그의 표면에서는 수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극히 미세하게 작을 수 있는 결정의 표면은 결정내의 격자 구조와는 다른 정전기적 전위를 갖는다.
따라서, 접종 결정(이것은 반드시 동일한 것일 필요는 없다)에 의해 유발된 결정화는-상술한 쇼크 결정화와는 달리 -접종 결정으로부터 유도되며 본 발명에 고유한 수단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속도로 퍼진다. 축적 물질에 더 많은 물을 첨가할수록 결정화는 더 느리게 진행된다. 한편, 용융물의 여러 점에서 동시에 재생을 실시하면 결정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독일 특허 명세서 24 48 739호에는, 58℃의 융점(이 온도는 염 수화물중의 물 함량을 변화시키므로써 몇 ℃의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을 가지며 약 -10℃의 임계 과냉 온도까지 과냉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진동 또는 불순물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유발된 결정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 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NaC2H3O2·3H2O)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 또는 소디움 티오설페이트 펜타하이드레이트를 임계 과냉온도 부근에 까지 안정하게 과냉시키는 것을 보장하며 그의 첨가가 축적 물질의 특성을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을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너무 비싸지 않은, 결정화 억제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액상에서 고상으로의 상변이를 생각해보면, 이것은 두단계로 나누어질 수 있다. 첫째 단계에서는 안정한 결정 종자가 형성되고, 둘째 단계에서는 용융물이 완전히 결정화될 때까지 그 결정 및 그 이외의 결정들이 확산된다.
둘째 단계에서보다 첫째 단계에서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과냉 현상은 이 에너지 한계(threshold)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억제제는 이 에너지 한계를 확실하게 상승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1ml의 천연 또는 합성 장미유를 실온에서 1ℓ의 증류수에 첨가한다. 0.1dl의 유제(Emulsion)를 1ℓ의 액상소디움 티오설페이트 펜타하이드레이트에 첨가한다.
경제적 이유로 유제의 장미유 농도는 1%로 조절되어 있다. 이 농도는 높여도 무방하나, 낮은 농도일수록 최저 한계 온도를 상승시켜, 과냉 간격을 좁혀서, 과냉상태의 안정을 도모하게 된다.
[실시예 2]
시판되는 겨자 50g을 500g의 물에 첨가한 후 80℃ 또는 그 이상까지 가열하면서 완전하게 교반한다. 유제는 가열된 상태에서 여과하는 것이 적절하다. 0.1dl의 유제를 1ℓ의 용융된 소디움 티오설페이트 펜타하이드레이트에 첨가한다.
[실시예 3]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우로부터 얻은 설탕을 도가니에서 암갈색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갈색으로 될 때까지 녹인다.
100ml의 캐러멜상의 용액을 100ml의 물에 첨가하고 균질의 수용액이 될때까지 교반한다. 0.1dl의 수용액을 1ℓ의 액상 소디움 티오설페이트 펜타하이드레이트에 첨가한다.
[실시예 4]
1ml의 천연 또는 합성 장미유를 1ℓ의 증류수와 실온에서 혼합한다. 1dl의 유제를 1ℓ의 액상 소디움 아세테이트 티오하이드레이트에 첨가한다. 경제적 이유로 해서 유제중의 농도는 1%에 맞춘다. 농도를 높여도 무방하지만 낮은 농도일수록 최저 한계 온도를 상승시켜, 즉 과냉 간격을 좁혀서 안정을 도모하게 된다.
[실시예 5]
50g의 시판 겨자를 500g의 물에 첨가하고 80℃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완전하게 교반한다. 유제는 가열상태에서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dl의 유제를 1ℓ의 액상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에 첨가한다.
겨자의 수중농도는 임계적이지 않다. 농도는 100%에 달할 수 있다(겨자는 본질적으로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주변온도 이상으로 겨자를 가열하고 1 : 10의 비율로 액상 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와 혼합한다. 한편, 열축적 물질은 전이온도 아래에서는 액상으로 남아있지 않지만 접종후에 결정 상태로 진행되어감에 따라 축적된 잠열을 방출하면서 페이스트 상으로 변해간다.
[실시예 6]
사탕수소 또는 사탕무우로 부터 얻은 설탕을 도가니에서 암갈색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갈색의 용융액이 될때까지 녹인다. 100ml의 캐러멜상의 용융물을 100ml의 물에 첨가하고 균질한 수용액이 될때까지 교반한다. 1dl의 용액을 1ℓ의 액상 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에 첨가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주어진 조성 비율은 단지 근사값들일 뿐이다. 예를들면, 유제 또는 수용액의 10% 또는 1%의 비율은 40%(또는 20%)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알려진 바와 같이 염 수화물중의 물의 비율이 높아지면 염수화물의 전이온도를 강하시키게 되어 잠열에너지 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가 열축적 물질인 경우 결정상 운모를 열축적 물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예와 관련된 조성비율들은 단지 근사값 들일 뿐이다. 유제 또는 수용액의 비율은 훨씬 더 증가시킬 수 있으나 알려진 바와 같이 염수화물중의 물의 비율이 높아지면 전이 온도가 감소된다. 필요한 경우, DE-OS 32 03 306호에 기술된 결정상 운모를 열축적재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억제제를 첨가하게 되는 잠열 축적 물질은 상술한 기준들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실험에 의해 밝혀졌다. 최저 한계 온도는 약 0℃이다. 엔탈피 온도와 이 한계 온도사이의 과냉 간격에서, 이 액상은 응집, 침강 또는 화학 변화가 없이 유지될 수 있다. 혼합물은 진동 또는 교반 같은 외부의 기계적 부하, 또는 이온화 또는 불순물에 의해서는 결정화를 일으키지 않고, 다만 예를 들면 접종과 같은 목표 수단에 의해서만 결정화를 일으킨다. 나아가 실험에 의하면, 수년간 보관한 후에도, 축적 물질내에 침강 또는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 증명된다. 결함있는 결정(상이한 격자 구조)이 형성될 수 있지만, 다음 가열 사이클중에 용융물에서 사라진다. 액상 축적재, 비과냉성 잠열 축적재 및 안정한 과냉성 잠열 축적재 같은 많은 응용분야에서 중요한 엔탈피 온도와 상한 한계 온도 사이의 온도범위에 관해서도 문제가 없다.
첨부된 제3도에는 열축적후 냉각되는 과정중의 단열처리 되지 않은 잠열축적재의 행동을 도시한 것으로서 열축적재는 그 총 함량이 액화될때까지 전이온도 TU보다 높은 온도 TA로 충전되는 것을 나타낸다. 만약, 열충전이 너무 빨리 중지된 경우에는, 이미 존재하고 있던 용융액에 결정 종자가 남게되어 후속되는 온도 TU에서의 냉각시에 전이를 즉시 유발하고, 축적잠열은 방출된다.
그대로 방치하면, 축적재는 주변온도 TS(과냉온도)로 냉각된다(영역 Ⅰ) ; 이렇게 되는 중에, 간격 ΔT=TA-TUK에 따라 축적재 내용물중의 비열이 방출된다. 그러나, 그의 잠열은 온도 TUK에서 어떠한 기간동안이라도 에너지 손실없이 용융물내에 잔존한다(영역 Ⅱ).
축적재의 열함량이 재생되는 경우, 즉 잠열이 방출되는 경우 그의 온도는 처음에는 전이온도 TT로 상승한다(영역 Ⅲ) : 축적재는 이용 가능하게 된 잠열로부터 냉각 과정중에 방출된 비열을 다시 한번 흡수한다. 온도 TT에서, 축적재의 온도는 액상이 고상으로 전이될때까지(예를들면 열교환기를 통하여) 일정하게 열을 방출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된다(영역 Ⅳ). 이어서, 축적재는 그의 비열을 방출하면서 다시 한번 냉각되는데, 이 비열의 일부는 과냉 간격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온도 TU의 상태에 따라서 계속 이용할 수 있으며 이제 방출된다(영역 Ⅴ). 이러한 싸이클이 새로운 재충전과 함께 반복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축적재가, 기계적으로 순수한 물질을 이용하여, 즉 화학적으로 순수한 형태이거나 또는 높은 순도를 갖는 것과 같은 비싼 물질을 사용할 필요없이 온전하게 기능을 한다는 것은 특히 중요한 일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된 촉매는 H+이온 및 OH-이온을 쉽게 방출하는 유기 물질이다.
장미유는 본질적으로 각종 알콜로 이루어져 있다. 장미유에 있어서, 제라니올(geraniol) 도는 시트로넬롤(citronellol)이 바람직하게 H+및 OH-공여체로 이용될 수 있다. 제라니올의 경우에는 개환된 벤젠 고리가 존재한다(2-6결합이 존재하지 않는다) 1-위치의 C원자에 붙는 CH2OH기는 트랜스 위치에 있으며 상당히 각을 이루고 있어서, 이 기의 결합은 상당히 느슨하다. 시트로넬롤을 오일 역시 비슷한 배위를 갖는다. 두물질 모두 비환식 테르펜류이다.
그 자체로는 해리되지 않고 결정화 억제제로서 비효과적인 원당은 캐러멜화에 의해 아직(1984년)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단편들로 분해된다. 그러나, 유효한 이온들을 방출하는 단편이 얻어진다고 가정된다.
다른 물질중에서도 전분과 글루코스를 함유하는 겨자의 경우에 있어, 겨자의 정확한 화학 조성에 관한 적절한 연구를 다른 정보원으로부터 입수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유효한 인자를 아직 정의하지는 못하였지만, 역시 가열시에 비슷한 현상이 분명히 발생한다.

Claims (17)

  1. 소디움 아세테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를 기초로 하는 과냉각 잠열 축적 물질, 및 융점과 과냉각 상태에서의 최저 한계 온도사이에서 액상으로 있는 축적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액체 첨가제 물질로 이루어진 잠열 축적재에 있어서, 액체 첨가제 물질이 장미유 및 겨자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물유의 수성 유제와 캐러멜화 당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이들 첨가제가 각각 열 축적 물질의 결정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화 억제제가 장미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3. 제1항에 있어서, 결정화 억제제가 겨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4. 제2항에 있어서, 억제제는 축적 물질에 대해 약 10부피% 농도로 존재하는 약 1부피 ppt(parts perthousand)의 장미유의 수성 유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5. 제3항에 있어서, 억제제는 축적 물질에 대해 약 10부피% 농도로 존재하는 약 10부피%의 겨자의 수성 유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6. 제5항에 있어서, 축적 물질이 10부피%의 겨자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열 축적재.
  7. 제1항에 있어서, 억제제는 축적 물질에 대해 약 10부피%의 농도로 존재하는 약 50% 캐러멜화당의 수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8. 제1항에 있어서, 수성 유제 또는 수용액이 축적 물질의 10~4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9. 제1항에 있어서, 축적 물질에 결정성 운모를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10. 소디움 티오설페이트 펜타하이드레이트를 기초로 하는 과냉각 잠열 축적 물질, 및 융점과 과냉각 상태에서의 최저 한계 온도사이에서 액상으로 있는 축적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액체 첨가제 물질로 이루어진 잠열 축적재에 있어서, 액체 첨가제 물질이 장미유 및 겨자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물유의 수성 유제와 캐러멜화 당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이들 첨가제가 각각 열 축적물질의 결정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제.
  11. 제10항에 있어서, 결정화 억제제가 장미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12. 제10항에 있어서, 결정화 억제제가 겨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억제제는 축적 물질에 대해 약 1부피%의 농도로 존재하는 약 1부피%의 장미유의 수성 유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억제제는 축적 물질에 대해 약 1부피% 농도로 존재하는 약 10부피%의 겨자의 수성 유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축적 물질이 부피 10부피%의 겨자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16. 제10항에, 억제제는 축적 물질에 대해 약 1부피%의 농도로 존재하는 약 50부피% 캐러멜화당의 수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17. 제10항에 있어서, 수성 유제 또는 수용액이 축적 물질의 1~2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적재.
KR1019860005911A 1985-07-20 1986-07-19 잠열 에너지 축적재 KR940003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3180/85-6 1985-07-20
CH3180/85 1985-07-20
CH3181/85 1985-07-20
CH318085 1985-07-20
CH318185 1985-07-20
CH403285 1985-09-18
CH4032/85 1985-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289A KR870001289A (ko) 1987-03-12
KR940003576B1 true KR940003576B1 (ko) 1994-04-25

Family

ID=2717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911A KR940003576B1 (ko) 1985-07-20 1986-07-19 잠열 에너지 축적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849121A (ko)
EP (1) EP0210954B1 (ko)
KR (1) KR940003576B1 (ko)
AU (1) AU592103B2 (ko)
CA (1) CA1288236C (ko)
DE (1) DE3670649D1 (ko)
ES (1) ES2001023A6 (ko)
GR (1) GR861877B (ko)
IL (1) IL79455A (ko)
IN (1) IN166918B (ko)
NZ (1) NZ216899A (ko)
PT (1) PT83022B (ko)
TR (1) TR225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0040B4 (de) * 2006-10-24 2017-06-29 Robert Bosch Gmbh Energieautarker Druck- oder Berührungssensor
US9732264B2 (en) * 2013-09-30 2017-08-15 Panasonic Corporation Heat storage materi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ing heat storage material composition
US9650554B2 (en) 2015-08-06 2017-05-16 Panasonic Corporation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CN111364960B (zh) * 2018-12-25 2022-08-3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抑制气井天然气水合物生成的装置及方法
CN110387216B (zh) * 2019-08-15 2021-09-03 广东工业大学 一种长期稳定过冷相变储热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3700C (ko) *
US1894775A (en) * 1929-04-12 1933-01-17 Herbert S Levenson Thermal composition of matter
US3951127A (en) * 1973-06-28 1976-04-20 Kay Laboratories, Inc. Constant temperature device
CA1125493A (en) * 1977-10-31 1982-06-15 Kay Laboratories, Inc. Supercooled fluids and methods of producing such supercooled fluids
US4331556A (en) * 1978-01-03 1982-05-25 Kay Laboratories, Inc. Heat storag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66918B (ko) 1990-08-04
NZ216899A (en) 1988-11-29
DE3670649D1 (de) 1990-05-31
ES2001023A6 (es) 1988-04-16
IL79455A (en) 1991-01-31
EP0210954A1 (en) 1987-02-04
TR22592A (tr) 1987-12-15
AU6031386A (en) 1987-01-22
PT83022B (pt) 1988-07-01
CA1288236C (en) 1991-09-03
GR861877B (en) 1986-11-24
US4849121A (en) 1989-07-18
EP0210954B1 (en) 1990-04-25
AU592103B2 (en) 1990-01-04
KR870001289A (ko) 1987-03-12
PT83022A (en) 1986-08-01
IL79455A0 (en) 198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785B1 (ko) 가역적 액체/고체 상 전이 조성물
US4189394A (en) Heat storage material comprising calcium chloride-hexahydrate and a nucleating agent
US5591374A (en) Salt mixtures for storing thermal energy in the form of heat of phase transformation
US4690769A (en) Hydrated calcium bromide reversible phase change composition
KR940003576B1 (ko) 잠열 에너지 축적재
US4283298A (en) Hydrated Mg(NO3)2 /NH4 NO3 reversible phase change compositions
KR910007090B1 (ko) 에너지 저장을 위한 가역성 상이전조성물
US4372866A (en) Heat storage medium of NaOH-H2 O-TeO2
US4595516A (en) Heat storage material
US4342661A (en) Heat storage medium
US4189393A (en) Heat storage material comprising lithium chlorate-trihydrate and a nucleating agent
JPS6270480A (ja) 潜熱エネルギ−貯蔵体
KR950013219B1 (ko) 상변화 잠열축열재
US4508632A (en) Heat storage materials
US1968195A (en) Congealing solution
JPS63137982A (ja) 蓄熱材組成物
EP0807150B1 (en) Reversible hydrated magnesium chloride phase change compositions for storing energy
SU834088A1 (ru) Теплоаккумули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DE102006039343A1 (de) Stabilisatoren für latente Wärmespeichermaterialien
JPS6121579B2 (ko)
JPS59170178A (ja) 蓄熱材
JPH0443949B2 (ko)
JPH0562158B2 (ko)
JPS5941667B2 (ja) 蓄熱材
JPS57180685A (en) Heat accumulat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