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092Y1 -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092Y1
KR940003092Y1 KR2019880004052U KR880004052U KR940003092Y1 KR 940003092 Y1 KR940003092 Y1 KR 940003092Y1 KR 2019880004052 U KR2019880004052 U KR 2019880004052U KR 880004052 U KR880004052 U KR 880004052U KR 940003092 Y1 KR940003092 Y1 KR 940003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perating voltage
unit
operating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4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381U (ko
Inventor
한경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04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092Y1/ko
Publication of KR890020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3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4Aspects rela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
제1도는 종래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정류부 12 : 제1정전압부
13 : 제2정전압부 14 : 강압부
TS11 : 강압트랜스 ZD1-ZD3 : 제너다이오드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레이지에 있어서 음식물을 해동하고 가열하는 등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의 콘트롤부에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부저, 각종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로직 소자등을 구동시킴과 아울러 디지트론의 애노드에 공급하기 위한 +5V와, 디지트론의 필라멘트를 가열히기 위한 -24±2.5V의 맥류전압과, 릴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25V와, 디지트론의 동작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그리드에 공급하는 -25내지 -30V 등의 각종 동작전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콘트롤부의 동작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종래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교류전압(AC)을 일정레벨 이하로 강압하는 강압트랜스(TS1)와, 상기 강압트랜스(TS1)의 일차코일(T1)에서 이차코일(T2)로 유기된 교류전압을 다이오드(D1)(D2)를 통해 정류하고 콘덴서(C1)를 통해 평활시키켜 출력하는 제1정류부(1)와, 상기 이차코일(T2)의 중간단자에서 타측단자의 전압을 마이너스(-) 정류하는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2)로 된 제2정류부(2)와, 상기 제1정류부(1)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유지시켜 동작전압(Vcc)을 출력하는 트랜지스터(TR1), 저항(R1) 및 제너다이오드(ZD1)로 된 제1정전압부(3)와, 상기 제2정류부(2)에서 정류된 마이너스 전압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유지시켜 동작전압(Vp)을 출력하는 제2정전압부(4)와, 상기 강압트랜스(TS1)의 이차코일(T3)로 유기된 교류전압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2정전압부(4)의 동작 전압(Vp)에 가산하고 아울러 동작전압(Vpp)을 출력하는 저항(R3) 및 제너다이오드(ZD3)로 된 승압부(5)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는 먼저, 강압트랜스(TS1)의 일차코일(T1)에 교류전원(AC)이 인가되면, 그 교류 전원(AC)은 이차코일(T2)(T3)로 강압되어 유도, 즉 이차코일(T2)에는 중간단자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단자(A1)(A2)로 각기 25V의 전압이 유기되고, 이차코일(T3)에는 2.5V의 전압이 유기되며, 상기 2차코일(T2)로 유기된 전압은 제1정류부(1)의 다이오드(D1)(D2)를 통해 전파정류되고 콘덴서(C1)를 통해 평활된 후 제1정전압부(3)의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일정레벨의 정전전압으로 되어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동작전압(Vcc) 즉, +5V의 전압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강압트랜스(TS1)의 이차코일(T2)의 중간단자와 타측단자(A2)간의 전압이 제2정류부(2)의 다이오드(D3)를 통해 반파정류되고 콘덴서(C2)를 통해 평활된다.
상기 제2정류부(2)에서 평활화된 마이너스의 직류전압은 제2정전압부(4)의 제너다이오드(ZD2)에 설정된 제너전압에 의해 일정레벨의 정전압화 되어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동작전압(Vp) 즉, -24V로 출력된다.
아울러 상기 강압트랜스(TS1)의 이차코일(T3)로 유기된 교류전압은 승압부(5)의 저항(R3)을 통해 제2정전압부(4)의 출력전압에 가산되어 -24±2.5의 맥류동작전압(Vp)으로 출력되며, 제2정전압부(4)의 출력전압이 승압부(5)의 저항(R3)을 통해 승압되고 제너다이오드(ZD3)에 의해 정전압화되어 -20V의 동작전압(Vpp)으로 출력된다.
이와같이, 동작전압(Vcc)(Vp)(Vpp)이 출력되면, 접지전압(Vss)을 기준으로 하여 +5V의 동작전압(Vcc)은 콘트롤러부의 중앙처리장치 및 부저, 각종 TTL소자, 디지트론의 애노드에 공급되고, 접지전압(Vss)을 기준으로 하여 -24±2.5V의 맥류동작전압(Vp)은 디지트론의 필라멘트에 공급되며, 동작전압(Vcc)을 기준으로 하여 -25V인 동작 전압(Vpp)은 릴레이의 구동전압으로 공급된다.
또한 동작전압(Vcc)을 기준으로 하여 -29±2.5V의 동작전압(Vp)은 디지트론의 그리드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는 디지트론의 필라멘트에 공급하기 위한 -24±2.5V를 제외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부저, TTL소자, 디지트론의 애노드, 그리드, 릴레이 등에 공급하기 위한 동작전압이 모두 제1정전압부의 동작전압(Vcc)을 이용하므로 제1정전압부의 트랜지스터로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류용량이 매우 큰 트랜지스터를 사용해야 되고, 또한 릴레이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승압부에 전압승압용 저항(R3)을 사용해야 될뿐 아니라 제너다이오드(ZD3)가 쉽게 손상되는 결함이 있었다.
그리고,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규격의 제2급회로에 있어서, 교류전압이 30V 이하이고, 최대 직류전압이 42.3V 이하일 경우에는 안전에 별 문제가 없어 테스트를 받지 않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전원공급회로는 강압트랜스의 이차코일(T2)의 양측단자 사이로 유도되는 교류전압이 50V나 되어 콘트롤러부의 안전 테스트를 받아야 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사용하는 교류전압은 30V 이하이고 최대직류전압은 42.3V 이하로 되게하여 안전테스트를 면제하게 함과 아울러 많은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억제하여 일반 전류용량을 가진 소자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는 강압 트랜스를 통해 분리 및 강압된 30V의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제1동작전압을 발생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제1동작전압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유지시켜 제2동작전압을 발생하는 제1정전압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제1동작전압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유지시키고 강압트랜스에서 분리된 2.5V의 교류전압을 상기 정전압에 가산시켜 제3동작전압을 출력하는 제2정전압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공급된 제1동작전압과 제2정전압부의 제3동작전압을 가산하여 제4동작전압을 발생하는 강압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트롤러부(도면에 미도시)에 제1, 제2, 제3, 제4동작전압(Vcc,Vss,Vp,Vpp)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에 있어서, 입력 교류전원(AC)을 분리 및 강압하여 그의 이차코일(T12)(T13)로 30V 및 2.5V를 유도하는 강압트랜스(TS11)와, 상기 강압트랜스(TS11)의 이차코일(T12)로 유기된 30V의 교류전압을 브리지다이오드(BD)를 통해 정류하고 콘덴서(C11)를 통해 평활하여 제1동작전압(Vcc)으로 출력하는 정류부(11)와, 상기 정류부(11)의 제1동작전압(Vcc)을 다이오드(D11)와 제너다이오드(ZD11), 트랜지스터(TR11) 및 저항(R11)를 통해 마이너스로 정전압화하여 제2동작전압(Vss)을 출력하는 제1정전압부(12)와, 상기 정류부(11)의 제1동작전압(Vcc)을 다이오드(D12)와 제너다이오드(ZD12)와, 트랜지스터(TR12) 및 저항(R12)을 통해 마이너스로 정전압화 하고 그 정전압을 상기 강압트랜스(TS11)의 이차코일(T13)에서 분리되어 입력되는 전압과를 합하여 제3동작전압(Vpp)으로 출력하는 제2정전압부(13)와, 상기 정류부(11)에서 출력된 제1동작전압(Vcc)과 제2정전압부(13)에서 정전압화된 제3동작전압(Vpp)을 더하여 제4동작전압(VP)을 출력하는 저항(R13) 및 제너다이오드(ZD13)로 된 강압부(14)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압트랜스(TS11)의 일차코일(T11)로 교류전원(AC)이 인가되면, 그 교류전원(AC)은 강압되어 그의 이차코일(T12)(T13)로 각기 30V, 2.5V가 분리 유도된다.
상기 이차코일(T12)로 분리 유도된 30V의 교류전압은 정류부(11)의 브리지다이오드(BD)를 통해 브리지 정류되고 콘덴서(C11)를 통해 평활된 후 다이오드(D11), 제너다이오드(ZD11), 트랜지스터(TR11) 및 저항(R11)으로 된 제1정전압부(12)의 제너다이오드(ZD11)에 설정된 제너전압에 의해 일정레벨(5V)로 유지되어 제1동작전압(Vcc)으로 출력되고, 아울러 상기 제1정전압부(12)에 의해서 제1동작전압(Vcc)을 기준으로 -5V인 제2동작전압(Vss)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정류부(11)에서 출력된 전압은 다이오드(D12)와 제너다이오드(ZD12), 저항(R12) 및 트랜지스터(TR12)로 된 제2정전압부(13)의 제너다이오드(ZD12)에서 설정된 제너전압에 의해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유지되고 그 정전압은 상기 강압트랜스(TS11)의 이차코일(T13)로 유기된 2.5V의 전압과 합쳐서 -24±2.5V의 맥류전압인 제3동작전압(Vpp)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정류부(11)의 출력전압이 강압부(14)의 저항(R13)을 통하고 제너다이오드(ZD13)에 설정된 제너전압에 의해 상기 제3동작전압(Vpp)보다 낮은 -29V의 제4동작전압(Vp)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1, 제2, 제3, 제4동작전압(Vcc,Vss,Vpp,Vp)이 출력되면, 제2동작전압(Vss)을 기준으로 +5V인 제1동작전압(Vcc)이 중앙처리장치 및 부저, 각종 TTL소자, 디지트론의 애노드에 공급되고, 제1동작전압(Vcc)을 기준으로 -24±2.5V의 맥류인 제3동작전압(Vpp)이 디지트론의 필라멘트에 공급되어 동작시키게 되며, 제2동작전압(Vss)을 기준으로 -24V인 제4동작전압(Vp)은 릴레이의 구동전압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1동작전압(Vcc)을 기준으로 -24±2.5V 및 -29V는 디지트론의 필라멘트 및 그리드에 각기 공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접지전압인 제1동작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중앙처리장치 및 부저, TTL소자, 디지트론의 애노드, 디지트론의 필라멘트 등에 공급하기 위한 동작전압(Vss)(Vpp)을 출력하므로 제1, 제2정전압부의 트랜지스터(TR11)(TR12)로 과전류가 흐르지 않아 일반적인 전류용량을 가지고 있는 트랜지스터 소자를 사용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동작전압(Vpp)을 출력하기 전에 정류부의 브리지다이오드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동작전압(Vp)을 얻게 됨으로써 트랜지스터(TR12)의 부하를 줄여주게 되며, 또한 교류전압이 30V 이하이고 최대 직류전압이 42.3V 이하이므로 UL규격의 2급회로에서 안전 테스트를 면제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강압트랜스(TS11)를 통해 분리 및 강압된 30V의 전압을 브리지 정류하고 평활하여 제1동작전압을 발생하는 정류부(11)와, 상기 정류부(11)의 제1동작전압을 일정레벨의 마이너스 정전압으로 유지시켜 제2동작전압을 발생하는 제1정전압부(12)와, 상기 정류부(11)에서 정류된 제1동작전압을 일정레벨의 마이너스 정전압으로 유지시키고 강압트랜스(TS11)에서 분리된 2.5V의 교류전압을 상기 마이너스의 정전압에 가산시켜 제3동작전압을 출력하는 제2정전압부(13)와, 상기 정류부(11)에서 공급된 제1동작전압과 제2정전압부(13)의 제3동작전압을 가산하여 제4동작전압을 발생하는 강압부(1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강압부(14)는 제3동작전압 보다 낮은 제4동작전을 얻기 위해 제너다이오드(ZD13)와 저항(R13)을 직렬 접속후 제3동작전압(Vpp)과 정류부(11)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
KR2019880004052U 1988-03-26 1988-03-26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 KR940003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052U KR940003092Y1 (ko) 1988-03-26 1988-03-26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052U KR940003092Y1 (ko) 1988-03-26 1988-03-26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381U KR890020381U (ko) 1989-10-05
KR940003092Y1 true KR940003092Y1 (ko) 1994-05-12

Family

ID=1927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4052U KR940003092Y1 (ko) 1988-03-26 1988-03-26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0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381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6925A (en) Pulse switching tandem flyback voltage converter
KR19990082458A (ko) 고전압 교류 대 저전압 직류 컨버터
US4678985A (en) Two-terminal line-powered control circuit
EP0556116A2 (en) Circuit for compensating for output of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cooker
CN211142543U (zh) 一种洗衣机电路及洗衣机
JP200633363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940003092Y1 (ko) 전자레인지의 전원공급회로
EP0802615B1 (en)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JP5203643B2 (ja) ゼロクロス検知回路、ゼロクロス信号出力回路及び電源
EP0811901A2 (en) Voltage rectifying and smoothing circuit
EP0115896A1 (en) Optical indicator device
EP0061730A2 (en) Transistor inverter device
KR870010693A (ko)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구동회로
JP2736059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H0726484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20040141338A1 (en) Output voltage stabilizer for switching mode power supply
KR20000015607A (ko) 모니터의 과전압 보호 회로
JP3400945B2 (ja) 電源装置
KR970001897Y1 (ko) 220v 전원 공급회로
JPH0726662Y2 (ja) 電磁流量計の電源回路
KR930006890B1 (ko) 단일 펄스에 의한 전원 구동회로
KR200257920Y1 (ko) 정류 회로
KR0136158Y1 (ko) 스위칭모드 파워써플라이의 공급전력 안정화회로
KR940001193Y1 (ko) 정전압기의 발열 감쇄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