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305B1 - 조명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305B1
KR940003305B1 KR1019910016202A KR910016202A KR940003305B1 KR 940003305 B1 KR940003305 B1 KR 940003305B1 KR 1019910016202 A KR1019910016202 A KR 1019910016202A KR 910016202 A KR910016202 A KR 910016202A KR 940003305 B1 KR940003305 B1 KR 94000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rol
output
termi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311A (ko
Inventor
차정수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305B1/ko
Publication of KR930007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명 제어 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조명 제어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조명 제어 회로에 대한 전체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출력 릴레이 제어 및 구동 검출부의 상세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10A : 메모리
20 : 세트용 버퍼 30 : 리세트용 버퍼
40 : 검출용 버퍼 50 : 출력 릴레이 제어 및 구동 검출부
51 : 검출부 PC : 포토커플러
RY3 : 제어신호용 릴레이 RY4 : 구동용 릴레이
RY5 : 출력 제어용 릴레이 D1-D5 : 다이오드
R1,R2 : 저항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조명 부하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기 출력한 점등 및 소등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 대상인 출력 릴레이의 구동이 원하는 대로 정확하게 제어 되었는지를 확인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조명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조명 분야는 빌딩의 복잡화 및 건물의 고층화에 따른 건물 조명의 효율적 관리 및 전력 절감을 위한 방향으로 다각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컴퓨터 통신 관련 기술, 마이크로 응용 디지탈 관련 기술, 릴레이 시켄스 기술, 조명 설계 기술등의 포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중앙 통제부에서 최종 제어대상인 조명부하의 점등/소등 상태를 오판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조명 제어 회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장치(1)은 호스트 컴퓨터(HC)의 제어를 받거나 스위치 입력(SW)을 제공받아 세트용 버퍼(2) 또는 레세트용 버퍼(3)을 통해 해당 출력의 접점을 점등/소등시킨후, 출력된 정보를 메모리(1A)에 저장하였다가 이를 호스트 컴퓨터(HC)에 전송함으로써 그 호스트 컴퓨터(HC)가 다음번에 제어어 참조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같이 종래의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어 신호를 출력할때 최종 릴레이의 현재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한채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토대로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만일 기 출력한 제어신호에 의하여 단말에 있는 최종 출력 릴레이가 동작되지 않았거나 부분적인 단선 또는 기타 오동작 발생시에도 중앙의 조작자는 의도한 출력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인지하지 못한채, 단지 메모리내의 정보를 토대로 하여 다음의 제어를 하게 된다. 따라서 최종 조명 부하의 영향을 받고 있는 장소에서만 이상 동작이 검출되므로 현재 상황의 정보가 중앙의 조작자에게 전달되는 시간이 지연되거나 이상 발생시 수리 보수가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명 부하로 제어용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의 동작상태를 중앙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그 중앙의 제어부에서 전체의 조명 제어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조명 제어 회로에 대한 전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의 호스트 컴퓨터(HC)로부터 공급되는 조명 제어 정보에 따라 세트용 버퍼(20), 리세트용 버퍼(30)를 통해 출력 릴레이를 제어하고, 검출용 버퍼(40)를 통해 그 출력 릴레이의 동작상태를 감지한 후, 이 정보를 메모리(10A)를 통해 상기 소프트 컴퓨터(HC)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1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를 받아 출력 릴레이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그 출력 릴레이의 동작상태를 검출하여 그 정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 전송하는 출력 릴레이 및 제어 및 구동 검출부(50)로 구성하였다.
제3도는 제2도에서 출력 릴레이 제어 및 구동 검출부(50)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류전원(AC)의 일측단자를 제어신호용 릴레이(RY3) 스위치(RY31)를 통한후, 구동용 릴레이(RY4)의 스위치(RY41), (RY42)에 접속하고, 상기 구동용 릴레이(RY4) 스위치(RY41), (RY42)의 세트, 리세트단자(s1), (r2)를 다이오드(D1), (D2)를 정, 역방향으로 각기 통해 공통 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동작상태 검출용 포토커플러(PC)의 포토다이오드(PD1) 및 저항(R)을 통해 상기 교류전원(AC)의 일축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코일을 통한 다음 다이오드(D3), (D4)를 정, 역방향으로 각기 통해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스위치(RY51) 오프, 온단자(b), (c)에 각기 접속하며, 상기 릴레이(RY5) 스위치(RY51)의 가동단자(a)를 상기 교류전원(AC)의 타측 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본 발명의 신호 흐름을 보인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장치(10)에서 제어신호(CS)를 저전위로 출력함과 아울러 저전위의 점등신호(LS)를 출력하면, 그 저전위의 점등신호(LS)에 의해 제어신호용 릴레이(RY3)가 구동되어 그 릴레이(RY3)의 스위치(RY31)가 단락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점등신호(LS)에 의하여 구동용 릴레이(RY4)가 구동되어 그 릴레이(RY4)의 연동 스위치(RY41), (RY42)가 점등단자(s1), (s2)에 각각 단락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교류전원(AC)이 상기 릴레이 스위치(RY31), (RY41) 및 다이오드(D1), 출력제어용 릴레이(RY5)의 코일, 다이오드(D3)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코일에 세트 전류(ISET)가 흘러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스위치(RY51)가 오프단자(b)에서 온 단자(c)로 절환됨과 아울러 그 릴레이(RY5) 스위치(RY51)와 연동되는 릴레이(RY5)의 스위치(RY52)도 단락되고, 이에 의해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어 해당 램프가 점등된다.
이후, 상기 저전위의 제어신호(CS) 및 점등신호(LS)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용 릴레이(RY3)가 일반 릴레이이고, 구동용 릴레이(RY4) 및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가 래치용 릴레이이므로 이와같은 상태에서 그 릴레이(RY3)의 스위치(RY31)가 개방되는 반면, 릴레이(RY4)의 스위치(RY41), (RY42)가 세트단자(s1), (s2)에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고, 릴레이(RY5)의 스위치(RY51)도 온단자(c)에 단락된상태를 유지하며, 그 릴레이(RY5)의 스위치(RY52)도 단락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저전위의 제어신호(CS)와 함께 저전위의 소등신호(BS)를 출력하면, 그 전위의 제어신호(CS)도 소등신호(BS)에 의하여 상기 구동용 릴레이(RY4)가 구동되어 그 릴레이(RY4)의 연동 스위치(RY41), (RY42)가 리세트단자(R1), (R2)에 각각 단락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교류전원(AC)이 상기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스위치(RY51), 다이오드(D4),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코일, 다이오드(D2) 및 상기 릴레이(RY4)의 스위치(RY42)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코일에 리세트전류(IRESET) 가 흘러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스위치(RY51)가 오프단자(b)로 절환되는 동시에 그 스위치(RY51)와 연동되는 릴레이(RY5)의 스위치(RY52)가 단락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절환되어 부하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므로 해당 램프가 소등된다.
한편, 상기 점등/소등신호를 공급할 때 출력 릴레이 제어 및 구동 검출부(50)를 통해 상기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구동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소등신호(LS)가 공급되는 상태(제3도의 릴레이 스위치 상태)에서 교류전원)(AC)의 반주기정(+)의 펄스는 다이오드(D3)와 역방향이므로 그 다이오드(D3)에 의하여 차단되고, 반주기 부(-)의 펄스는 상기 다이오드(D3)는 통과되나 검출부(51)내의 포토다이오드(PD)에 의해 차단되어 결국, 정, 부의 펄스 모두 차단되므로 이때, 검출부(51)의 포트커플러(PC)가 오프되고, 이에 의해 검출신호 출력단자(DET) 계속적으로 고전위의 전원단자 전압(+5V)이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점등신호(LS)가 공급된 상태에서, 교류전원(AC)의 반주기 정의 펄스가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스위치(RY51), 상기 다이오드(D4), 그 출력용 릴레이(RY5)의 코일, 포토커플러(PC)의 포토다이오드(PD), 저항(R1), 교류전원(AC) 단자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상기 포토커플러(PC)가 온되고, 이에 의해 검출신호 단자(DET)에 반주기 동안 저전위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점등신호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교류전원(AC)의 반주기부터의 펄스는 상기 다이오드(D4)에 의해 차단되므로 이때, 상기 포토커플러(PC)가 오프디어 상기 검출신호 단자(DET)에 그 교류전원(AC)의 반주기부의 펄스 구간동안 고전위(+5V)가 출력되며, 이후에도 상기에서와 같이 교류전원(AC)의 반주기 정, 부의 펄스 구간마다 상기 포토커플러(PC)가 온, 오프되어 상기 검출신호 단자(DET)에 교류전원(AC)의 주기에 해당되는 구형파가 출력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는 제어신호 포트(CS)를 통해 상기 검출신호(DET)를 받아들여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접점상태를 확실하게 제어/감시할 수 있게 되며, 그 정보를 메모리(10A)를 통해 중앙 통제부의 호스트 컴퓨터(HC)에 전달함으로써 중앙의 조작자는 자신이 의도한 대로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가 구동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저항(R)은 상기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구동 상태 검출시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한하여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스위치(RY51), (RY52)가 스위칭되지 않게 하기 위한 전류제한용 저항이다.
한편, 제4도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호스트 컴퓨터(HC) 또는 스위치 명령(SW)에 의하여 해당 릴레이의 점등/소등을 제어한 후, 상기의 동작에 의하여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상태를 감지하고, 이상 상태가 발생될 경우 제어신호(CS)를 재출력한후, 그래도 이상 상태가 계속될 경우에는 그 상황을 호스트 컴퓨터(HC)에 통보 함으로써 중앙의 조작자가 현재의 상황을 인지하여 이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래치 릴레이를 출력 접점용 릴레이로 사용하는 조명 제어장치에 있어서, 점등/소등 제어용 래치 릴레이를 조합하여 출력 접점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 및 출력 릴레이에 미소한 교류전원이 흐르게 하고, 이와 접속된 포토커플러를 통해 릴레이의 동작상태 검출함으로써 조명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중앙의 호스트 컴퓨터(HC)로부터 공급되는 조명 제어정보에 따라 세트용 버퍼(20), 리세트용 버퍼(30)를 통해 출력 릴레이를 제어하고, 검출용 버퍼(40)를 통해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의 동작상태를 감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HC)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1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를 받아 출력 제어용 릴레이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의 구동 상태를 검출하여 그 정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 전송하는 출력 릴레이 제어 및 구동 검출부(5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명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교류전원(AC)의 일측단자를 제어신호용 릴레이(RY3)의 스위치(RY31)를 통해 구동용 릴레이(RY4)의 스위치(RY41), (RY42)에 접속하고, 상기 구동용 릴레이(RY4) 스위치(RY41), (RY42)의 세트, 리세트단자(s1), (r2)를 다이오드(D1), (D2)를 정, 역방향으로 각기 통해 공통 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포트 커플러(PC)의 포토다이오드(PD) 및 저항(R)을 통해 상기 교류전원(AC)의 일측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의 코일을 통한 다음 다이오드(D3)(D4)를 정, 역방향으로 각기 통해 그 출력 제어용 릴레이(RY5) 스위치(RY51)의 오프, 온단자(b), (c)에 각기 접속하며, 상기 릴레이(RY5) 스위치(RY51)의 가동단자(a)를 상기 교류전원(AC)의 타측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포트 커플러(PC) 포트 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를 검출신호단자(DET)에 접속하여 상기 출력 릴레이 제어 및 구동제어부(5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회로.
KR1019910016202A 1991-09-17 1991-09-17 조명 제어 회로 KR940003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202A KR940003305B1 (ko) 1991-09-17 1991-09-17 조명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202A KR940003305B1 (ko) 1991-09-17 1991-09-17 조명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311A KR930007311A (ko) 1993-04-22
KR940003305B1 true KR940003305B1 (ko) 1994-04-20

Family

ID=1932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202A KR940003305B1 (ko) 1991-09-17 1991-09-17 조명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3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311A (ko) 199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2492B1 (en) Car battery jumper cable
CN103669252B (zh) 一种自动闸机
KR940003305B1 (ko) 조명 제어 회로
US7345380B2 (en) Backup power supply system with a null transfer time
KR940003771B1 (ko) 복수의 조명기구를 원격제어하는 시스템
KR100475062B1 (ko) 릴레이 출력회로
JPS6341480B2 (ko)
KR20030091141A (ko) 전동기 자동전환운전 장치
JPH03213460A (ja) 電気転てつ機の制御装置
KR0157934B1 (ko) 교통 신호 제어기의 플래시 전력 구동 장치
JPS6124792B2 (ko)
JP3068503B2 (ja) 電源制御回路
KR960008111Y1 (ko) 조명기기의 릴레이 접점 감지회로
JP2667459B2 (ja) ポンプ制御装置
KR0120771Y1 (ko) 인버터 암의 쇼트 방지장치
KR100738889B1 (ko) 디씨모터 반파 구동제어장치와 그 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0679889B1 (ko) 하이브리드 h 브리지형 인버터 및 그 제어장치
KR950009006Y1 (ko) 사설교환기의 국선접속회로
KR19990006242U (ko) 에이티오에스 출력전원장치
SE518024C2 (sv) Säkerhetsarrangemang
JP2657698B2 (ja) 監視制御装置
KR200287553Y1 (ko) 전동기 자동전환운전 장치
JPH0479735A (ja) 電源切り換え方法
JPH04132426A (ja) 配電自動化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用レーザ不当発光防止回路
JPS585819A (ja) 電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